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856A -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856A
KR20200050856A KR1020190119457A KR20190119457A KR20200050856A KR 20200050856 A KR20200050856 A KR 20200050856A KR 1020190119457 A KR1020190119457 A KR 1020190119457A KR 20190119457 A KR20190119457 A KR 20190119457A KR 20200050856 A KR20200050856 A KR 20200050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environment
growth
plant
unit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현
김연미
Original Assignee
(주)공존에스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공존에스앤티 filed Critical (주)공존에스앤티
Publication of KR20200050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Abstract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에 녹화식물이 배치되어 생육되며, 구역별로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이 측정되고 조절되는 식물생육부; 상기 식물생육부의 각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측정된 생육 환경 정보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상기 생육 환경 조절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녹화식물의 상기 생육 환경을 조절하는 생육 환경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GREENING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 녹화 시스템은 대지가 아닌 건물 자체의 일부를 녹지 공간으로 확보하는 시스템으로서, 옥상 정원(roof garden), 선큰 가든(sunken garden), 녹화 측벽체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 옹벽 또는 정리된 경사면 등에는 콘크리트 등을 사용하여 벽면을 형성하게 되는바, 이러한 콘크리트 벽면 구조물은 그 느낌이 삭막하여 도심의 미관을 저해하거나 또는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편안함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벽면 콘크리트 구조물에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녹화시스템을 설치하여 미관을 개선함과 동시에 도시녹화에 대한 수요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기존에 따른 녹화 시스템은 관수 및 배수방법, 벽 부착방식 등의 제약으로 인해, 전문가에 의한 전문적인 시공공법으로 시공되고 있는데, 이 경우 시공비용이 높다. 그리고, 전문적인 시공공법의 경우, 고정적이고 반영구적인 설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전문가의 도움 없이는 벽면조경물의 변경, 이동, 철거 등에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유지보수비용과 철거비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척박한 생육 조건, 짧은 생육기간 및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녹화 식물이 쉽게 고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52068호, 2014.01.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녹화식물을 복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서 구역 별로 녹화식물의 생육환경을 측정하고 조절함으로써, 입면녹화를 최적으로 자동유지관리 하는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자동유지관리를 통해 계절에 맞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여 녹화식물이 계절에 상관 없이 사계절 내내 생육될 수 있는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에 녹화식물이 배치되어 생육되며, 구역별로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이 측정되고 조절되는 식물생육부; 상기 식물생육부의 각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측정된 생육 환경 정보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상기 생육 환경 조절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녹화식물의 상기 생육 환경을 조절하는 생육 환경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육 환경은 광량, 온도, 습도, 토양수분함유량 및 토양영양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는 조명, 온실 커튼, 배면 히터, 관수기, 미스트 분사기 및 비료공급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생육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식물생육부는 상기 녹화 관리 장치의 입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된 상기 식물생육부의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구역별로 측정하고,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의 상기 조명, 관수기 및 미스트 분사기는 상기 식물생육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생육 환경을 조절하고,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의 상기 비료공급기는 상기 식물생육부의 토양 속에 내장되어 상기 생육 환경을 조절하고,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의 상기 온실 커튼은 상하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식물생육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생육 환경을 조절하고,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의 상기 배면 히터는 상기 식물생육부가 설치된 입면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생육 환경을 조절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녹화 관리 장치는 상기 식물생육부의 상부와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물생육부가 상기 녹화 관리 장치의 일면에 형성된 경우, 상기 식물생육부는 상기 레일부에 형성된 레일을 이용하여 상기 일면에서 타면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는, 상기 식물생육부의 구역별로 측정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구역 중 상기 녹화식물의 발육 상태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가장 근접한 구역을 판단하고, 해당 구역의 생육 환경과 동일해지도록 나머지 구역의 생육 환경을 조절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예약 정보를 전송 받으면, 상기 예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식물생육부의 특정 구역의 특정 생육 환경을 조절하며,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식물생육부의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 정보, 상기 생육 환경 중 적어도 하나의 생육 환경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녹화 관리 시스템은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측정하고 조절하는 녹화 관리 장치; 측정된 생육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기 저장되어 있는 환경 기준 정보 또는 날씨 정보를 상기 생육 환경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생육 환경의 조절이 필요하지를 판단하고, 상기 생육 환경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자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생육 환경 정보를 통해 상기 녹화식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환경 기준 정보 또는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조절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상기 녹화 관리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상기 녹화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녹화 관리 장치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에 녹화식물이 배치되어 생육되며, 구역별로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이 측정되고 조절되는 식물생육부; 상기 식물생육부의 각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측정된 생육 환경 정보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상기 생육 환경 조절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녹화식물의 상기 생육 환경을 조절하는 생육 환경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육 환경은 광량, 온도, 습도, 토양수분함유량 및 토양영양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는 조명, 온실 커튼, 배면 히터, 관수기, 미스트 분사기 및 비료공급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생육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녹화식물을 복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서 구역 별로 녹화식물의 생육환경을 측정하고 조절함으로써, 입면녹화를 최적으로 자동유지관리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유지관리를 통해 계절에 맞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여 녹화식물이 계절에 상관 없이 사계절 내내 생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의 온실 커튼의 개폐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100)(이하 '녹화 관리 장치'라 한다), 서버(200) 및 관리자 단말(3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녹화 관리 장치(100)는 식물생육부(120), 센싱부(140), 통신부(160) 및 생육 환경 조절부(180)로 구성된다. 녹화 관리 장치(100)는 센싱부(140)를 통해 식물생육부(120)의 생육 환경을 측정하고, 측정된 생육 환경 정보를 서버(200) 및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생육 환경 조절 명령에 기반하여 생육 환경 조절부(180)를 통해 식물생육부(120)의 생육 환경을 조절한다. 녹화 관리 장치(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서버(200)는 관리자 단말(300)로 녹화 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을 제공하여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300)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또는 웹에 접속함으로써 녹화 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서버(200)는 측정된 생육 환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되어 있는 환경 기준 정보 또는 매일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는 날씨 정보를 측정된 식물생육부(120)의 생육 환경 정보와 비교하여 식물생육부(120)의 생육 환경의 조절이 필요하지를 판단하고, 생육 환경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자 단말(300)로 생육 환경 조절을 위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다.
관리자 단말(300)은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서, 서버(200)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또는 웹에 접속하여 녹화식물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의미한다.
관리자 단말(300)은 생육 환경 정보를 통해 녹화식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환경 기준 정보 또는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조절 여부를 판단하여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녹화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기반으로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녹화 관리 장치(10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도이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100)에 설치된 녹화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날짜 정보 및 날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녹화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정보를 구역별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구역의 생육 환경 정보 예를 들어, 토양 수분 정보, 대기 온도 및 습도 정보, 일사량 정보 등이 화면에 표시되며, 관리자는 생육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녹화 관리 장치(100)의 환경 조절부(18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A구역의 생육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300)을 통해 환경 조절부(180)의 동작 제어를 '자동(AUTO)'로 설정해놓으면, 관리자 단말(300)을 통한 동작 제어 없이 환경 조절부(180)가 판단하여 필요 시 생육 환경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300)을 통해 A구역에 대한 관수기(182) 및 미스트 분사기(185)의 동작을 '자동(AUTO)'로 설정하면, 녹화 관리 장치(100)는 측정된 A구역의 생육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토양수분함유량 또는 대기 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판단하고 관수기(182)를 이용하여 토양수분함유량을 조절하고 미스트 분사기(185)를 이용하여 대기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녹화 관리 장치(10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관리 장치(100)는 식물생육부(120), 센싱부(140), 통신부(160) 및 생육 환경 조절부(180)로 구성된다.
식물생육부(120)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에 녹화식물이 배치되어 생육되며, 구역별로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이 측정되고 조절된다. 이때, 녹화식물은 관리가 용이한 식물, 예를 들어, 줄사철나무, 사철나무, 송악, 남천나무, 누운향나무 등일 수 있고,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은 광량, 온도, 습도, 토양수분함유량 및 토양영양상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각 구역별로 배치되는 녹화식물이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각 구역별로 다른 녹화식물이 배치되는 경우, 각 녹화식물에 맞게 생육 환경을 측정하고 조절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식물생육부(120)의 각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토양 수분·온도 센서, 대기 온도·습도 센서, 조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센싱부(140)는 토양 수분·온도 센서, 대기 온도·습도 센서, 조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녹화식물의 광량, 온도, 습도, 토양수분함유량 및 토양영양상태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센서는 각 구역에 모두 배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일부 센서만 배치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구역 별로 측정된 생육 환경 정보를 외부 기기(예를 들어, 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로 송신하고, 외부 기기(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로부터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수신한다.
생육 환경 조절부(180)는 외부 기기(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생육 환경 조절 명령에 기반하여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생육 환경 조절부(180)는 배면 히터(181), 관수기(182), 비료공급기(183), 온실 커튼(184), 미스트 분사기(185) 및 조명(186)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녹화 식물의 생육 환경, 즉 광량, 온도, 습도, 토양수분함유량 및 토양영양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환경 기준 정보 또는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조절 여부를 판단하여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녹화 관리 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생육 환경 조절부(180)가 생육 환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기반으로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녹화 관리 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생육 환경 조절부(180)가 생육 환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알람 메시지는 서버(200)가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되어 있는 환경 기준 정보 또는 매일 업데이트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날씨 정보를 녹화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식물생육부(120)의 생육 환경 정보와 비교하여 식물생육부(120)의 생육 환경의 조절이 필요하지를 판단하고, 생육 환경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자 단말(300)로 생육 환경 조절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생육 환경 조절부(180)는 식물생육부(120)의 구역별로 측정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구역 중 녹화식물의 발육 상태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가장 근접한 구역을 판단하고, 해당 구역의 생육 환경과 동일해지도록 나머지 구역의 생육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정보는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 촬영부(미 도시)를 통해 촬영되는 녹화식물의 이미지이다. 이미지 촬영부는 각 구역별로 설치되어 구역별로 녹화식물의 이미지를 주기적으로 촬영함으로써, 구역별로 녹화식물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생육 환경 조절부(180)는 생성되거나 또는 업데이트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구역 별 녹화식물의 발육 상태를 확인하고, 발육 상태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가장 근접한 구역의 생육 환경과 동일하게 나머지 구역의 생육 환경을 조절하게 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생육 환경 조절부(180)는 외부 기기(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로부터 예약 정보를 전송 받으면, 예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식물생육부(120)의 특정 구역의 특정 생육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예약 정보는 식물생육부(120)의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 정보, 상기 생육 환경 중 적어도 하나의 생육 환경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식물생육부(120)가 A구역, B구역, C구역, D구역으로 구분된 경우, 관리자 단말(300)은 A구역의 생육 환경 중 습도가 한시간 후에 조절되도록 예약 정보를 생육 환경 조절부(180)로 전송하면, 생육 환경 조절부(180)는 예약 정보를 기반으로 한시간 후에 미스트 분사기(185)를 이용하여 A구역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녹화 관리 장치(100)는 식물생육부(120)의 상부와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물생육부(120)가 녹화 관리 장치(100)의 일면에 형성된 경우, 식물생육부(120)는 레일부에 형성된 레일을 이용하여 일면에서 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화 관리 장치(100)가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고, 육면체의 네 개의 옆면 중 일면에 식물생육부(120)가 형성된 경우, 레일부는 녹화 관리 장치(100) 햇빛이 잘 드는 위치 또는 바람이 덜 부는 위치로 식물생육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녹화 관리 장치(100)가 날씨에 따라 식물생육부(120)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녹화식물이 더 좋은 환경에서 생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의 온실 커튼의 개폐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식물생육부(120)는 녹화 관리 장치(100)의 입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녹화 관리 장치(100)가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육면체의 네 개의 옆면 중 일면에 식물생육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된 식물생육부(120)의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어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구역별로 측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생육 환경 조절부(180)의 관수기(182), 온실 커튼(183), 미스트 분사기(185) 및 조명(186)은 식물생육부(120)의 상단에 설치되어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관수기(182)는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중 토양수분함유량 등을 조절할 수 있고, 온실 커튼(183)은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중 온도, 광량 등을 조절할 수 있고, 미스트 분사기(185)는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중 습도 등을 조절할 수 있고, 조명(186)은 생육 환경 중 온도, 광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온실 커튼(183)은 상단으로 개폐가능하도록 식물생육부(12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a)는 온실 커튼(183)이 식물생육부(120)의 상단으로 말려올라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며, 도 4(b)는 온실 커튼(183)이 식물생육부(120)의 상단으로부터 내려와서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온실 커튼(183)은 계절 또는 날씨에 따라 개폐되며, 겨울과 같이 추운 날씨에는 커튼이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녹화식물이 얼어서 죽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녹화식물이 사계절 내내 생육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비료공급기(183)는 식물생육부(120)의 배치된 녹화식물의 토양 속에 내장되어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비료공급기(183)는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중 토양영양상태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면 히터(181)는 식물생육부(120)가 설치된 입면의 배면에 설치되어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배면 히터(181)는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중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녹화 관리 장치(100)는 식물생육부(120)에 센싱부(140), 통신부(160) 및 생육 환경 조절부(180)가 포함되도록 일면에 함께 형성함으로써, 레일부를 통해 식물생육부(120)가 이동할 때, 센싱부(140), 통신부(160) 및 생육 환경 조절부(18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녹화 관리 장치
120 : 식물생육부
140 : 센싱부
160 : 통신부
180 : 생육 환경 조절부
181 : 배면 히터
182 : 관수기
183 : 비료공급기
184 : 온실 커튼
185 : 미스트 분사기
186 : 조명
200 : 서버
300 : 관리자 단말
400 : 네트워크

Claims (7)

  1.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로서,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에 녹화식물이 배치되어 생육되며, 구역별로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이 측정되고 조절되는 식물생육부;
    상기 식물생육부의 각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측정된 생육 환경 정보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상기 생육 환경 조절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녹화식물의 상기 생육 환경을 조절하는 생육 환경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육 환경은 광량, 온도, 습도, 토양수분함유량 및 토양영양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는 조명, 온실 커튼, 배면 히터, 관수기, 미스트 분사기 및 비료공급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생육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생육부는 상기 녹화 관리 장치의 입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된 상기 식물생육부의 구역별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구역별로 측정하고,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의 상기 조명, 관수기 및 미스트 분사기는 상기 식물생육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생육 환경을 조절하고,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의 상기 비료공급기는 상기 식물생육부의 토양 속에 내장되어 상기 생육 환경을 조절하고,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의 상기 온실 커튼은 상하로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식물생육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생육 환경을 조절하고,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의 상기 배면 히터는 상기 식물생육부가 설치된 입면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생육 환경을 조절하는,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관리 장치는 상기 식물생육부의 상부와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물생육부가 상기 녹화 관리 장치의 일면에 형성된 경우, 상기 식물생육부는 상기 레일부에 형성된 레일을 이용하여 상기 일면에서 타면으로 이동가능한,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는,
    상기 식물생육부의 구역별로 측정된 이미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구역 중 상기 녹화식물의 발육 상태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가장 근접한 구역을 판단하고, 해당 구역의 생육 환경과 동일해지도록 나머지 구역의 생육 환경을 조절하는,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예약 정보를 전송 받으면, 상기 예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식물생육부의 특정 구역의 특정 생육 환경을 조절하는,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정보는 상기 식물생육부의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 정보, 상기 생육 환경 중 적어도 하나의 생육 환경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7.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녹화 관리 시스템으로서,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측정하고 조절하는 녹화 관리 장치;
    측정된 생육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기 저장되어 있는 환경 기준 정보 또는 날씨 정보를 상기 생육 환경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생육 환경의 조절이 필요하지를 판단하고, 상기 생육 환경의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자 단말로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생육 환경 정보를 통해 상기 녹화식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환경 기준 정보 또는 날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조절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상기 녹화 관리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알람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상기 녹화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녹화 관리 장치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각 구역에 녹화식물이 배치되어 생육되며, 구역별로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이 측정되고 조절되는 식물생육부;
    상기 식물생육부의 각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녹화식물의 생육 환경을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측정된 생육 환경 정보를 외부 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생육 환경 조절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상기 생육 환경 조절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녹화식물의 상기 생육 환경을 조절하는 생육 환경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육 환경은 광량, 온도, 습도, 토양수분함유량 및 토양영양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생육 환경 조절부는 조명, 온실 커튼, 배면 히터, 관수기, 미스트 분사기 및 비료공급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생육 환경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시스템.
KR1020190119457A 2018-11-02 2019-09-27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200050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33335 2018-11-02
KR1020180133335 2018-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856A true KR20200050856A (ko) 2020-05-12

Family

ID=7067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457A KR20200050856A (ko) 2018-11-02 2019-09-27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08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053A (ko) * 2020-08-03 2022-02-11 주식회사 다함 이끼벽 생육감시 제어시스템
CN115437431A (zh) * 2022-08-23 2022-12-06 芜湖市新城园林建设有限公司 基于互联网技术应用的园林管控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68B1 (ko) 2011-12-02 2014-01-22 서원종합건설(주) 벽면녹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068B1 (ko) 2011-12-02 2014-01-22 서원종합건설(주) 벽면녹화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053A (ko) * 2020-08-03 2022-02-11 주식회사 다함 이끼벽 생육감시 제어시스템
CN115437431A (zh) * 2022-08-23 2022-12-06 芜湖市新城园林建设有限公司 基于互联网技术应用的园林管控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531B1 (ko) 스마트 온실 관제 시스템
TWI574607B (zh) 用於作物的施藥系統及其施藥方法
CN104238602B (zh) 基于信息采集的温室环境智能控制管理系统
KR20200057831A (ko)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CN105974972A (zh) 一种远程植物生长环境的智能监控系统及其智能监控方法
US2012012490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greenhouse and system for the same
KR20120052469A (ko) 농작물 재배 관리 시스템
KR20200050856A (ko) IoT 기반의 녹화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JP2017127281A (ja) 栽培環境管理装置、栽培環境管理方法および栽培環境管理プログラム
US20210059139A1 (en) Wall landscaping system for easy growth management with automatic watering and plant growth analysis
WO2012060282A1 (ja) 植物工場の温度管理システム、植物工場、温度管理方法、温度管理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20076691A (ko) 농산물 생육시스템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102213131B1 (ko) 스마트 조경 관리 구조물
KR20190120023A (ko) 새싹 인삼 재배를 위한 아이씨티 기반의 스마트 팜 제어 시스템
CN105163090A (zh) 基于4g的家庭庭院智能看护装置
KR20190031768A (ko) Ict기반의 스마트 팜 제어 시스템
KR101892163B1 (ko) 스마트 그린하우스 제어시스템
KR102421031B1 (ko) 토양 내 수분변화를 기초로 한 토양분석 방법 및 장치
CN114610100A (zh) 基于物联网的番茄种植温室环境的调控方法及调控系统
CN208506620U (zh) 温室系统
KR20180062569A (ko)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984075B1 (ja) 水分量観察装置、水分量観察方法及び栽培装置
KR102431196B1 (ko) Led 작물 재배등을 이용한 작물 재배 시스템
CN104920103A (zh) 一种智能育苗系统及方法
CN204994345U (zh) 一种智能育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