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599B1 - 가구 도어틀 - Google Patents

가구 도어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599B1
KR101961599B1 KR1020180121432A KR20180121432A KR101961599B1 KR 101961599 B1 KR101961599 B1 KR 101961599B1 KR 1020180121432 A KR1020180121432 A KR 1020180121432A KR 20180121432 A KR20180121432 A KR 20180121432A KR 101961599 B1 KR101961599 B1 KR 10196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finishing
plate
do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호
Original Assignee
박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호 filed Critical 박광호
Priority to KR1020180121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28Mitre joints concealed to look like butt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5Mitre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6Door leaves with provisions for locks, hinges or other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 도어틀에 관한 것으로서,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틀에 있어,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마감판 장착공간과 차단판 장착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연결부분에 각각 결합되는 모서리 마감부; 및 상기 마감판 장착공간과 차단판 장착공간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마감판과 차단판으로 구성판 판재 마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가구 도어틀은 도어프레임의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과 설치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구 도어틀{Furniture door frame}
본 발명은 가구 도어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하고, 손잡이를 통해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가구 도어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에 사용되는 도어 문짝은 금속 또는 목재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목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도어 구조는 지지목을 이용하여 직사각형으로 도어의 문틀을 형성하고, 문틀 내에는 수개의 보강목을 배열하며, 상기 문틀의 양측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합판 또는 수입 판넬을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문짝의 표면재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합판에 유색도장을 하기도 하고, 가구용 페이퍼에 멜라민 수지 등으로 함침한 함침지를 접착한 후 사용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상기 모양지를 접착한 후에는 포리, 자오선 코팅, 스프레이 도장으로 마감하는 공정 등을 거쳐 생산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은 디자인 설계상 한계가 있으며,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입 판넬은 스킨, SMC 판넬로 일정한 모양을 프레스로 찍어낸 형상으로서 이 표면재는 디자인이 다양하지 못하여 수입에 의존해야 할 뿐만 아니라 고가여서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문틀은 나무로 제작됨에 따라서 휨이나 뒤틀림 현상과 각 나무 마다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색상 및 무늬결로 인하여 통일감이 결여되는 단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7221호 (2003.02.2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22564호 (2008.03.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프레임의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한 가구 도어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좌측 도어프레임 또는 우측 도어프레임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측면 또는 전방에 형성하여 도어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는 가구 도어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인 가구 도어틀은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틀에 있어,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마감판 장착공간과 차단판 장착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연결부분에 각각 결합되는 모서리 마감부; 및 상기 마감판 장착공간과 차단판 장착공간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마감판과 차단판으로 구성판 판재 마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은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외측 가장자리 둘레에는 전방을 향해 차단판 장착홈이 형성되는 차단판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 도어프레임 또는 우측 도어프레임에는 직각형상의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는 도어프레임의 측면 또는 차단판 절곡부의 전방에 형성되고, 내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프레임과 손잡이는 분리구성되면서 끼움 결합 또는 볼팅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거시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손잡이 마감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면 동일선상으로 마감판을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마감판이 고정 및 지지되는 직각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직각면에 위치한 마감판을 고정하는 마감판 장착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차단판 절곡부의 전면으로 일체로 구성되는 장식용 마감재가 부착되되, 상기 장식용 마감재는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는 자석부재와 사각형 형상으로 전면에 이미지가 표현되는 금속재질의 표시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구와 맞닿는 도어프레임의 전후방 끝단으로 연장 공간이 구비된 날개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 공간에는 다단 절곡형성되고 내면에는 일정간격으로 가압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내부 밀착부재와 상기 내부 밀착부재의 외부에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외부 완충부재로 구성되는 가압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구 도어틀은 도어프레임의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과 설치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구 도어틀은 좌측 도어프레임 또는 우측 도어프레임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측면 또는 전방에 형성하여 도어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도어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도어틀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도어틀을 나타낸 부분 분리 사시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도어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확대 단면도.
도 6(a) 내지 6(c)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도어틀 구성하는 프레임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 및 7(b)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도어틀을 구성하는 모서리 마감부의 내부 고정부재와 외부 고정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도어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도어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도어틀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도어틀을 나타낸 부분 분리 사시도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도어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확대 단면도이며, 도 6(a) 및 6(b)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도어틀 구성하는 프레임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a) 및 7(b)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도어틀을 구성하는 모서리 마감부의 내부 고정부재와 외부 고정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원발명인 가구 도어틀(100)은 미닫이식 도어 또는 여닫이식 도어에 따라 단독 또는 복수개수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구 도어틀(100)은 단독 또는 복수개수로 설치되는 미닫이식 도어 또는 여닫이식 도어에 대향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구 도어틀(100)은 프레임부(200), 모서리 마감부(300), 판재 마감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200)는 중공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2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을 조립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부(200)는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을 개별형성한 후 중공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끝단은 이웃하는 상기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과 원활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45°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200)는 전방을 향해 간격을 두고 마감판 장착공간(S1)과 차단판 장착공간(S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부(200)는 내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마감판 장착공간(S1)과 차단판 장착공간(S2)을 형성하여 판재 마감부(400)의 마감판(420)과 차단판(440)을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은 내부에 삽입공간(250)이 형성되고, 외측 가장자리 둘레에는 전방을 향해 차단판 장착홈(270)이 형성되는 차단판 절곡부(26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은 모서리 마감부(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동일선상에 삽입공간(250)을 형성하고, 가장자리 둘레에는 판재 마감부(400)의 차단판(44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차단판 장착홈(270)이 형성되는 차단판 절곡부(26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판 절곡부(260)는 판재 마감부(400)의 차단판(440)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해 직각 형상으로 절곡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측 도어프레임(230) 또는 우측 도어프레임(240)에는 직각형상의 손잡이(28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280)는 도어프레임(230, 240)의 측면 또는 차단판 절곡부(260)의 전방에 형성되고, 내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282)가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손잡이(280)는 미닫이식 도어 또는 여닫이식 도어에 따라 상기 좌측 도어프레임(230) 또는 우측 도어프레임(240)의 측면 또는 차단판 절곡부(260)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가구 도어틀(100)을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프레임(230, 240)과 손잡이(280)는 유지보수 및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분리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프레임(230, 240)과 손잡이(280)는 끼움 결합 또는 볼팅 결합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된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230, 240)에는 손잡이(280)의 제거시 미관과 안전사고를 고려하여 손잡이 마감구(290)가 끼움 결합 또는 볼팅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부(200)는 도시된 도 8 내지 10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8의 프레임부(200)는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내면으로 판재 마감부(400)의 마감판(42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마감판 장착구(500)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내면 동일선상에는 마감판(420)을 안내하는 경사면(212, 222, 232, 242)과 상기 마감판(420)이 고정 및 지지되는 직각면(214, 224, 234, 244)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12, 222, 232, 242)에는 직각면(214, 224, 234, 244)에는 마감판(420)을 고정하는 마감판 장착구(500)가 결합된다.
즉, 상기 마감판 장착구(500)는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경사면(212, 222, 232, 242)을 따라 마감판(420)을 삽입한 후, 상기 직각면(214, 224, 234, 244)에 마감판(420)을 장착한 다음, 상기 경사면(212, 222, 232, 242)에 마감판 장착구(500)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마감판(420)을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9의 프레임부(200)는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을 구성하는 차단판 절곡부(260)의 전면으로 일체로 구성되는 장식용 마감재(600)가 부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식용 마감재(600)는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에 장착되는 자석부재(620)와 사각형 형상으로 전면에 이미지가 표현되는 금속재질의 표시부재(6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장식용 마감재(600)는 탈부착 및 수거가 용이하도록 자석부재(620)와 금속재질의 표시부재(640)로 이루어져,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탈부착되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10의 프레임부(200)는 가구와 맞닿는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에 가압수단(70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해 가구와 맞닿는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전후방 끝단으로 연장 공간(S3)이 구비된 날개부(L)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 공간(S)에는 가구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가압수단(70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700)은 다단 절곡형성되고 내면에는 일정간격으로 가압 고정돌기(720)가 형성되는 내부 밀착부재(710)와 상기 내부 밀착부재(710)의 외부에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외부 완충부재(7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가압수단(700)은 내부 밀착부재(710)에 형성되는 공간과 가압 고정돌기(720)를 통해 가구를 고정 및 지지하고, 외부 완충부재(730)를 통해 연장 공간(S3)에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11의 프레임부(200)는 상측 도어프레임(210)의 상부에 소정구간 멈춤수단(800)을 장착하여, 도어가 장착된 가구 도어틀(100)의 작동 후 바람이나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가구 도어틀(1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멈춤수단(800)은 상기 상측 도어프레임(210)의 상부에 볼팅 결합을 통해 고정장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822)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소정구간 장착공간(824)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820), 상기 고정 브라켓(820)의 수용공간(822)에 상면(842)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부는 상기 장착공간(824)의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가압구(840), 상기 고정 브라켓(820)의 수용공간(822)에 장착되고 저면(862)은 가압구(840)의 상면(842)가 경사지게 접촉하고 상면은 가압구(840)의 작동에 따라 문틀과 접촉하는 멈춤구(8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멈춤수단(800)은 가압구(840)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에 따라 멈춤구(860)가 수직방향으로 상하작동하여 문틀에 밀착됨으로써 가구 도어틀(10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모서리 마감부(300)는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과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연결부분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 마감부(300)는 내부 고정부재(320)와 외부 고정부재(3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서리 마감부(300)는 외부 고정부재(340)를 제외하고 내부 고정부재(320)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고정부재(320)는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연결부분에 장착된다.
즉, 상기 내부 고정부재(320)는 상측 도어프레임(210)과 좌·우측 도어프레임(230, 240)의 연결부분과 하측 도어프레임(220)과 좌·우측 도어프레임(230, 240)의 연결부분에 각각 장착되면서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 고정부재(320)는 내부 몸체(322)에 수평방향으로 수평돌기부(324)가 형성되고 내부 몸체(322)의 수직방향으로 수직돌기부(326)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 고정부재(320)는 내부 몸체(322)를 기준으로 수평돌기부(324)와 수직돌기부(326)가 직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연결부분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 고정부재(340)는 도어프레임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연결부분의 연결부분에 장착된다.
즉, 상기 외부 고정부재(340)는 상측 도어프레임(210)과 좌·우측 도어프레임(230, 240)의 연결부분과 하측 도어프레임(220)과 좌·우측 도어프레임(230, 240)의 연결부분에 각각 장착되면서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연결부분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내부 고정부재(320)는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연결부분 내측을 고정하고, 상기 외부 고정부재(340)는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연결 부분의 외측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 고정부재(340)는 외부 몸체(342)에 수평방향으로 수평돌기부(344)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경사지게 경사돌기부(346)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외부 고정부재(340)는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연결부분에 배치되면서 상기 수평돌기부(344)가 상측 도어프레임(210) 또는 하측 도어프레임(220)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경사돌기부(346)가 좌측 도어프레임(230) 또는 우측 도어프레임(240)의 끝단 부분에 경사지게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판재 마감부(400)는 마감판(420)과 차단판(44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판재 마감부(400)는 마감판 장착공간(S1)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마감판(420)과 차단판 장착공간(S2)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차단판(440)으로 구성된다.
보충설명하면, 상기 판재 마감부(400)는 마감판(420) 또는 차단판(440) 또는 마감판(420)과 차단판(440)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감판 장착공간(S1)과 차단판 장착공간(S2)에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감판(420)과 차단판(440)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판재 형상으로 크기는 상기 마감판 장착공간(S1)과 차단판 장착공간(S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구 도어틀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부에 삽입공간(250)이 형성되고, 외측 가장자리 둘레에는 전방을 향해 차단판 장착홈(270)이 형성되는 차단판 절곡부(260)가 형성되는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을 각각 형성한다.
이때, 상기 좌측 도어프레임(230) 또는 우측 도어프레임(240)에는 직각형상의 손잡이(28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을 위치 및 환경에 맞게 절단한 후 끝단을 45°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 하, 좌, 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을 배치시킨 후 상기 상측 도어프레임(210)과 좌·우측 도어프레임(230, 240)의 연결부분과 하측 도어프레임(220)과 좌·우측 도어프레임(230, 240)의 연결부분에 내부 몸체(322)를 기준으로 수평돌기부(324)와 수직돌기부(326)가 직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내부 고정부재(320)를 장착한다.
즉, 상기 상, 하, 좌, 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에 각각 하나의 내부 고정부재(320)의 수평돌기부(324) 또는 수직돌기부(326)를 끼움 결합한 후 상기 내부 고정부재(320)의 수직돌기부(326) 또는 수평돌기부(324)에 상, 하, 좌, 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을 끼움 결합한 것이다.
이때, 상기 마감판 장착공간(S1)에 선택적으로 마감판(420)이 장착되고, 상기 차단판 장착공간(S2)에 선택적으로 차단판(44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 하, 좌, 우측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연결부분의 가장자리 부분에 외부 몸체(342)에 수평방향으로 수평돌기부(344)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경사지게 경사 돌기부(346)가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 고정부재(340)를 각각 장착하면, 가구 도어틀(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가구용 도어틀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마감판과 차단판이 구비된 가구 도어틀(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가구(예를 들면, 신발장, 상부장, 하부장 등)의 전면에 각각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가구용 도어틀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가구 도어틀
200 : 프레임부 210 : 상측 도어프레임
220 : 하측 도어프레임 230 : 좌측 도어프레임
240 : 우측 도어프레임 250 : 삽입공간
260 : 차단판 절곡부 270 : 차단판 장착홈
280 : 손잡이 282 : 미끄럼 방지돌기
290 : 손잡이 마감구 300 : 모서리 마감부
320 : 내부 고정부재 322 : 내부 몸체
324 : 수평돌기부 326 : 수직돌기부
340 : 외부 고정부재 342 : 외부 몸체
344 : 수평돌기부 346 : 경사돌기부
400 : 판재 마감부 420 : 마감판
440 : 차단판 500 : 마감판 장착구
600 : 장식용 마감재 620 : 자석부재
640 : 표시부재 700 : 가압수단
710 : 내부 밀착부재 720 : 가압 고정돌기
730 : 외부 완충부재 S1 : 마감판 장착공간
S2 : 차단판 장착공간 S3 : 연장 공간
L : 날개부

Claims (6)

  1. 미닫이식 또는 여닫이식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틀에 있어서,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마감판 장착공간과 차단판 장착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연결부분에 각각 결합되는 모서리 마감부; 및
    상기 마감판 장착공간과 차단판 장착공간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마감판과 차단판으로 구성판 판재 마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은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외측 가장자리 둘레에는 전방을 향해 차단판 장착홈이 형성되는 차단판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좌측 도어프레임 또는 우측 도어프레임에는 직각형상의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는 도어프레임의 측면 또는 차단판 절곡부의 전방에 형성되고, 내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가구와 맞닿는 도어프레임의 전후방 끝단으로 연장 공간이 구비된 날개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 공간에는 다단 절곡형성되고 내면에는 일정간격으로 가압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내부 밀착부재와 상기 내부 밀착부재의 외부에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외부 완충부재로 구성되는 가압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도어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과 손잡이는 분리구성되면서 끼움 결합 또는 볼팅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의 제거시에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손잡이 마감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도어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면 동일선상으로 마감판을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마감판이 고정 및 지지되는 직각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직각면에 위치한 마감판을 고정하는 마감판 장착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도어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좌·우측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차단판 절곡부의 전면으로 일체로 구성되는 장식용 마감재가 부착되되,
    상기 장식용 마감재는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는 자석부재와 사각형 형상으로 전면에 이미지가 표현되는 금속재질의 표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도어틀.
  6. 삭제
KR1020180121432A 2018-10-12 2018-10-12 가구 도어틀 KR101961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432A KR101961599B1 (ko) 2018-10-12 2018-10-12 가구 도어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432A KR101961599B1 (ko) 2018-10-12 2018-10-12 가구 도어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599B1 true KR101961599B1 (ko) 2019-03-22

Family

ID=6594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432A KR101961599B1 (ko) 2018-10-12 2018-10-12 가구 도어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59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80Y1 (ko) * 2019-07-30 2020-01-31 박광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KR102088617B1 (ko) * 2019-07-30 2020-03-12 박광호 가구용 도어틀
KR200491281Y1 (ko) * 2019-07-30 2020-03-12 박광호 가구 도어틀용 손잡이 도어프레임
KR200491434Y1 (ko) * 2019-12-26 2020-04-07 서병열 가구용 도어틀
KR102137684B1 (ko) * 2020-03-24 2020-07-24 서병열 가구용 도어틀
KR102137685B1 (ko) * 2020-03-24 2020-07-24 서병열 가구용 도어틀
EP3783185A1 (de) * 2019-08-20 2021-02-24 Immanuel Fallner Rahmentürprofil und daraus gefertigte rahmentür
CN113581231A (zh) * 2021-08-16 2021-11-02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模块化组装下侧门
KR20240005549A (ko) 2022-07-05 2024-01-12 박광호 가구용 도어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221Y1 (ko) 2002-12-13 2003-03-12 명창배 가구용 도어 프레임
KR20050104119A (ko) * 2004-04-28 2005-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장식판의 탈부착이 용이한 냉장고 도어구조
KR200412670Y1 (ko) * 2006-01-20 2006-03-29 김찬수 가구 손잡이 마감캡
KR20080014382A (ko) * 2006-08-11 2008-02-14 (주)대흥시스템 도어용 안전손잡이
KR20080022564A (ko) 2008-02-20 2008-03-11 최충희 가구용 도어 패널
KR20170004599A (ko) * 2015-07-03 2017-01-11 박세진 타일을 가지는 가구용 도어 패널
KR101765875B1 (ko) * 2016-06-28 2017-08-08 박광호 가구용 도어틀
KR20170135552A (ko) * 2016-05-31 2017-12-08 차문환 도어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221Y1 (ko) 2002-12-13 2003-03-12 명창배 가구용 도어 프레임
KR20050104119A (ko) * 2004-04-28 2005-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장식판의 탈부착이 용이한 냉장고 도어구조
KR200412670Y1 (ko) * 2006-01-20 2006-03-29 김찬수 가구 손잡이 마감캡
KR20080014382A (ko) * 2006-08-11 2008-02-14 (주)대흥시스템 도어용 안전손잡이
KR20080022564A (ko) 2008-02-20 2008-03-11 최충희 가구용 도어 패널
KR20170004599A (ko) * 2015-07-03 2017-01-11 박세진 타일을 가지는 가구용 도어 패널
KR20170135552A (ko) * 2016-05-31 2017-12-08 차문환 도어 조립구조
KR101765875B1 (ko) * 2016-06-28 2017-08-08 박광호 가구용 도어틀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80Y1 (ko) * 2019-07-30 2020-01-31 박광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KR102088617B1 (ko) * 2019-07-30 2020-03-12 박광호 가구용 도어틀
KR200491281Y1 (ko) * 2019-07-30 2020-03-12 박광호 가구 도어틀용 손잡이 도어프레임
EP3783185A1 (de) * 2019-08-20 2021-02-24 Immanuel Fallner Rahmentürprofil und daraus gefertigte rahmentür
KR200491434Y1 (ko) * 2019-12-26 2020-04-07 서병열 가구용 도어틀
WO2021132980A1 (ko) * 2019-12-26 2021-07-01 서병열 가구용 도어틀
KR102137684B1 (ko) * 2020-03-24 2020-07-24 서병열 가구용 도어틀
KR102137685B1 (ko) * 2020-03-24 2020-07-24 서병열 가구용 도어틀
CN113581231A (zh) * 2021-08-16 2021-11-02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模块化组装下侧门
KR20240005549A (ko) 2022-07-05 2024-01-12 박광호 가구용 도어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599B1 (ko) 가구 도어틀
US6736470B2 (en) Molded plastic dishwasher door assembly
US20170258249A1 (en) Art wall for customized installation of shelves
KR20190002256U (ko) 욕실장 미닫이식 개폐문의 구조
KR101765875B1 (ko) 가구용 도어틀
KR20170026998A (ko) 욕실장용 롤러 브래킷과 프레임의 조립장치
KR200393512Y1 (ko) 조립식 화장실 도어의 안전보호대
KR200382764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KR101693777B1 (ko) 뒤틀림 및 휨 방지용 도어
KR101122579B1 (ko) 도어의 장식판 설치구조
KR200475790Y1 (ko) 우드프레임이 구비된 강화유리 선반
KR200382765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KR102631835B1 (ko) 가구용 도어틀
WO2019029075A1 (zh) 一种具有铰链固定架的边框结构及柜门
KR200434569Y1 (ko) 가구용 패널의 측면 마감부재
WO2005071206A1 (en) A corner cap
KR200439806Y1 (ko)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및 그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
KR20120006457U (ko) 가구용 도어 구조
KR200382763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KR200382762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KR102049416B1 (ko)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
KR200319069Y1 (ko) 붙박이장용 문짝
KR20110095683A (ko) 가구용 판넬
KR101240368B1 (ko) 라운드 여닫이 욕실용 수납장
CN209252083U (zh) 用于橱柜及木门的装饰卡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