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0Y1 - 출입문용 방충망 - Google Patents

출입문용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0Y1
KR200400990Y1 KR20-2005-0022854U KR20050022854U KR200400990Y1 KR 200400990 Y1 KR200400990 Y1 KR 200400990Y1 KR 20050022854 U KR20050022854 U KR 20050022854U KR 200400990 Y1 KR200400990 Y1 KR 200400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opening
closing
net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장훈
Original Assignee
정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훈 filed Critical 정장훈
Priority to KR20-2005-0022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3Horizontally moving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1Loc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관 출입문과 같이 사람이 출입하는 장소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개폐 가능한 출입문용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방충망은, 안내홈(13)이 형성된 가로문틀(11)과 가로문틀(11)을 연결하는 세로문틀(12)을 구비하는 문틀(10); 가로문틀(11)의 안내홈(13)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지주(20); 개폐지주(20)와 세로문틀(12) 사이에 안내홈(11)을 따라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말대(30); 중간부분은 말대(30)에 고정되고 일단은 개폐지주(20)에 고정되며 타단은 말대(30)를 중심으로 개폐지주(20)의 반대쪽에 있는 좌측 세로문틀(12)에 고정되어서, 개폐지주(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말대(30)에 대해 감기고 풀림으로써 걷고 펼치어져 개폐되는 그물망(40); 그물망(40)이 말대(30)에 감겨서 그물망(40)이 접혀지는 쪽으로 말대(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0); 및 개폐지주(20)의 좌우이동을 록킹하여 그물망(40)이 펼치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록킹장치(60)를 포함하는 출입문용 방충망(1)으로서, 개폐지주(20)와 좌측 세로문틀(12)은, 그물망(40)이 감겨진 상태의 말대(30)의 외부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말대수용부(70)를 형성하고, 말대수용부(70)에 그물망(40)이 감겨진 상태의 말대(30)가 수용되어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출입문용 방충망{MOTH-PROOF NET FOR DOOR}
(기술분야)
본 고안은 방충망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현관 출입문과 같이 사람이 출입하는 장소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개폐 가능한 그물망이 구비된 출입문용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해충을 차단하기 위해 출입문이나 창문 등에 설치되는 방충망에는, 필요에 따라 방충망을 치고 걷을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식 방충망이 있다. 현관 출입문과 같이 사람의 왕래가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개폐식 방충망으로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54559호(2004년 6월 25일 공고)의 '출입문용 방충망'이 있다.
도6은 종래 방충망의 분해사시도, 도7은 종래 방충망의 개폐 상태의 개략평면도, 도8은 종래 방충망의 개방된 상태의 부분 개략정면도, 도9는 종래 방충망의 개방된 상태의 부분 상세 평면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출입문용 방충망(100)은, 안내홈(113)이 형성된 가로문틀(111)과 상기 가로문틀(111)을 연결하는 세로문틀(112)을 구비하는 문틀(110), 상기 가로문틀(111)의 안내홈(113)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지주(120), 상기 개폐지주(120)와 상기 세로문틀(112) 사이에 상기 안내홈(111)을 따라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말대(130), 중간부분은 상기 말대(130)에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개폐지주(120)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말대(130)를 중심으로 상기 개폐지주(12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좌측 세로문틀(112)에 고정되어서 상기 개폐지주(1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말대(130)에 대해 감기고 풀림으로써 걷고 펼치어져 개폐되는 그물망(140), 상기 그물망(140)이 상기 말대(130)에 감겨서 상기 그물망(140)이 접혀지는 쪽으로 상기 말대(1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0), 및 상기 개폐지주(120)의 좌우이동을 록킹하여 상기 그물망(140)이 펼치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록킹장치(1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방충망(100)은, 말대(130)를 회전시켜서 그물망(140)이 말대(130)에 감겨 접혀지게 하는 쪽(개방 쪽)으로 스프링(150)의 탄성이 작용하므로 개폐지주(120)를 록킹장치(160)로 우측 세로문틀(112)에 고정시켜 두지 않으면, 스프링의 탄성으로 말대(130)에 그물망(140)이 감기면서 개폐지주(120)는 좌측 세로문틀(112) 쪽으로 이동하여 있게 되고, 이로써 방충망(100)은 개방상태가 된다.
상기 종래의 방충망(100)을 치고자 할 경우에는 스프링(150)의 탄성을 극복할 수 있은 힘으로 개폐지주(12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그물망(140)이 말대(130)로부터 풀리고 펼쳐지면서 폐쇄상태가 되며, 이런 폐쇄상태는 록킹장치(160)에 의해 유지되고, 록킹장치(160)를 해제하면 스프링(150)에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말대(130)가 회전하면서 그물망(140)을 감아서 접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충망(100)은,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140)을 친 상태에서 말대(130)가 그물망(140)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는 미관상 좋지 않은 점이 있긴 하지만, 현관의 출입문과 같이 사람의 왕래가 있는 곳에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그물망을 치고 걷기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방충망(100)은,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140)을 걷은 상태에서 말대(130)가 좌측 세로문틀(112)과 개폐지주(120) 사이에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출입구의 폭을 좁아지게 만들어 대형 가전제품의 출입을 어렵게 하고, 걷어 놓은 그물망(140)에 떼가 끼게 하는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6에서 도면부호 114는 문틀(110)을 조립하기 위한 연결구이고, 도면부호 115는 틈새를 막아주기 위한 커버이고, 도9에서 도면부호 141 내지 143은 그물망(141)을 문틀(110), 개폐지주(120) 및 말대(130)의 슬롯에 고정시키기 위한 파스너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출입문용 방충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말대에 그물망을 감는 구조로 되어 있는 출입문용 방충망에 있어서, 그물망이 말대에 완전히 감겨 그물망이 개방된 상태에서 그물망과 말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충망의 설치에 따른 출입구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그물망의 노출에 따른 그물망의 오염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출입문용 방충망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용 방충망은, 문틀, 개폐지주, 말대, 그물망, 스프링, 록킹장치, 및 말대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문틀은 안내홈이 형성된 가로문틀과 상기 가로문틀을 연결하는 세로문틀을 구비한다.
상기 개폐지주는 상기 가로문틀의 안내홈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말대는 상기 개폐지주와 상기 세로문틀 사이에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그물망은 중간부분은 상기 말대에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개폐지주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말대를 중심으로 상기 개폐지주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좌측 세로문틀에 고정되어서 상기 개폐지주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말대에 대해 감기고 풀림으로써 걷고 펼치어져 개폐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그물망이 상기 말대에 감겨서 상기 그물망이 접혀지는 쪽으로 상기 말대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개폐지주의 좌우이동을 록킹하여 상기 그물망이 펼치어진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말대수용부는 상기 그물망이 감겨진 상태의 상기 말대의 외부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개폐지주와 상기 좌측 세로문틀의 서로 마주보는 면을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형성하고, 상기 말대수용부에는 상기 그물망이 감겨진 상태의 상기 말대가 수용되어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용 방충망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용 방충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의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의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의 개방된 상태의 부분 개략정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의 개방된 상태의 부분 상세 평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용 방충망(1)은, 상하좌우의 문틀(10), 개폐지주(20), 말대(30), 그물망(40), 스프링(50), 록킹장치(60) 및 말대수용부(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문틀(10)은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각각 안내홈(13)이 형성된 2개의 가로문틀(11)과 상기 가로문틀(11)을 상하로 연결하는 2개의 세로문틀(12)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4개의 L자형 연결구(14)를 사용하여 직사각형 형상으로 조립된다.
상기 개폐지주(20)는 가로문틀(11)의 마주보는 상하의 안내홈(13)에 걸쳐서 좌우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삽입 장착된다.
상기 말대(30)는 세로문틀(12) 사이에 상기 개폐지주(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하의 가로문틀(11)의 안내홈(13)에 좌우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으면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말대(30)가 좌측 세로문틀(12)과 개폐지주(20) 사이에 배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그물망(40)은 해충의 유입을 막기 위한 망상으로 직조된 통상의 그물망으로서, 그 중간부분이 말대(30)에 고정되고 일단은 개폐지주(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좌측 세로문틀(12)에 고정되어 있으며, 개폐지주(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말대(30)에 감기고 풀림으로써 걷고 펼치어지게 된다.
상기 스프링(50)은 그물망(40)이 말대(30)에 감겨서 그물망(40)이 접혀지는 쪽으로 말대(3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스프링(50)은 원형의 관으로 되어 있는 말대(30)에 길게 삽입되어 있으며, 스프링(50)의 상단에는 말대(30)가 회전하여도 스프링(50)의 상단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안내홈(13)에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유지구(51)가 끼워져 있고, 스프링(50)의 하단에는 말대(30)가 회전하면 스프링(50)의 하단이 말대(30)와 함께 회전되도록 스프링(50)의 하단을 말대(30)에 유지시키는 회전유지구(52)가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은 안내홈(13), 스프링(50) 및 말대(30)의 결합관계에 따라 말대(30)를 회전시키면 스프링(50)의 일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프링(50)의 타단을 회전시켜 감겨지게 하므로 스프링(50)에 탄성력이 저장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스프링(50)에 탄성력(50)이 저장되는 상태는 개폐지주(20)를 우측 세로문틀(12)로 당겨서 그물망(40)이 펼쳐지게 한 상태이며, 이런 상태에서 개폐지주(20)를 놓으면 감겨 있던 스프링(50)이 풀리면서 말대(30)가 회전하고 말대(30)에 그물망(40)이 감기면서 개폐지주(20)가 좌측 세로문틀(12)로 이동하고, 이로써 그물망(30)이 접혀지게 된다.
그물망(40)을 펼친 상태는 스프링(50)을 강제로 돌려서 탄성력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그물망(40)을 펼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면 개폐지주(20)가 좌측 세로문틀(12)로 이동하려고 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하는바,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방충망(1)에는 록킹장치(60)가 설치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개폐지주(20)와 우측 세로문틀(12) 사이에 록킹과 해제가 용이한 통상의 록킹장치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1)의 구조는 도6을 통해 설명한 종래의 방충망(100)의 범주에 속하는 내용들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개폐지주(20)와 상기 좌측 세로문틀(12)은,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40)이 말대(30)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개폐지주(20)와 상기 좌측 세로문틀(12)이 그물망(40)과 말대(30)를 감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특징적인 형상을 가진다.
즉, 개폐지주(20)와 좌측 세로문틀(12)은 가운데에 말대(30)가 위치하게 되는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이 그물망(40)이 감긴 말대(30)의 외부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말대수용부(70)를 형성하며, 상기 말대수용부(70)에는 그물망(40)이 감겨진 상태의 말대(30)가 수용되어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좌측 세로문틀(12)의 우측면이 반원 형성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개폐지주(20)의 좌측면도 반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좌측 세로문틀(12)과 개폐지주(20)가 서로 인접해 위치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원형 공간의 말대수용부(70)가 형성되게 되고, 이런 원형의 말대수용부(70)에 그물망(40)이 감겨진 말대(30)가 수용된다.
이와 같이 그물망(40)이 접혀진 개방상태에서 말대(30)와 그물망(40)이 말대수용부(70)에 수납된 상태가 되어 그물망(40)이 감겨진 말대(30)의 직경에 해당하는 만큼 그물망(40)을 더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방충망의 설치에 따른 출입구의 폭 좁아짐을 상기 직경에 해당하는 만큼 줄일 수 있고, 또한 그물망(40)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그물망(40)을 치지 않은 상태에서의 그물망(4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미관상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말대수용부(70)가 점유하게 되는 공간은 좌측 세로문틀(12)과 개폐지주(20)를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므로 말대수용부(70)의 형성에 따른 점유공간증가는 거의 없게 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좌측 세로문틀(12)과 개폐지주(20)에는 양측 코너에 슬릿(15, 2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파스너(41)를 사용하여 그물망(40)의 단부를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도5 참조).
설명되지 않은 도5의 도면부호 42는 그물망(40)을 말대(30)에 고정하기 위한 파스너이고, 도1의 도면부호 16은 틈새를 막아주기 위한 커버, 도4의 도면부호 22는 손잡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출입문용 방충망에 의하면, 그물망이 말대에 완전히 감겨 그물망이 개방된 상태에서 그물망과 말대가 좌측 세로문틀(12)과 개폐지주(20)에 의해 형성되는 말대수용부(70)에 감싸져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함으로 방충망의 설치에 따른 출입구의 폭이 좁아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물망의 노출에 따른 미관상의 문제와 그물망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의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의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의 개방된 상태의 부분 개략정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의 개방된 상태의 부분 상세 평면도,
도6은 종래 방충망의 분해사시도,
도7은 종래 방충망의 개폐 상태의 개략평면도,
도8은 종래 방충망의 개방된 상태의 부분 개략정면도,
도9는 종래 방충망의 개방된 상태의 부분 상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방충망 10, 11, 12: (가로, 세로)문틀
13: 안내홈 14: 연결구 15, 21: 슬릿
20: 개폐지주 30: 말대 40: 그물망
41: 파스너 50: 스프링 51: 고정유지구
52: 회전유지구 60: 록킹장치 70: 말대수용부

Claims (2)

  1. 안내홈(13)이 형성된 가로문틀(11)과 상기 가로문틀(11)을 연결하는 세로문틀(12)을 구비하는 문틀(10); 상기 가로문틀(11)의 안내홈(13)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지주(20); 상기 개폐지주(20)와 상기 세로문틀(12) 사이에 상기 안내홈(11)을 따라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말대(30); 중간부분은 상기 말대(30)에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개폐지주(20)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말대(30)를 중심으로 상기 개폐지주(2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좌측 세로문틀(12)에 고정되어서, 상기 개폐지주(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말대(30)에 대해 감기고 풀림으로써 걷고 펼치어져 개폐되는 그물망(40); 상기 그물망(40)이 상기 말대(30)에 감겨서 상기 그물망(40)이 접혀지는 쪽으로 상기 말대(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0); 및 상기 개폐지주(20)의 좌우이동을 록킹하여 상기 그물망(40)이 펼치어진 상태로 유지하는 록킹장치(60)를 포함하는 출입문용 방충망(1)에 있어서,
    상기 개폐지주(20)와 상기 좌측 세로문틀(12)은, 상기 그물망(40)이 감겨진 상태의 상기 말대(30)의 외부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말대수용부(70)를 형성하고, 상기 말대수용부(70)에 상기 그물망(40)이 감겨진 상태의 상기 말대(30)가 수용되어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충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지주(20)와 상기 좌측 세로문틀(12)에는 그물망(40)의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릿(15, 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방충망.
KR20-2005-0022854U 2005-08-08 2005-08-08 출입문용 방충망 KR200400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854U KR200400990Y1 (ko) 2005-08-08 2005-08-08 출입문용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854U KR200400990Y1 (ko) 2005-08-08 2005-08-08 출입문용 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0Y1 true KR200400990Y1 (ko) 2005-11-15

Family

ID=4370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854U KR200400990Y1 (ko) 2005-08-08 2005-08-08 출입문용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9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57B1 (ko) * 2007-05-02 2010-03-12 이제택 설치가 용이한 방충망틀
KR101005256B1 (ko) * 2008-08-06 2011-01-04 정장훈 시공이 용이한 문턱 없는 출입문용 방충망
KR200458551Y1 (ko) 2008-12-24 2012-02-27 이제택 가이드바가 구비된 방충망 틀
KR101237422B1 (ko) 2011-01-14 2013-02-27 한태영 방충장치
KR200469018Y1 (ko) * 2012-02-27 2013-09-11 정장훈 방충망의 권취스프링 풀림방지장치
WO2017047837A1 (ko) * 2015-09-15 2017-03-23 정지성 출입문용 개폐식 스크린 장치
KR102049416B1 (ko) 2019-09-10 2020-01-08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
KR200492294Y1 (ko) * 2019-05-23 2020-09-11 (주)다우솔루션 방충망 문틀 프레임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977A (ja) * 1996-06-07 1997-12-22 Tostem Corp 折畳み式建具
JP2000230381A (ja) * 1999-02-12 2000-08-22 Seiki Hanbai Kk 横引き網戸におけるネットガイド
KR200233507Y1 (ko) * 2001-03-02 2001-09-28 홍인학 출입문용 방충망
JP2002201881A (ja) * 2000-12-27 2002-07-19 Kawaguchi Giken Inc 網戸装置
JP2003138870A (ja) * 2001-11-01 2003-05-14 Toshimaro Nakatani 巻取自在の面体装置
KR200340805Y1 (ko) * 2003-11-10 2004-02-05 남이식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
KR100439670B1 (ko) * 2000-10-24 2004-07-12 남이식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KR200373712Y1 (ko) * 2004-09-09 2005-01-21 홍양일 출입문용 방충망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8977A (ja) * 1996-06-07 1997-12-22 Tostem Corp 折畳み式建具
JP2000230381A (ja) * 1999-02-12 2000-08-22 Seiki Hanbai Kk 横引き網戸におけるネットガイド
KR100439670B1 (ko) * 2000-10-24 2004-07-12 남이식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JP2002201881A (ja) * 2000-12-27 2002-07-19 Kawaguchi Giken Inc 網戸装置
KR200233507Y1 (ko) * 2001-03-02 2001-09-28 홍인학 출입문용 방충망
JP2003138870A (ja) * 2001-11-01 2003-05-14 Toshimaro Nakatani 巻取自在の面体装置
KR200340805Y1 (ko) * 2003-11-10 2004-02-05 남이식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
KR200373712Y1 (ko) * 2004-09-09 2005-01-21 홍양일 출입문용 방충망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57B1 (ko) * 2007-05-02 2010-03-12 이제택 설치가 용이한 방충망틀
KR101005256B1 (ko) * 2008-08-06 2011-01-04 정장훈 시공이 용이한 문턱 없는 출입문용 방충망
KR200458551Y1 (ko) 2008-12-24 2012-02-27 이제택 가이드바가 구비된 방충망 틀
KR101237422B1 (ko) 2011-01-14 2013-02-27 한태영 방충장치
KR200469018Y1 (ko) * 2012-02-27 2013-09-11 정장훈 방충망의 권취스프링 풀림방지장치
WO2017047837A1 (ko) * 2015-09-15 2017-03-23 정지성 출입문용 개폐식 스크린 장치
KR200492294Y1 (ko) * 2019-05-23 2020-09-11 (주)다우솔루션 방충망 문틀 프레임
KR102049416B1 (ko) 2019-09-10 2020-01-08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안전방충망의 프레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990Y1 (ko) 출입문용 방충망
KR101005256B1 (ko) 시공이 용이한 문턱 없는 출입문용 방충망
KR20180032296A (ko) 롤식 방충망 장치
KR101562365B1 (ko) 출입문용 개폐식 스크린 장치
US6470511B1 (en) Shower screens
RU2348783C2 (ru) Окно с сеткой
KR200462728Y1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200340805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
KR20060017478A (ko) 여닫이 출입문용 방범장치및 분리 회동형 방충장치의케이스
KR100651633B1 (ko) 아코디언식 방충망
KR200487195Y1 (ko) 롤스크린을 구비한 방충문
KR101096852B1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WO2006038302A1 (ja) 横引き網戸
JP3622077B2 (ja) 収納網戸
KR102477901B1 (ko)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KR101804435B1 (ko) 시야 확보 영역을 극대화한 캐터필러형 방충망
KR200419330Y1 (ko) 방충망의 현수롤러블록
KR200256852Y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JP2604856Y2 (ja) 網 戸
KR200398812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열림방지구조
KR200367891Y1 (ko) 여닫이출입문용 방범장치의 상부레일과 방충장치의케이스가 하나로 압출성형된 방범및 방충장치.
KR101163073B1 (ko) 망 고정용 핀이 구비된 현장 맞춤형 방충망
JP2000096957A (ja) 摺動式スクリーンユニット
KR930002729Y1 (ko) 개폐식 방충장치
KR200368421Y1 (ko) 여닫이 출입문용 방범장치및 분리 회동형 방충장치의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