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814B1 -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 Google Patents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814B1
KR101577814B1 KR1020140120877A KR20140120877A KR101577814B1 KR 101577814 B1 KR101577814 B1 KR 101577814B1 KR 1020140120877 A KR1020140120877 A KR 1020140120877A KR 20140120877 A KR20140120877 A KR 20140120877A KR 101577814 B1 KR101577814 B1 KR 10157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bracket
wall surface
fitt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원
정세성
이영석
이부자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영일산업
주식회사 동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영일산업, 주식회사 동성사 filed Critical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814B1/ko
Priority to PCT/KR2014/008529 priority patent/WO2016039495A1/ko
Priority to US15/505,914 priority patent/US2017025824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47B57/4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4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01Display racks with slotted uprights
    • A47F5/103Display shelving racks with the uprights aligned in only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2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keyhole-shaped slots an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2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 F16B12/34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using keyhole-shaped slots an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벽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건축용 마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브래킷끼움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벽면을 가리는 벽면마감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품을 진열하는 선반, 상기 선반을 상기 가이드부재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선반에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고정브래킷, 및 상기 선반에 상기 고정브래킷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래킷결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아트월의 인테리어적인 미감뿐만 아니라, 선반을 맞춤형으로 설치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a art wall available to custom installation of rack}
본 발명은 실내의 벽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건축용 마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단조로운 실내를 탈피하기 위해 가구의 교체, 소품의 설치, 벽면에 벽지나 시트지의 부착 등 다양한 방법의 인테리어가 수행된다.
이러한, 인테리어의 방법 중 가장 많이 수행되는 것은 벽지나 시트지를 벽면에 부착하는 것인데, 벽지나 시트지를 부착할 경우, 재질의 표현의 한계와 평면적인 무늬로 인해 쉽게 질리기 때문에, 최근에는 실내 전체의 벽면 또는 벽면의 일부를 타일, 나무, 석재, 합성수지와 같이 무늬가 아닌 실재 또는 실재와 유사한 형상의 마감재를 부착하는 아트월(art wall)을 많이 시공하고 있다.
최근의 아트월은 단순한 벽면 장식을 넘어 공간의 활용도를 위해 물건을 진열할 수 있는 선반을 설치할 수 있는 아트월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92743호(2008.10.16. 공개)에 "벽면 마감 시스템 및 이의 조립방법"으로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벽면 마감 시스템은 특히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벽면에 접촉하는 결합면을 가지고 상기 벽면에 결합하며, 상기 결합면의 측단에서 벽면의 전면으로 돌출한 후 다시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결합구를 가지는 결합 채널 및, 상하방향으로 상기 결합 채널과 나란한 측면 끝단을 가지는 평면형상으로, 상기 측면끝단의 후면에만 결합하고 상기 측면 끝단의 안쪽으로만 위치하여 상기 결합채널의 돌출결합구와 결합하는 패널 결합구를 가지는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벽면 마감 시스템은 벽에 부착되는 채널에 걸이결합용 결합구가 구비되어 걸이결합용 결합구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선반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벽면 마감 시스템은 단순한 선반을 걸 수만 있을 뿐, 사용자가 직접 기호에 맞도록 맞춤형으로 선반으로 꾸미기 어렵고, 선반이 패널 사이에 지지되어 선반의 지지력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선반의 유동으로 인해 패널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반의 설치가 제한적이어서, 패널들과의 어울림을 갖지 못해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반을 남여노소의 구분없이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하여 다양한 위치에 맞춤형으로 설치할 수 있고, 선반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하여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반의 해체 시에도 미려한 미감을 가질 수 있는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브래킷끼움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벽면을 가리는 벽면마감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품을 진열하는 선반, 상기 선반을 상기 가이드부재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선반에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고정브래킷, 및 상기 선반에 상기 고정브래킷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래킷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브래킷끼움공의 양측에서 벽이 위치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이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동시에 각각의 외측으로는 벽면마감재의 끝단이 지지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브래킷끼움공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끼움공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브래킷끼움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벽면마감재가 각각 안착되는 마감재안착부, 상기 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벽면밀착부, 및 상기 마감재안착부가 상기 벽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면밀착부와 상기 마감재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밀착부는 상기 벽면밀착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휨을 방지하도록 강성을 부여하는 돌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의 사이 거리보다 상기 지지리브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결합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선반에 끼워지는 선반끼움부, 및 상기 선반의 양측에는 끼움부재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안착홈에 고정되어 상기 선반끼움부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브래킷끼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끼움부재는 상기 선반끼움부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슬라이딩공, 및 상기 슬라이딩공에서 상기 선반끼움부가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딩공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탄성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끼움부는 상기 선반끼움부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로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공은 일단은 상기 헤드부가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선반끼움부의 둘레의 크기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선반장, 또는 물건을 매다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반과 고정브래킷이 브래킷결합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남여노소의 구분없이 누구라도 손쉽게 선반을 연결 또는 분리하여 선반을 맞춤형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에 지지리브가 구비되어 고정브래킷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고정브래킷이 고정되는 브래킷끼움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선반을 맞춤형으로 설치하여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반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벽면마감재에 따라 미려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의 가이드부재에 선반이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의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의 고정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하나의 선반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브래킷이고, (b)는 선반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브래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의 브래킷끼움부재가 선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의 브래킷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의 브래킷결합부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복수 개의 선반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의 고정브래킷과 선반을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a)는 결합하기 전 (b)는 결합한 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100)은 가이드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이드부재(110)는 벽면마감재(120) 및 선반(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재(110)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110)가 벽면(W)에 세워진 형태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벽면(W)는 콘크리트 벽면일 수 있고, 콘크리트 벽면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 콘크리트 벽면에 석고보드 또는 합판 등의 마감재를 취부한 상태에서의 마감재의 외면일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10)는 브래킷끼움공(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브래킷끼움공(111)은 하기에 설명될 고정브래킷(14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끼움공(111)은 가이드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10)는 브래킷끼움공(111)을 중심으로 양측이 서로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10)는 마감재안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마감재안착부(112)는 벽면(W)을 마감하는 벽면마감재(120)가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마감재안착부(112)는 브래킷끼움공(111)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각 마감재안착부(112)에는 벽면마감재(120)의 양측단 부분이 마감재안착부(112)의 외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10)는 벽면밀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벽면밀착부(113)는 벽면(W)에 밀착되어 가이드부재(110)를 벽면(W)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벽면밀착부(113)는 브래킷끼움공(111)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 벽면밀착부(113)에는 가이드부재(110)를 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끼워지는 고정공(113a)이 가이드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벽면밀착부(113)에는 벽면(W)에 세워진 형태로 결합된 가이드부재(110)에 선반(130)이 결합될 경우, 선반(130)의 무게에 의해 선반(130)이 위치된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벽면밀착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강성을 부여하는 돌출리브(1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리브(115)는 각 벽면밀착부(113)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10)는 연결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부(114)는 벽면밀착부(113)가 벽면(W)에 밀착되고, 마감재안착부(112)는 벽면(W)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각 벽면밀착부(113)와 마감재안착부(11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14)는 각 마감재안착부(112)의 끝단에서 벽면(W)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 벽면밀착부(113)가 연결부(114)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연결부(114)의 끝단에 벽면밀착부(113)의 끝단이 연결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10)는 연결부(114)에 의해 마감재안착부(112)가 벽면(W)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부재(110)에 강성이 부여되어 선반(1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연결부(114)에 의해 마감재안착부(112)가 벽면(W)에서 이격되는 거리는 벽면마감재(120)를 접착제(125)로 부착시킬 수 있는 거리 내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10)는 지지리브(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리브(116)는 브래킷끼움공(111)에 끼워진 고정브래킷(140)의 양측 면을 지지하는 동시에 마감재안착부(112)에 안착된 벽면(W) 마감재의 끝단면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리브(116)는 브래킷끼움공(111)의 가로방향 양측에서 벽면(W)이 위치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지지리브(116)의 돌출되는 길이(L2)는 브래킷끼움공(111)의 가로방향의 길이(L1)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마감재안착부(112)에 안착된 벽면마감재(120)의 두께보다는 같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고).
여기서, 지지리브(116)를 브래킷끼움공(111)의 가로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할 경우, 지지리브(116)의 그림자에 의해 브래킷끼움공(111)이 가려지기 때문에 아트월(100)을 외부에서 바라볼 때, 브래킷끼움공(111)이 잘 보이지 않아 깔끔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리브(116)의 사이 간격은 고정브래킷(140)이 끼워지는 것을 감안하여 대략 5mm 정도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줄눈 3mm의 크기와 큰 차이가 없어 선반(130)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미려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여기서, 줄눈은 벽면마감재(120)와 인접한 벽면마감재(120)의 사이 간격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부재(110)는 아트월(100)을 설치할 벽면(W)에 벽면밀착부(113)를 벽면(W)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 예컨대, 볼트, 못, 칼블럭 등으로 고정공(113a)을 통해 설치하는 형태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100)은 벽면마감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벽면마감재(120)는 실내에 미려한 미감을 부여하기 위해 벽면(W)을 가릴 수 있다.
한편, 벽면마감재(120)는 벽에 설치된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11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부재(110)와 인접한 가이드부재(110)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벽면마감재(120)의 양단을 각 가이드부재(110)의 가이드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10)의 가로방향의 길이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부재(110)와 인접한 가이드부재(110)에 각각 구비된 지지리브(116) 중 서로 마주하는 지지리브(116)의 사이 거리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벽면마감재(120)의 서로 이격된 가이드부재(110)에 서로 마주하는 지지리브(116)에 벽면마감재(120)의 양단이 지지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벽면마감재(120)는 판의 형상으로 석재, 타일, 나무, 금속,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벽면마감재(120)의 외면에는 실내 인테리어에 따라 무늬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공지된 다양한 건축용 마감재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벽면마감재(120)는 고급스러운 미감을 부여하기 위해 석재의 한 종류인 대리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리석과 같은 미감을 느끼기 위해 대리석과는 다른 재료인 타일에 대리석 무늬를 형성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벽면마감재(120)는 가이드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벽면마감재(120)가 차례로 배열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벽면마감재(120)는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로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벽면마감재(120)는 벽면(W)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110) 전체를 마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벽면마감재(120)는 마감재안착부(112)에 안착되어 벽면(W)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벽면(W)과 벽면마감재(120)의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벽면마감재(120)가 타일일 경우, 접착제(125)는 타일본드가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100)은 선반(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선반(130)은 벽면(W) 마감재의 전면에 위치되어 장식품, 책, 화분 등 다양한 물건들을 진열 또는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선반(130)은 판 형태, 또는 격자 형태로 형성되거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된 선반장(130')일 수도 있으며, 얇은 TV를 메달 수 있는 브래킷과 같이 매달거나 진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브래킷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선반(130)은 하나의 벽면(W)에 여러가지 종류의 선반(130)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100)은 고정브래킷(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브래킷(140)은 선반(130)을 가이드부재(11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고정브래킷(140)은 선반(130)의 양측 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반(130)을 가이드부재(110)에 결합할 수 있으며, 고정브래킷(140)은 선반(130)의 크기와 수납되는 물건의 무게에 따라 선반(130)의 상하로 복수 개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브래킷(140)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브래킷(140)은 끼움돌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끼움돌기(141)는 고정브래킷(140)의 끝단에 형성되어 가이드부재(110)의 브래킷끼움공(111)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브래킷(140)을 가이드부재(1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끼움돌기(141)는 "ㄱ"자 형태의 형성되어 브래킷끼움공(111)에 끼워져 걸쳐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끼움돌기(14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브래킷끼움공(111)에 동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고).
그리고, 선반(130)에 고정브래킷(140)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브래킷(140)과 선반(13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선반(130)의 모서리에 의해 상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서리 부분을 가리는 보호캡(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100)은 브래킷결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브래킷결합부(170)는 고정브래킷(140)을 선반(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결합부(170)는 선반끼움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선반끼움부(171)는 고정브래킷(140)의 측면에서 고정브래킷(140)과 직교되는 방향의 외측으로 복수 개가 돌출되어 선반(130)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브래킷(140)에 선반(130)을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브래킷(140)을 중심으로 양측에 선반(130)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선반끼움부(171)는 고정브래킷(140)의 양측 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7의 (b) 참고).
그리고, 선반끼움부(171)는 고정브래킷(140)의 양측 면에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끝단에는 브래킷결합부(170)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를 갖는 헤드부(171a)가 구비될 수 있으며, 헤드부(171a)가 고정브래킷(1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고정브래킷(140)과 직교된 상태에서 고정브래킷(14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선반끼움부(171)는 고정브래킷(140)에 용접되거나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브래킷결합부(170)가 고정브래킷(140)의 양측에 배치될 경우에는 고정브래킷(140)의 양측에 브래킷결합부(170)가 위치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이 일측에 위치된 브래킷결합부(170)를 관통하여 타측에 위치된 브래킷결합부(170)에 체결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결합부(170)는 브래킷끼움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브래킷끼움부재(180)는 선반(130)에 고정되어 고정브래킷(140)에 구비된 선반끼움부(171)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브래킷끼움부재(180)는 선반끼움부(171)가 결합될 선반(130)의 부분에 브래킷끼움부재(180)가 안착되는 끼움부재안착홈(131)이 형성되고, 이 끼움부재안착홈(131)에 브래킷끼움부재(180)가 안착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선반(13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끼움부재(180)는 고정브래킷(140)에 선반(130)이 벽면마감재(12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선반끼움부(171)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장공 형상의 슬라이딩공(18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공(181)에는 탄성돌출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탄성돌출부(183)는 선반끼움부(171)가 슬라이딩공(18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여 타단 부분에서 고정된다고 가정할 때, 슬라이딩공(181)의 타단 부분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슬라이딩공(18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선반끼움부(171)가 타단 부분에 위치 시 선반끼움부(17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공(181)에 선반끼움부(171)가 끼워져 타단으로 이동 시 타단에 위치될 때쯤에 탄성돌출부(183)를 지나는데, 탄성돌출부(183)는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선반끼움부(171)가 지날 때, 사이 간격이 벌어지고, 탄성돌출부(183)를 지나면 다시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공(181)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타단으로 진입한 선반끼움부(17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공(18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공(181)의 일단은 헤드부(171a)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타단은 헤드부(171a)보다 작은 둘레를 갖는 선반끼움부(171)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브래킷끼움부재(180)는 헤드가이드홈(18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헤드가이드홈(185)은 슬라이딩공(181)이 형성된 브래킷끼움부재(180)의 측면(선반끼움부(171)가 슬라이딩공(181)의 일단으로 삽입되는 반대방향의 측면)에 형성되어 헤드부(171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슬라이딩공(181)의 타단 위치 시 헤드부(171a)에 의해 슬라이딩공(181)에서 선반끼움부(17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딩공(181)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선반끼움부(171)가 슬라이딩공(181)의 타단에 위치될 경우, 헤드부(171a)가 헤드가이드홈(185)에 걸쳐져 삽입된 반대방향으로는 빠져나오지 못해 슬라이딩공(181)에서 선반끼움부(17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100)은 벽면(W)에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110)를 세로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벽면(W)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석고보드 또는 하판 등의 마감재를 설치한 후, 그 외면에 가이드부재(1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벽면(W)을 가리기 위해 벽면마감재(120)를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110) 중 어느 한 가이드부재(110)와 인접한 가이드부재(110)의 사이에 설치한다.
이때, 벽면마감재(120)의 뒷면에 벽면마감재(120)를 벽면(W)에 부착할 접착제(125)를 바른 후, 벽면마감재(120)의 양단이 각 가이드부재(110)의 마감재안착부(112)에 안착되도록 안착시켜 부착하는 형태로 벽면(W)을 마감한다.
그리고, 선반(130)에 고정브래킷(14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결합한 후, 선반(130)을 고정할 위치를 선정하고, 선반(130)을 고정할 위치와 대응되는 브래킷끼움공(111)에 고정브래킷(140)의 끼움돌기(141)가 관통하여 걸쳐질 수 있도록 결합하는 형태로 아트월(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여기서, 두 개의 선반(130)을 연결할 경우, 고정브래킷(140)의 양측에 선반끼움부(171)가 구비된 고정브래킷(140)의 양측에 각 선반(130)을 결합할 수 있다(도 7의 (b) 및 도 10 참고).
한편, 선반(130)을 고정브래킷(140)에 결합할 때에는 선반(130)에 결합된 브래킷끼움부재(180)의 슬라이딩공(181)에 고정브래킷(140)의 선반끼움부(171)를 끼운 상태에서 선반 또는 고정브래킷(140)을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딩공(181)은 결합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고, 탄성돌출부(183)가 구비되어 선반끼움부(171)가 슬라이딩공(181)의 타단에 위치되면, 탄성돌출부(183)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헤드부(171a)가 헤드가이드홈(185)에 걸쳐져 선반끼움부(171)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선반(130)을 변경하거나, 위치를 변경할 때에는 가이드부재(110)에서 선반(130)와 함께 고정브래킷(140)을 분리한 후, 선반(130)에서 고정브래킷(140)을 결합하였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분리하고, 다른 선반(130)에 고정브래킷(140)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결합시킨 상태에서 새로 설치할 가이드부재(110)의 위치에 고정브래킷(140)을 고정시키는 형태로 선반(130)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100)은 벽면마감재(120)에 의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130)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다양한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적인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반(130)에 고정브래킷(140)의 탈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브래킷(140)을 가이드부재(110)에 끼우는 형태로 결합하여 남녀노소의 구분없이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선반(130)을 구성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10)에 지지리브(116)가 설치되어 선반의 지지력을 견고히 하는 동시에, 무수히 많은 브래킷끼움공(111)이 쉽게 눈에 띄지 않아 깔끔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선반(130)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벽면마감재(120)에 의해 인테리어적인 미려한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아트월 110: 가이드부재
111: 브래킷끼움공 112: 마감재안착부
113: 벽면밀착부 114: 연결부
115: 돌출리브 116: 지지리브
120: 벽면마감재 125: 접착제
130,130': 선반 131: 끼움부재안착홈
140: 고정브래킷 141: 끼움돌기
170: 브래킷결합부 171: 선반끼움부
171a: 헤드부 180: 브래킷끼움부재
181: 슬라이딩공 183: 탄성돌출부
185: 헤드가이드홈 W: 벽면

Claims (9)

  1. 벽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브래킷끼움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벽면을 가리는 벽면마감재,
    상기 가이드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품이 진열되는 선반,
    상기 선반을 상기 가이드부재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선반에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고정브래킷, 및
    상기 선반에 상기 고정브래킷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래킷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브래킷끼움공의 양측에서 벽이 위치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이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동시에 각각의 외측으로는 벽면마감재의 끝단이 지지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브래킷끼움공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브래킷끼움공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브래킷끼움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벽면마감재가 각각 안착되는 마감재안착부, 상기 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벽면밀착부, 및 상기 마감재안착부가 상기 벽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벽면밀착부와 상기 마감재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리브의 사이 거리보다 상기 지지리브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결합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선반에 끼워지는 선반끼움부, 및 상기 선반의 양측에는 끼움부재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안착홈에 고정되어 상기 선반끼움부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브래킷끼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끼움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선반끼움부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슬라이딩공, 및 상기 슬라이딩공에서 상기 선반끼움부가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슬라이딩공의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탄성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끼움부는 상기 선반끼움부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로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공은 일단은 상기 헤드부가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선반끼움부의 둘레의 크기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밀착부는
    상기 벽면밀착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휨을 방지하도록 강성을 부여하는 돌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선반장, 또는 물건을 매다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KR1020140120877A 2014-09-12 2014-09-12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KR10157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877A KR101577814B1 (ko) 2014-09-12 2014-09-12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PCT/KR2014/008529 WO2016039495A1 (ko) 2014-09-12 2014-09-12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US15/505,914 US20170258249A1 (en) 2014-09-12 2014-09-12 Art wall for customized installation of shel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877A KR101577814B1 (ko) 2014-09-12 2014-09-12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814B1 true KR101577814B1 (ko) 2015-12-15

Family

ID=5502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877A KR101577814B1 (ko) 2014-09-12 2014-09-12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258249A1 (ko)
KR (1) KR101577814B1 (ko)
WO (1) WO2016039495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69Y1 (ko) * 2017-06-15 2017-11-14 이용백 선반 조립체
KR20190118038A (ko) * 2018-04-09 2019-10-17 정회욱 실내 벽체에 대한 마감부재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실내 벽체 마감시스템
KR102038006B1 (ko) * 2018-11-28 2019-10-29 정회욱 마감시트 고정장치
KR102101038B1 (ko) * 2018-10-31 2020-04-14 주식회사 한설그린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
KR20200059654A (ko) * 2018-11-21 2020-05-29 장주순 멀티형 디피월
KR20210023202A (ko) *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동성사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20210097913A (ko) * 2020-01-31 2021-08-10 (주)에스엔디엔지 인출 구조를 갖춘 벽부착형 찬넬식 선반
KR20210146057A (ko) *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동성사 수직판재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102446254B1 (ko) * 2022-05-12 2022-09-22 주식회사 쿠스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KR20230001680U (ko) 2022-02-11 2023-08-18 최진산 맞춤형 설치가능한 화장대 선반
WO2023219438A1 (ko) * 2022-05-12 2023-11-16 주식회사 쿠스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4910B (zh) * 2017-01-13 2021-09-17 达科电子股份有限公司 横幅显示器
EP3420857A1 (de) * 2017-06-30 2019-01-02 Rickard Nilsson Regalstütze, regalstützenanordnung, regalsystem und aufstellraum für ein regalsystem
CN107386606A (zh) * 2017-08-14 2017-11-24 东莞市众金家具有限公司 一种多功能饰面板的安装方法
DE202018103454U1 (de) * 2018-06-19 2018-06-26 SieMatic Möbelwerke GmbH & Co. KG Möbelsystem
WO2020194553A1 (ja) * 2019-03-26 2020-10-01 Sus株式会社
CN112006432A (zh) * 2019-05-29 2020-12-01 3M创新有限公司 置物单元及包括所述置物单元的置物架
US11555647B2 (en) * 2020-01-27 2023-01-17 Whirlpool Corporation Rear bracket for shelf assembly
CN111839036A (zh) * 2020-07-09 2020-10-30 安徽尚佰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书柜式墙面背景
USD999575S1 (en) * 2020-07-15 2023-09-26 Target Brands, Inc. Display fixture
KR102345056B1 (ko) * 2021-05-13 2021-12-29 노원훈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모듈식 벽체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055Y1 (ko) * 2003-02-12 2003-05-01 동화기업 주식회사 내장 벽면 시공용 세로형 찬넬
KR100574785B1 (ko) * 2003-10-28 2006-04-27 조태원 개량된 조립식 칸막이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1805A (en) * 1956-02-29 1961-02-14 Martin S Weiss Modular cabinet structure and components used therein
US3601256A (en) * 1970-02-11 1971-08-24 Mead Corp Display stand
US3695452A (en) * 1970-09-17 1972-10-03 Albert A Surman Theft-deterrent merchandising display apparatus
US3871144A (en) * 1973-09-28 1975-03-18 Form Space Corp Modular environment structuring apparatus
US4008873A (en) * 1976-01-29 1977-02-22 Emhart Industries, Inc. Angularly adjustable shelf bracket
US4048768A (en) * 1976-09-30 1977-09-20 Harter Corporation Device for lockably securing appurtenances to a decorative wall
CA1043298A (en) * 1976-11-16 1978-11-28 J. A. Wilson Display Limited Display structure
US5592886A (en) * 1994-01-31 1997-01-14 Amco Corporation Adjustable wall-mounted system for shelves
US5641081A (en) * 1994-05-25 1997-06-24 Merl; Milton J. Product display system
US5472103A (en) * 1994-05-25 1995-12-05 Merl; Milton J. Segmented shelving construction
US6199706B1 (en) * 1995-11-26 2001-03-13 Thomas M. Shea Merchandising display structure
US6659295B1 (en) * 1999-03-26 2003-12-09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djustable shelving/display system
US6786017B2 (en) * 2001-05-07 2004-09-07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odular room system and method
US20030085188A1 (en) * 2001-11-07 2003-05-08 Lynk, Inc. Hanging storage unit with shelves and hooks
JP4140966B2 (ja) * 2003-11-21 2008-08-27 サンライズ金属工業株式会社 棚受けなどの取付用壁面構造
US7121104B2 (en) * 2004-09-23 2006-10-17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Adjustable shelf system for refrigerated case
KR200406062Y1 (ko) * 2005-10-14 2006-01-20 (주) 현대아트모아 일체형 선반날개
US20070110511A1 (en) * 2005-11-14 2007-05-17 Protrend Co., Ltd. Coupling mechanism for connecting board-type shelf to vertical post of a sectional rack
KR20080092743A (ko) * 2007-04-13 2008-10-16 이순영 벽면 마감 시스템 및 이의 조립방법
US20080297015A1 (en) * 2007-05-30 2008-12-04 Steelcase Inc. Storage unit back stop and method
US8038021B2 (en) * 2009-04-03 2011-10-18 Protrend Co., Ltd Sectional rack
KR20100010096U (ko) * 2009-04-07 2010-10-15 대주기업 주식회사 진열대 선반의 체결장치
US8359809B1 (en) * 2009-05-29 2013-01-29 Scott Ericks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furbishing a work station
US9226577B2 (en) * 2012-07-26 2016-01-05 Prosteel Security Products Inc. Modular safe interior
CH707120A2 (de) * 2012-10-23 2014-04-30 Vitra Patente Ag Bausatz aus Wandelementen und zwischen solchen einzufügenden Verbindern zur Errichtung von Raumteilern.
US8832982B1 (en) * 2013-05-30 2014-09-16 Target Brands, Inc. Retail wall panel system
US10064501B2 (en) * 2013-12-23 2018-09-04 Walmart Apollo, Llc Modular shelf assembly for a cosmetic fixture system
US10278523B2 (en) * 2016-01-20 2019-05-07 Nissan Ringel Shelf-lit shelving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055Y1 (ko) * 2003-02-12 2003-05-01 동화기업 주식회사 내장 벽면 시공용 세로형 찬넬
KR100574785B1 (ko) * 2003-10-28 2006-04-27 조태원 개량된 조립식 칸막이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69Y1 (ko) * 2017-06-15 2017-11-14 이용백 선반 조립체
KR20190118038A (ko) * 2018-04-09 2019-10-17 정회욱 실내 벽체에 대한 마감부재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실내 벽체 마감시스템
KR102211815B1 (ko) * 2018-04-09 2021-02-04 정회욱 실내 벽체에 대한 마감부재 시공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실내 벽체 마감시스템
KR102101038B1 (ko) * 2018-10-31 2020-04-14 주식회사 한설그린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
KR20200059654A (ko) * 2018-11-21 2020-05-29 장주순 멀티형 디피월
KR102218056B1 (ko) 2018-11-21 2021-02-18 장주순 멀티형 디피월
KR102038006B1 (ko) * 2018-11-28 2019-10-29 정회욱 마감시트 고정장치
WO2020111694A1 (ko) * 2018-11-28 2020-06-04 정회욱 마감시트 고정장치
KR20210023202A (ko) * 2019-08-22 2021-03-04 주식회사 동성사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102251075B1 (ko) 2019-08-22 2021-05-12 주식회사 동성사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20210097913A (ko) * 2020-01-31 2021-08-10 (주)에스엔디엔지 인출 구조를 갖춘 벽부착형 찬넬식 선반
KR102362958B1 (ko) * 2020-01-31 2022-02-15 (주)에스엔디엔지 인출 구조를 갖춘 벽부착형 찬넬식 선반
KR20210146057A (ko) *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동성사 수직판재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102336360B1 (ko) 2020-05-26 2021-12-08 주식회사 동성사 수직판재를 갖는 시스템 가구
KR20230001680U (ko) 2022-02-11 2023-08-18 최진산 맞춤형 설치가능한 화장대 선반
KR102446254B1 (ko) * 2022-05-12 2022-09-22 주식회사 쿠스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WO2023219438A1 (ko) * 2022-05-12 2023-11-16 주식회사 쿠스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58249A1 (en) 2017-09-14
WO2016039495A1 (ko)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814B1 (ko)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US20070241071A1 (en) Modular magnetic fixture system
US20100276382A1 (en) Modular magnetic fixture system
KR101961599B1 (ko) 가구 도어틀
JP2021510576A (ja) 取り付け手段
US20080087619A1 (en) Space saving hat and purse storage device
KR20070028188A (ko) 냉장고용 도어핸들
WO2021043134A1 (zh) 冰箱及其瓶座
US20140113103A1 (en) Ventilated shelf cover
US20070119804A1 (en) Modular magnetic fixture system
US20160045027A1 (en) Flip core door assembly
USD549468S1 (en) Wire distribution panels for free-standing furniture
ITMC20070044A1 (it) Mobile pensile per cucine componibili.
CN214531679U (zh) 一种挂持式多功能护墙收纳装置
USD556697S1 (en) Display panel
KR100979280B1 (ko) 선반 높이 조절 구조
KR102130053B1 (ko) 확장이 편리한 다용도 진열대
KR200475790Y1 (ko) 우드프레임이 구비된 강화유리 선반
KR200451430Y1 (ko) 욕실 벽면용 행거
KR200374472Y1 (ko) 주방가구용 도어
JP3205610U (ja) 物品懸架用有孔ボー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物品取付構造
KR200422684Y1 (ko) 장롱용 하부 장식 마감부재
KR200423421Y1 (ko) 원형의 철판 플레이트를 이용한 와인렉
US20060113264A1 (en) Wall "Flush Mount" quilt rack
WO2005117674A1 (en) Towel 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