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416B1 -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416B1
KR102049416B1 KR1020190112065A KR20190112065A KR102049416B1 KR 102049416 B1 KR102049416 B1 KR 102049416B1 KR 1020190112065 A KR1020190112065 A KR 1020190112065A KR 20190112065 A KR20190112065 A KR 20190112065A KR 102049416 B1 KR102049416 B1 KR 102049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cover
spac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Priority to KR102019011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r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내부에 안전망을 삽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스로 가압하여 안전망을 고정하므로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커버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된 결합공간에 손잡이를 간편하게 결합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마감처리가 미려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of safety mosquito net}
본 발명은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 내부에 안전망을 삽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스로 가압하여 안전망을 고정하므로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커버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된 결합공간에 손잡이를 간편하게 결합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마감처리가 미려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단독주택의 창문에는 외부로부터 모기나 파리 등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을 설치하는데, 상기 방충망은 통상 가는 수지 또는 철선을 엮어서 만든 안전망을 유리에 대체하여 창호 틀에 부설하여서 창틀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방충망은 안전망을 지지프레임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에 의해 안전망과 지지프레임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안전망 고정방법은 체결볼트를 풀게 되면 안전망이 쉽게 분리될 뿐만 아니라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안전망과 체결볼트의 연결부위에 집중되기 때문에 안전망이 쉽게 뜯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방충망은 지지프레임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는 방충망을 개폐하기 위한 파지부재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는 지지프레임의 일측 표면에 고정스크류를 통해 나사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손잡이 고정방법은 손잡이의 고정력이 취약할 뿐 아니라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고정스크류의 고정부위가 헐거워지면서 손잡이가 움직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를 지지프레임에 고정할 때 고정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으므로 손잡이를 고정할 때마다 고정위치가 달라져 제품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990호(2005.11.04.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6373호(2013.04.05. 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프레임 내부에 안전망을 삽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스로 가압하여 안전망을 고정하므로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높이는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된 결합공간에 손잡이를 결합하므로 조립이 간편하고 마감처리가 미려한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는, 격벽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고정공간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설치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공간의 양측에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격벽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설치공간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결합편이 탄력있게 결합되어 설치공간을 폐쇄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중앙부가 일부 절단되어 형성되는 결합공간;
상기 결합공간에 몸체가 결합되어 지지대를 수용하면서 격벽과 지지대가 직교되는 모서리부에 고정턱이 고정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결합공간에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몸체의 일측에 지지대를 수용하도록 절곡형성되는 절곡편편;
상기 절곡편의 단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턱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와 절곡편의 가장자리에 연장형성되어 프레임과 커버의 단부를 덮어 마감처리하는 덮개편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프레임 내부에 안전망을 삽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스로 가압하여 안전망을 고정하므로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커버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된 결합공간에 손잡이를 간편하게 결합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마감처리가 미려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안전방충망의 정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커버를 절단하여 형성된 결합공간에 손잡이를 결합하는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 손잡이가 결합공간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안전방충망의 정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100)는, 프레임(110), 커버(120), 결합공간(130), 손잡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안전방충망의 틀을 구성하는 것으로, 격벽(111)을 기준으로 실외 측인 일측에는 고정공간(112)이 형성되고, 실내 측인 타측에는 설치공간(113)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13)이 형성된 프레임(110)의 내부 양측면에는 결합돌기(11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111)의 단부에는 수직으로 지지대(11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110)의 고정공간(112)에는 안전망(10)이 고정된다.
상기 안전망(10)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안전망(10)의 가장자리를 고정공간(112)의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안전망(10) 일측의 고정공간(112)으로 고정부재(20)를 삽입한다.
이때, 실외 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21)는 고정공간(112)에 형성된 고정홈 측으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 가압수단으로 격벽(111)을 가압하게 되면 가압돌기가 고정부재(20) 측인 외향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고정부재(20)를 고정홈 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고정돌기(21)는 금속재질의 안전망(10)을 고정홈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120)는 프레임(110)의 설치공간(113)을 폐쇄하여 마감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결합편(121)이 프레임(110)에 형성된 결합돌기(114)에 탄력있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공간(130)은 프레임(110)의 설치공간(113)을 폐쇄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커버(120)의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간(130)은 프레임(110)의 전체 길이 중에서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140)는 커버(120)의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된 결합공간(130)에 결합되며, 몸체(141), 결합홈(142), 절곡편(143), 고정턱(1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공간(130)으로 결합되는 몸체(141)의 외측면에는 프레임이 형성된 결합돌기에 결합되도록 결합홈(142)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41)의 일측에는 프레임(110)의 지지대(115)를 수용하도록 절곡편(143)이 절곡형성되며, 성기 절곡편(143)의 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고정턱(144)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41)와 절곡편(143)의 가장자리는 덮개편(145)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덮개편(145)은 프레임(110)과 커버(120)의 단부를 덮어 마감처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손잡이(140)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41)를 결합공간(130) 상부에 위치시킨 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몸체가 설치공간 내부로 결합됨과 동시에 절곡편은 지지대를 수용하게 되고 절곡편에 형성된 고정턱은 프레임의 지지대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이 결합돌기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턱(은 격벽과 지지대가 직교되는 모서리 부분에 탄력있게 고정되면서 손잡이(14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몸체(141)와 절곡편(143)에 외향으로 연장형성된 덮개편(145)은 프레임(110)의 단부 및 커버(120)의 단부를 덮으면서 마감처리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커버(120)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에서, 결합공간(130)에 손잡이(140)를 결합하므로 손잡이(140)의 설치가 간편하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프레임 구조
110: 프레임
111: 격벽
112: 고정공간
113: 설치공간
114: 결합돌기
115: 지지대
120: 커버
121: 결합편
130: 결합공간
140: 손잡이
141: 몸체
142: 결합홈
143: 절곡편
144: 고정턱
145: 덮개편

Claims (3)

  1. 격벽(11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고정공간(112)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설치공간(113)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공간(113)의 양측에 결합돌기(114)가 구비되고, 상기 격벽(111)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15)가 구비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설치공간(113)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14)에 결합편(121)이 탄력있게 결합되어 설치공간(113)을 폐쇄하는 커버(120);
    상기 커버(120)의 중앙부가 일부 절단되어 형성되는 결합공간(130);
    상기 결합공간(130)에 몸체(141)가 결합되어 지지대(115)를 수용하면서 격벽(111)과 지지대(115)가 직교되는 모서리부에 고정턱(144)이 고정되는 손잡이(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손잡이(140)는,
    상기 결합공간(130)에 결합되는 몸체(141);
    상기 몸체(14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42);
    상기 몸체(141)의 일측에 지지대(115)를 수용하도록 절곡형성되는 절곡편(143);;
    상기 절곡편(143)의 단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턱(14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141)와 절곡편(143)의 가장자리에 연장형성되어 프레임(110)과 커버(120)의 단부를 덮어 마감처리하는 덮개편(14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
KR1020190112065A 2019-09-10 2019-09-10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 KR102049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65A KR102049416B1 (ko) 2019-09-10 2019-09-10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065A KR102049416B1 (ko) 2019-09-10 2019-09-10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416B1 true KR102049416B1 (ko) 2020-01-08

Family

ID=6915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065A KR102049416B1 (ko) 2019-09-10 2019-09-10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4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0Y1 (ko) 2005-08-08 2005-11-15 정장훈 출입문용 방충망
KR20110010472U (ko) *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강화방충망 조립구조
KR101575664B1 (ko) * 2015-05-05 2015-12-08 (주)성광유니텍 압력가압수단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망체를 창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범창
KR101811816B1 (ko) * 2017-03-24 2017-12-22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2중 구조의 안전방충망
KR20180083503A (ko) * 2017-01-13 2018-07-23 이우권 방충망 이탈방지용 프레임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0Y1 (ko) 2005-08-08 2005-11-15 정장훈 출입문용 방충망
KR20110010472U (ko) *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강화방충망 조립구조
KR200466373Y1 (ko) 2010-04-30 2013-04-26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강화방충망 조립구조
KR101575664B1 (ko) * 2015-05-05 2015-12-08 (주)성광유니텍 압력가압수단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망체를 창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범창
KR20180083503A (ko) * 2017-01-13 2018-07-23 이우권 방충망 이탈방지용 프레임 조립체
KR101811816B1 (ko) * 2017-03-24 2017-12-22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2중 구조의 안전방충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7184A (en) Door and window frame
US20200048894A1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JP6006357B2 (ja) 止水部材及び外壁構造
KR20100012397U (ko) 문짝용 프레임
KR102049416B1 (ko)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
JP5110931B2 (ja) コーナー被覆具及びコーナー構造
JP3355525B2 (ja) サッシ窓用窓枠の上枠
JP2008184835A (ja) 門装置
KR102196153B1 (ko) 복합창호
KR200393561Y1 (ko) 복합 기능창
JP4140843B2 (ja) 建物用屋根
US6860072B2 (en) Retrofit casing head apparatus and method
KR102018426B1 (ko) 재단 및 조립이 용이한 입면 분할 창호
WO2005071206A1 (en) A corner cap
JPS5831984Y2 (ja) 額縁装置
JP4981710B2 (ja) 断熱建具
KR102152518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KR200398165Y1 (ko) 블라인드 유리를 구비한 칸막이
KR101719457B1 (ko) 신속 설치 및 미려한 마감이 가능한 창호 리모델링용 마감 부재
JP2007032210A (ja) 連窓における嵌め殺し窓の障子取り付け構造
KR200241259Y1 (ko) 칸막이설치용 찬넬
KR101913136B1 (ko) 붙박이장 마감용 몰딩
JPH0317033Y2 (ko)
JP2006283282A (ja) デッキ床の幕板取付金具及びデッキ床
JP4442414B2 (ja) 見切り材及びその階段へ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