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075B1 -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 Google Patents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075B1
KR102251075B1 KR1020190103080A KR20190103080A KR102251075B1 KR 102251075 B1 KR102251075 B1 KR 102251075B1 KR 1020190103080 A KR1020190103080 A KR 1020190103080A KR 20190103080 A KR20190103080 A KR 20190103080A KR 102251075 B1 KR102251075 B1 KR 102251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vertical plate
locking
system furniture
contro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202A (ko
Inventor
윤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사
Priority to KR1020190103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0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25Uprights secured to ceiling and floor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는, 나사 조절공을 구비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 브라켓;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선반 지지용 브라켓이 선택적 위치에 걸리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장공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장공을 중심으로 한 양쪽의 결합단에는 다수개의 체결공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양쪽의 상기 결합단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 쪽을 향하는 각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수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반대방향의 각 일단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벽체를 커버하기 위한 수직판재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연결 프레임; 및 머리부가 상기 수용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나사 조절공에 체결되고, 상기 걸림장공을 통한 공구의 조임 또는 풀림 조작에 따라, 상기 지지단과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연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SYSTEM FURNITURE HAVING VERTICAL LEVEL CONTROL STRUCTURE OF VERTICAL PLATE}
본 발명은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에 고정되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을 조절할 수 있고, 수직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수직프레임에 수직판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레스룸이나 기타 공간에 설치되어 의류나 기타 잡화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시스템 가구는 스탠드형과 천정과 바닥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연결 지지형,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 설치형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은 지지방식에 의한 차이인 것으로, 스탠드형은 자립 직립형이고, 연결 지지형이나 벽면 설치형은 수직 프레임을 천정과 바닥에 각각 고정하거나 벽면에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시스템가구 관련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778호에 건축물의 실내 벽면에 고정되고, 일측면이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장방의 고정홈과, 고정홈의 개방면 양측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고정홈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볼트로 선반받침대와 나사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포스트의 고정홈과 개방면 양측 걸림턱에 맞닿아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과 나사결합되는 선반받침대와, 상기 선반받침대의 상부면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선반으로 구성하여서 된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반받침대의 뒤쪽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사이에 다수의 사각 돌기를 배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서 상기 고정볼트의 체결과 함께 포스트 상에 선반받침대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인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779호에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다수의 선반받침대를 고정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일측면이나 양측면에, 고정볼트와 고정구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서 다수의 선반을 고정하는 선반받침대와, 상기 선반받침대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다수의 선반으로 구성하여서 된 시스템가구에 있어서, 상기 선반받침대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한 측판을 요철 결합되도록 구성하여서 선반받침대가 시스템가구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경우 선반받침대에 측판을 삽입하고, 선반받침대가 시스템가구의 중앙부에 위치할 경우 선반받침대의 측판을 제거하여 설치하도록 한 것이 특징인 시스템가구용 선반받침대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 가구들은 포스트를 벽면에 설치한 후 포스트에 선반받침대를 설치하여 선반을 안착시키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시스템 가구가 설치되는 공간(드레스 룸 등)의 벽면이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시스템 가구들은 설치공간의 벽면을 커버할 수단이 마련되지 않음으로써 설치공간의 벽면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778호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77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가구를 구성하는 수직판재를 벽체에 설치할 때 각 수직판재의 수직레벨을 조절하여 일정하게 설치할 수 있고, 수직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수직 프레임에 수직판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시스템 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양단이 벽체에 결합되도록 절곡되어 고정단이 각각 형성되고, 양쪽의 상기 고정단 사이 영역이 상기 벽체와의 사이에 조절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방으로 절곡되며 중앙에는 나사 조절공이 형성된 지지단이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브라켓;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선반 지지용 브라켓이 선택적 위치에 걸리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장공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장공을 중심으로 한 양쪽의 결합단에는 다수개의 체결공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양쪽의 상기 결합단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 쪽을 향하는 각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수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반대방향의 각 일단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벽체를 커버하기 위한 수직판재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연결 프레임; 및 머리부가 상기 수용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나사 조절공에 체결되고, 상기 걸림장공을 통한 공구의 조임 또는 풀림 조작에 따라, 상기 지지단과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연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직 프레임과 각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결합홈을 통하여 각 상기 결합단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트,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재는, 연결 브라켓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연결 프레임의 각 결합홈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 브라켓은,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재의 배면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어 볼트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도록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배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 결합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의 양쪽 내측면에는 걸림돌기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 결합단의 양쪽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들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프레임에는, 일단이 상기 걸림장공에 걸리기 위한 걸림편들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안착돌기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 양쪽 또는 어느 한쪽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선반 지지브라켓이 쌍을 이루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선반 지지브라켓에 안착되는 선반의 저면에는 상기 안착돌기에 대응되는 안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선반의 저면 가장자리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안착돌기의 단부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걸림홈이 측면방향과 하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는,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제1 높이조절공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이 배면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 지지단; 상기 제1 높이조절공과 일치되는 제2 높이조절공을 구비한 한쪽 영역이 상기 수평 지지단의 저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반대쪽 영역은 전방쪽으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수직판재의 하단면이 안착되어 지지되기 위한 안착 지지단이 형성된 높이 지지부재; 및 상기 높이 지지부재의 저면에서 상기 제2 높이조절공과 제1 높이조절공을 차례로 통과하여 체결되어 조임 및 풀림 조작으로 상기 수직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높이 지지부재의 전방을 향하는 선단부는, 상기 수직판재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직판재의 전면을 기준으로 3-6mm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 가구의 수직판재가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수직 프레임, 연결 프레임 및 조절볼트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직판재를 벽체에 설치할 때 각 수직판재의 수직레벨을 조절하여 수직판재들이 일정한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바닥을 기준으로 수직판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스템 가구가 시공되는 공간의 벽체를 커버하기 위한 수직판재를 수직 프레임에 용이하게 고정하여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시공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조절볼트를 조이가 푸는 조작만으로 수직판재의 수직레벨이 조절됨으로써,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의 결합상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의 설치상태를 표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의 결합상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의 설치상태를 표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20)는, 나사 조절공(32A)을 구비하여 벽체(10)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0)과, 걸림장공(42)들과 체결공(44)들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천공되며 폭방향 양쪽에 결합단(46)이 각각 형성된 수직 프레임(40)과, 수직 프레임(40)의 양쪽 각 결합단(46)에 결합되고 전면에는 수용홈(52)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결합홈(54)이 각각 형성되어 벽체(10)를 커버하기 위한 수직판재(70)가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50)과, 양쪽 수용홈(52)에 머리부(62)가 위치한 상태에서 걸림장공(42)을 관통하여 나사 조절공(32)에 체결되어 조임과 풀림 조작에 의해 수직판재(70)의 수직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정 브라켓(30)은, 벽체(10)에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30)은, 양단이 벽체(10)에 결합되도록 절곡되어 고정단(34)들이 각각 형성되고, 양쪽의 고정단(34)들 사이 영역, 즉 중간부에는 벽체(10)와의 사이에 조절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방(-X 방향)으로 절곡되어 지지단(32)이 형성되며, 지지단(32)의 중앙에는 나사 조절공(32A)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30)은 수직 프레임(40)의 길이에 따라 2 - N개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40)은, 각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금속재 또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선반 지지용 브라켓(82)이 선택적 위치에 걸리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장공(42)들이 중앙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되며, 걸림장공(42)을 중심으로 한 양쪽의 결합단(46)에는 다수개의 체결공(44)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된다. 양쪽의 결합단(4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40)의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 영역을 의미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각 체결공(44)들이 형성된 양쪽 가장자리 영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수직 프레임(40)의 하단에는 높이조절수단(90이 마련된다. 높이조절수단(90)은, 제1 높이조절공(92A)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이 배면 방향(X)으로 수평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 지지단(92)과, 제1 높이조절공(92A)과 일치되는 제2 높이조절공(94A)을 구비한 한쪽 영역이 수평 지지단(92)의 저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반대쪽 영역은 전방쪽(-X)으로 수평 연장되어 수직판재(70)의 하단면(72)이 안착되어 지지되기 위한 안착 지지단(94B)이 형성된 높이 지지부재(94)와, 높이 지지부재(94)의 저면에서 제2 높이조절공(94A)과 제1 높이조절공(92A)을 차례로 통과하여 체결되어 조임 및 풀림 조작으로 수직 프레임(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볼트(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높이 지지부재(94)는 수평 지지단(92)의 저면에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수단(90)의 높이조절볼트(96)를 조이거나 푸는 동작으로 수직 프레임(40)을 포함한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20) 전체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높이 지지부재(94)의 전방(-X)을 향하는 선단부(94C)는, 수직판재(70)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직판재(70)의 전면을 기준으로 3-6mm 후방에 위치한다. 이는 높이 지지부재(94)의 지지단(94B)이 수직판재(70)의 하단부를 안정되게 지지하면서도 전방(-X)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 프레임(50)은, 수직판재(70)를 수직 프레임(40)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 프레임(40)의 양쪽 결합단(46)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 브라켓(30)들 쪽 방향(X)을 향하는 각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수용홈(52)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반대방향의 각 일단에는 고정 브라켓(30)이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X)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벽체(10)를 커버하기 위한 수직판재(70)가 결합되는 결합홈(54)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50)은 한 쌍이 한 조를 이루어 각 수직 프레임(40)의 양쪽 결합단(46)에 각각 결합된다.
한편, 한 쌍의 연결 프레임(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개구되어 양쪽 결합단(46)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 결합홈(56)이 각각 형성되며, 이 끼움 결합홈(56)을 관통하는 관통공(56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되, 각 관통공(56A) 간의 간격은, 연결 프레임(50)이 수직 프레임(40)의 결합단(46)과 끼움 결합되었을 때 체결공(44)과 일치될 수 있는 간격이어야 한다. 이때, 관통공(56A)은 결합홈(54)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각 연결 프레임(50)의 각 끼움 결합홈(56)에 양쪽의 결합단(46)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B), 리벳 또는 나사들이 결합홈(54) 내에서 관통공(56A)과 체결공(44)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각 연결 프레임(50)과 수직 프레임(40)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벽체(10)를 커버하기 위한 수직판재(70)는, 각 연결 프레임(50)에 대응되는 한 쌍의 연결 브라켓(74)들에 의해 한 쌍의 연결 프레임(50)의 각 결합홈(54)에 삽입된 후 걸려 결합된다. 이 연결 브라켓(74)들은,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고, 수직판재(70)의 배면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어 볼트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도록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74)와, 고정부(74)에서 배면 방향(X)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 결합단(74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홈(54)의 양쪽 내측면에는 걸림돌기(54A)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끼움 결합단(74B)의 양쪽 외측면에는 걸림돌기(54A)들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74C)들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돌기(54A)들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걸림단(74C)들은 걸림돌기(54A)들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끼움 결합단(74B)이 결합홈(54A)으로 삽입되면 서로 맞물려 걸리게 된다.
한편, 연결 브라켓(74)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50)들에 비하여 짧게 형성되므로, 끼움 결합단(74B)과 관통공(56A)에 체결되는 볼트(B)는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즉, 볼트(B)는 연결 브라켓(74)과 간섭되지 않은 위치의 결합홈(54)의 관통공(56A)을 관통하기 때문에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조절볼트(60)는, 고정 브라켓(30)에 대응되는 수로 구비되는 것으로, 머리부(62)가 양쪽 연결 프레임(50)의 양쪽 수용홈(52)에 위치하도록 나사 조절공(32A)에 체결된다. 이러한 조절볼트(60)는, 수직 프레임(40)의 양쪽에 한 쌍의 연결 프레임(50)이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장공(42)을 통한 공구의 조임 또는 풀림 조작에 따라, 지지단(32)과 수직 프레임(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연결 프레임(50)의 전방(-X)에 결합되는 수직판재(70)의 수직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고정 브라켓(30)은 벽체(10)에 고정된 상태이고, 수직 프레임(40)과 연결 프레임(50) 및 수직판재(70)는 서로 일체화된 상태이므로, 수용홈(52)에서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나사 조절공(32A)에 체결된 조절볼트(60)를 조이거나 푸는 동작으로, 수직판재(70)와 벽체(1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수직판재(70)의 수직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수직 프레임(40)에는, 선반(80)을 수평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선반 지지브라켓(82)이 마련된다. 선반 지지브라켓(82)은, 일단이 양쪽의 수직판재(70) 사이를 통하여 걸림장공(42)에 걸리기 위한 걸림편(82A)들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안착돌기(84)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 양쪽 또는 어느 한쪽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선반 지지브라켓(82)은 쌍을 이루어 각각 마련되므로 선반(8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돌기(84)에 대응되는 위치의 선반(80) 저면에는, 안착돌기(84)에 대응되는 안착부재(86)가 측면방향(수평방향)과 하향(수직방향)으로 개구된 걸림홈(86A)을 구비하여 마련된다. 이 안착부재(8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돌기(84)가 걸림홈(86A)에 삽입되었을 때 안착돌기(84)의 외측에 환형으로 형성된 걸림턱(84A)이 걸려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걸림홈(86A)에 안착돌기(84)가 삽입되었을 때 안착돌기(84)가 수직방향으로만 삽입되고 수평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홈(86A)의 수평 개구방향에 서로 마주보게 돌출 형성된 양쪽 돌출단(86B)에 걸림턱(84A)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안착돌기(84)가 안착홈(86A)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걸린 상태에서는 수평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재(86)는 합성수지재 또는 비철금속으로 사출성형되어 선반(80)의 저면 가장자리에 매립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20)의 작용을 설명한다.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20)가 설치될 벽체(10)에 다수개의 고정 브라켓(30)들을 수직방향으로 배열시켜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 설치한다.
이어서, 수직 프레임(40)의 양쪽 결합단(46)을 연결 프레임(50)들의 각 끼움 결합홈(56)에 삽입한 후 볼트(B)등으로 결합한다. 이 과정으로 연결 프레임(50)들과 수직 프레임(40)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쪽의 연결 프레임(50)들의 각 끼움 결합홈(56)에 결합단(46)을 삽입하여 결합하기 전에 조절볼트(60)들의 각 머리부(62)를 수용홈(52)에 위치시킨다.
물론, 연결 프레임(50)들과 수직 프레임(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끼움 결합홈(56)에 상부에서 조절볼트(60)의 머리부(62)를 하향(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때, 조절볼트(60)는 고정 브라켓(30)의 수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한다.
한편, 수직판재(70)의 배면에는 연결 브라켓(74)들을 수직방향으로 배열시킨 후 고정한다.
이어서, 공구 등을 이용하여 각 조절볼트(60)를 고정 브라켓(30)의 나사 조절공(32A)에 체결한다.
이때, 각 조절볼트(60)의 조임 및 푸는 조작을 통하여 수직 프레임(40)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만약, 벽체(10)가 수직이 아니더라도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조절볼트(60)들을 조절함으로써, 수직 프레임(40)은 수직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수직판재(70)의 배면에 고정 결합된 연결 브라켓(74)의 각 끼움 결합단(74B)을 대응되는 각 결합홈(54)에 억지끼움하여 결합한다. 이와 같이 끼움 결합단(74B)을 억지 끼움함에 따라 걸림돌기(54A)들과 걸림단(74C)들이 맞물리므로 수직판재(70)는 연결 프레임(50)들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판재(70)가 연결 프레임(50)에 결합될 때, 수직판재(70)의 하단면(72)은 안착 지지단(94B)에 안착되어 지지되므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조절볼트(60)를 고정 브라켓(30)에 견고하게 체결하기 전 가 체결상태에서, 높이조절수단(90)의 높이조절볼트(96)를 조절함에 따라 조절볼트(60)가 걸림장공(42)을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수직 프레임(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수직판재(70)가 연결 프레임(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양쪽의 수직판재(70) 사이로 공구를 삽입하여 조절볼트(60)를 조이거나 푸는 조작을 할 수 있는 경우에 수직판재(70)가 결합된 상태에서 높이조절볼트(96)의 조작으로 수직판재(7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과정으로 수직판재(70)가 벽체(10)에 수직상태로 조절되어 고정되면, 선반 지지브라켓(82)을 수직판재(70)들 사이로 삽입하여 걸림장공(42)에 걸어 고정하고, 선반 지지브라켓(82)의 안착돌기(84)를 안착부재(86)의 걸림홈(86A)에 삽입하여 안착시킨다. 이 과정으로 선반(80)은 양쪽의 선반 지지브라켓(82)에 안정된 안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조절볼트(60)를 풀고 조이는 조작으로 수직판재(70)의 수직상태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20)가 설치된 공간의 벽체(10)가 수직이 아니더라도 수직판재(70)는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판재(70)들을 끼움 동작만으로 벽체(10)에 고정된 연결 프레임(50)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20)를 시공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되어 시공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벽체 20 : 가구
30 : 고정 브라켓 40 : 수직 프레임
42 : 걸림장공 50 : 연결 프레임
60 : 조절볼트 70 : 수직판재
80 : 선반 82 : 선반 지지브람켓
90 : 높이조절수단

Claims (8)

  1. 양단이 벽체에 결합되도록 절곡되어 고정단이 각각 형성되고, 양쪽의 상기 고정단 사이 영역이 상기 벽체와의 사이에 조절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방으로 절곡되며 중앙에는 나사 조절공이 형성된 지지단이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브라켓;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선반 지지용 브라켓이 선택적 위치에 걸리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장공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장공을 중심으로 한 양쪽의 결합단에는 다수개의 체결공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양쪽의 상기 결합단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 쪽을 향하는 각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수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반대방향의 각 일단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벽체를 커버하기 위한 수직판재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연결 프레임; 및
    머리부가 상기 수용홈에 위치하도록 상기 나사 조절공에 체결되고, 상기 걸림장공을 통한 공구의 조임 또는 풀림 조작에 따라, 상기 지지단과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연결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과 각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결합홈을 통하여 각 상기 결합단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트,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재는,
    연결 브라켓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연결 프레임의 각 결합홈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 브라켓은,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재의 배면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어 볼트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도록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배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 결합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양쪽 내측면에는 걸림돌기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 결합단의 양쪽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들에 걸리기 위한 걸림단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에는,
    일단이 상기 걸림장공에 걸리기 위한 걸림편들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안착돌기가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 양쪽 또는 어느 한쪽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선반 지지브라켓이 쌍을 이루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선반 지지브라켓에 안착되는 선반의 저면에는 상기 안착돌기에 대응되는 안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선반의 저면 가장자리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상기 안착돌기의 단부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리기 위한 걸림홈이 측면방향과 하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는,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제1 높이조절공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이 배면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 지지단;
    상기 제1 높이조절공과 일치되는 제2 높이조절공을 구비한 한쪽 영역이 상기 수평 지지단의 저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반대쪽 영역은 전방쪽으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수직판재의 하단면이 안착되어 지지되기 위한 안착 지지단이 형성된 높이 지지부재; 및
    상기 높이 지지부재의 저면에서 상기 제2 높이조절공과 제1 높이조절공을 차례로 통과하여 체결되어 조임 및 풀림 조작으로 상기 수직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지지부재의 전방을 향하는 선단부는, 상기 수직판재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직판재의 전면을 기준으로 3-6mm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1020190103080A 2019-08-22 2019-08-22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102251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080A KR102251075B1 (ko) 2019-08-22 2019-08-22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080A KR102251075B1 (ko) 2019-08-22 2019-08-22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202A KR20210023202A (ko) 2021-03-04
KR102251075B1 true KR102251075B1 (ko) 2021-05-12

Family

ID=7517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080A KR102251075B1 (ko) 2019-08-22 2019-08-22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838B1 (ko) 2021-06-04 2021-12-27 라온시스템가구(주) 시스템 가구용 레벨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425B1 (ko) * 2021-10-19 2023-02-24 주식회사 쿠스코 조명이 구비된 선반을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
CN114348659A (zh) * 2021-12-15 2022-04-15 安徽精菱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件输送用导向组件及大型件中转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3449A (ja) 2004-11-30 2006-07-13 Dainippon Printing Co Ltd 壁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壁面構造
KR101577814B1 (ko) 2014-09-12 2015-12-15 롯데건설 주식회사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JP2018053680A (ja) 2016-09-30 2018-04-05 大建工業株式会社 壁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88Y1 (ko) * 2008-03-27 2010-03-1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KR200457039Y1 (ko) * 2008-10-27 2011-12-02 공간찬넬주식회사 벽면 진열시스템의 구조
KR101122701B1 (ko) * 2009-03-09 2012-03-09 육성호 장식판넬 설치구조
KR200461778Y1 (ko) 2010-03-05 2012-08-06 한태열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200461779Y1 (ko) 2010-03-08 2012-08-06 한태열 시스템 가구용 선반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3449A (ja) 2004-11-30 2006-07-13 Dainippon Printing Co Ltd 壁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壁面構造
KR101577814B1 (ko) 2014-09-12 2015-12-15 롯데건설 주식회사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JP2018053680A (ja) 2016-09-30 2018-04-05 大建工業株式会社 壁面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838B1 (ko) 2021-06-04 2021-12-27 라온시스템가구(주) 시스템 가구용 레벨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202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075B1 (ko)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US6109461A (en) Shelf mounting system including mounting brackets having mounting ears for mounting vertical track members to a wall
US7543538B2 (en) Overhead storage system
US5191986A (en) Storage organizer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US10724678B1 (en) Fast fit bracket assembly
KR101663986B1 (ko) 가구의 벽체 설치용 브라켓
KR20180007461A (ko) 마감패널 조립구조
US20190194930A1 (en) Method of connecting and installing a building member
US2002018484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curing a frame/panel to a substrate
JP3974914B2 (ja) 物品取付け用スライド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物品取付け構造
JPH10227117A (ja) 壁面仕上げパネル材突き合わせ部の装飾モール
KR101817891B1 (ko) 시스템가구의 수직프레임
JP2009013620A (ja) 間仕切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83724A (ko) 가구용 선반 고정시스템
JP3974812B2 (ja) 梁への窓枠サッシの取付け構造
KR20240055574A (ko) 시스템장 브라킷
JPH09228543A (ja) 吹抜部の天井構造
JPH0544294A (ja) 天井骨組
GB2318501A (en) Wall cabinet
JPH0547214Y2 (ko)
JP4673738B2 (ja) 机と仕切パネルとの連結構造
JPH0975149A (ja) 吊戸棚の支輪設置構造
JPH07279301A (ja) 天井パネルの固定構造
CN115227050A (zh) 抽屉
KR20230122291A (ko) 슬라이딩 결합구조를 갖는 가구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