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397U - 문짝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문짝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397U
KR20100012397U KR2020100012109U KR20100012109U KR20100012397U KR 20100012397 U KR20100012397 U KR 20100012397U KR 2020100012109 U KR2020100012109 U KR 2020100012109U KR 20100012109 U KR20100012109 U KR 20100012109U KR 20100012397 U KR20100012397 U KR 201000123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late
decorative
frame
glass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단식
Original Assignee
에센스바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센스바스텍(주) filed Critical 에센스바스텍(주)
Priority to KR2020100012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397U/ko
Publication of KR20100012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3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문짝용 프레임은, 내측에 유리 또는 거울 등과 같은 장식판이 부착 지지되는 장식판 지지부와; 상기 장식판 지지부의 외측에 일정 폭을 갖는 테두리 장식홈부를 형성하여 직각방향으로 절곡 성형된 내, 외측 테두리 보호부; 를 포함하되,상기 테두리 장식홈부에는 장식판 부착부를 형성하고 이에 유리, 거울의 장식판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도록 하여 장식판의 부착이 편리함은 물론 부착 후에 견고한 지지로 열변형이나 습기 등에 의해 접착제와 분리가 최대한 방지됨으로써 수명이 보장되는 효과, 장식판의 날카로운 모서리면의 가공 공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문짝용 프레임{DOOR FRAME}
본 고안은 장식장이나 장농, 거실장, 욕실의 수납장 등과 같은 가구에 설치되는 문에 적용되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식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장식홈부를 형성하고 이에 조립되는 유리, 거울 등과 같은 장식판재의 모서리면의 면취가공을 노출면에만 적용하고 좁은 공간에 간편한 부착작업은 물론 부착 후에 견고한 지지로 사용수명이 보장되는 문짝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의 전면에 설치되는 문짝은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재로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을 상, 하의 횡방향과 좌, 우의 종방향에 적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각형상의 프레임틀을 형성하고 이 프레임틀 내측에 유리, 거울 등의 장식판을 끼움조립하여 문짝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가구용 프레임은 종래에도 다양한 기술로 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프레임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틀의 내부 중앙에 유리, 거울 등과 같은 장식판을 부착하는 것에 한정되었다.
이때, 실내의 장식성을 위해 적용되는 유리, 거울은 프레임의 틀에 조립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노출 모서리면을 면취 가공하여 외관미는 물론 사용자가 사용과정에서 날카로운 모서리면에 의해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으로 형성된 사각틀의 전면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1)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부(1a)에 거울, 유리 등의 장식판(M)이 조립되고, 사각틀의 장식성을 위하여 무늬 코팅이나 별도의 장식지(2)를 부착하거나, 홈부(3)를 형성하고 이에 별도의 유리, 거울 등과 같은 장식판(4)을 접착제(B)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장식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 문짝용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프레임의 전면에 장식되는 무늬 코팅이나 시트지 부착구조는 장기간 사용에 의한 마모는 물론 외면에 노출된 상태의 사용으로 벗겨지거나 찢어짐으로 인하여 오히려 가구의 외관미를 손상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시트지 부착은 문짝을 구성하는 프레임 틀의 형성 후에 후작업에 진행됨으로서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접착과정에서 잘못하여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프레임의 노출 전면에 홈부를 형성하고 일정 두께를 갖는 장식판이나 거울 등을 부착하는 구조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접착부분의 습기 침투 및 열변형에 의해 들뜸현상이 발생하고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홈부에 부착되는 장식판은 네모서리면이 노출됨으로 인하여 외관미 및 사용자의 사용과정에서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날카로운 모서면 전체를 면취가공하여 부착됨으로 인하여 가공공수의 증가로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식용으로 부착되는 유리, 거울 등의 장식판의 부착이 용이하고, 부착 후에는 부착상태가 견고히 지지 유지됨으로 인하여 사용 수명이 보장되는 문짝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부착되는 장식판의 모서리면 가공이 내측부분의 노출 모서리면에만 면취가공 후에 부착이 가능하여 가공 공수를 최소화하여 작업의 편리성은 물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문짝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문짝용 프레임은,
내측에 유리, 거울 등의 장식판이 부착 지지되는 장식판 지지부와;
상기 장식판 지지부의 외측에 일정 폭을 갖는 테두리 장식홈부를 형성하여 직각방향으로 절곡 성형된 내, 외측 테두리 보호부; 를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 장식홈부에는 장식판 부착부를 형성하고 이에 장식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서, 상기 장식판 부착부는 상기 외측 테두리 보호부 측에 유리 또는 장식판의 미기공 테두리면이 임시 삽입가능한 절곡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부에 대향하여 상기 외측 테두리 보호부의 단부에 유리 또는 장식판의 미가공면이 걸림 및 노출을 차단하는 마감 걸림돌기가 절곡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 외측 테두리 보호부는 휨이나 비틀림을 방지하는 보강돌기가 대향 형성됨이 더욱 좋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거울, 유리와 같은 장식판의 부착이 편리함은 물론 부착 후에 견고한 지지로 열변형이나 습기 등에 의해 접착제와 분리가 최대한 방지됨으로써 수명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장식판의 날카로운 모서리면의 가공 공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가구용 문짝에 적용된 종래의 문짝용 프레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일 예의 가구용 문짝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 조립에 의해 조립된 프레임틀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부 발췌 단면도로서 유리, 거울 등의 장식판 부착단계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해 조립된 사각형틀의 모서리부에 부착되는 장식판의 조립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식장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특징적 핵심요지는 본 고안의 프레임에 의해 조립된 사각틀에 장식미를 위하여 프레임의 노출 전면에 부착되는 유리, 거울 등과 같은 장식판의 부착 편리성은 물론 부착에 따른 가공 공수를 줄일 수 있고, 부착 후에 견고한 지지로 열변형이나 습기 등에 의해 접착제와 분리가 최대한 방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프레임(100)에 의해 조립된 사각틀 내부에 유리, 거울 등의 장식판(M)을 부착하고, 사각틀의 전면에 비교적 폭이 좁은 유리, 거울(M-1)을 부착하여 가구용 문짝을 구성한다.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프레임(100)은 장식판 지지부(110)와 장식판 지지부(110)의 외측에 테두리 장식홈부(150)가 일체 형성되고, 장식판 지지부(110)와 테두리 장식홈부(150)에는 거울, 유리 등의 장식판(M)(M-1)이 조립되어 문짝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장식판 지지부(110)와 직각방향으로 일체 절곡 성형된 내, 외측 테두리 보호부(120,130)에 의해 일정 폭을 갖는 테두리 장식홈부(150)가 형성된다.
여기서, 테두리 장식홈부(150)에는 내측 테두리 보호부(120)와 외측 테두리 보호부(130)에 걸쳐 장식판 부착부(140)가 형성되고 이에 유리 또는 거울과 같은 비교적 폭이 좁고 두께가 있는 장식판(M-1)이 접착제(B)를 이용하여 부착된다.
이러한 장식판 부착부(140)는 외측 테두리 보호부(130) 측에 장식판(M-1)의 미기공 테두리면이 임시 삽입가능한 절곡홈부(160)가 형성되고, 절곡홈부(160)에 대향하여 외측 테두리 보호부(130)의 단부에는 장식판(M-1)의 미가공면이 걸림되고 노출을 차단하는 마감 걸림돌기(131)가 절곡 성형된다.
이때, 장식판 부착부(140)에 의해 형성된 상기 내, 외측 테두리 보호부(120,130)에는 보강돌기(125,135)을 돌출 성형하여 얇은 두께를 보강하여 내측의 장식판(M)과 테두리의 장식판(M-1)에 의해 휨이나 비틀림이 방지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상의 방법과 같이 적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상, 하의 횡방향과 좌, 우의 종방향에 조립하여 사각형상의 프레임틀을 조립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틀로 형성된 프레임(100)의장식판 부착부(140)에 접착제(B)을 도포한 상태에서 일측면이 면취가공된 장식판(M-1)의 미가공된 모서리면을 절곡홈부(160)에 끼움한 상태에서 면취가공된 부분을 밀어 장식판 부착부(140)에 후면을 밀착하면서 접착제(B)에 의해 부착한다.
이때, 장식판(M-1)의 미가공된 모서리면은 외측 테두리 보호부(130)의 단부에 형성된 마감걸림돌기(131)에 의해 걸림되면서 이탈이 방지되고 미가공면의 노출이 차단된 상태로 부착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프레임(100)은 장식판 부착부(140)의 폭(W)과 높이(H)에 맞는 장식판(M-1)의 조립은 장식판 부착부(140)과 외측 테두리 보호부(130) 사이에 형성된 절곡홈부(160)에 의해 경사방향을 임시 끼움한 상태에서 밀착 조립이 가능하여 부착 작업이 용이하고, 밀착 부착되는 장식판(M-1)의 미가공 모서리면의 노출의 차단 및 부착상태의 지지가 마감걸림돌기(131)에 의해 제공됨으로서 장기간 사용에도 부착상태의 유지로 수명이 보장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고안의 프레임(100)에 의해 조립된 사각틀 모서리의 장식판 부착부(140)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교적 폭이 좁은 장식판(M-1)의 조립은 사각틀로 된 상, 하 및 좌, 우 프레임(100)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부의 장식판 부착부(140)에 일측이 면취 가공된 조각장식판(M-2)을 먼저 부착한 상태에서 전술한 조립공정에 의해 길이 긴 장식판(M-1)을 부착하게 된다.
이렇게 사각틀의 장식판 부착부(140)에 장식판(M-1), 조각장식판(M-2)을 부착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식판 지지부(110)에 모서리 네면이 명취 가공된 장식판(M)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부착, 체결하여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가구용 문짝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가구용 문짝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식장의 전면에 조립되어 장식미의 표출은 물론 내부의 수납공간의 개폐목적으로 사용된다.
100: 문짝용 프레임 110: 장식판 지지부
120: 내측 테두리 보호부 125, 135: 보강돌기
130: 외측 테두리 보호부 131: 마감걸림돌기
140: 장식판 부착부 150: 테두리 장식홈부
160: 절곡홈부 M, M-1, M-2: 장식판(유리, 거울)

Claims (3)

  1. 내측에 유리 또는 거울 등과 같은 장식판이 부착 지지되는 장식판 지지부와;
    상기 장식판 지지부에 직각방향으로 절곡 성형된 내, 외측 테두리 보호부에 의해 일정 폭을 갖는 테두리 장식홈부; 를 포함하되,
    상기 테두리 장식홈부에는 장식판 부착부를 형성하고 이에 유리, 거울의 장식판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프레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 부착부는 상기 외측 테두리 보호부 측에 유리 또는 장식판의 미기공 테두리면이 임시 삽입가능한 절곡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홈부에 대향하여 상기 외측 테두리 보호부의 단부에 유리 또는 거울 등과 같은 장식판의 미가공면이 걸림되고 노출을 차단하는 마감 걸림돌기가 절곡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프레임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 외측 테두리 보호부는 휨이나 비틀림을 방지하는 보강돌기가 대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용 프레임 구조.
KR2020100012109U 2010-11-24 2010-11-24 문짝용 프레임 KR201000123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109U KR20100012397U (ko) 2010-11-24 2010-11-24 문짝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109U KR20100012397U (ko) 2010-11-24 2010-11-24 문짝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397U true KR20100012397U (ko) 2010-12-14

Family

ID=4420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109U KR20100012397U (ko) 2010-11-24 2010-11-24 문짝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397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845B1 (ko) * 2012-11-30 2014-11-26 최승수 도어 보호대 구조체
CN106593226A (zh) * 2016-12-23 2017-04-26 广州欧派集成家居有限公司 门板结构及其制造装配方法
KR200491815Y1 (ko) * 2019-06-17 2020-06-09 도례진 가구용 패널
KR102196056B1 (ko) 2019-06-24 2020-12-29 윤지원 슬라이딩 도어용 장식 프레임
KR20220002426U (ko) * 2021-04-02 2022-10-12 추남실 수납장 도어
KR20230026909A (ko) * 2021-08-18 2023-02-27 정영호 팔각유리가 결합되는 문짝의 결합구조
KR20230110970A (ko) 2022-01-17 2023-07-25 곽경민 수납장 도어용 거울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845B1 (ko) * 2012-11-30 2014-11-26 최승수 도어 보호대 구조체
CN106593226A (zh) * 2016-12-23 2017-04-26 广州欧派集成家居有限公司 门板结构及其制造装配方法
CN106593226B (zh) * 2016-12-23 2018-11-09 广州欧派集成家居有限公司 门板结构及其制造装配方法
KR200491815Y1 (ko) * 2019-06-17 2020-06-09 도례진 가구용 패널
KR102196056B1 (ko) 2019-06-24 2020-12-29 윤지원 슬라이딩 도어용 장식 프레임
KR20220002426U (ko) * 2021-04-02 2022-10-12 추남실 수납장 도어
KR20230026909A (ko) * 2021-08-18 2023-02-27 정영호 팔각유리가 결합되는 문짝의 결합구조
KR20230110970A (ko) 2022-01-17 2023-07-25 곽경민 수납장 도어용 거울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2397U (ko) 문짝용 프레임
KR101745450B1 (ko) 휘어짐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 및 가구용 도어
KR200491434Y1 (ko) 가구용 도어틀
KR101619488B1 (ko) 도어 휨방지 프로파일
EP2105566A1 (en) Window assembly with a cover panel assembly to cover window opening
KR200491435Y1 (ko) 가구용 도어틀
KR102137685B1 (ko) 가구용 도어틀
KR200164340Y1 (ko) 건물바닥 모서리의 걸레받이용 몰딩 장착구조
US6860072B2 (en) Retrofit casing head apparatus and method
US20110030302A1 (en) Panel backing and mounting system
KR102631835B1 (ko) 가구용 도어틀
KR100932432B1 (ko)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
KR102365781B1 (ko) 문짝의 마감판 구조
JP6452093B2 (ja) ドア枠
KR102137684B1 (ko) 가구용 도어틀
KR200272171Y1 (ko) 조립식 문틀
KR200483281Y1 (ko) 인테리어 벽체 몰딩부재
KR100450630B1 (ko) 조립식 문틀
KR100902917B1 (ko) 투톤 창살을 갖는 페어글라스 창호
JP5604206B2 (ja) 窓枠及びこれを用いた窓枠納め構造
KR200156581Y1 (ko) 미서기 창틀의 로울러식 방충망의 설치구조
KR200398165Y1 (ko) 블라인드 유리를 구비한 칸막이
KR102041047B1 (ko) 걸레받이용 연결부재
JP2004036168A (ja) 階段用幅木
KR20000004647U (ko) 창틀용 샤시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