KR200368065Y1 -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065Y1
KR200368065Y1 KR20-2004-0023470U KR20040023470U KR200368065Y1 KR 200368065 Y1 KR200368065 Y1 KR 200368065Y1 KR 20040023470 U KR20040023470 U KR 20040023470U KR 200368065 Y1 KR200368065 Y1 KR 200368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xing piece
bracket
kitchen furniture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동욱
Original Assignee
구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동욱 filed Critical 구동욱
Priority to KR20-2004-0023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0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0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조 비용 등의 코스트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현장 설치시에도 작업자가 좌우 브라켓을 구별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며, 가구 설치 후에 이 가구의 좌우 높낮이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방의 벽체(13)에 장착되는 벽체고정편(42)과, 이 벽체고정편(42)의 양측방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결합돌기(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벽체고정편(42)의 양측방 결합돌기(44) 중 어느 일측방의 결합돌기(44)가 주방가구의 좌측 또는 우측패널(6)에 형성된 결합홈(2)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좌측 또는 우측패널(6)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Bracket for kitchen furniture}
본 고안은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비용 등의 코스트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현장 설치시에도 작업자가 좌우 브라켓을 구별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며, 가구 설치 후에 이 가구의 좌우 높낮이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씽크대의 상부 찬장과 같은 벽체 고정형 주방가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좌우패널(6), 상하부패널(3) 및 배면패널(8)을 사각 박스 형태로 연결하고, 그 전방에는 도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벽체에 고정된다.
이러한 브라켓은 띠형상의 벽체고정편(22)과, 이 벽체고정편(22)의 일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결합돌기(24)와, 상기 벽체고정편(22)을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그 일단의 헤드부(57)가 벽체고정편(22)의 배면에 위치된 고정볼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50)의 타단부에는 십자형의 드라이버 삽입홈(5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구의 양측 측면패널(6)의 후방 내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결합홈(2)을 형성하고, 벽체(13)에는 별도의 벽체브라켓(70)을 설치하여, 상기 브라켓의 결합돌기(24)를 각각 측면패널의 결합홈(2)에 끼우고, 상기 고정볼트(50)의 헤드부를 벽체(13)에 설치된 벽체브라켓(70)에 걸어준 다음, 상기 배면패널(8)의 관통부(9)를 통해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볼트(50)의 타단부에 형성된 십자형 드라이버 삽입홈(51)에 드라이버를 결합하여 고정볼트(50)를 조여줌으로써, 주방가구를 벽체(13)에 고정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결합돌기(24)가 벽체고정편(22)의 일측으로만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가구의 측면패널, 즉, 좌측패널과 우측패널(6)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 한 벌의 브라켓(20)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한다. 만일, 상기 브라켓을 뒤집어서 해당 측면패널(6)의 반대편에 위치된 다른 측면패널(6)의 결합홈(2)에 상기 결합돌기(42)를 끼우게 되면, 상기 벽체고정편(22)에 결합된 고정볼트(50)의 헤드부(57)가 벽체(13)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상기 헤드부(57)를 벽체브라켓(70)에 걸어줄 수 없기 때문에, 브라켓을 뒤집어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브라켓은 결합돌기(42)가 벽체고정편(22)의 일측으로만 돌출 형성되어, 가구의 양측 측면패널(6)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 한 벌의 브라켓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두 가지의 금형의 요구되고, 그만큼 금형 비용 등이 많이 소요되어 제조 비용 등의 코스트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좌우 브라켓을 두 개의 제조 라인에서 별개의 금형에 의해 따로 제조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장 작업시 작업자가 좌우 브라켓을 일일이 구별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벽체고정편(22)에 고정볼트(50)가 단순히 관통 결합되어, 상기 고정볼트(50)의 헤드부(57)를 벽체(13)에 설치된 벽체브라켓(70)에 걸어서 고정하면, 상기 고정볼트(50)에 대해 벽체고정편(22)을 상대적으로 승강시킬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구 설치 후 이 가구의 좌우 높낮이를 맞출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 비용 등의 코스트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현장 설치시에도 작업자가 좌우 브라켓을 구별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며, 가구 설치 후에 이 가구의 좌우 높낮이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브라켓이 주방가구의 일측 패널에 장착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주방가구의 일측 패널에 장착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주요부의 평단면도
도 5는 도 3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본 고안에 따르면, 주방의 벽체(13)에 장착되는 벽체고정편(42)과, 이 벽체고정편(42)의 양측방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결합돌기(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벽체고정편(42)의 양측방 결합돌기(44) 중 어느 일측방의 결합돌기(44)가 주방가구의 좌측 또는 우측패널(6)에 형성된 결합홈(2)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좌측 또는 우측패널(6)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벽체고정편(42)에는 슬라이드공(5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52)의 상단 둘레부에는 벽체고정편(42)의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부(62)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공(52)에는 슬라이드부재(47)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47)에는 고정볼트(55)가 관통결합되어 이 고정볼트(55)의 헤드부(57)가 상기 벽체고정편(42)의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볼트(55)의 상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47)의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관통 결합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경사부(62)에 접촉되도록 된 높이조절볼트(65)가 마련되며, 상기 벽체(13)에 고정된 벽체브라켓(70)에 상기 고정볼트(55)의 헤드부(57)를 걸어서 상기 벽체고정편(42)을 벽체(13)에 장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이 주방가구의 일측 패널에 장착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주요부의 평단면도, 도 5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브라켓은 주방의 벽체(13)에 장착되는 벽체고정편(42)의 양측방으로 다수개의 결합돌기(44)가 돌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벽체고정편(42)은 소정 길이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벽체고정편(42)의 좌측방 및 우측방에 결합돌기(44)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돌기(44)는 벽체고정편(42)의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벽체고정편(42)의 양측방 결합돌기(44) 중에서 어느 일측방의 결합돌기(44)를 주방가구의 좌측 또는 우측패널(6)의 내벽면에 형성된 결합홈(2)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하고, 상기 벽체고정편(42)의 배면을 벽체(13)에 고정된 벽체브라켓(70)에 걸어줌으로써, 주방가구를 벽체(13)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벽체고정편(42)에는 슬라이드공(5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52)의 상단 둘레부에는 벽체고정편(42)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부(62)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공(52)에는 슬라이드부재(5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50)의 중앙부에는 고정볼트(55)가 나사 결합되어 이 고정볼트(55)의 일단부에 형성된 헤드부(57)가 상기 벽체고정편(42)의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볼트(55)의 타단부에 형성된 드라이버 삽입홈(51)은 벽체고정편(42)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47)의 상측부에는 높이조절볼트(65)가 관통 결합되는데, 이러한 높이조절볼트(65)는 상기 슬라이드부재(47)의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관통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볼트(65)의 일단부가 상기 경사부(62)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볼트(65)의 타단부에는 십자형의 드라이버 삽입홈(65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고정편(42)의 양측방으로 돌출된 상기 결합돌기(44)를 주방가구의 좌우패널(6)에 형성된 결합홈(2)에 결합하고, 상기 고정볼트(55)의 헤드부(57)를 벽체(13)에 별도로 설치된 벽체브라켓(70)에 걸어준 다음, 상기 배면패널(8)에 형성된 관통부(9)를 통해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볼트(55)의 타단부에 형성된 십자형의 드라이버 삽입홈(51)에 드라이버를 결합하여 상기 고정볼트(55)를 조여줌으로써, 주방가구를 벽체(13)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볼트(65)를 이용하여 주방가구의 좌우 높낮이를 맞출 수 있다. 즉, 벽체(13)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벽체브라켓(70)에 상기 고정볼트(55)의 헤드부(57)를 걸어서 고정볼트(55)를 조여서 슬라이드부재(47)를 고정한 다음, 상기 높이조절볼트(65)의 십자형 드라이버 삽입홈(65a)에 드라이버를 결합하여 이 높이조절볼트(65)를 조이거나 풀게 되면, 이 높이조절볼트(65)의 일단부가 상기 경사부(62)에 접촉되면서 승강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재(47)가 고정볼트(55)를 매개로 벽체(13)의 벽체브라켓(70)에 걸려져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벽체고정편(52)만 승강되면서 주방가구의 좌우측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주방가구의 높낮이 균형을 원하는데로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브라켓은 그 좌측방 및 우측방에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양측방 결합돌기 중에서 어느 일측방의 결합돌기를 주방가구의 좌우패널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서 주방가구를 벽체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주방가구의 좌우패널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벌의 좌우 브라켓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좌우 브라켓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없기 때문에, 두 개의 금형이 아니라 단일의 금형만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금형 비용 등이 절감되어 제조 비용 등의 코스트가 절감되면서도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장 작업시 좌우 브라켓을 일일이 구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벽체고정편에는 벽체에 고정되는 슬라이드부재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높이조절볼트가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볼트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벽체고정편이 승강되기 때문에, 주방가구의 좌우 높낮이 균형을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주방의 벽체(13)에 장착되는 벽체고정편(42)과, 이 벽체고정편(42)의 양측방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결합돌기(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벽체고정편(42)의 양측방 결합돌기(44) 중 어느 일측방의 결합돌기(44)가 주방가구의 좌측 또는 우측패널(6)에 형성된 결합홈(2)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좌측 또는 우측패널(6)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고정편(42)에는 슬라이드공(5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52)의 상단 둘레부에는 벽체고정편(42)의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부(62)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공(52)에는 슬라이드부재(47)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47)에는 고정볼트(55)가 관통결합되어 이 고정볼트(55)의 헤드부(57)가 상기 벽체고정편(42)의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볼트(55)의 상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47)의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관통 결합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경사부(62)에 접촉되도록 된 높이조절볼트(65)가 마련되며, 상기 벽체(13)에 고정된 벽체브라켓(70)에 상기 고정볼트(55)의 헤드부(57)를 걸어서 상기 벽체고정편(42)을 벽체(13)에 장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
KR20-2004-0023470U 2004-08-17 2004-08-17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 KR200368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70U KR200368065Y1 (ko) 2004-08-17 2004-08-17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470U KR200368065Y1 (ko) 2004-08-17 2004-08-17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065Y1 true KR200368065Y1 (ko) 2004-11-17

Family

ID=4944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470U KR200368065Y1 (ko) 2004-08-17 2004-08-17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0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986B1 (ko) 2015-05-14 2016-10-12 한국주택가구협동조합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986B1 (ko) 2015-05-14 2016-10-12 한국주택가구협동조합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22722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panels
EP2219495B1 (en) Hidden and adjustable support for the wall mounting of a suspended furniture piece
KR101663986B1 (ko)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KR20060118886A (ko)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CA2720602C (en) Sink cabinet with sloped impervious floor
KR200368065Y1 (ko) 주방가구 고정용 브라켓
KR200448088Y1 (ko)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KR200222114Y1 (ko) 앞가리개 설치클립을 구비한 싱크대 다리
KR20170141377A (ko) 선반 시공구조 및 이때 사용되는 시공핀
KR102232848B1 (ko) 가구용 수평 걸이구
CN109210042B (zh) 一种组合家具连接结构
KR200397585Y1 (ko) 거푸집체결부재의 고정브라켓 장착구
JP2513658Y2 (ja) カウンタ―固定用の金具
JP3118499U (ja) 棚受け用支柱
JPH06133825A (ja) 吊り戸棚の取付構造
KR200389706Y1 (ko) 걸이형 수납가구용 고정설치구
KR200474323Y1 (ko) 욕실 액세서리용 브래킷 조립체
WO2017080121A1 (zh) 裙脚及烹饪器具
JP7365782B2 (ja) 棚の取付構造
CN217031109U (zh) 一种便捷的吸顶灯安装结构
KR200454108Y1 (ko) 씽크대의 볼 고정용 받침대
KR960009839Y1 (ko) 조립식 선반
KR200176341Y1 (ko) 다용도 옷걸이
KR200362108Y1 (ko) 천장 매입형 형광등 프레임 고정구조
JPH10211033A (ja) パネル付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