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432B1 -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 - Google Patents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432B1
KR100932432B1 KR1020090033828A KR20090033828A KR100932432B1 KR 100932432 B1 KR100932432 B1 KR 100932432B1 KR 1020090033828 A KR1020090033828 A KR 1020090033828A KR 20090033828 A KR20090033828 A KR 20090033828A KR 100932432 B1 KR100932432 B1 KR 100932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protruding
present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병식
Original Assignee
원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병식 filed Critical 원병식
Priority to KR1020090033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내부에 보강리브(22)가 형성된 일정두께를 갖는 밀착부재(21)의 상부에는 창호(11)의 미닫이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3)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23)의 양측에는 창호(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벽(27)이 형성되는 통상의 창호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21)의 전방으로 돌출미감부(24)가 형성되되, 돌출미감부(24)의 상면에는 방범창살(30)을 끼울 수 있는 인입공(25)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미감부(24)의 상면에는 덮개홈(43)이 형성되고, 이 덮개홈(43)에 조립될 수 있는 평면식덮개(42)가 구비되어, 방범창의 미설치시 인입공(25)이 보이지 않도록 조립된다. 한편, 하부에 다수의 끼움구(41)가 형성된 끼움식덮개(40)를 구비하여, 상기 돌출미감부(24)에 형성된 인입공(25)에 끼움식덮개(40)의 끼움구(41)가 억지끼움 되도록 구성된다.
돌출, 방범창, 창호프레임

Description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The projection style window frame will be able to affix the crime prevention guarder}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콘크리트 벽체는 물론 조립식 건물에 사용되는 경량 패널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창호의 미관을 돋보이게 할 뿐 아니라, 방범창을 창호프레임에 직접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창호프레임은 구조물에 창문을 설치하기 위해 건물의 벽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인테리어 측면의 미관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반 콘크리트 건물이나 조립식 건물의 시공과정에서 창호가 장착될 부위에 개구부를 형성한 후, 창호프레임과 맞닿는 구조물의 벽체에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창호프레임을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즉, 도 1은 종래 일반형 창호프레임(10)의 설치 단면도 및 정면도로서, 도 1 의 (b)에 도시된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창호프레임과 벽체(50)가 맞닿는 이음부분에는 충전된 접착제(12)가 외부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구조물의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옥의 경우에는 창호(11)의 외측으로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방범창이 설치되는바, 이 방범창의 설치의 경우 창호프레임의 외측으로 못질을 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으로서, 설치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시공이 완료된 벽체(50)에 못질을 함으로써, 구조물의 미관을 해치는 요소라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창호프레임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창호프레임과 벽체 사이에 충전된 접착제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창호프레임의 일측을 돌출시켜 돌출미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미관부에 색상을 부여하여, 창호의 미관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상기 돌출미관부의 상면에 인입공을 형성하여 방범창살을 끼울수 있도록 한 돌출형 창호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내부에 보강리브(22)가 형성된 일정두께를 갖는 밀착부재(21)의 상부에는 창호(11)의 미닫이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3)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23)의 양측에는 창호(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벽(27)이 형성되는 통상의 창호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21)의 전방으로 돌출미감부(24)가 형성되되, 돌출미감부(24)의 상면에는 방범창살(30)을 끼울 수 있는 인입공(25)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미감부(24)의 상면에는 덮개홈(43)이 형성되고, 이 덮개홈(43)에 조립될 수 있는 평면식덮개(42)가 구비되어, 방범창의 미설치시 인입공(25)이 보이지 않도록 조립된다. 한편, 하부에 다수의 끼움구(41)가 형성된 끼움 식덮개(40)를 구비하여, 상기 돌출미감부(24)에 형성된 인입공(25)에 끼움식덮개(40)의 끼움구(41)가 억지끼움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으로 인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창호프레임이 건물의 외관과 조화를 이루면서 설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물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꾸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에 방범창을 구현할 수 있음에 따라, 별도의 방범창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조립식 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경량 패널(51)을 위한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의 구조로서, 그 단면형상은 "ㄷ"자 형태와 유사하고 개구된 밀착부재(21)가 패널(51)과 맞닿으면서 패널(51)을 에워싸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일정두께를 갖는 밀착부재(21)의 후방 즉 가옥의 내측으로는 걸림부(26)가 형성되고, 밀착부재(21)의 전방 즉 외벽쪽으로는 돌출미감부(24)가 형성된다. 또한, 밀착부재(21)의 상부에는 창호(11)가 설치되어 좌우로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 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23)이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레일(23)의 양측에는 창호(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벽(27)이 형성된다. 한편,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두께를 갖는 구성으로서,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보강리브(22)가 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상기 돌출미감부(24)이다. 이 돌출미감부(24)는 종래 창호프레임이 벽체(50) 또는 패널(51)에 설치될 때에, 벽체(50) 또는 패널(51)과 동일면상에 설치됨에 따라, 창호프레임의 견고한 설치를 위해 벽체(50)와 창호프레임 사이에 충전되던 접착제(12)가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인식됨으로써, 건물의 외관이 지저분하게 느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미감부(24)로 인해 접착제(12) 부분이 외부에서 인식되지 않게 되어 건물의 미관이 미려하게 장식된다. 또한, 돌출미감부(24)의 상면에는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방범창살(3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인입공(25)이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다수개 형성된다.
종래에는 방범창을 창호(11)의 외곽 크기보다 조금 크게 제작한 후, 창호(11)의 외측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고정못으로 설치하는 바, 설치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벽체(50)에 못질을 함으로써, 건물의 미관이 저하되고, 기존 창호(11)와의 미적인 조화가 잘 이루어 지지않는 외관상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돌출미감부(24)는 그 상면에 인입공(25)을 형성하고, 창호프레임 제작단계에서 방범창살(30)을 삽입함으로써, 방범창 기능을 부여함에 따라, 추후 방범창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범창살(30)은 설치될 외벽의 색상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재질과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의 (a)는 전술한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이 조립식 건물의 패널(51)에 설치되기 위한 단면도로서, 규격 사이즈로 생산되는 경량 패널(51)의 두께에 맞추어 설치될 수 있도록 돌출미감부(24)의 맞은편에 걸림부(26)가 형성된다. 한편, 도 3의 (b)는 일반 건물의 벽체(50)에 설치되는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의 단면도로서, 도 3의 (a)와는 달리 걸림부(26)가 없는 구성이다. 이는 일반 건물의 외벽두께는 규격으로 시공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4와 같이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의 완성을 위해서는 각각의 창호프레임의 양단을 45°로 절단한 후, 서로 맞대어 놓고 접합하되, 상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돌출미감부(24)에 방범창살(30)을 끼운상태에서 접합하여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돌출미감부(24)가 패널(51)의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햇빛을 받으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외벽과 창문에 음영이 생기면서 더욱 건물의 미관이 돋보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의 평면식 덮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의 끼움식 덮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7은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을 설치한 후, 필요에 따라 방범창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의 원내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공(25)이 형성되는 돌출미감부(24)의 상면 에는 덮개홈(43)이 형성되고, 이 덮개홈(43)에 조립될 수 있는 평면식덮개(42)를 구비하여, 방범창의 미설치시에는 미관상 인입공(25)이 보이지 않도록 상기 평면식덮개(42)를 덮개홈(43)에 억지끼움 되도록 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하부에 다수의 끼움구(41)를 갖는 끼움식덮개(40)를 구성함으로써, 방범창의 미설치시에는 돌출미감부(24)에 형성된 인입공(25)에 상기 끼움구(41)를 억지끼움함으로써, 미관상 인입공(25)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방범창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때에는 간단하게 상기 평면식덮개(42) 또는 끼움식덮개(40)를 탈거한 후, 방범창살(30)을 인입공(25)에 끼워주면 외관이 미려한 방범창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의 활용도이다. 도 8의 (a)는 종래 벽체(50)에 설치된 일반형 창호프레임(10)을 나타낸 것으로서, 창호(11)의 리모델링을 할 경우 기존에 설치된 일반형 창호프레임(10)을 탈거하여야 하는바, 이때에는 소음과 분진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뿐 아니라, 탈거가 용이하지 않을 때에는 창호프레임과 맞닿는 인접 벽체(50)를 일부 파쇄하면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바, 작업이 수월하지 않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도 8의 (b)와 같이 벽체(50)에 설치되는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을 기존에 설치된 일반형 창호프레임(10)의 상부에 올려놓으면, 건물의 외측은 돌출미감부(24)로 인해 별도의 마감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건물의 내측은 도 8의 (c)와 같이 랩핑선반(52)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창호(11)를 새롭게 리모델링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이 장착된 가옥의 사시도로서, 방범창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의 설치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9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창호프레임을 구성하되, 상.하부에만 돌출형 창호프레임(20)을 설치하여, 캐노피 기능과 음영효과 등 미적인 요소가 부여되도록 한다. 이때 돌출미감부(24)의 측면에는 도 9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마개(44)를 끼움으로써, 미적인 마감처리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돌출미감부(24)의 단면형상을 1개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미감부(2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미감부(24)의 색상 또한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하여 설치되는 건물의 외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이용한 돌출형 창호프레임을 예시한 것이다. 그러나, 알루미늄 또는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본 발명의 구성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형 창호프레임의 설치 단면도 및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의 설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의 평면식 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의 끼움식 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의 활용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창호프레임이 장착된 가옥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일반형 창호프레임
11 : 창호
12 : 접착제
20 : 돌출형 창호프레임
21 : 밀착부재
22 : 보강리브
23 : 가이드레일
24 : 돌출미감부
25 : 인입공
26 : 걸림부
27 : 안내벽
30 : 방범창살
40 : 끼움식덮개
41 : 끼움구
42 : 평면식덮개
43 : 덮개홈
44 : 마개
50 : 벽체
51 : 패널
52 : 랩핑선반

Claims (3)

  1. 내부에 보강리브(22)가 형성된 일정두께를 갖는 밀착부재(21)의 상부에는 창호(11)의 미닫이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3)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23)의 양측에는 창호(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벽(27)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재(21)의 전방으로 돌출미감부(24)가 형성되되, 돌출미감부(24)의 상면에는 인입공(25)이 다수개 형성되어 방범창살(30)을 끼울 수 있도록 하며, 방범창의 미설치시에는 상기 인입공(25)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에 다수의 끼움구(41)가 형성된 끼움식덮개(40)가 인입공(25)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
  2. 삭제
  3. 삭제
KR1020090033828A 2009-04-17 2009-04-17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 KR100932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28A KR100932432B1 (ko) 2009-04-17 2009-04-17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28A KR100932432B1 (ko) 2009-04-17 2009-04-17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432B1 true KR100932432B1 (ko) 2009-12-17

Family

ID=4168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828A KR100932432B1 (ko) 2009-04-17 2009-04-17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4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732B1 (ko) 2010-07-29 2011-05-06 김선자 방범 창호프레임
KR101662587B1 (ko) * 2016-02-26 2016-10-05 김수진 장식 기능을 갖는 디자인 창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52Y1 (ko) * 1993-03-03 1997-06-11 주식회사 남선알미늄 난간대가 조립된 아파트용 발코니창
KR200261560Y1 (ko) * 2001-10-10 2002-01-24 주식회사샤인 이중창틀
KR200414258Y1 (ko) * 2006-02-10 2006-04-17 홍지창 방범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52Y1 (ko) * 1993-03-03 1997-06-11 주식회사 남선알미늄 난간대가 조립된 아파트용 발코니창
KR200261560Y1 (ko) * 2001-10-10 2002-01-24 주식회사샤인 이중창틀
KR200414258Y1 (ko) * 2006-02-10 2006-04-17 홍지창 방범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732B1 (ko) 2010-07-29 2011-05-06 김선자 방범 창호프레임
KR101662587B1 (ko) * 2016-02-26 2016-10-05 김수진 장식 기능을 갖는 디자인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1736B2 (en) Wall system
KR100932432B1 (ko)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
US8511012B2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CA3017715A1 (en) Vinyl jamb system
KR20180015398A (ko) 현관문 구조
JP2018104983A (ja) 戸装置の施工方法、戸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戸装置取付構造
KR100758378B1 (ko) 고층용 창호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101223465B1 (ko) 조립형 돌출마감재를 이용한 창호프레임 시공방법
US20120031023A1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KR101032732B1 (ko) 방범 창호프레임
KR102224270B1 (ko) 일체형 유리난간대를 구비한 창호
JP5152991B2 (ja) 後付けシャッターの取付構造
KR200394727Y1 (ko) 폐 합성수지 폼을 이용한 방화문
JP6938148B2 (ja) 建具
JP4868420B2 (ja) 建具を備えた建物
JPS5918076Y2 (ja) 防虫網付き面格子
JP3776321B2 (ja) 後付けシャッターの取付構造
KR101662587B1 (ko) 장식 기능을 갖는 디자인 창호
KR102569942B1 (ko) 건축용 패널
JP7195991B2 (ja) 両開きドア
KR200196523Y1 (ko) 포켓형 창호
KR101127636B1 (ko) 건물 창호용 창틀의 프레임 조인트 마감장치
KR102242071B1 (ko) 시스템 이중 창호
KR200455291Y1 (ko) 방화문의 장식판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