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068B1 -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068B1
KR102577068B1 KR1020230036690A KR20230036690A KR102577068B1 KR 102577068 B1 KR102577068 B1 KR 102577068B1 KR 1020230036690 A KR1020230036690 A KR 1020230036690A KR 20230036690 A KR20230036690 A KR 20230036690A KR 102577068 B1 KR102577068 B1 KR 10257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remodeling
apt
constru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20230036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3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non-vegetal fibrous material, e.g. glass or rock wo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with a fire retardan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시공방법은, 도어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기존의 힌지부재를 제거한 다음, 상기 도어의 상부 일측에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피봇힌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부의 모든 면을 매끄럽게 샌딩 처리하는 단계; 샌딩 처리된 상기 프레임부의 모든 면에 특정색상이나 특정패턴이 표현되도록 속성 건조도료를 도포한 다음, 5~20분간 열풍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부에 덧뎀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부(10)의 외부 CON,C 표면에 그 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페럴린(Parylene) 박막이 코팅처리된 PVC 몰딩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APT entrance door for remodeling that can be quickly installed and remodeling construction method for door frame repair and reinforcement using it}
본 발명은 낡고 노후된 APT현관출입문 개보수를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식되고 노후된 APT현관출입문을 개보수하는 과정에서 자재의 철거없이 리모델링이 가능함에 따라 구형프레임에 단열성과 내화성이 강한 맞춤형 현관출입문제작,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구형힌지 또는 조방정첩을 2022년 이후 사용되는 신형 피봇힌지 신속교체방법, 기존 프레임 시공이 잘못되어 도어의 상부 및 수직부와 프레임부 사이의 벌어짐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 실측된 값에 의한 제작과 그 프레임 부재를 설치하는 방법, 녹나거나 부식된 프레임 표면을 샌딩처리후 속성 건조도료의 처리시 제조 보관 도포 및 열풍건조 방법, 녹슬거나 부식된 프레임 하부에 표면처리후 덧뎀프레임 설치방법, PL소재 몰딩처리시 프레임 외부에 맞닿은 형태에 따른 절단 및 설치 방법 등 리모델링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노후화된 현관출입문 및 문틀을 개보수하는 과정에서 문틀의 철거없이 1~4시간 내에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이사가 필요없고 소비자가 직접 전문시공 업체에 의뢰할 수 있어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현격히 줄이며 폐콘크리트발생과 소음의 발생이 없어 환경 및 사회전반에 기여할 수 있는 획기적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낡고 노후된 APT 등에 설치된 현관출입문 및 문틀을 리모델링하고자 할 경우, 기 설치된 문틀을 철거하고 새 현관출입문과 문틀을 설치하거나, 필름지로 레핑하는 방법, 문짝만 교체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현관출입문 설치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수반한다.
첫 번째 - 현관출입문 내지 현관출입문을 둘러싸는 프레임의 구성부품들을 일일이 분해해야 했으므로, 공사에 소요된 시간과 소음으로 인해 현관출입문 리모델링 공사가 이사시에나 가능한 관계로 값비싼 공사비지출 및 공사를 못했을시에의 불편함, 폐콘크리트발생으로 인한 환경의 오염 등 사회전반적인 문제가 부각되었다.
두 번째 - 부식되거나 녹슨부위에 제거 후 필름랩핑하는 방식은 비용은 저렴하나 눈가림식 이어서 빠른 부식이 발생되거나 출입문의 기능을 향상시키지는 못하였다.
세 번째 - 문짝만 교체하는 방법은 하부문틀 및 기존 잘못 시공되었던 프레임을 존치시켜 기능적 미적인 부분에 취약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위에서 기술한 문제점들을 감안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다년간의 연구개발을 거듭한 끝에 현관출입문을 리모델링함에 있어서 시공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현관출입문 시공방법과 부차적으로 단열성능과 내화성능 등이 일층 개선된 새로운 형태의 APT현관출입문제작, 문틀보수보강 및 시공방법 리모델링을 고안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55162호(방화문 및 이의 시공방법, 2016.09.08. 공고)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18318호(현관문 문틀 지지용 장식 마감 프레임 결합구조, 2018.01.16. 공고)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7545호(건축물의 문 시공방법, 2020.09.16. 공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5398호(현관문 구조, 2018.02.13.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도어의 내측에 단열과 내화성이 우수한 소재를 충진하고, 도어와 프레임부 사이 공간에 공기 유로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열성능, 내화성능 등이 향상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후화된 현관출입문을 개보수하는 과정에서 자재의 철거 없이 리모델링 시공을 가능케 함으로써 리모델링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현격히 줄일 수 있는 APT현관출입문을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은, 구조물 벽체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부(10)와, 개폐 조작을 위한 도어록(D)을 가지면서 프레임부(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도어(20)와, 상기 도어(20)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피봇힌지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미네랄울(Mineral wool) 또는 글래스울(Glass wo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기재질로 이루어진 단열소재(22)가 35 - 62㎜의 폭을 갖도록 충진되며, 상기 도어(20)의 양면에는 0.4 - 1.2T 두께의 컬러강판 또는 EGI(전기아연도금강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강판(23)이 무기질접착제를 통해 고정 부착되는 현관출입문(1)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프레임부(10)를 연결하는 중앙 또는 상부에 부착된 구형힌지 또는 조방정첩을 제거한 다음, 상기 프레임부(10) 상부 일측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피봇힌지부재(3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부(10))의 모든 면을 매끄럽게 샌딩 처리하는 단계; 샌딩 처리된 프레임부(10))의 모든 면에 특정색상이나 특정패턴이 표현되도록 속성 건조도료를 도포한 다음, 5 - 20분간 열풍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프레임부(10)의 하부에 덧뎀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부(10)의 외부 CON,C 표면에 그 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페럴린(Parylene) 박막이 코팅처리된 PVC 몰딩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부(10) 상부 일측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피봇힌지부재(30)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 도어(20)의 상부와 프레임부(10) 사이에 벌어짐이 발생한 경우, 그 벌어진 폭과 길이를 실측한 다음 실측된 값에 상응하도록 프레임부재를 제작하고, 그 제작된 프레임부재를 프레임부(10) 사이의 벌어진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에 의하면, 상기 패럴린(Parylene) 박막은 분말상태의 다이어(Dimer)를 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폴리머(Polymer) 형태의 필름막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에 의하면, 상기 PVC 몰딩재는 가로면과 세로면이 수직을 이루되, 이후 프레임부(10)의 표면밖 CON,C 에 그 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페럴린(Parylene) 박막이 코팅처리된 PVC 몰딩재 각 형태에 맞춰 절단 내부에 급성 및 고강도 실리콘 및 접착제를 도포하고, 설치시 상기 세로면의 끝단까지 원호또는 단면형상의 굴곡면이 형성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에 의하면, 상기 속성 건조도료는 자일렌 디이메틸벤젠 55 - 95중량%와, 희석제 5 - 45중량%가 혼합된 것을 5분 - 5일 밀봉된 용기에 보관되어 알맞은 건조 및 경화가 되도록 제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내측에 단열성이 우수한 미네랄울, 그라스울 소재를 충진하고, 도어와 프레임부 사이 공간에 공기 유로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열성능, 내화성능 등의 향상과 더불어 결로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후화된 현관출입문을 개보수하는 과정에서 자재의 철거 없이 리모델링 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리모델링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현격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피봇힌지부재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관출입문(1)은 기본적으로 프레임부(10), 도어(20) 및 피봇힌지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10)는 사각 형상으로 구조물 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조작을 위한 도어록(D)을 가지면서 프레임부(10)의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피봇힌지부재(30)는 상기 도어(20)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피봇힌지부재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봇힌지부재(30)는 도어(20)를 프레임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프레임부(10)의 내측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복수의 볼트체결공(31a)이 형성된 고정브라켓(31), 상기 고정브라켓(31)과 하기 회전브라켓의 축공에 축 결합되는 힌지 축(32) 및 상기 도어(2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힌지 축(32)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브라켓(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봇힌지부재(30)에 대한 변형예로서, 예컨대 상기 피봇힌지부재(30)는 동일 형상으로 도어(20)의 상부 일측 및 하부 일측에서 서로 대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봇힌지부재(30)를 구성하는 고정브라켓(31)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내측에는 볼트체결공(31a)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브라켓(31)은 도어(20)의 상부 일측의 수평면을 볼트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31)은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도어(20)의 일측면을 볼트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피봇힌지부재(30)를 구성하는 힌지 축(32)은 고정브라켓(31)의 내측 축공에 수용되어 후술할 회전브라켓의 내측 축공에 연결된다.
상기 힌지 축(32)에 대한 변형예로서, 상기 힌지 축(32)의 내측에는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스프링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홈으로, 이 경우, 상기 스프링은 일측이 삽입홈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 축(32)에 일정량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피봇힌지부재(30)를 구성하는 회전브라켓(33)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힌지 축(32)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10)는 두 개의 틀체(10-1,10-2)들로 분할 형성되고 분할 형성된 틀체(10-1,10-2)들의 각 단부가 접하여 형성하는 공간부(S)에 미네랄울(Mineral wool) 또는 글래스울(Glass wo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기재질로 이루어진 단열소재(11)가 충진된다.
이러한 단열소재(11)에 의해서 단열성, 내화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네랄울은 규산 칼슘계의 광석을 고온으로 용융시켜 제조한 것으로, 여타 단열재에 비해 사용범위가 대단히 넓어서 건축물의 내화, 흡음, 보온, 단열은 물론 각종 플랜트, 선박 등의 보온, 단열, 보냉과 농업용의 종자판에 이르기까지 그 용도가 매우 다앙하며, 타 제품에 비해 섬유가 유연하고 복원력이 우수하며 열전도율이 낮아 에너지 절감 차원에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20)는 전면패널(20-1)과 후면패널(20-2)로 분할 형성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에는 그 양측 테두리를 따라 수용홈이 파여지게 각각 절곡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에는 각각 가스켓(21a,21b)이 끼움 결합된다.상기한 바와 같은 가스켓(21a,21b)은 도어(20)와 프레임부(10) 사이 공간에 공기 유로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열성능, 내화성능, 결로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 뿐만 아니라, 단열성능의 향상으로 냉, 난방의 효율 증대를 도모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미네랄울(Mineral wool) 또는 글래스울(Glass wo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기재질로 이루어진 단열소재(22)가 35 내지 62㎜의 폭을 갖도록 충진된다. 이때 상기 단열소재(22)의 폭은 상기한 범위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관출입문의 전체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가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도어(20)가 양면에는 0.4 내지 1.2T 두께의 컬러강판 또는 EGI(전기아연도금강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강판(23)이 무기질접착제를 통해 고정 부착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20)의 일면 상부 일측에 강판(23)에 포개져 중첩되는 도어체크 보강판(24)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도어(20)의 일면 하부 일측에 강판(23)에 포개져 중첩되는 도어스토퍼 보강판(25)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프레임부(10)를 연결하는 중앙 또는 상부에 부착된 구형힌지 또는 조방정첩을 그라인더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한 다음,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 일측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피봇힌지부재(30)를 설치한다.
상기 피봇힌지부재(30)를 설치한 이후에는 프레임부(10)의 모든 면을 매끄럽게 샌딩 처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샌딩 처리는 도료의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게끔 하는 일종의 전처리 작업에 해당한다.
이후, 샌딩 처리된 상기 프레임부(10)의 모든 면에 특정색상이나 특정패턴이 표현되도록 속성 건조도료를 도포한 다음, 5 내지 20분간 열풍건조시킨다. 이 단계에서는 자연건조 방식 등을 적용할 수도 있으나, 신속하고 빠른 시공을 위해선 열풍건조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속성 건조도료로는 예컨대, 자일렌 디이메틸벤젠 55 내지 95중량%와, 희석제 5 내지 45중량%가 혼합된 것을 5분 내지 5일 밀봉된 용기에 보관되어 알맞은 건조 및 경화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공정으로, 속성 건조도료의 도포 및 건조가 완료되면, 도어(20)의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부(10)에 덧뎀프레임을 설치한다. 상기 덧뎀프레임의 설치를 위해서는 도어(20) 형태 및 규격 실측이 선행되어야 하며, 도어(20)의 구조에 따라서 상기 덧뎀프레임을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덧뎀하거나, 또는 도어(20)의 중앙을 기준으로 분할된 덧뎀프레임을 맞댄 후 연결부위에 실리콘을 도포하거나, 또는 피스를 고정하거나, 또는 용접기를 사용하여 용접 결합시킬 수 있다. 이후 덧뎀프레임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어(20)를 프레임에 설치된 피벗힌지부재(30)에 부착 설치한다.
또한, 상기 덧뎀프레임의 설치 방식은 프레임부(10)의 외부 형태의 콘크리트면에 따라 두께 5 내지 20mm, 폭 30 내지 200mm, 길이는 프레임의 외경에 따라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후, 프레임부(10)의 외부 CON,C 에 그 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페럴린(Parylene) 박막이 코팅처리된 PVC 몰딩재 각형태에 맞춰 절단 내부에 급성 및 고강도 실리콘 및 접착제를 도포 설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PVC 몰딩재는 가로면과 세로면이 수직을 이루되, 이후 프레임부(10)의 표면밖 CON,C 에 그 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페럴린(Parylene) 박막이 코팅처리된 PVC 몰딩재 각 형태에 맞춰 절단 내부에 급성 및 고강도 실리콘 및 접착제를 도포하고, 설치시 상기 세로면의 끝단까지 원호 또는 단면형상의 굴곡면이 형성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럴린(Parylene) 박막은 분말상태의 다이머(Dimer)를 화학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이용하여 폴리머(Polymer) 형태의 필름막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럴린 박막은 뾰족한 침부, 구멍, 모서리, 모퉁이, 미세한 구멍 등 형상에 관계없이 균일한 코팅막 형성이 가능하며, 핀홀과 기공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우수한 보호막 특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20)의 상부 일측에 프레임부(10)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피봇힌지부재(30)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 도어(20)의 상부와 프레임부(10) 사이에 벌어짐이 발생한 경우, 그 벌어진 폭과 길이를 실측한 다음 실측된 값에 상응하도록 프레임부재를 제작하고, 그 제작된 프레임부재를 도어(20)의 상부와 프레임부(10) 사이의 벌어진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은, 도어의 내측에 단열성이 우수한 소재를 충진하고, 도어와 프레임부 사이 공간에 공기 유로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열성능, 내화성능, 결로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노후화된 현관출입문을 개보수하는 과정에서 자재의 철거 없이 리모델링 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리모델링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현격히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D : 도어록 S : 공간부
1 : 현관출입문 10 : 프레임부
10-1,10-2 : 틀체 11 : 단열소재
20 : 도어 20-1 : 전면패널
20-2 : 후면패널 21a,21b : 가스켓
22 : 단열소재 23 : 강판
24 : 도어체크 보강판 25 : 도어스토퍼 보강판
30 : 피봇힌지부재 31 : 고정브라켓
31a : 볼트체결공 32 : 힌지 축
33 : 회전브라켓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구조물 벽체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부(10)와, 개폐 조작을 위한 도어록(D)을 가지면서 프레임부(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도어(20)와, 상기 도어(20)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피봇힌지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미네랄울(Mineral wool) 또는 글래스울(Glass wo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무기재질로 이루어진 단열소재(22)가 35 - 62㎜의 폭을 갖도록 충진되며, 상기 도어(20)의 양면에는 0.4 - 1.2T 두께의 컬러강판 또는 EGI(전기아연도금강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강판(23)이 무기질접착제를 통해 고정 부착되는 현관출입문(1)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프레임부(10)를 연결하는 중앙 또는 상부에 부착된 구형힌지 또는 조방정첩을 제거한 다음, 상기 프레임부(10) 상부 일측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피봇힌지부재(3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부(10)의 모든 면을 매끄럽게 샌딩 처리하는 단계;
    샌딩 처리된 프레임부(10)의 모든 면에 특정색상이나 특정패턴이 표현되도록 속성 건조도료를 도포한 다음, 5 - 20분간 열풍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프레임부(10)의 하부에 덧뎀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부(10)의 외부 CON,C 표면에 그 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페럴린(Parylene) 박막이 코팅처리된 PVC 몰딩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 상부 일측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피봇힌지부재(30)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 도어(20)의 상부와 프레임부(10) 사이에 벌어짐이 발생한 경우, 그 벌어진 폭과 길이를 실측한 다음 실측된 값에 상응하도록 프레임부재를 제작하고, 그 제작된 프레임부재를 프레임부(10) 사이의 벌어진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6.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패럴린(Parylene) 박막은 분말상태의 다이어(Dimer)를 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폴리머(Polymer) 형태의 필름막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7.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PVC 몰딩재는 가로면과 세로면이 수직을 이루되, 이후 프레임부(10)의 표면밖 CON,C 에 그 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페럴린(Parylene) 박막이 코팅처리된 PVC 몰딩재 각 형태에 맞춰 절단 내부에 급성 및 고강도 실리콘 및 접착제를 도포하고, 설치시 상기 세로면의 끝단까지 원호 또는 단면형상의 굴곡면이 형성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8.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건조도료는 자일렌 디이메틸벤젠 55 - 95중량%와, 희석제 5 - 45중량%가 혼합된 것을 5분 - 5일 밀봉된 용기에 보관되어 알맞은 건조 및 경화가 되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을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KR1020230036690A 2023-03-21 2023-03-21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KR102577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690A KR102577068B1 (ko) 2023-03-21 2023-03-21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690A KR102577068B1 (ko) 2023-03-21 2023-03-21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068B1 true KR102577068B1 (ko) 2023-09-08

Family

ID=8801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690A KR102577068B1 (ko) 2023-03-21 2023-03-21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0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926Y1 (ko) * 2002-06-18 2002-09-09 윤용선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KR101655162B1 (ko) 2015-11-30 2016-09-08 태기관 방화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18318B1 (ko) 2016-01-07 2018-01-16 장용수 현관문 문틀 지지용 장식 마감 프레임 결합구조
KR20180015398A (ko) 2016-08-03 2018-02-13 윤영석 현관문 구조
KR20200107545A (ko) 2019-03-08 2020-09-16 정하음 건축물의 문 시공방법
KR20210115385A (ko) *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신흥강판 복합성능 방화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926Y1 (ko) * 2002-06-18 2002-09-09 윤용선 목재 문짝지지용 힌지
KR101655162B1 (ko) 2015-11-30 2016-09-08 태기관 방화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18318B1 (ko) 2016-01-07 2018-01-16 장용수 현관문 문틀 지지용 장식 마감 프레임 결합구조
KR20180015398A (ko) 2016-08-03 2018-02-13 윤영석 현관문 구조
KR20200107545A (ko) 2019-03-08 2020-09-16 정하음 건축물의 문 시공방법
KR20210115385A (ko) *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신흥강판 복합성능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9929B2 (en) Appliance apparatus including a bonded bracket
KR100867273B1 (ko) 압출성형 시멘트 패널 및 후발포 수성연질 단열재를 이용한건축물 벽체 시공방법
US20110306255A1 (en) Strong Materials of Construction and Coatings Comprising Inorganic Binders with Fibre Reinforcement
KR100793511B1 (ko) 건축용 단열 복합패널
JP2018035662A (ja) 振動吸収用耐震パネルを備えた壁体断熱システム組立体
WO2010082073A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building materials and building products manufactured thereby
KR102577068B1 (ko)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리모델링용 apt현관출입문 및 이를 이용한 문틀보수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시공방법
CN105421957A (zh) 一种钢纤装甲防盗门
CN105888094A (zh) 一种节能保温墙体门窗口构造
Takhirovich et al. Protection Of Reinforced Concrete Coverings
KR20200066785A (ko) 폴리우레아수지가 도포된 샌드위치판넬
KR100948355B1 (ko) 차열 및 방수 구조물, 차열 및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차열 및 방수공법
CN204781403U (zh) 一种新型复合防火保温板
DK2520752T3 (en) Fire Protection double glazing
CN114086716A (zh) 一种具有防火保温功能的隔墙板
CN107435378A (zh) 新型防水保温建材及其生产工艺
EP2728046B1 (en) Composite material for making sealing systems and method therefor
CN205445390U (zh) 一种钢纤装甲防盗门
KR101219532B1 (ko) 콘크리트 또는 슬레이트 건축물 지붕의 차열방수공법
CN205522763U (zh) 复合材料建筑板
KR10089809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무기계 충진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RU2217570C2 (ru) Огнестойк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CN212078515U (zh) 新型聚氨酯保温装饰一体板
KR102585972B1 (ko)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복합단열패널 및 이의 제조시스템
JP6539059B2 (ja) 防火材付きの枠、防火材付き建具、及び、枠又は建具への防火材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