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038B1 -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038B1
KR102101038B1 KR1020180131383A KR20180131383A KR102101038B1 KR 102101038 B1 KR102101038 B1 KR 102101038B1 KR 1020180131383 A KR1020180131383 A KR 1020180131383A KR 20180131383 A KR20180131383 A KR 20180131383A KR 102101038 B1 KR102101038 B1 KR 102101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all
wall recording
vegeta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강문석
송규성
이병욱
박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설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to KR1020180131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녹화 구조물에 대해서 식물의 생장에 관련된 환경 요인을 감지하는 환경요인감지부; 상기 환경요인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감지값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신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수집/제어부; 상기 데이터수집/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정해진 규격으로 매핑하는 데이터서버; 상기 데이터서버에 의해 매핑된 데이터와 식생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식생에 필요한 신호를 상기 데이터수집/제어부로 출력하고, 인증된 단말기에 통신으로 상기 환경요인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 요인을 제공하는 유지관리모듈; 및 상기 데이터수집/제어부가 상기 유지관리모듈의 신호를 수신받아 이에 상응하도록 제공하는 제어신호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동작하는 IoT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요소를 조절하는 생장요소조절부;를 포함하도록 한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IoT 기술을 활용하여, 벽면녹화에 최적화된 유지 및 관리를 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공 및 식생이 용이하면서도 유지 및 관리가 뛰어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Wall greening maintenance system using IoT technology}
본 발명은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녹화에 최적화된 유지 및 관리를 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는 점점 건축물이 과밀해짐에 따라서 녹지지대가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시의 불투수 포장면 증대로 인한 증발산량 감소로 도시 열섬현상이 발생하고, 미세먼지 증가 및 쾌적한 환경 저하로 인한 불쾌감 증대 등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건축물의 옥상, 베란다 등의 바닥, 실내, 외벽, 칸막이 등의 벽체에 녹지를 조성하는 공법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른 건축물 녹화구조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녹지에서 배출된 물이 건축물로 침투하지 않아야 하며, 공급수의 급수 및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 벽면 녹화 시스템에 대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1783호의 "벽면 녹화 시스템"은 식생에 필요한 토양 및 양분을 제공하는 식생기반재를 외피로 둘러싼 식생블럭과, 상기 식생블럭을 내부에 수용하는 골조프레임과, 상기 골조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식생블럭의 외부에 노출되는 면을 둘러싸 외부종자의 유입 및 발아를 방지하는 커버시트부를 포함하는 식생블럭조립체; 벽면에 설치되며, 다수의 상기 식생블럭조립체와 결합되어 식생블럭조립체가 벽면에 간편하게 설치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프레임조립체;를 포함한다.
한편, 식물 생장 환경의 제어를 통해서, 식물의 재배를 가능하도록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885042호의 "IoT 기반의 농작물 재배정보 제공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가이드라인을 따라서 움직이면서 비닐하우스 내의 농작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농작물 영상을 제공하는 복수대의 카메라들; 및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농작물 영상들을 제공받아 이전에 촬영된 농작물 영상과 비교하여 농작물 잎사귀의 개수가 이전 농작물의 잎사귀 개수보다 적어지면 해당 구역에 대해서만 촬영간격을 짧게 하여 해당 구역의 농작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농작물 영상을 제공받아 분석하고, 이상상황이 발생되고 있는 중으로 판단되면 비닐하우스 운영자 단말기로 이상상황 발생 알림정보 및 이상상황 발생의 원인, 사후대책 정보를 생성시켜 제공하는 농작물 관리지원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농작물 관리지원 서버는, 미리 설정된 시점에 촬영된 농작물 촬영영상들을 촬영시점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는 농작물 촬영영상 DB와, 농작물 촬영영상들 중 농작물 재배에 이상이 발생한 이상영역정보 및 해당 이상영역의 농작물 촬영 영상만 추출하여 저장하고 있는 이상영역정보 DB와, 농작물 재배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재배정보 DB와, 농작물 수확예측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수확예측정보 DB와, 운영자에 의해 설정된 농작물 촬영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들을 이동시켜 촬영지점으로 이동시킨 후 해당 촬영지점에서 농작물을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운영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농작물 촬영영상 요청부와, 상기 농작물 촬영영상 요청부를 통해 카메라에서 촬영한 농작물 촬영영상을 제공받아 해당 식별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농작물 촬영영상 DB에 저장시키는 농작물 촬영영상 관리부와, 상기 농작물 촬영영상 관리부를 통해 관리되고 있는 농작물 촬영영상을 현재시점의 농작물 영상과 바로 이전에 촬영된 농작물 영상을 비교하여 이상상황이 발생한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생성시켜 이상 영역 정보 DB에 저장시켜 관리하는 한편 운영자 단말기로 이상영역 생성 알람정보를 송출하는 농작물 모니터링부와, 상기 농작물 모니터링부에 의해 추출된 이상영역의 농작물에 대한 재배정보를 제공하는 재배정보 제공부와, 상기 농작물 촬영영상 관리부를 통해 촬영된 농작물 영상을 비롯하여 농작물 모니터링부를 통해 분석된 이상영역 발생정보를 기반으로 농산물 수확량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촬영농작물 수확 예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농작물 모니터링부는, 촬영된 농작물의 잎사귀 영상을 분석할 때 색상, 크기를 기준값들과 비교하여 농작물의 성장이상 유무를 판단하며, 상기 농작물 모니터링부는, 비닐하우스 내에서 이상상황이 발생하고 이상상황이 제거되지 않으면 이상상황 발생영역에서 일정 반경을 확장시킨 후 확장된 영역의 농산물을 촬영하여 재배하고 있는 농산물을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농작물 촬영영상 요청부를 제어하며, 상기 농작물 모니터링부는 카메라로 촬영된 농작물 촬영영상을 통해 재배되고 있는 농작물에 이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카메라의 줌인 기능을 실행시켜 이상이 발생된 농작물들을 근접 촬영하여 제공하고, 상기 농작물 촬영영상 요청부는 상기 농작물 모니터링부의 요청에 응하여 해당 구역의 카메라들의 줌인 기능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농작물 관리지원 서버는, 이전 농산물 촬영영상과 현재 농산물 촬영영상을 비교하여 촬영영상이 흐리거나 촬영영상이 단색으로 모두 처리된 경우 해당 카메라에 이상이 생겼다고 판단하고 운영자 단말기로 해당 카메라정보에 고장알람정보를 매칭시켜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상기한 벽면녹화 시스템에 능동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적용하는데 한계를 가지는데, 이를 개선시킴으로써, 벽면녹화 시스템에 적용하여, 벽면녹화를 효율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면녹화에 최적화된 유지 및 관리를 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시공 및 식생이 용이하면서도 유지 및 관리가 뛰어난 벽면녹화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벽면녹화 구조물에 대해서 식물의 생장에 관련된 환경 요인을 감지하는 환경요인감지부; 상기 환경요인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감지값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신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수집/제어부; 상기 데이터수집/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정해진 규격으로 매핑하는 데이터서버; 상기 데이터서버에 의해 매핑된 데이터와 식생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식생에 필요한 신호를 상기 데이터수집/제어부로 출력하고, 인증된 단말기에 통신으로 상기 환경요인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 요인을 제공하는 유지관리모듈; 및 상기 데이터수집/제어부가 상기 유지관리모듈의 신호를 수신받아 이에 상응하도록 제공하는 제어신호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동작하는 IoT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요소를 조절하는 생장요소조절부;를 포함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환경요인감지부는,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에서 식생 장소를 제공하는 식생포트나 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벽면녹화 위치별 토양수분량을 수집하도록 하는 토양수분센서;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명이나 태양광을 측정하는 조도센서;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이 설치된 장소의 바람을 측정하는 풍속센서;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에서 식생에 사용되는 토양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EC(Electrical Conductivity) 센서; 및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의 주변에 대한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장요소조절부는,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에 재배되는 식물에 관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에 재배되는 식물에 광을 제공하고, 상기 광의 밝기가 조절되는 조명장치;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이 설치된 장소에 환풍을 위해 설치되고, 환풍팬의 속도가 조절되는 환풍기;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에 재배되는 식물에 양액을 공급하되, 상기 양액의 공급량이 조절되는 양액공급기; 및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이 설치된 장소에 대한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을 위해 난방 온도가 조절되는 난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관리모듈로부터 상기 환경요인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식물의 생장에 관련된 환경 요인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유지관리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생장요소조절부에 의한 상기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요소의 조절값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유지관리모듈에 의한 제어와 상기 생장요소조절부의 직접적인 제어를 각각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유지관리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벽면에 설치되어 식물이 식재되도록 하는 장소를 제공하는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은, 설치면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에 수직되게 다수로 설치되되, 각각이 평면상에서 곡률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설치됨으로써, 곡률을 이루는 녹화면을 제공하는 찬넬; 상기 찬넬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끼워져서, 한 쌍씩 수평되게 서로 마주 보도록 상기 녹화면에 대하여 상하 및 좌우로 다수로 마련되는 조인트플레이트;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조인트플레이트 각각이 양단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녹화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조인트바; 및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상기 조인트바 각각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걸림장착부가 대각선 방향으로 일측 상단과 타측 하단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상기 녹화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하 및 좌우로 다수로 배열되고, 내측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바는, 양단에 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플레이트는, 상기 조인트바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일단에 제 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바의 목부가 상기 제 1 홀로부터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조인트바의 분리를 억제하는 제 2 홀이 상기 제 1 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타단이 양측으로 분기되는 끝단에 마련되는 제 1 걸림부가 상기 찬넬의 걸림홀에 각각 걸리며, 2개가 겹쳐져서 상기 찬넬에 걸리도록 장착된 상태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양측으로 이격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찬넬 각각에 고정되어 대향하는 한 쌍이 일단으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감소하도록 곡률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IoT 기술을 활용하여, 벽면녹화에 최적화된 유지 및 관리를 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공 및 식생이 용이하면서도 유지 및 관리가 뛰어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설치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식생포트 배열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식생포트 배열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식생포트 배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조인트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조인트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조인트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식생포트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제 1 컨테이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제 1 컨테이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제 2 컨테이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제 2 컨테이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마운트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마운트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마운트와이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의 마운트와이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10)은 벽면녹화 구조물(100)에 대해서 식물의 생장에 관련된 환경 요인을 감지하는 환경요인감지부(310)와, 환경요인감지부(310)로부터 감지되는 감지값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신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수집/제어부(320)와, 데이터수집/제어부(3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정해진 규격으로 매핑하는 데이터서버(330)와, 데이터서버(330)에 의해 매핑된 데이터와 식생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식생에 필요한 신호를 데이터수집/제어부(320)로 출력하고, 인증된 단말기(360)에 통신으로 환경요인감지부(310)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 요인을 제공하는 유지관리모듈(340)과, 데이터수집/제어부(320)가 유지관리모듈(340)의 신호를 수신받아 이에 상응하도록 제공하는 제어신호 또는 단말기(36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동작하는 IoT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요소를 조절하는 생장요소조절부(3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벽면에 설치되어 식물이 식재되도록 하는 장소를 제공하는 벽면녹화 구조물(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경요인감지부(310)는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토양수분센서(311), 조도센서(312), 풍속센서(313), EC(Electrical Conductivity) 센서(314) 그리고, 온습도센서(315)를 포함할 수 있다.
토양수분센서(311)는 벽면녹화 구조물(10)에서 식생 장소를 제공하는 식생포트나 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벽면녹화 위치별 토양수분량을 수집하도록 한다. 토양수분센서(311)는 예컨대, 벽면녹화 구조물(100)의 설치면적 및 대상지에 따라 그 수량 및 위치를 설계하게 되고, 기본적으로 벽면녹화 구조물(100)에서 최상단, 중간, 최하부 3곳으로 구분하여 최좌측, 중앙, 최우측으로 총 9개가 설치될 수 있다.
조도센서(312)는 벽면녹화 구조물(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명이나 태양광을 측정한다. 조도센서(312)는 실외의 경우 설치된 대상지의 특성이 상시 그늘인 경우 태양광전달장치 혹은 반사거울 등을 설치하여 조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실내의 경우 벽면녹화 구조물(100)의 최상단을 기준으로 조도를 가장 잘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1개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PAR sensor(quantum sensor)또는 일사계(Pyranometer)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풍속센서(313)는 벽면녹화 구조물(100)이 설치된 장소의 바람을 측정하는데, 예컨대 회전형이나 풍차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풍속센서(313)는 환풍기(353)로부터 1m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EC 센서(314)는 벽면녹화 구조물(100)에서 식생에 사용되는 토양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한다. EC 센서(314)는 지속적으로 측정 가능한 0~9.0ms/cm 범위의 전기전도도 측정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용액의 수량에 따라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하여 이를 전기전도도로 환산할 수도 있다.
온습도센서(315)는 벽면녹화 구조물(100)의 주변에 대한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도록 하는데, 벽면녹화 구조물(100)의 주변 또는 선택 지점의 온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접촉 또는 비접촉식의 온습도 측정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습도센서(315)는 실외의 경우 설치 대상지 중 근부 온도가 가장 떨어질만한 위치, 예컨대 상시그늘, 외풍 등에 있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매트 또는 식생포트 내 토양에 접촉식으로 설치될 수 있고, 실내의 경우, 벽면녹화 구조물(100)의 설치 대상지에서 1m 이격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토양수분센서(311), 조도센서(312), 풍속센서(313), EC(Electrical Conductivity) 센서(314) 그리고, 온습도센서(315)는 감지 데이터의 원격 전송을 위하여, IoT 기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데이터수집/제어부(320)는 벽면녹화 구조물(100) 곳곳에 설치된 환경요인감지부(3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감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데이터를 역시 유선이나 무선 또는 단일네트워크나 IoT 플렛폼에 연결된 데이터서버(330)에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수집/제어부(320)는 예컨대 환경요인감지부(310)의 데이터를 수집 및 전달하기 위한 RF232 통신과 Wi-Fi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수집/제어부(320)는 유지관리모듈(340)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생산요소조절부(350)를 제어하거나, 또는 유지관리모듈(34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에 따라 생산요소절부(3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생산요소절부(350)를 유선 통신에 의해 제어하거나, Wi-Fi, 블루투스, 3G, LTE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서버(330)는 데이터수집/제어부(320)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일정규격으로 매핑하여 데이터를 기준에 따라 배열하도록 한다.
유지관리모듈(340)에서, 데이터서버(330)에 의해 매핑된 데이터와의 비교대상인 식생 기준 데이터는 식재된 식물에 최적인 식생 기준값이 해당될 수 있고, 식재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다. 유지관리모듈(340)은 데이터서버(330)에 의해 매핑된 데이터를 식생 기준 데이터, 즉 운전 기준과 비교 후, 데이터수집/제어부(320)를 통해서 생장요소절부(350)를 운전하기 위한 유지관리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유지 관리 소프트웨어는 운전을 위한 기준 설정, 식물생육 데이터 검토 후 운전데이터 일정기간 모니터링한 다음, 축적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운전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생장요소조절부(350)는 솔레노이드밸브(351), 조명장치(352), 환풍기(353), 양액공급기(354) 및 난방기(355)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351)는 벽면녹화 구조물(100)에 재배되는 식물에 관수의 공급을 제어한다. 솔레노이드밸브(351)는 농업용 상시 클로즈 형태를 사용하고, 전기신호가 릴레이를 통해 온/오프(ON/OFF) 단락으로 받아 작동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351)는 작동시간이 식물의 특성에 따라 다르나, 30~50%의 VWC(용적수분함량) 범위 이외에 작동될 수 있으며, 식생포트나 매트의 전체 수분전달 시간을 감안하여 적용된 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고, 작동 후 안정성을 위해 30분~1시간 정도의 휴지기간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센서에서 지속적으로 토양수분이 적게 측정되는 오류가 발생시 관수 낭비 또는 관수장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조명장치(352)는 벽면녹화 구조물(100)에 재배되는 식물에 광을 제공하고, 광의 밝기가 조절된다. 조명장치(352)는 실내 식물 기준 700lux, 실외 식물 기준 1,000lux 기준 이하일 때 사용되고, 그 밝기가 측정 데이터와 식생 기준 데이터, 즉 운전 기준(예를 들어, 실내 1,000lux)의 차이만큼의 밝기를 밝혀줄 수 있도록 알고리즘이 설정된다. 조명장치(352)는 태양광전달장치 또는 LED 조명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LED의 경우 White와 RED의 혼합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환풍기(353)는 벽면녹화 구조물(100)이 설치된 장소에 환풍을 위해 설치되고, 환풍팬의 속도가 조절된다. 환풍기(353)는 대부분 실내공간에 사용되며, 설치 위치 및 설비장치의 상태를 감안하여, 환풍팬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고, 실내 기준 0.1m/sec 이하일 때 최대 2.0m/sec까지 작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양액공급기(354)는 벽면녹화 구조물(100)에 재배되는 식물에 양액을 공급하되, 양액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양액공급기(354)는 양액통에서 직접 공급할 수 있고, 관수라인에 인입펌프의 출수구를 연결하여 관수시 강력한 압력으로 양액을 관수용수와 같이 흘려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양액공급기(354)는 EC 센서(314)의 측정값이 2.0~2.5dS/m을 기준으로 그 이하일 때 작동할 수 있고, 10분 작동 후 1일 정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난방기(355)는 벽면녹화 구조물(100)이 설치된 장소에 대한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을 위해 난방 온도가 조절된다. 난방기(355)는 예컨대 온풍기 또는 발열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실외의 경우, 벽면녹화 구조물(100)의 매트 또는 식생포트의 근부 온도를 겨울철 기준 0℃ 이상 유지하여 겨울철 잔뿌리로 수분전달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지되도록 하고, 실내의 경우, 원예용 식물의 생육에 가장 적합한 근권 온도인 18~25℃를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10)은 단말기(36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단말기(360)는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에 의해 정해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처리 및 통신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360)는 데이터서버(330)나 유지관리모듈(340)로부터 제공되는 절차에 따라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입력이나 그 밖에 다양한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본인 인증을 거침으로써 관리자나 정당 사용자의 단말기임을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 절차를 마침으로써 정해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360)는 등록 절차를 마친 경우, 유지관리모듈(340)로부터 환경요인감지부(310)에 의해 감지되는 식물의 생장에 관련된 환경 요인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유지관리모듈(340)에 의해 제어되는 생장요소조절부(350)에 의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요소의 조절값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유지관리모듈(340)에 의한 제어와 생장요소조절부(350)의 직접적인 제어를 각각 선택할 수 있고, 유지관리모듈(340)로부터 제공되는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유지관리모듈(340)은 환경 요인이 설정된 위험 범위에 해당시 단말기(360)가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데, 여기서 위험 범위는 환경 요인이 식물의 생장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식생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유지관리모듈(340)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벽면녹화 구조물(100)은 예컨대, 실내 또는 실외 벽면에 식물을 이용하여 녹화하기 위한 식물녹화 시스템으로서, 포트형, 매트형 등 다양한 형태로 조성이 가능한데, 본 실시례에서 일례로서, 아래와 같이 설명하기로 하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서 벽면녹화 구조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벽면녹화 구조물(100)은 설치프레임(110), 찬넬(120), 조인트플레이트(130), 조인트바(140) 및 식생포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설치프레임(110)은 설치면에 설치되는데, 여기서 설치면은 수평면일 수 있고, 이와 달리 수직면일 수도 있다. 또한 설치프레임(110)은 예컨대,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고, 각각 곡률을 이루며, 찬넬(12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볼팅이나 용접 또는 브라켓 등에 의해 고정되는 곡률프레임(111)과, 상단의 곡률프레임(111)과 하단의 곡률프레임(111)을 볼팅이나 용접 또는 브라켓 등에 의해 서로 다수로 연결시키는 수직연결프레임(112)과, 상단의 곡률프레임(111)과 하단의 곡률프레임(111) 각각을 이웃하는 상단의 곡률프레임(111)과 하단의 곡률프레임(111) 각각에 볼팅이나 용접 또는 브라켓 등에 의해 다수로 연결시키는 수평연결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찬넬(120)은 설치프레임(110)에 볼팅이나 용접 또는 브라켓 등에 의해 수직되게 다수로 설치되되, 각각이 평면상에서 곡률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설치됨으로써, 곡률을 이루는 녹화면을 제공하도록 한다. 찬넬(120)은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홀(121)이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조인트플레이트(130)는 찬넬(120)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끼워져서, 한 쌍씩 수평되게 서로 마주 보도록 상기의 녹화면에 대하여 상하 및 좌우로 다수로 마련된다.
도 3,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면, 조인트플레이트(130)는 조인트바(140)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일단에 제 1 홀(131)이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게 될 조인트바(140)의 목부(141)가 제 1 홀(131)로부터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조인트바(140)의 분리를 억제하는 제 2 홀(132)이 제 1 홀(131)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이 양측으로 분기되는 끝단에 마련되는 제 1 걸림부(133)가 찬넬(120)의 걸림홀(121)에 각각 걸리며, 2개가 겹쳐져서 찬넬(120)에 걸리도록 장착된 상태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양측으로 이격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찬넬(120) 각각에 고정되어 대향하는 한 쌍이 일단으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감소하도록 곡률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밀집되어 있는 조인트플레이트(130)에 대한 조인트바(140)의 설치를 편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인트바(140) 끼리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조인트플레이트(130)에서, 제 1 홀(131)은 조인트바(140)가 통과하기에 충분한 직경을 가진다. 제 2 홀(132)은 제 1 홀(131)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고서 조인트바(140)의 목부(141)보다 큰 직경을 가지되, 조인트바(140)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 1 걸림부(133)는 찬넬(120)의 걸림홀(121)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져서 하방으로 안착되어 걸리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찬넬(120)로부터 하방 및 수평방향으로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하는데, 찬넬(120)로부터 회동을 제한하도록 찬넬(12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돌기와 함께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찬넬(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원하지 않게 하방 및 수평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조인트바(140)는 한 쌍을 이루는 조인트플레이트(130) 각각이 양단에 결합됨으로써, 녹화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다수로 설치된다. 조인트바(140)는 조인트플레이트(130)와의 결합을 위하여 양단에 목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12를 참조하면, 식생포트(150)는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조인트바(140) 각각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걸림장착부(151,152)가 대각선 방향으로 일측 상단과 타측 하단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녹화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하 및 좌우로 다수로 배열되고, 내측에 식물이 식재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찬넬(120)에는 제 1 컨테이너(160)가 식생포트(150)를 대신하여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 1 컨테이너(160)는 저면에 제 2 걸림부(161)가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마련됨으로써, 제 2 걸림부(161)에 의해 다수, 예컨대 2개의 찬넬(120) 상에 분리 가능하게 걸려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의 개폐를 위한 덮개(162)가 힌지에 의해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덮개(162)의 개폐를 제한하는 록킹부재(163)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걸림부(161)는 찬넬(120)의 걸림홀(121)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져서 하방으로 안착되어 걸리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찬넬(120)로부터 하방 및 수평방향으로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하는데, 찬넬(120)로부터 회동을 제한하도록 찬넬(12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돌기와 함께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찬넬(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원하지 않게 하방 및 수평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록킹부재(163)는 일례로 단일 또는 다수의 매미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덮개(162)가 원하지 않게 열리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찬넬(120)에는 제 2 컨테이너(170)가 식생포트(150)를 대신하여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 2 컨테이너(170)는 양쪽의 측부마다 조인트플레이트(130)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결합부(171)가 다수로 마련될 수 있고, 내부에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의 개폐를 위한 덮개(172)가 힌지에 의해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덮개(172)의 개폐를 제한하는 록킹부재(173)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71)는 조인트바(140)의 목부(14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록킹부재(173)는 일례로 단일 또는 다수의 매미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덮개(172)가 원하지 않게 열리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관수호스(200)의 설치를 위하여, 마운트플레이트(180) 및 마운트와이어(19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플레이트(180)는 찬넬(120)에 걸림으로써 고정되도록 제 3 걸림부(181)가 다수로 마련될 수 있고, 끝단에 관수호스(200)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 1 호스고정부(18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걸림부(181)는 찬넬(120)의 걸림홀(121)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져서 하방으로 안착되어 걸리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찬넬(120)로부터 하방 및 수평방향으로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하는데, 찬넬(120)로부터 회동을 제한하도록 찬넬(12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돌기와 함께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찬넬(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원하지 않게 하방 및 수평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호스고정부(182)는 원형의 단면 일부가 개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휨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개방되는 부분을 통해서 관수호스(200)가 억지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운트와이어(190)는 식생포트(150)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고정되도록 절곡부(191)가 마련될 수 있고, 끝단에 관수호스(200)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제 2 호스고정부(192)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호스고정부(192)는 원형의 단면 일부가 개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휨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개방되는 부분을 통해서 관수호스(200)가 억지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IoT 기술을 활용하여, 벽면녹화에 최적화된 유지 및 관리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공 및 식생이 용이하면서도 유지 및 관리가 뛰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설치프레임 111 : 곡률프레임
112 : 수직연결프레임 113 : 수평연결프레임
120 : 찬넬 121 : 걸림홀
130 : 조인트플레이트 131 : 제 1 홀
132 : 제 2 홀 133 : 제 1 걸림부
140 : 조인트바 141 : 목부
150 : 식생포트 151 : 제 1 걸림장착부
152 : 제 2 걸림장착부 153 : 식생공간
160 : 제 1 컨테이너 161 : 제 2 걸림부
162 : 덮개 163 : 록킹부재
170 : 제 2 컨테이너 171 : 결합부
172 : 덮개 173 : 록킹부재
180 : 마운트플레이트 181 : 제 3 걸림부
182 : 제 1 호스고정부 190 : 마운트와이어
191 : 절곡부 192 : 제 2 호스고정부
200 : 관수호스 310 : 환경요인감지부
311 : 토양수분센서 312 : 조도센서
313 : 풍속센서 314 : EC 센서
315 : 온습도센서 320 : 데이터수집/제어부
330 : 데이터서버 340 : 유지관리모듈
350 : 생장요소조절부 351 : 솔레노이드밸브
352 : 조명장치 353 : 환풍기
354 : 양액공급기 355 : 난방기
360 : 단말기

Claims (5)

  1. 벽면녹화 구조물에 대해서 식물의 생장에 관련된 환경 요인을 감지하는 환경요인감지부;
    상기 환경요인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감지값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신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수집/제어부;
    상기 데이터수집/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정해진 규격으로 매핑하는 데이터서버;
    상기 데이터서버에 의해 매핑된 데이터와 식생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식생에 필요한 신호를 상기 데이터수집/제어부로 출력하고, 인증된 단말기에 통신으로 상기 환경요인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환경 요인을 제공하는 유지관리모듈;
    상기 데이터수집/제어부가 상기 유지관리모듈의 신호를 수신받아 이에 상응하도록 제공하는 제어신호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동작하는 IoT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요소를 조절하는 생장요소조절부;
    벽면에 설치되어 식물이 식재되도록 하는 장소를 제공하는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
    을 포함하고,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은,
    설치면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에 수직되게 다수로 설치되되, 각각이 평면상에서 곡률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설치됨으로써, 곡률을 이루는 녹화면을 제공하는 찬넬;
    상기 찬넬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끼워져서, 한 쌍씩 수평되게 서로 마주 보도록 상기 녹화면에 대하여 상하 및 좌우로 다수로 마련되는 조인트플레이트;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조인트플레이트 각각이 양단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녹화면에 대하여 수평을 이루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조인트바; 및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배치되는 상기 조인트바 각각에 걸리는 제 1 및 제 2 걸림장착부가 대각선 방향으로 일측 상단과 타측 하단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상기 녹화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하 및 좌우로 다수로 배열되고, 내측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바는,
    양단에 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플레이트는,
    상기 조인트바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일단에 제 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바의 목부가 상기 제 1 홀로부터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조인트바의 분리를 억제하는 제 2 홀이 상기 제 1 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타단이 양측으로 분기되는 끝단에 마련되는 제 1 걸림부가 상기 찬넬의 걸림홀에 각각 걸리며, 2개가 겹쳐져서 상기 찬넬에 걸리도록 장착된 상태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양측으로 이격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찬넬 각각에 고정되어 대향하는 한 쌍이 일단으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감소하도록 곡률을 이루는,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경요인감지부는,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에서 식생 장소를 제공하는 식생포트나 매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벽면녹화 위치별 토양수분량을 수집하도록 하는 토양수분센서;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명이나 태양광을 측정하는 조도센서;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이 설치된 장소의 바람을 측정하는 풍속센서;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에서 식생에 사용되는 토양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EC(Electrical Conductivity) 센서; 및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의 주변에 대한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
    를 포함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장요소조절부는,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에 재배되는 식물에 관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에 재배되는 식물에 광을 제공하고, 상기 광의 밝기가 조절되는 조명장치;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이 설치된 장소에 환풍을 위해 설치되고, 환풍팬의 속도가 조절되는 환풍기;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에 재배되는 식물에 양액을 공급하되, 상기 양액의 공급량이 조절되는 양액공급기; 및
    상기 벽면녹화 구조물이 설치된 장소에 대한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을 위해 난방 온도가 조절되는 난방기;
    를 포함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관리모듈로부터 상기 환경요인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식물의 생장에 관련된 환경 요인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유지관리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생장요소조절부에 의한 상기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요소의 조절값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유지관리모듈에 의한 제어와 상기 생장요소조절부의 직접적인 제어를 각각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유지관리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
  5. 삭제
KR1020180131383A 2018-10-31 2018-10-31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 KR102101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83A KR102101038B1 (ko) 2018-10-31 2018-10-31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83A KR102101038B1 (ko) 2018-10-31 2018-10-31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038B1 true KR102101038B1 (ko) 2020-04-14

Family

ID=7029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383A KR102101038B1 (ko) 2018-10-31 2018-10-31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03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576A (ko) * 2013-09-26 2015-04-03 공간찬넬주식회사 Led 조명 파이프
KR101577814B1 (ko) * 2014-09-12 2015-12-15 롯데건설 주식회사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KR20170021481A (ko) * 2015-08-18 2017-02-28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벽면 녹화 시스템
KR101803092B1 (ko) * 2016-07-27 2017-12-29 주식회사 한설그린 벽면 녹화 시스템
KR20180006735A (ko) * 2016-07-11 2018-01-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식물 재배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KR20180034015A (ko) * 2016-09-27 2018-04-04 주식회사 백프로 에이치엠아이 기반의 자동화 고설재배 시스템
KR20180072641A (ko) * 2018-06-20 2018-06-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식물 재배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576A (ko) * 2013-09-26 2015-04-03 공간찬넬주식회사 Led 조명 파이프
KR101577814B1 (ko) * 2014-09-12 2015-12-15 롯데건설 주식회사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KR20170021481A (ko) * 2015-08-18 2017-02-28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벽면 녹화 시스템
KR20180006735A (ko) * 2016-07-11 2018-01-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식물 재배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KR101803092B1 (ko) * 2016-07-27 2017-12-29 주식회사 한설그린 벽면 녹화 시스템
KR20180034015A (ko) * 2016-09-27 2018-04-04 주식회사 백프로 에이치엠아이 기반의 자동화 고설재배 시스템
KR20180072641A (ko) * 2018-06-20 2018-06-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식물 재배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38602B (zh) 基于信息采集的温室环境智能控制管理系统
US2012012490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greenhouse and system for the same
JP2016049102A (ja) 圃場管理システム、圃場管理方法、プログラム
KR20200057831A (ko)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CN104181877A (zh) 基于物联网的智能农业管理系统
KR20120052469A (ko) 농작물 재배 관리 시스템
KR20160088019A (ko) 특용작물 재배를 위한 식물공장 시스템
KR101510710B1 (ko) 시설 하우스의 냉난방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90143678A (ko) IoT 기반 온실 환경 관리 시스템
CN113597941A (zh) 一种温室智能环境调控系统及装置
CN114610100A (zh) 基于物联网的番茄种植温室环境的调控方法及调控系统
KR20160044817A (ko) 시설재배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1038B1 (ko) IoT 기술을 활용한 벽면녹화 유지관리 시스템
CN204994345U (zh) 一种智能育苗系统
KR20160064558A (ko)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50856A (ko)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170020415A (ko) 생장환경데이터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07876A (ko) 생장환경데이터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CN203133576U (zh) 智能温室集群控制系统
KR101907636B1 (ko) 지능형 인삼 재배 장치
Pahuja et al. An intelligent wireless sensor and actuator network system for greenhouse microenvironment control and assessment
CN113016446A (zh) 一种基于智能控制的大棚灌溉系统
CN107333590A (zh) 一种智能大棚
EP2818041B1 (en) Drip irrigator and irrig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11815652B2 (en) Environmental sensors and sensing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