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5574A - 시스템장 브라킷 - Google Patents

시스템장 브라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5574A
KR20240055574A KR1020220136039A KR20220136039A KR20240055574A KR 20240055574 A KR20240055574 A KR 20240055574A KR 1020220136039 A KR1020220136039 A KR 1020220136039A KR 20220136039 A KR20220136039 A KR 20220136039A KR 20240055574 A KR20240055574 A KR 20240055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wall
base plat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transverse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667B1 (ko
Inventor
위광석
Original Assignee
위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광석 filed Critical 위광석
Priority to KR102022013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66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3603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4667B1/ko
Publication of KR2024005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5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6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장 브라킷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설치되어 의류나 사물을 보관하는 시스템장에 있어서, 도어부가 본체부에 용이하게 탈부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작용을 하는 결합수단, 시스템장 브라킷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스템장 브라킷{BRACKET FOR SYSTEM WARDROBE}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어 의류나 사물을 보관하는 시스템장과 관련하여서, 도어부가 본체부에 용이하게 탈부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작용을 하는 결합수단인 시스템장 브라킷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는 시스템가구용 포스트에 관한 특허 제1708392호(2017.02.14.)가 제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몸체(100)와, 몸체(100)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실내의 바닥과 천장 사이에 고정되는 높낮이조절구(200)와, 몸체(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는 선반받침대(300)로 이루어지되, 선반받침대(300)는 선반(10)의 일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안착부(303)가 형성되고, 타측에 몸체(100)에 밀착되는 결합보조대(302)가 형성되며, 몸체(100)는 양측에 돌출부(12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부재(120)와, 연결부재(120)의 돌출부(122)가 억지끼움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상기돌출부(122)와 대응되는 끼움홈(1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장식부재(110)로 구성되고,
연결부재(120)는 에이치빔(H-beam) 형태로 형성되며, 에이치빔 측판(125)에서 돌출부(122)가 2개 내지 3개로 분기되고, 선반받침대(300)와 결합보조대(302)에는 볼트공(307)이 관통됨과 아울러 에이치빔 연결판(126)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선반받침대(300)의 결합보조대(302)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보조판(130)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선반받침대(300)는 중앙부에 복수의 제1고정피스(301)가 관통하는 피스공(305)이 형성되어 결합보조대(302)를 사이에 두고 연결부재(120)에 피스 고정되며, 결합보조대(302)의 중앙에는 요홈(304a)이 형성된 결착돌기(304)가 형성되고,
연결부재(120)는 정면과 배면에 결합보조대(302)의 요홈(304a)과 대응되는 돌기(12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4각파이프 형상이고,
돌출부(122)는 측판(125)의 양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연결판(126)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홈(127)이 형성되며, 볼트공(307)에 삽입되는 고정볼트(308)의 끝단과 결합되어 선반받침대(3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삽입홈(127)에 4각너트(140)가 슬라이드 삽입되어 제공이 된다.
그런데 시스템가구용 포스트 구조물의 조립에 사용되는 과정이 간단하지 않고 고정 후에 해체도 용이하지가 않다. 또한, 도어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결합수단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부재하여서, 도어가 필요 또는 불요로 하는 각기 다른 소비자의 기호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본원의 발명자에 의하여 제공된 시스템장의 브라킷 및 그에 의해 조립되는 시스템장에 관한 등록특허 제2418645호(2022)가 개시되어 있는 바,
결합수단인 브라킷(br)은 본체부(10)에 대한 도어부(20)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설치작업이나 조립작업의 효율을 제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장착된 도어부(20)를 본체부(10)로부터 용이하게 탈리하여 떼어낼 수가 있으므로, 도어부(20)가 필요하지 않게 되거나, 이사나 청소 등으로 시스템장을 해체하거나 이동이 필요로 하는 때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그리고 하나의 브라킷(br)을 통하여 구조물의 세 구성요소를 하나로 묶어 고정할 수 있는 바, 도어부(20)의 상단(top)에서는 수직본체프로파일(fr11)과 수직측 문틀도어프로파일(fr21)과 수평측 문틀도어프로파일(fr21)을 하나의 브라킷(br)만으로 일시에 결합하고, 도어부(20)의 하단(bttm)에서는 수직본체프로파일(fr11)과 수직측 문틀도어프로파일(fr21)과 받침도어프로파일(fr22)을 또 하나의 브라킷(br)만으로 한꺼번에 결합할 수가 있고,
또한 브라킷(br)의 제작에 있어서도, 추가되는 구성을 인가하지 않고도 한 번의 금형, 주물 등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고,
수직본체프로파일(fr11)과 수평측 문틀도어프로파일(fr21)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서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공동으로 적용할 수 있어서 제조, 보관 및 유통상의 잇점이 있다. 여기에서, 동일한 형태의 수직측 문틀도어프로파일(fr21)과 수평측 문틀도어프로파일(fr21)을 직각의 다른 방향에서 고정 가능하게 브라킷(br)이 그 기능을 하고,
또한, 받침도어프로파일(fr22)은 도어(21)의 하중을 떠받치며 궤도이탈을 하지 않도록 작용하는 구조로 제공된다. 여기에서, 브라킷(br)은 수평측 문틀도어프로파일(fr21)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과 더불어 받침도어프로파일(fr22)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 또한 제공을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장점을 보다 더 높이는 방향으로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다 더 시공 및 설치가 용이하고 원가를 줄이는 방향으로, 본체부에 대한 도어부의 장착 작업을 돕는 결합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러한 결합수단이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장의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시스템장 브라킷의 구성에 있어서,
종방향(a2) 및 횡방향(a3)를 갖는 평면의 베이스판부(a0); 및 베이스판부(a0)에 형성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고,
베이스판부(a0)는, 장방형상을 취하는 베이스판2부(200); 및 베이스판2부(200)의 종방향(a2) 일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되 횡방향(a3)으로 더 좁은 폭의 장방형상을 취하는 베이스판1부(100);를 포함하고,
체결부(300)는 볼트공부(310); 수직벽2부(320); 수직벽1부(330); 및 수직체결공부(340);를 포함하고,
볼트공부(310)는 수직방향으로 천공 형성되는, 볼트공1부(311); 복수의 볼트공2부(312); 및 복수의 볼트공3부(313);를 포함하고,
볼트공1부(311)는 베이스판1부(100)의 종방향(a2) 타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볼트공2부(312)는 베이스판2부(200)의 횡방향(a3) 타측에 종방향(a2)으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볼트공3부(313)는 베이스판2부(200)의 횡방향(a3) 일측에 종방향(a2)으로 이격 배치되고,
중심선부(a4)를 중심으로 볼트공2부(312)와 볼트공3부(313)는 대칭을 이루어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수직벽2부(320)는, 베이스판2부(200)의 일면에서, 횡방향(a3)으로 길이를 갖고,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벽2a부(321); 및 수직벽2b부(322);를 포함하고,
수직체결공2부(342)를 중심으로 수직벽2a부(321)와 수직벽2b부(322)는 대칭을 이루어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수직벽1부(330)는, 베이스판부(a0)의 일면에서, 횡방향(a3) 및 종방향(a2)으로 길이를 갖는 ㄱ 형상을 취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벽1a부(331); 수직벽1b부(332); 수직벽1c부(333); 및 수직벽1d부(334);를 포함하고,
수직벽1a부(331)는, 베이스판2부(200)의 종방향(a2) 타측 및 베이스판2부(200)의 횡방향(a3) 일측에 자리하고,
수직벽1b부(332)는, 베이스판2부(200)의 종방향(a2) 타측 및 베이스판2부(200)의 횡방향(a3) 타측에 자리하고,
중심선부(a4)를 중심으로 수직벽1a부(331)와 수직벽1b부(332)는 대칭을 이루어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수직벽1c부(333)는, 베이스판1부(100)의 종방향(a2) 타측 및 베이스판1부(100)의 횡방향(a3) 일측에 자리하고,
수직벽1d부(334)는, 베이스판1부(100)의 종방향(a2) 타측 및 베이스판1부(100)의 횡방향(a3) 타측에 자리하고,
중심선부(a4)를 중심으로 수직벽1c부(333)와 수직벽1d부(334)는 대칭을 이루어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수직체결공부(340)는,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중앙이 천공 형성되어서, 암나사 형상을 취하는, 수직체결공1부(341); 및 수직체결공2부(342);를 포함하고,
수직체결공1부(341)는, 베이스판1부(100)의 일면에서, 베이스판1부(100)의 종방향(a2) 일측에 자리하되, 수직벽1a부(331)와 수직벽1b부(332)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체결공2부(342)는, 베이스판2부(200)의 일면에서, 볼트공부(310)와 수직벽2부(320)에 둘러싸여 그 중앙에 배치되어 제공된다.
시공 및 설치가 보다 더 용이하고 원가를 줄일 수 있는, 본체부에 대한 도어부의 장착 작업을 돕는 결합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하나의 브라킷부(br)을 가지고 여러 부위에 적용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시스템장의 예시를 보인 참고도이다.
도 2는 시스템장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장 브라킷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은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현장에 적용된 일 예시이다.
도 6은 적용된 다른 예시이다.
도 7은 적용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8은 어느 부분의 단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는 시스템장은, 옷이나 물품을 보관하는 본체부(10)와 이에 탈부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미닫이식의 도어(21)를 갖는 도어부(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탈부착식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을 위하여 본체부(10)는 그 구조물인 프로파일 즉, 본체프로파일부(fr10)를 구비하고, 도어부(20)는 그 구조물인 프로파일 즉, 도어프로파일부(fr20)를 포함하며, 이들은 결합수단인 브라킷부(br)에 의해 결합(조립,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장 브라킷의 브라킷부(br)는
종방향(a2) 및 횡방향(a3)를 갖는 금속부재로 제공되는 평면의 베이스판부(a0)와, 베이스판부(a0)에 천공 형성(홈이 패여서 구멍이 형성)되거나 돌출 형성(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판부(a0)는, 장방형상을 취하는 베이스판2부(200)와, 베이스판2부(200)의 종방향(a2) 일단으로부터 수평으로 d12만큼 연장 형성되되, 횡방향(a3)으로일측으로) d11만큼 더 좁은 폭의 장방형상을 취하는 베이스판1부(100)로 이루어진, 대략 T 형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베이스판2부(200)의 좌우 어느 한 측의 폭은 베이스판1부(100)의 좌우 어느 한 측의 폭보다 d11만큼 크다. 도 3 예시를 참조한다.
체결부(300)는 볼트공부(310)과 수직벽2부(320)와 수직벽1부(330)와 수직체결공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체결부에 본체프로파일부(fr10)과 도어프로파일부(fr20)이 각각 체결(고정)되어서 시스템장을 구성한다.
볼트공부(310)는 원형의 구멍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천공 형성되며, 볼트공1부(311)와, 2개 한 조(a11, a12)로 이루어진 복수의 볼트공2부(312)와, 2개 한 조(a13, a14)로 이루어진 복수의 볼트공3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볼트공1부(311)는 베이스판1부(100)의 종방향(a2)(길이의 전후 방향) 타측에(대략 베이스판1부(100)의 종방향 길이의 3/4 지점) 위치하도록 천공 형성된다.
복수의 볼트공2부(312)는 베이스판2부(200)의 횡방향(a3)(길이의 좌우 방향) 타측에(좌우 어느 한 측에) 엣지(가장자리 모서리)를 따라 종방향(a2)으로 이격 배치(소정 거리를 두어서 위치)되고,
복수의 볼트공3부(313)는 베이스판2부(200)의 횡방향(a3) 일측에(좌우 다른 한 측에) 엣지를 따라 종방향(a2)으로 이격 배치된다.
중심선부(a4)를 중심으로 볼트공2부(312)와 볼트공3부(313)는 횡방향으로 대칭되게 이격 배치된다. 중심선부(a4)는 베이스판부(a0)의 종방향(a2) 길이를 따라 이어지는 가상의 중심선이다.
수직벽2부(320)는, 베이스판2부(200)의 일면(상면 혹은 저면 중 어느 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횡방향(a3)으로 소정 길이(대략 베이스판2부(200)의 횡방향(a3) 폭의 1/3~1/4)를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소정 높이(대략 횡방향(a3)으로 길이의 1/3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벽2a부(321)와 수직벽2b부(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직체결공2부(342)를 중심으로 수직벽2a부(321)와 수직벽2b부(322)는 종방향으로 대칭이 되게 서로 이격 배치된다.
수직벽2a부(321)는 서로 이격된 2개의 복수 판(b11, b12) 형태를 취하고, 또한 수직벽2b부(322)도 서로 이격된 2개의 복수 판(b13, b14) 형태를 취해서, 프로파일에 개재될(끼워질) 때 프로파일에 형성된 체결공간을 채울 두께를 맞추도록 제공될 수 있다.
수직벽1부(330)는, 베이스판부(a0)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횡방향(a3) 및 종방향(a2)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ㄱ 형상을 취하는, 수직벽1a부(331)와 수직벽1b부(332)와 수직벽1c부(333)와 수직벽1d부(3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심선부(a4)를 중심으로 수직벽1a부(331)와 수직벽1b부(332)는 대칭을 이루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수직벽1부(330)의 각 ㄱ 형상의 종방향(a2) 길이부(c12, c14, c16, c18)는 대략 수직벽2부(320) 길이 정도이며, 각 ㄱ 형상의 횡방향(a3) 길이부(c11, c13, c15, c17)는 대략 그 절반 정도이다. 그리고 수직벽1부(330)의 높이는 수직벽2부(32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수직벽1a부(331)는, 베이스판2부(200)의 종방향(a2) 타측에 위치하고 또한 베이스판2부(200)의 횡방향(a3) 일측에 위치한다. 이때, 수직벽1a부(331)의 ㄱ 형상 종방향(a2) 길이부(c12)의 단부는 수직벽2부(320)의 횡방향(a3) 좌우 폭 어느 엣지에 근접한다.
수직벽1a부(331)와 대칭된 형상을 취하여 수직벽1b부(332)는, 베이스판2부(200)의 종방향(a2) 타측에 위치하고 또한 베이스판2부(200)의 횡방향(a3) 타측에 위치한다. 이때, 앞서와 마찬가지로, 수직벽1b부(332)의 ㄱ 형상 종방향(a2) 길이부(c14)의 단부는 수직벽2부(320)의 횡방향(a3) 좌우 폭 다른 엣지에 근접하여 자리를 잡는다.
수직벽1a부(331)의 횡방향(a3) 길이부(c11)와 수직벽1b부(332)의 횡방향(a3) 길이부(c13)는 각각 횡방향(a3)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길이를 갖는다. 반면에, 수직벽1c부(333)의 횡방향(a3) 길이부(c15)와 수직벽1d부(334)의 횡방향(a3) 길이부(c17)는 각각 횡방향(a3)의 안쪽으로 향하여 길이를 갖는다.
수직벽1c부(333)는, 베이스판1부(100)의 종방향(a2) 타측에 위치하고 또한 베이스판1부(100)의 횡방향(a3) 일측에 위치한다.
수직벽1c부(333)와 대칭된 형상을 취하여 수직벽1d부(334)는, 베이스판1부(100)의 종방향(a2) 타측에 위치하고 또한 베이스판1부(100)의 횡방향(a3) 타측에 위치한다. 즉, 중심선부(a4)를 중심으로 수직벽1c부(333)와 수직벽1d부(334)는 대칭을 이루어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베이스판1부(100) 타측의 종방향(a2) 엣지 및 횡방향(a3) 엣지를 따라 각 길이부(c15, c16)(c17, c18)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직벽1c부(333)의 횡방향(a3) 길이부(c15)와 수직벽1d부(334)의 횡방향(a3) 길이부(c17) 사이에는 절개된 것처럼 이격된 틈(e11)이 자리한다.
수직체결공부(340)는,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이 천공(d11, d12) 형성된 암나사(341) 형상으로 제공되는, 수직체결공1부(341)와 수직체결공2부(3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직체결공1부(341)는, 베이스판1부(1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베이스판1부(100)의 종방향(a2) 일측에 자리한다. 즉, 수직벽1a부(331)와 수직벽1b부(332)의 위치처럼, 베이스판1부(100)의 일측과 베이스판2부(200)의 타측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직체결공1부(341)는 대략, 수직벽1a부(331)와 수직벽1b부(332) 사이에 자리하게 된다.
수직체결공2부(342)는, 베이스판2부(2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볼트공부(310)와 수직벽2부(320)에 둘러싸인 형태가 되어서, 각 볼트공부(310)와 수직벽2부(320)의 대략 중앙에 자리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브라킷부(br)에서,
베이스판2부(200)는 도어부(20)의 도어프로파일부(fr20)/문틀도어프로파일부(fr21) 및 받침도어프로파일부(fr22)에 접촉하여 체결부(300)가 체결되고, 베이스판1부(100)는 본체부(10)의 본체프로파일부(fr10)/수직본체프로파일부(fr11)에 접촉하여 체결부(300)가 체결된다. 각 프로파일에는 각 체결부(300)와 그대로 대응되게 체결을 위한 형상이 취해진다(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본체부(10)를 결속하기 위해 형성된 체결부(300) 즉, 베이스판2부(200)에 자리하는 수직벽1a부(331)와 수직벽1b부(332); 및 베이스판1부(100)에 자리하는 수직벽1c부(333)와 수직벽1d부(334);의 각 돌출된 형상이 개재될 수 있는 대응된 단면을 갖도록 본체프로파일부(fr10)의 수직본체프로파일부(fr11)의 단면 형태가 형성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형상을 통하여, 수직본체프로파일부(fr11)에 대하여 각 수직벽1부(330){수직벽1a부(331), 수직벽1b부(332), 수직벽1c부(333), 수직벽1d부(334)}이 개재되어 자리잡으면 체결부재(blt)로 볼트공1부(311)를 조여서 고정(결합)을 이루게 한다.
또한 도어부(20)를 결속하기 위해 형성된 체결부(300) 즉, 베이스판2부(200)에 자리하는 수직벽2부(320)의 수직벽2a부(321)와 수직벽2b부(322)의 각 돌출된 형상이 개재될(끼워질) 수 있도록, 도어프로파일부(fr20)의 문틀도어프로파일부(fr21)(받침도어프로파일부(fr22)을 겸하거나 포함함) 형상이 대응되게 취해져야 한다. 도 8의 사진 예시에서, 문틀도어프로파일부(fr21)의 단면 형태는 장방형상의 틀에서 프로파일 일면(f13)의 가운데가 패어 들어가 함몰(f11,. f11`)이 된 형태를 취하며, 함몰(f11,. f11`)이 된 바닥면으로부터 위로(상부로) 수직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f12) 한 쌍이(2개가)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서, 함몰(f11,. f11`)된 공간을 3등분 하여서 맨 가운데(중앙)의 중앙 함몰부(f11), 그 좌우에 각각 좌우 함몰부(f11`)를 갖는다.
여기서, 수직벽2부(320)의 수직벽2a부(321)와 수직벽2b부(322)가 각각 좌우 함몰부(f11`)에 삽입 개재되어서 문틀도어프로파일부(fr21)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으로 움직여서(이동하여) 필요한 곳에 위치를 자리잡으면, 볼트공부(310)의 볼트공2부(312)와 볼트공3부(313)의 4곳을 통하여 체결부재(blt)(볼트, 나사, 리벳 등)로 모두 조여서 고정 체결하게 된다. 이와 함께 수직체결공2부(342)는 중앙 함몰부(f11)에 개재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작용효과로, 볼트공1부(311) 또는 볼트공2부(312) 중에서, 도 5 예시처럼 어느 한 쪽만 체결을 이루어서 본체부(10)와 도어부(20)의 좌우 양단을 체결할 수 있고, 도 6 예시처럼 양 측을 다 체결하여서 도 2 예시의 중간 부분(p11) 체결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하여, 문틀도어프로파일부(fr21)이 받침도어프로파일부(fr22)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본체부(10)와 도어부(20)의 체결(결합)을 도모하면서 동시에, 받침대(g11)를 고정할 수 있는데, 도 7 예시에서, 수직체결공부(340)의 수직체결공1부(341)와 수직체결공2부(342)에 각각 받침대(g11)를 볼트 체결하듯이 고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시스템장 브라킷, 브라킷부(br)는 다용도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베이스판부(a0);
체결부(300);
베이스판2부(200);
베이스판1부(100);
볼트공부(310);
수직벽2부(320);
수직벽1부(330);
수직체결공부(340);
수직체결공1부(341);
수직체결공2부(342);

Claims (1)

  1. 시스템장 브라킷에 있어서,
    종방향(a2) 및 횡방향(a3)를 갖는 평면의 베이스판부(a0); 및 베이스판부(a0)에 형성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고,
    베이스판부(a0)는, 장방형상을 취하는 베이스판2부(200); 및 베이스판2부(200)의 종방향(a2) 일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되 횡방향(a3)으로 더 좁은 폭의 장방형상을 취하는 베이스판1부(100);를 포함하고,
    체결부(300)는 볼트공부(310); 수직벽2부(320); 수직벽1부(330); 및 수직체결공부(340);를 포함하고,
    볼트공부(310)는 수직방향으로 천공 형성되는, 볼트공1부(311); 복수의 볼트공2부(312); 및 복수의 볼트공3부(313);를 포함하고,
    볼트공1부(311)는 베이스판1부(100)의 종방향(a2) 타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볼트공2부(312)는 베이스판2부(200)의 횡방향(a3) 타측에 종방향(a2)으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볼트공3부(313)는 베이스판2부(200)의 횡방향(a3) 일측에 종방향(a2)으로 이격 배치되고,
    중심선부(a4)를 중심으로 볼트공2부(312)와 볼트공3부(313)는 대칭을 이루어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수직벽2부(320)는, 베이스판2부(200)의 일면에서, 횡방향(a3)으로 길이를 갖고,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벽2a부(321); 및 수직벽2b부(322);를 포함하고,
    수직체결공2부(342)를 중심으로 수직벽2a부(321)와 수직벽2b부(322)는 대칭을 이루어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수직벽1부(330)는, 베이스판부(a0)의 일면에서, 횡방향(a3) 및 종방향(a2)으로 길이를 갖는 ㄱ 형상을 취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벽1a부(331); 수직벽1b부(332); 수직벽1c부(333); 및 수직벽1d부(334);를 포함하고,
    수직벽1a부(331)는, 베이스판2부(200)의 종방향(a2) 타측 및 베이스판2부(200)의 횡방향(a3) 일측에 자리하고,
    수직벽1b부(332)는, 베이스판2부(200)의 종방향(a2) 타측 및 베이스판2부(200)의 횡방향(a3) 타측에 자리하고,
    중심선부(a4)를 중심으로 수직벽1a부(331)와 수직벽1b부(332)는 대칭을 이루어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수직벽1c부(333)는, 베이스판1부(100)의 종방향(a2) 타측 및 베이스판1부(100)의 횡방향(a3) 일측에 자리하고,
    수직벽1d부(334)는, 베이스판1부(100)의 종방향(a2) 타측 및 베이스판1부(100)의 횡방향(a3) 타측에 자리하고,
    중심선부(a4)를 중심으로 수직벽1c부(333)와 수직벽1d부(334)는 대칭을 이루어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수직체결공부(340)는,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중앙이 천공 형성되어서, 암나사 형상을 취하는, 수직체결공1부(341); 및 수직체결공2부(342);를 포함하고,
    수직체결공1부(341)는, 베이스판1부(100)의 일면에서, 베이스판1부(100)의 종방향(a2) 일측에 자리하되, 수직벽1a부(331)와 수직벽1b부(332)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체결공2부(342)는, 베이스판2부(200)의 일면에서, 볼트공부(310)와 수직벽2부(320)에 둘러싸여 그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장 브라킷.
KR1020220136039A 2022-10-20 시스템장 브라킷 KR102674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39A KR102674667B1 (ko) 2022-10-20 시스템장 브라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39A KR102674667B1 (ko) 2022-10-20 시스템장 브라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5574A true KR20240055574A (ko) 2024-04-29
KR102674667B1 KR102674667B1 (ko) 2024-06-11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0900A (en) Panel supporting frame assembly
US3398981A (en) Connecting system including clip elements
US3339750A (en) Structural connector
US7735939B2 (en) Stacked cabinet structure with intermediate raceway
US20120167500A1 (en) Upmount overhead brackets for office partition systems
KR102674667B1 (ko) 시스템장 브라킷
US2965428A (en) Domestic appliance
KR102251075B1 (ko)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US5138814A (en) Wall partition units
KR20240055574A (ko) 시스템장 브라킷
JP5002951B2 (ja) 組立式デスク
JP2005087625A (ja)
KR101987725B1 (ko) 시스템 가구
JP6163764B2 (ja) テーブルの配線ダクト装置
US3070417A (en) Cabinet framework and drawer support
JP5917585B2 (ja) 収納ユニット
JP4797605B2 (ja) デスクの脚構造
RU2442519C2 (ru) Стеллажная система
JP2016069914A (ja) 間仕切り装置におけるパネルの接合構造と、それを使用する間仕切り装置
KR102049175B1 (ko)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가변형 조립식 가구
JP5679868B2 (ja) パネル同士の連結構造
KR200324319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지프레임
JP3479621B2 (ja) 自立型間仕切装置における安定支持装置
JPS6345945Y2 (ko)
KR101630263B1 (ko) 선반용 시스템 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