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254B1 -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 Google Patents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254B1
KR102446254B1 KR1020220058528A KR20220058528A KR102446254B1 KR 102446254 B1 KR102446254 B1 KR 102446254B1 KR 1020220058528 A KR1020220058528 A KR 1020220058528A KR 20220058528 A KR20220058528 A KR 20220058528A KR 102446254 B1 KR102446254 B1 KR 102446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electrode
shelf
path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스코
Priority to KR1020220058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254B1/ko
Priority to KR1020220108818A priority patent/KR20230159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254B1/ko
Priority to PCT/KR2023/006409 priority patent/WO20232194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레일을 포함하는 기둥부; 상기 레일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연결부와, 2개의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선반;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선반 고정 장치;,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 고정 장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선반 고정 장치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과, 상기 삽입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System furniture with shelf fast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면서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고, 선반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선반 고정 장치를 통해 선반의 받침부가 연결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책상, 진열장, 화장대 등의 가구에는 인테리어 효과나 특정 공간을 비추기 위해 조명 장치가 설치된다. 가구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를 통해 미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조명 장치를 통해 특정 공간을 밝힘에 따라 기능적인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
선반이 구비된 진열장이나 붙박이장과 같은 내부장에는 확산판이 구비된 조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내부장에 조명 장치를 설치함에 따라 내부장의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부장의 특정 지점을 밝힐 수 있게 된다. 내부장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는 내부장에 구비된 선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선반에 조명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선반에 조명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선반의 일 지점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조명 장치가 설치되는 선반의 일 지점은 전선을 통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전선을 통해 선반의 일 지점을 외부와 연결하는 경우, 전선에 의해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전선의 길이가 짧은 경우 선반의 높이를 높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선반의 높이에 비해 전선의 길이가 지나치게 긴 경우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선을 통해 선반의 일 지점을 외부와 연결하는 경우, 전기적 단락 지점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선반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전기적 단락 지점을 찾아야 하는데, 하나의 전선을 통해 선반의 일 지점이 외부와 연결됨에 따라 전기적 단락 지점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면서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고, 선반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선반 고정 장치를 통해 선반의 받침부가 연결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레일을 포함하는 기둥부; 상기 레일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연결부와, 2개의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선반;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선반 고정 장치;,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 고정 장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선반 고정 장치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과, 상기 삽입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받침부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스위치에는, 상기 스위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동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선반 고정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 돌기가 삽입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홈이 구비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상기 이동홈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홈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 돌기는, 상기 슬라이딩홈과 상기 이동홈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선반 고정 장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 접촉되는 경로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는, 상기 경로 유도부가 하부로 이동될 때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1경로와, 상기 경로 유도부가 상부로 이동될 때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2경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내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경로 유도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의 상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중심축에서 상기 제1경로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제1상부 하향 경사와,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중심축에서 상기 제2경로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제2상부 하향 경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의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중심축에서 상기 제1경로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제1하부 하향 경사와,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중심축에서 상기 제2경로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제2하부 하향 경사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제1경로의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중심축에서 상기 제1경로 방향으로 상향 경사가 형성되는 제2경로 유도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하부 하향 경사의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중심축에서 상기 제2경로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제3경로 유도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측에는, 모따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며, 외부로 연장되는 전기 연결선과 연결되는 제1전극이 포함된 연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며, 상기 기둥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기둥부가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전극과 접촉되는 제2전극과,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기둥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2전극과 접촉되는 제3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외측으로 구부러진 제1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기둥부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둥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부가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전극 연결부와 상기 제2전극이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의 상기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제3전극은, 구부러지면서 상기 후크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기둥부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둥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면, 상기 제3전극 연결부가 상기 제2전극과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선반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3전극과 연결되는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가구에 사용되는 선반 고정 장치는,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연결부와, 2개의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선반이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선반 고정 장치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과, 상기 삽입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걸림 부재가 구비되며, 시스템 가구의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선반 고정 장치로서,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기둥부의 레일에 구비된 복수 개의 결합 구멍에 선택적으로 선반의 연결부를 결합하면서, 기둥부에 구비된 제2전극과 선반의 연결부에 구비된 제3전극을 접촉시킴에 따라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면서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의 연결부에 선반 고정 장치를 구비하고, 선반의 받침부에 걸림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선반의 받침부가 연결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선반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바닥판, 기둥부, 선반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고, 바닥판에 구비된 제1전극, 기둥부에 구비된 제2전극, 선반의 연결부에 구비된 제3전극을 서로 접촉시켜 통전시킴에 따라 전기적 단락 지점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판과 수평 조절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연결 브라켓에 기둥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전극과 제2전극의 접촉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받침부와 연결부를 포함하는 선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에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받침부에 걸림 부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언락킹(unlocking) 상태의 선반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락킹(locking) 상태의 선반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걸림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걸림 부재에 선반 고정 장치가 삽입되고,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언락킹(unlocking)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걸림 부재에 선반 고정 장치가 삽입되고,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락킹(locking)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언락킹(unlocking) 상태에서의 고정부, 스위치, 슬라이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락킹(locking) 상태에서의 고정부, 스위치, 슬라이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언락킹(unlocking) 상태에서의 고정부와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락킹(locking) 상태에서의 고정부와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언락킹(unlocking) 상태에서의 스위치와 슬라이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락킹(locking) 상태에서의 스위치와 슬라이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언락킹(unlocking) 상태에서의 고정부, 스위치, 경로 유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락킹(locking) 상태에서의 고정부, 스위치, 경로 유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언락킹(unlocking) 상태에서의 스위치의 일면과 경로 유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부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락킹(locking) 상태에서의 스위치의 일면과 경로 유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면서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고, 선반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선반 고정 장치를 통해 선반의 받침부가 연결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바닥판(110), 기둥부(140), 선반(160), 선반 고정 장치(200), 걸림 부재(164)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판(11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110)은 시스템 가구의 하부판일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110)은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수평 조절 프레임(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조절 프레임(111)은 상기 바닥판(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110)과 지면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110)을 지면에 설치할 경우, 지면의 경사에 의해 상기 바닥판(110)이 수평하게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평 조절 프레임(111)은 상기 바닥판(110)을 수평하게 설치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 조절 프레임(111)은 복수 개의 조절 나사(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조절 나사(112)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바닥판(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평 조절 프레임(111)은 상기 조절 나사(112)를 통해 상기 바닥판(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수평 조절 프레임(111)은 다른 구성을 통해 상기 바닥판(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조절 프레임(111)은 상기 바닥판(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둥부(140)는 상기 바닥판(110)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142)이 구비된 레일(141)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기둥부(140)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기둥부(140)는 시스템 가구의 뒷판(191)을 지지하는 기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부(14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제1전극(130)을 포함하는 연결 브라켓(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브라켓(120)은 상기 바닥판(11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 브라켓(120)은 상기 기둥부(140)를 상기 바닥판(110)에 수직으로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부(140)는 상기 바닥판(110)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판(11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판(110)에 상기 연결 브라켓(120)을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상기 기둥부(140)를 결합함에 따라 상기 기둥부(140)를 상기 바닥판(1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 브라켓(120)은 상기 바닥판(110)과 분리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브라켓(120)은 상기 바닥판(110)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전극(130)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구비되며, 외부로 연장되는 전기 연결선(121)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전기 연결선(121)은 외부의 전기와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기 연결선(121)은 외부로 연장되는 전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전극(130)은 상기 전기 연결선(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1전극(130)은 음극과 양극을 포함하면서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전극은 한 쌍의 상기 전기 연결선(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140)는 상기 연결 브라켓(120)의 내부 공간에 끼워지면서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기둥부(140)는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0)에 상기 연결 브라켓(120)을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상기 기둥부(140)를 결합함에 따라 상기 기둥부(140)를 상기 바닥판(1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전극(150)은 상기 기둥부(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전극(150)은 음극과 양극을 포함하면서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전극(150)은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전극(130)에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2전극(150)이 상기 제1전극(130)에 접촉될 때, 상기 제2전극(150)의 음극은 상기 제1전극(130)의 음극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극(150)의 양극은 상기 제1전극(130)의 양극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전극(130)과 상기 제2전극(1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전극(130)은 상기 연결 브라켓(120)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외측으로 구부러진 제1전극 연결부(1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전극(150)은 상기 기둥부(140)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둥부(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가 박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전극(150)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전극(130)과 상기 제2전극(1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는 음극과 양극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전극(150)에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가 접촉될 때, 상기 제2전극(150)의 음극은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의 음극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극(150)의 양극은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의 양극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기둥부(140)를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 또는 조립하는 과정만으로 상기 제1전극(130)과 상기 제2전극(150)을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는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될 때, 외측으로 벌어진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는 상기 기둥부(140)에 의해 내측으로 모아질 수 있다. 즉, 상기 기둥부(140)는 외측으로 벌어진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를 내측으로 모으면서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억지끼움 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가 상기 기둥부(140)에 의해 내측으로 모아지면,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에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될 때, 상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는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가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둥부(140)가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가압시킴에 따라 상기 제1전극 연결부(131)를 상기 제2전극(150)에 견고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부(140)는 상기 기둥부(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142)이 구비된 레일(141)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구멍(142)은 후술할 후크부(162)가 결합되는 구멍으로, 상기 레일(141)을 관통하는 구멍일 수 있다.
상기 레일(141)에는, 상기 기둥부(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결합 구멍(1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141)은 상기 기둥부(140)에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일(141)은 상기 기둥부(140)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선반(160)은 상기 레일(141)의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162)가 구비된 연결부(161)와, 2개의 상기 연결부(161)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163)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선반(160)의 상기 연결부(161)는 외팔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161)의 일측에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상기 후크부(1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1)는 상기 선반(160)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후크부(162)를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움에 따라 상기 기둥부(140)에 상기 연결부(161)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크부(162)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구멍(14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상기 결합 구멍(142)에 상기 후크부(162)가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상기 기둥부(140)에 상기 연결부(161)가 결합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선반(160)이 상기 기둥부(140)에 결합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61)에는 제3전극(17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전극(170)은 상기 연결부(161)의 상기 후크부(162)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161)가 상기 기둥부(140)에 결합되면, 상기 제2전극(150)과 상기 제3전극(170)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3전극(170)은 음극과 양극을 포함하면서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1)가 상기 기둥부(140)에 결합되면, 상기 제3전극(170)의 음극은 상기 제2전극(150)의 음극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전극(170)의 양극은 상기 제2전극(150)의 양극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전극(150)과 상기 제3전극(17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전극(150)은 박막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기둥부(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선반(160)을 상기 기둥부(140)의 어느 높이에 결합시켜도, 상기 제2전극(150)과 상기 제3전극(170)을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전극(170)은 구부러지면서 상기 후크부(16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전극 연결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는 구부러지면서 상기 후크부(16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크부(162)가 상기 레일(141)의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워지면, 상기 후크부(162)에서 돌출된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가 상기 제2전극(150)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3전극(170)과 상기 제2전극(1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는 음극과 양극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전극(150)에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가 접촉될 때, 상기 제2전극(150)의 음극은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의 음극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극(150)의 양극은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의 양극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선반(160)의 상기 후크부(162)를 상기 기둥부(140)에 결합 또는 조립하는 과정만으로 상기 제2전극(150)과 상기 제3전극(1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전극(150)은 상기 기둥부(1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후크부(162)를 상기 기둥부(140)의 어느 높이에 결합하더라도 상기 제3전극(170)과 상기 제2전극(150)을 접촉시키면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후크부(162)를 복수 개의 상기 결합 구멍(142) 중 어느 위치에 끼워서 결합하더라도, 상기 제2전극(150)과 상기 제3전극(170)이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기둥부(140)에 대하여 상기 선반(160)이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하여도 상기 제2전극(150)과 상기 제3전극(170)이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후크부(162)가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워지기 전에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는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후크부(162)가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워질 때, 외측으로 벌어진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는 상기 기둥부(140)에 의해 내측으로 모아질 수 있다. 즉, 상기 후크부(162)는 외측으로 벌어진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를 내측으로 모으면서 상기 결합 구멍(142)을 통해 상기 기둥부(140)의 내측에 억지끼움 될 수 있다.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가 상기 기둥부(140)에 의해 내측으로 모아지면,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에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후크부(162)가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워질 때, 상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는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가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크부(162)가 상기 결합 구멍(142)에 끼워질 때,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가압시킴에 따라 상기 제3전극 연결부(171)를 상기 제2전극(150)에 견고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선반(160)의 상기 받침부(163)는 2개의 상기 연결부(161)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163)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받침부(163)는 상기 선반(160)의 받침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선반(160)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3전극(170)과 연결되는 조명(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180)은 상기 제3전극(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180)은 상기 선반(160)의 다양한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180)은 전선 또는 다른 전기적 연결 장치를 통해 상기 제3전극(17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180)은 확산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조명(180)은 다양한 형태로 상기 선반(16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브라켓(120)에 구비된 상기 제1전극(130)은 상기 전기 연결선(121)을 통해 전기를 공급 받게 되고, 상기 제1전극(130)으로 공급된 전기는 상기 제2전극(150)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2전극(150)으로 전달된 전기는 제3전극(170)에 전달되고, 상기 제3전극(170)에 전달된 전기는 상기 조명(180)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조명(180)에서 빛이 방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선반(160)의 상기 연결부(161)와 상기 받침부(163)는 분리되어 있는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1)를 상기 기둥부(140)에 먼저 결합하고, 2개의 상기 연결부(161) 사이에 상기 받침부(163)를 설치함에 따라 시스템 가구에 상기 선반(16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2개의 상기 연결부(161) 사이에 상기 받침부(163)를 설치할 때, 상기 받침부(163)는 2개의 상기 연결부(161) 사이에 올려지면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163)를 고정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으면, 상기 받침부(163)가 들어 올려지면서 상기 연결부(161)에서 이탈될 위험이 있다.
상기 선반 고정 장치(200)와 상기 걸림 부재(164)는 상기 받침부(163)가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연결부(16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받침부(163)를 상기 연결부(161)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선반 고정 장치(200)는 상기 연결부(161)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 부재(164)는 상기 받침부(163)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반 고정 장치(200)는 하우징(210), 스위치(220), 슬라이딩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161)에 결합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연결부(161) 내측면에 나사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20)는 상기 하우징(210)에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스위치(2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선반 고정 장치(200)가 언락킹(unlocking)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스위치(220)를 누르면, 도 9(b)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선반 고정 장치(200)가 락킹(unlocking)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220)를 다시 한번 누르면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로 다시 유입되면서,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 부재(164)는 상기 받침부(163)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 부재(164)는 상기 선반 고정 장치(20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65)과 상기 삽입 공간(165)의 하부에 구비되는 걸림턱(166)을 포함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2개의 상기 연결부(161) 사이에 상기 받침부(163)가 올려지면서 설치될 때, 상기 선반 고정 장치(200)는 상기 걸림 부재(164)의 삽입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 11(a)와 같이 상기 선반 고정 장치(200)의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2개의 상기 연결부(161) 사이에 상기 받침부(163)가 올려지면서 설치되면, 상기 스위치(220)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부(230)를 작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스위치(2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230)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될 때,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도 11(b)와 같이 상기 걸림턱(166)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230)가 도 11(b)와 같이 상기 걸림턱(166)의 상부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받침부(163)가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연결부(161)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163)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받침부(163)의 상기 걸림 부재(164)에 구비된 상기 걸림턱(166)이 상기 슬라이딩부(230)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받침부(163)가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연결부(16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 부재(164)는 상기 받침부(16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 부재(164)는 상기 받침부(163)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받침부(163)가 목재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걸림 부재(164)를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받침부(163)의 측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부(163)가 철과 같이 경도가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걸림 부재(164)는 상기 받침부(163)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163)가 철과 같이 경도가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걸림 부재(164)가 상기 받침부(163)와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받침부(163)의 측면에 상기 걸림 부재(164)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선반 고정 장치(200)의 상기 스위치(2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230)가 이동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위치(220)에는, 상기 스위치(2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동 돌기(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돌기(221)는 상기 스위치(22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는 봉 형상의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선반 고정 장치(200)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 돌기(221)가 삽입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홈(241)이 구비된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40)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스위치(22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고정부(240)의 양측면에는 상기 이동 돌기(221)가 삽입될 수 있는 상기 이동홈(24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220)가 상기 고정부(240)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이동 돌기(221)는 상기 이동홈(24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홈(241)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홈(241)은 수직 방향 또는 하나의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일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돌기(221)는 상기 이동홈(241)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스위치(220)는 상기 이동홈(241)이 연장되는 일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3(a), 도 13(b), 도 14(a),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240)와 상기 스위치(220) 사이에는 스프링(2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50)의 일측은 상기 고정부(240)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250)의 타측은 상기 스위치(22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50)은 상기 스위치(22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230)에는, 상기 이동홈(241)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홈(2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홈(231)은 상기 슬라이딩부(230)의 측면에 구비되는 홈으로, 상기 슬라이딩홈(231)은 상기 슬라이딩부(230)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는 상기 슬라이딩홈(231)과 상기 이동홈(241)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홈(241)에 상기 이동 돌기(221)를 삽입하면서 상기 스위치(220)를 상기 고정부(240) 내부에 끼운다. 이후, 상기 슬라이딩홈(231)에 상기 이동 돌기(221)를 삽입하면서 상기 고정부(240)의 외측에 상기 슬라이딩부(230)를 끼우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40)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하우징(2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220)와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에 대하여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가 상기 슬라이딩홈(231)과 상기 이동홈(241)에 동시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스위치(220)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2(a)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230)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20)를 누르면, 상기 스위치(220)는 상기 이동홈(241)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홈(231)은 상기 이동홈(241)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홈(231)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이동 돌기(221)가 도 12(b)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230)를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밀면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12(a)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230)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20)를 누르면, 후술할 경로 유도부(260)에 의해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는 도 12(b)와 같이 상기 이동홈(241)의 상부 지점에서 멈추게 된다.
도 12(b)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230)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20)를 다시 누르면, 상기 스프링(250)의 힘에 의해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가 상기 이동홈(241)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도 12(a)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230)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부(230)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홈(2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홈(232)은 상기 슬라이딩홈(23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연장홈(232)은 후술할 경로 유도부(260)에 의해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가 상기 이동홈(241)의 상부 지점에서 멈춘 상태일 때, 상기 이동 돌기(221)가 배치되는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선반 고정 장치(200)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고정부(240)에 결합되며,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에 접촉되는 경로 유도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상기 경로 유도부(260)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고정부(24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경로 유도부(260)는 상기 스위치(2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로 유도부(260)의 일측은 상기 고정부(240)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경로 유도부(260)의 타측은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가 상기 이동홈(241)의 상부 지점에 멈춘 상태로 유지되면,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가 상기 이동홈(241)의 하부에 배치되면,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경로 유도부(260)는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가 상기 이동홈(241)의 상부 지점에서 멈춘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스위치(220)의 이동을 조절하는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에는,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하부로 이동될 때,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1경로(22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에는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상부로 이동될 때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에 접촉되는 제2경로(2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경로(223)와 상기 제2경로(224)는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에서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접촉되는 지점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220)가 상기 이동홈(241)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경로 유도부(260)는 상기 제1경로(223)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스위치(220)가 상기 이동홈(241)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경로 유도부(260)는 상기 제2경로(224)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에는,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경로 유도 돌기(270), 제2경로 유도 돌기(280), 상기 제3경로 유도 돌기(29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270)는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270)는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의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270)의 상부에는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의 중심축(225)에서 상기 제1경로(223)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제1상부 하향 경사(271)와,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의 중심축(225)에서 상기 제2경로(224)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제2상부 하향 경사(27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270)의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의 중심축(225)에서 상기 제1경로(223)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제1하부 하향 경사(273)와,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의 중심축(225)에서 상기 제2경로(224)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제2하부 하향 경사(27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에서 상부라 함은, 도 16(a) 및 도 16(b)에서 상기 이동 돌기(221)가 구비되는 방향이며,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에서 하부라 함은, 도 16(a) 및 도 16(b)에서 상기 이동 돌기(221)가 구비되는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제2경로 유도 돌기(280)는 상기 제1경로(223)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2경로 유도 돌기(280)에는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의 중심축(225)에서 상기 제1경로(223) 방향으로 상향 경사(28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제3경로 유도 돌기(290)는 상기 제2하부 하향 경사(274)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3경로 유도 돌기(290)에는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의 중심축(225)에서 상기 제2경로(224) 방향으로 하향 경사(29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6(a)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230)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경로 유도부(260)는 초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20)를 누르면,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상기 제1경로(223)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가 상기 이동홈(241)의 상부 지점에서 멈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230)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20)를 누르면, 상기 스위치(220)는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경로 유도부(260)는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할 때, 상기 경로 유도부(260)는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270)의 상기 제1상부 하향 경사(271)를 따라서 상기 제1경로(223)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상기 제1경로(223)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상기 제1경로(223)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제2경로 유도 돌기(280)의 상기 상향 경사(281)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270)의 상기 제1하부 하향 경사(273)와 상기 제2하부 하향 경사(274) 사이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스위치(22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위치(220)는 상기 스프링(250)의 힘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220)는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경로 유도부(26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270)의 상기 제1하부 하향 경사(273)와 상기 제2하부 하향 경사(274) 사이에 걸리게 된다.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270)의 상기 제1하부 하향 경사(273)와 상기 제2하부 하향 경사(274) 사이에 걸리게 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가 상기 이동홈(241)의 상부 지점에서 멈춘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가 상기 이동홈(241)의 상부 지점에서 멈춘 상태로 유지되면,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5(b)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230)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20)를 다시 누르면,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상기 제2경로(22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230)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20)를 다시 누르면, 상기 스위치(220)가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상기 스위치(220)의 일면(22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할 때,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상기 제3경로 유도 돌기(290)의 상기 하향 경사(291)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270)의 상기 제1하부 하향 경사(273)와 상기 제2하부 하향 경사(274) 사이를 벗어나 상기 제2경로(224)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22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250)의 힘에 의해 상기 스위치(220)는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경로 유도부(26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로 유도부(260)가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270)의 상기 제1하부 하향 경사(273)와 상기 제2하부 하향 경사(274) 사이를 벗어나 상기 제2경로(224)로 이동되었기 때문에, 상기 경로 유도부(260)는 상기 제2경로(224)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경로(224)를 따라 상부로 이동된 상기 경로 유도부(260)는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270)의 상기 제2상부 하향 경사(272)와 접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경로 유도부(260)는 상기 슬라이딩부(230)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의 초기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상술한 설명과 같이 상기 스위치(220)를 한 번 누르면 상기 경로 유도부(260)를 통해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가 상기 이동홈(241)의 상부 지점에서 멈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220)를 다시 한 번 누르면,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가 상기 이동홈(241)의 하부로 다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가 상기 이동홈(241)의 상부 지점에 멈춘 상태로 유지되면,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220)의 상기 이동 돌기(221)가 상기 이동홈(241)의 하부에 배치되면,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경로 유도부(260)와 상기 스위치(2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230)를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슬라이딩부(230)의 일측에는 모따기부(2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따기부(233)는 상기 슬라이딩부(230)의 일측을 모따기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230)의 일측을 모따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230)와 상기 고정부(24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230)를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기둥부(140)에는, 상기 기둥부(1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43)에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블럭(19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43)는 상기 기둥부(1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으며, 상기 블럭(190)은 상기 날개부(14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2개의 상기 기둥부(140) 사이에 구비되는 뒷판(1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뒷판(191)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2개의 상기 기둥부(140) 사이에 설치되는 판일 수 있다.
상기 뒷판(191)은 상기 블럭(190)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뒷판(191)과 상기 블럭(190)이 접촉하는 지점을 핀 또는 타카 등을 통해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뒷판(191)을 상기 블럭(19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럭(190)을 통해 상기 뒷판(191)을 고정 결합시킴에 따라 2개의 상기 기둥부(140) 사이에 상기 뒷판(191)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붙박이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가 붙박이장일 경우, 상기 블럭(190)을 통해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브라켓(120)을 통해 상기 바닥판(110)과 상기 기둥부(140)를 결합하고, 상기 블럭(190)을 벽체에 고정시킨다. 이후, 핀 또는 타카 등을 통해 상기 블럭(190)에 상기 뒷판(191)을 결합시킴에 따라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블럭(190)을 통해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 고정시킴에 따라, 붙박이장으로 이루어진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를 해체할 경우, 상기 블럭(190)을 벽체에서 제거하면서 시스템 가구를 벽체에서 쉽게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상기 블럭(190)을 통해 시스템 가구를 설치 및 해체함에 따라 붙박이장으로 이루어진 시스템 가구의 설치, 해체, 재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가구에 사용되는 선반 고정 장치(200)는, 복수 개의 후크부(162)가 구비된 연결부(161)와, 2개의 상기 연결부(161)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163)를 포함하는 선반(160)이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서 상기 연결부(161)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163)에는 상기 선반 고정 장치(20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65)과, 상기 삽입 공간(165)의 하부에 구비되는 걸림턱(166)을 포함하는 걸림 부재(164)가 구비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가구에 사용되는 선반 고정 장치(200)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161)에 결합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에 구비되는 스위치(220)와, 상기 스위치(2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2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230)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슬라이딩부(230)는 상기 걸림턱(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가구에 사용되는 선반 고정 장치(2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 포함된 선반 고정 장치(200)와 동일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기둥부의 레일에 구비된 복수 개의 결합 구멍에 선택적으로 선반의 연결부를 결합하면서, 기둥부에 구비된 제2전극과 선반의 연결부에 구비된 제3전극을 접촉시킴에 따라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면서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선반의 연결부에 선반 고정 장치를 구비하고, 선반의 받침부에 걸림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선반의 받침부가 연결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연결 브라켓에 기둥부를 설치, 결합, 조립 하는 과정을 통해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되며, 선반의 연결부를 기둥부에 설치, 결합, 조립하는 과정을 통해 제2전극과 제3전극을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기둥부의 레일에 구비된 복수 개의 결합 구멍에 선택적으로 선반의 연결부를 결합하면서, 기둥부에 구비된 제2전극과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 구비된 제3전극을 접촉시킴에 따라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면서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는 선반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바닥판, 기둥부, 선반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고, 바닥판에 구비된 제1전극, 기둥부에 구비된 제2전극, 선반의 연결부에 구비된 제3전극을 서로 접촉시켜 통전시킴에 따라 전기적 단락 지점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바닥판 111...수평 조절 프레임
112...조절 나사 120...연결 브라켓
121...전기 연결선 130...제1전극
131...제1전극 연결부 140...기둥부
141...레일 142...결합 구멍
143...날개부 150...제2전극
160...선반 161...연결부
162...후크부 163...받침부
164...걸림부재 165...삽입 공간
166...걸림턱 170...제3전극
171...제3전극 연결부 180...조명
190...블록 191...뒷판
200...선반 고정 장치 210...하우징
220...스위치 221...이동 돌기
222...스위치의 일면 223...제1경로
224...제2경로 225...중심축
230...슬라이딩부 231...슬라이딩홈
232...연장홈 233...모따기부
240...고정부 241...이동홈
250...스프링 260...경로 유도부
270...제1경로 유도 돌기 271...제1상부 하향 경사
272...제2상부 하향 경사 273...제1하부 하향 경사
274...제2하부 하향 경사 280...제2경로 유도 돌기
281...상향 경사 290...제3경로 유도 돌기
291...하향 경사

Claims (13)

  1.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 구멍이 구비된 레일을 포함하는 기둥부;
    상기 레일의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연결부와, 2개의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선반;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선반 고정 장치;,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 고정 장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선반 고정 장치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과, 상기 삽입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받침부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에는, 상기 스위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동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선반 고정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 돌기가 삽입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홈이 구비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상기 이동홈에 대하여 사선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홈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 돌기는, 상기 슬라이딩홈과 상기 이동홈에 동시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고정 장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 접촉되는 경로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는,
    상기 경로 유도부가 하부로 이동될 때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1경로와, 상기 경로 유도부가 상부로 이동될 때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2경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내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경로 유도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의 상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중심축에서 상기 제1경로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제1상부 하향 경사와,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중심축에서 상기 제2경로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제2상부 하향 경사가 구비되며,
    상기 제1경로 유도 돌기의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중심축에서 상기 제1경로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제1하부 하향 경사와,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중심축에서 상기 제2경로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제2하부 하향 경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의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중심축에서 상기 제1경로 방향으로 상향 경사가 형성되는 제2경로 유도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하부 하향 경사의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위치의 일면의 중심축에서 상기 제2경로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는 제3경로 유도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측에는, 모따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며, 외부로 연장되는 전기 연결선과 연결되는 제1전극이 포함된 연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며,
    상기 기둥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기둥부가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전극과 접촉되는 제2전극과,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기둥부에 결합되면, 상기 제2전극과 접촉되는 제3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외측으로 구부러진 제1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기둥부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둥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부가 상기 연결 브라켓에 결합되면, 상기 제1전극 연결부와 상기 제2전극이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구비된 상기 제3전극은, 구부러지면서 상기 후크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기둥부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기둥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워지면, 상기 제3전극 연결부가 상기 제2전극과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3전극과 연결되는 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13. 복수 개의 후크부가 구비된 연결부와, 2개의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선반이 구비된 시스템 가구에서, 상기 받침부에는, 선반 고정 장치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과, 상기 삽입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걸림 부재가 구비되며, 시스템 가구의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선반 고정 장치로서,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에 사용되는 선반 고정 장치.
KR1020220058528A 2022-05-12 2022-05-12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KR10244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528A KR102446254B1 (ko) 2022-05-12 2022-05-12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KR1020220108818A KR20230159216A (ko) 2022-05-12 2022-08-30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PCT/KR2023/006409 WO2023219438A1 (ko) 2022-05-12 2023-05-11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528A KR102446254B1 (ko) 2022-05-12 2022-05-12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818A Division KR20230159216A (ko) 2022-05-12 2022-08-30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254B1 true KR102446254B1 (ko) 2022-09-22

Family

ID=834456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528A KR102446254B1 (ko) 2022-05-12 2022-05-12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KR1020220108818A KR20230159216A (ko) 2022-05-12 2022-08-30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818A KR20230159216A (ko) 2022-05-12 2022-08-30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6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438A1 (ko) * 2022-05-12 2023-11-16 주식회사 쿠스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9537A1 (en) * 2005-03-17 2006-09-21 Stylmark, Inc. Display assembly with low voltage powered lighting
KR20070106298A (ko) * 2006-04-28 2007-11-01 양경호 진열장 조명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0857879B1 (ko) * 2007-07-09 2008-09-10 (주)우영금속 행거봉 높이 조정구조
JP2015047492A (ja) * 2013-08-29 2015-03-16 東莞恒隆家具制造有限公司 展示業界用の発光システム通電装置
KR101577814B1 (ko) * 2014-09-12 2015-12-15 롯데건설 주식회사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KR102380801B1 (ko) * 2021-11-22 2022-04-01 예원에스 주식회사 선반 각도 조절과 높이변경 가능한 em진열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9537A1 (en) * 2005-03-17 2006-09-21 Stylmark, Inc. Display assembly with low voltage powered lighting
KR20070106298A (ko) * 2006-04-28 2007-11-01 양경호 진열장 조명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0857879B1 (ko) * 2007-07-09 2008-09-10 (주)우영금속 행거봉 높이 조정구조
JP2015047492A (ja) * 2013-08-29 2015-03-16 東莞恒隆家具制造有限公司 展示業界用の発光システム通電装置
KR101577814B1 (ko) * 2014-09-12 2015-12-15 롯데건설 주식회사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KR102380801B1 (ko) * 2021-11-22 2022-04-01 예원에스 주식회사 선반 각도 조절과 높이변경 가능한 em진열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438A1 (ko) * 2022-05-12 2023-11-16 주식회사 쿠스코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216A (ko)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254B1 (ko) 선반 고정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EP1404929A4 (en) ADJUSTING DEVICE AND BUILDING ELEMENT
EP2063737A2 (en) Electrically powered modular furniture system
JP2015071027A (ja) 収納棚
US7056007B2 (en) Track lamp assembly and display with the track lamp assembly
KR102452186B1 (ko) 전극 브라켓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CN111789377A (zh) 一种升降桌控制盒快速组装结构和升降桌桌架
KR102446245B1 (ko) 봉 연결 장치가 구비된 시스템 가구
KR102503425B1 (ko) 조명이 구비된 선반을 포함하는 시스템 가구
WO2016068284A1 (ja) 天板付き什器
KR200399025Y1 (ko) 무대용 테이블의 수평 조절구
KR101808823B1 (ko) 가구용 패널의 결합 구조
KR0111167Y1 (ko) 벽걸이 에어콘의 취부장치
KR100762009B1 (ko)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CN216932901U (zh) 一种淋浴器底座结构
CN217565518U (zh) 一种挂架
KR102269302B1 (ko)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
JP7473448B2 (ja) 什器
CN218095602U (zh) 一种新型投光灯
CN214127459U (zh) 一种稳固升降桌
CN210573488U (zh) 功能器件的盖板组件及显示装置
KR20190045002A (ko) 착탈이 용이한 조명장치
KR200372261Y1 (ko) 조립식 서랍
CN220124256U (zh) 层架可拆式书架
CN220713392U (zh) 一种置物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