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398A - 현관문 구조 - Google Patents

현관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398A
KR20180015398A KR1020160098866A KR20160098866A KR20180015398A KR 20180015398 A KR20180015398 A KR 20180015398A KR 1020160098866 A KR1020160098866 A KR 1020160098866A KR 20160098866 A KR20160098866 A KR 20160098866A KR 20180015398 A KR20180015398 A KR 20180015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locking
present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석
Original Assignee
윤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석 filed Critical 윤영석
Priority to KR1020160098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5398A/ko
Publication of KR2018001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25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separate hollow frames, e.g. foam-filled
    • E06B3/72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separate hollow frames, e.g. foam-filled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8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panel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74Metal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집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금속재의 프레임에 합성수지재의 장식 패널이 설치되어 미감이 향상되고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현관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 설치되며 현관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문틀 프레임(10)과; 일측에 손잡이(25)가 구비되고 상기 문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20)과; 상기 문틀 프레임(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20)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 부재가 구비된 록킹 프레임(30);을 포함하고, 상기 문틀 프레임(10)과 도어 프레임(20) 및 록킹 프레임(30)은 금속으로 형성된 프레임 본체(10a, 20a, 30a)에 합성수지재의 장식 패널(10b, 20b, 30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관문 구조{Exterior Door Assembly}
본 발명은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집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현관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속재의 프레임에 합성수지재의 장식 패널이 설치되어 미감이 향상되고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현관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은 건물이나 집의 출입 공간으로서, 그 얼굴에 해당하여 건물이나 집의 인상을 결정하게 되므로, 장식이 요구되고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현관은 외부인이 출입하는 통로로서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쉽게 파손되지 않을 것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관에 설치되는 현관문은 장식성과 아울러 견고성을 구비하여야 한다.
한편, 현관문은 목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하게 되는데, 목재로 형성할 경우 장식성을 갖출 수는 있지만 견고성 측면에서 아쉬움이 있을 뿐 아니라 외부의 온도, 습도에 쉽게 뒤틀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 금속재의 경우에는 견고성은 갖출 수 있으나, 금속재의 특성상 장식성이 떨어지고 무거운 무게로 인하여 여닫는데 불편하며 외부 온도에 따라 뜨겁거나 차가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샷시 창호의 일면(내부면)에 L형 고정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여기에 목재, 인조목재, 합성수지발포제, 실리콘 등의 소재로 된 패널을 홈에 끼워 넣어 실내측의 겨울철 단열 물방울 맺힘현상(결로현상)을 방지하고 소재의 다양화, 고급화로 촉감, 미적감각을 살릴 수 있도록 샷시창호 내면에 부가하여 단열재 및 목재를 끼울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문을 여닫을 때 촉감이 좋으며, 미적으로 우수하고 방음 단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창호 프레임 구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길이와 두께 그리고 폭을 갖는 판상의 합성수지 패널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합성수지패널을 문짝의 프레임 규격에 대응되도록 재단하는 단계; 상기 재단된 합성수지패널의 양측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패널의 한쪽 면을 랩핑 시트로 감싸 표면을 처리하는 랩핑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패널 표면의 한쪽 면부를 시트로 증착된 시트층으로 형성하고 그 시트층을 제외한 다른 한쪽인 안쪽 표면을 선택하여 패널을 굽혀서 접을 수 있는 복수의 굽힘 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굽힘 홈이 형성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면의 일측 면에 보형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제작된 패널의 굽힘 홈을 중심으로 패널을 안쪽 방향으로 굽혀서 프레임을 형성하는 굽힘 단계; 상기 프레임 상하부의 보형부재 단부에 합성수지층을 형성하여 문짝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규격의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제작비 절감, 생산성 향상, 문짝의 경량 화로 인한 취급의 용이성을 갖도록 한 문짝 프레임 및 패널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개방된 일면에 장착된 외장 부재, 그리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개방된 일면의 뒷면인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에 형성되어 있고, 데크 안착부를 갖는 데크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면과 직각을 이루며, 데크가 놓이는 놓임부, 상기 놓임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 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놓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도시공간에 자연스러운 자연경관을 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작과 설치가 간편하고, 데크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데크 프레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외장 부재를 프레임 본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간이 구조물용 데크 프레임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20-1998-0021390 U KR 10-1067853 B1 KR 20-2012-0006625 U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금속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본체에 합성수지재 장식 패널을 설치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견고성과 장식성이 모두 우수한 현관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프레임 본체에 장식 패널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 현관문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 설치되며 현관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문틀 프레임과;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문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문틀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 부재가 구비된 록킹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문틀 프레임과 도어 프레임 및 록킹 프레임은 금속으로 형성된 프레임 본체에 합성수지재의 장식 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현관문 구조에 따르면, 상기 장식 패널의 폭 방향 양측에 일측 높이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식 패널의 돌출부가 상기 턱부에 걸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현관문 구조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턱부 끝단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장식 패널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현관문 구조에 따르면, 상기 장식 패널의 폭방향 양측에서 일정 폭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연장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현관문 구조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 본체는 중공 형태의 프레임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현관문 구조에 따르면, 상기 문틀 프레임과 도어 프레임 및 록킹 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장식패널은 폴리스티렌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현관문 구조에 따르면, 상기 도어 프레임 및 록킹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현관문 구조는 프레임 본체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견고성이 확보되고 프레임 본체에 합성수지재의 장식 패널이 설치됨에 따라 미감이 향상되어 견고성과 장식성을 양립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현관문 구조에 따르면, 장식 패널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의 턱부에 걸쳐지게 되므로 장식 패널과 프레임 본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현관문 구조에 따르면, 장식 패널에 연장부가 구비되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가려주게 되므로 전체적인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현관문 구조에 따르면, 프레임 본체가 중공 형태의 프레임이 종횡으로 결합되어 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하고 설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현관문 구조에 따르면, 도어 프레임과 록킹 프레임에 창이 설치될 경우 실내에서 실외에 있는 사람의 동정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현관문 구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이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단면이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프레임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프레임의 분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현관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현관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 설치되며 현관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문틀 프레임(10)과; 일측에 손잡이(25)가 구비되고 상기 문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20)과; 상기 문틀 프레임(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20)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 부재가 구비된 록킹 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문틀 프레임(10)과 도어 프레임(20) 및 록킹 프레임(30)은 금속재 프레임이 종횡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10a, 20a, 30a)에 합성수지재의 장식 패널(10b, 20b, 30b)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장식 패널(10b, 20b, 30b)은 도어의 외부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 본체(10a, 20a, 30a)에 접착되어 일체화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식 패널(10b, 20b, 30b)의 폭 방향 양측에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높이의 돌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10a, 20a, 30a)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돌출부(11)에 대응하는 턱부(13)가 형성되어, 상기 장식 패널(10b, 20b, 30b)의 돌출부(11)가 상기 턱부(13)에 걸쳐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 본체(10a, 20a, 30a)의 턱부 끝단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장식 패널(10b, 20b, 30b)의 돌출부(11)가 결합되는 삽입부(14)를 형성하고, 상기 장식 패널(10b, 20b, 30b)의 폭방향 양측에서 일정 폭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10a, 20a, 30a)를 구성하는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연장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레임 본체(10)를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의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상기 프레임 본체(10a)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턱부(13)와 삽입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장식 패널(10b)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돌출부(11)와 연장부(1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수직 프레임의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프레임 본체(10a)의 폭방향 양측 중 어느 일측에만 턱부(13)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턱부(13)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식 패널(10b)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1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턱부에 밀착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프레임 본체의 측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 본체(10a, 20a, 30a)는 중공 형태의 프레임이 종횡으로 배치된 후 서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장식 패널(10b, 20b, 30b)은 폴리스티렌과 같은 PS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목재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식 패널(10b, 20b, 30b)을 구성하는 목재로는 천연목, 강화목, 합성목, MDF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20) 및 록킹 프레임(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21, 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현관문 구조는 금속제 프레임을 통해 견고성을 확보하고 이 금속제 프레임에 설치되는 장식 패널을 통해 장식성을 확보함으로써 견고성과 장식성을 양립시키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문틀 프레임
10a...프레임 본체
10b...장식 패널
11....돌출부
12...연장부
13...턱부
14...삽입부
15...힌지
20...도어 프레임
20a...프레임 본체
20b...장식 패널
21...창
25...손잡이
30...록킹 프레임
30a...프레임 본체
30b...장식 패널
3 1...창

Claims (7)

  1. 벽체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 설치되며 현관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문틀 프레임(10)과;
    일측에 손잡이(25)가 구비되고 상기 문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20)과;
    상기 문틀 프레임(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20)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 부재가 구비된 록킹 프레임(30);을 포함하고,
    상기 문틀 프레임(10)과 도어 프레임(20) 및 록킹 프레임(30)은 금속으로 형성된 프레임 본체(10a, 20a, 30a)에 합성수지재의 장식 패널(10b, 20b, 30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패널(10b, 20b, 30b)의 폭 방향 양측에 일측 높이의 돌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10a, 20a, 30a)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돌출부(11)에 대응하는 턱부(13)가 형성되어, 상기 장식 패널(10b, 20b, 30b)의 돌출부(11)가 상기 턱부(13)에 걸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10a, 20a, 30a)의 턱부 끝단이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장식 패널(10b, 20b, 30b)의 돌출부(11)가 결합되는 삽입부(1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패널(10b, 20b, 30b)의 폭방향 양측에서 일정 폭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10a, 20a, 30a)를 구성하는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연장부(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10a, 20a, 30a)는 중공 형태의 프레임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 프레임(10)과 도어 프레임(20) 및 록킹 프레임(3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장식 패널(10b, 20b, 30b)을 폴리스티렌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20) 및 록킹 프레임(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21, 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구조.
KR1020160098866A 2016-08-03 2016-08-03 현관문 구조 KR20180015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866A KR20180015398A (ko) 2016-08-03 2016-08-03 현관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866A KR20180015398A (ko) 2016-08-03 2016-08-03 현관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398A true KR20180015398A (ko) 2018-02-13

Family

ID=6123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866A KR20180015398A (ko) 2016-08-03 2016-08-03 현관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53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176A (ko) 2018-12-04 2020-06-15 (주) 국영메탈 도어의 보강 구조
KR20210121489A (ko) * 2020-03-30 2021-10-08 차상봉 복합 도어
KR102577068B1 (ko) 2023-03-21 2023-09-08 김광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176A (ko) 2018-12-04 2020-06-15 (주) 국영메탈 도어의 보강 구조
KR20210121489A (ko) * 2020-03-30 2021-10-08 차상봉 복합 도어
KR102577068B1 (ko) 2023-03-21 2023-09-08 김광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290B2 (en) Decorative molding
EP2923022B1 (en) Frame
US10662702B2 (en) Security panel framing system and method
KR20180015398A (ko) 현관문 구조
JP4791062B2 (ja) 門扉
US8511012B2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WO2005118997A2 (en) Methods and systems of interior window framing
EP2105566B1 (en) Window assembly with a cover panel assembly to cover window opening
KR101489255B1 (ko) 설치가 용이한 문틀
US20120031023A1 (en) Frame construction for a fenestration
EP3514309B1 (en) Outdoor window
JP6938148B2 (ja) 建具
KR100932432B1 (ko) 방범창을 장착할 수 있는 돌출형 창호프레임
US20080163985A1 (en) Wall-mounted light-transmissive structure
US6860072B2 (en) Retrofit casing head apparatus and method
US20140230350A1 (en) Removable Interior Window Trim System and Method
KR20160113844A (ko) 창호에 구비된 창짝과 창틀의 단열구조
EP3748116B1 (en) Window or door
EP1643069A2 (en) A frame for windows, french windows and the like
KR102569942B1 (ko) 건축용 패널
KR101054098B1 (ko) 패널조립체가 구비된 단열문
JP7232742B2 (ja) 建具
US20230053302A1 (en) Filler frames for buildings with ridged panels
CA2187532C (en) Door having snap-on facades
CN210888642U (z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