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221Y1 - 가구용 도어 프레임 - Google Patents

가구용 도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221Y1
KR200307221Y1 KR20-2002-0037302U KR20020037302U KR200307221Y1 KR 200307221 Y1 KR200307221 Y1 KR 200307221Y1 KR 20020037302 U KR20020037302 U KR 20020037302U KR 200307221 Y1 KR200307221 Y1 KR 200307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door frame
furnitur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창배
Original Assignee
명창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창배 filed Critical 명창배
Priority to KR20-2002-0037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2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를 목재와 함께 디자인이나 시각적인 측면에서 보다 미려(美麗)함을 가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되는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목재와 금속재인 도어 프레임과의 고정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도어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특성에 맞는 부수적인 기능이 일체로 형성되어 지도록 그 구성을,
가구의 미닫이식 도어의 목재판 테두리로 금속재의 상,하 프레임과 측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도어 틀프레임과, 상기 상,하 프레임과 대응되도록 가구 본체의 전방 상하부에 설치되는 금속재의 상,하 가이드프레임로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측프레임은 전면, 측면 및 후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이 틔여져 도어의 목재판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파지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하프레임은 전면과 후면 사이의 중간으로 격판이 형성되어 그 상부에 도어의 목재판 밑면이 끼워지는 삽입홈부을, 하부에는 롤러가 장착되는 장착홈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구용 도어 프레임{door frame for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를 목재와 함께 디자인이나 시각적인 측면에서 보다 미려(美麗)함을 가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되는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목재와 금속재인 도어 프레임과의 고정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도어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특성에 맞는 부수적인 기능이 일체로 형성되어 지는 가구용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작되는 장농이나 장식장 등과 같은 가구는 그 대부분이 목재로 제작되어 지는 데,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가구가 단순히 물품의 수납용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실내환경과 조화가 잘이루어짐과 동시에 디자인이나 시각적인 효과를 최대한 높을 수 있도록 목재 이외에 가공 및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원에서는 가구 중에서도 장농에 적용된 일예로 들어 설명하면, 종래 장농에 금속재가 적용되는 부분은 주로 도어의 외측인 상,하 및 양측의 틀을 구성하는 도어 틀프레임과, 상기 도어를 원활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장농 본체의 전방 상하부로 장착되는 상,하 가이드레일로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이 대부분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도어의 표면으로 금속재를 장식 등을 목적으로 매입 또하는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이 장농에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은 금속재의 특성상 형태변경이 목재에 비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그 표면으로 원하고자 하는 무늬 모양의 코팅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최대한 근접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적용되는 종래의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는 단순히 디자인이나 시각적인 효과는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목재와의 결합 고정작업에 많은 번거러움이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특히, 도어 틀프레임을 구성하는 측프레임의 경우 목재와 결합 후 별도의 손잡이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도어의 하프레임에는 도어의 원활한 개폐를 위한 통상적인 다수의 롤러가 장착되어 지는 데, 상기한 종래의 금속재로 제작된 도어 하프레임에는 상기롤러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 또한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별도의 복잡한 구조를 가지늘 롤링수단을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또, 상기 도어 개폐에 따른 상,하 프레임과 대응되는 상,하 가이드프레임 또한 단순히 디자인이나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가 위한 구조일 뿐 기능적인 수단을 구비하지 못하는, 즉 하프레임에는 도어 틀프레임인 하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가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별도의 레일을 장착해야 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구 제작에 따른 목재와 금속재인 도어 프레임과의 고정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도어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특성에 맞는 부수적인 기능이 일체로 형성되어 지는 가구용 도어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구의 미닫이식 도어의 목재판 테두리로 금속재의 상,하 프레임과 측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도어 틀프레임과, 상기 상,하 프레임과 대응되도록 가구 본체의 전방 상하부에 설치되는 금속재의 상,하 가이드프레임로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측프레임은 전면, 측면 및 후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이 틔여져 도어의 목재판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파지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하프레임은 전면과 후면 사이의 중간으로 격판이 형성되어 그 상부에 도어의 목재판 밑면이 끼워지는 삽입홈부을, 하부에는 롤러가 장착되는 장착홈부를 형성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가이드프레임은 상면의 하부에 내측면으로 각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이 형성되고 그 전방 측면에는 상부로 연장된 연장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가이드프레임은 상면의 상부로 한쌍의 가이드레일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로 한쌍의 고정홈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장농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도어 프레임을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도어 틀프레임의 측프레임을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본 고안 도어 틀프레임의 하프레임을 나타낸 요부도.
도 5는 본 고안 상가이드프레임을 나타낸 요부도.
도 6은 본 고안 하가이드프레임을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프레임
10 : 상프레임
20 : 하프레임
22 : 전면 24 : 후면
25 : 격판 26 : 삽입홈
28 : 장착홈
30 : 측프레임
32 : 전면 32a : 파지부
34 : 측면 36 : 후면
38 : 끼움홈
40 : 도어틀 프레임
50 : 상가이드프레임
52 : 상면 54 : 결합홈부
54a : 가이드홈 56 : 측면
58 : 연장편부
60 : 하가이드프레임
62 : 상면 64 : 가이드레일
66 : 고정홈부 68 : 지지편
68a : 절곡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장농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도어 프레임을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도어 틀프레임의 측프레임을 나타낸 요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도어 틀프레임의 하프레임을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 중에서도 장농(100)이나 장식장 등과 같이 미닫이식 도어의 목재판(102) 테두리로 금속재의 상,하 프레임(10)(20)과 측프레임(30)으로 구성되는 도어 틀프레임(40)과, 상기 상,하 프레임과 대응되도록 장농 본체(110)의 전방 상하부에 설치되는 금속재의 상,하 가이드프레임(50)(60)로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1)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측프레임(30)을 전면(32), 측면(34) 및 후면(36)이 일체로형성되어 일측이 틔여져 상기 도어의 목재판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홈(38)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도어를 여닫을 시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의 파지부(32a)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하프레임(20)은 전면(22)과 후면(24) 사이의 중간으로 격판(25)이 형성되어 그 상부에 상기 도어의 목재판 밑면이 끼워져 상기 격판과 스크류 체결되는 삽입홈부(26)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통상의 롤러가 일반적인 고정방식인 스크류를 통하여 장착되는 장착홈부(28)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도어틀 프레임의 상프레임은 통상적인 형태의 디귿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도어의 목재판의 측면으로 측프레임에 형성된 끼움홈을 끼워 고정함에 따라 그 측프레임으로 형성된 파지부에 의해 별도의 손잡이를 장착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어, 작업의 편리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측프레임의 전면에는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형상이나 모양을 공지의 방식에 의해 코팅하거나 그 측프레임의 제작시 원하는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프레임의 경우에는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부에는 도어의 목재판 밑면을 삽입하여 격판과 일반적인 스크류 고정방식에 의해 고정하고, 하부에 형성되는 장착홈부에는 도어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상의 롤러를 상기 격판으로 이도 일반적인 스크류 고정방식에 의해 고정하여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장착홈부에는 별도의 이송수단이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인 기성품인 롤러를 내장되도록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어, 외관기 미려함과 아울러 작업의 편리성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 상가이드프레임을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프레임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장농 본체의 상부로 장착되는 상기 상가이드프레임(50)은 상면(52)의 하부에 내측면으로 일반적인 지지롤러부재가 삽입되는 각각의 가이드홈(54a)이 형성되어 상기 각 도어의 상프레임이 삽입되어 지는 한쌍의 결합홈부(54)가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56)이 형성되고 그 전방 측면(56)에는 상부로 연장된 연장편부(58)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도어의 여닫힘에 따라 그 도어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가이드프레임의 결합홈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으로 장착되는 지지롤러부재에 의해 원활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전면에 형성되는 연장편부로 인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무늬 모양 등을 보다 폭 넓게 형성할 수 있어, 보다 낳은 시각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조건도 갖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 하가이드프레임을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프레임이 재치되어 원활하게 여닫힐 수 있도록 장농 본체의 하부로 장착되는 상기 하가이드프레임(60)은 상면(62)의 상부로 상기 하프레임의 장착홈으로 장착되는 롤러가 재치되어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한쌍의 가이드레일(64)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로 상기 장농 본체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고정목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쌍의 고정홈부(66)가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편(68)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지지편의 밑단에는 고정홈부의 내측으로 지지되는 각각의 절곡편(68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가이드프레임을 장농 본체의 하부로 장착시킴에 따라 그 상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로 인하여 종래 별도의 가이드레일 등을 장착했던 작업을 삭제할 수 있게 되어 설치작업의 간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도 전면으로 위치하는 지지편으로 필요로 하는 무늬 모양을 코팅하거나 제작시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구의 디자인이나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 목재와 같이 설치되는 금속재의 도어 프레임을 디자인이나 시각적인 효과는 물론 목재와 도어 프레임의 고정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도어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으로 기능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비하므로서,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편리성 및 조립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가구의 미닫이식 도어의 목재판 테두리로 금속재의 상,하 프레임과 측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도어 틀프레임과, 상기 상,하 프레임과 대응되도록 가구 본체의 전방 상하부에 설치되는 금속재의 상,하 가이드프레임로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측프레임(30)은 전면(32), 측면(34) 및 후면(36)이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이 틔여져 도어의 목재판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홈(38)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파지부(32a)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하프레임(20)은 전면(22)과 후면(24) 사이의 중간으로 격판(25)이 형성되어 그 상부에 도어의 목재판 밑면이 끼워지는 삽입홈부(26)을, 하부에는 롤러가 장착되는 장착홈부(2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가이드프레임(50)은 상면(52)의 하부에 내측면으로 각각의 가이드홈(54a)이 형성된 한쌍의 결합홈부(54)가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56)이 형성되고 그 전방 측면에는 상부로 연장된 연장편부(5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가이드프레임(60)은 상면(62)의 상부로 한쌍의 가이드레일(64)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로 한쌍의 고정홈부(66)가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편(6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도어 프레임.
KR20-2002-0037302U 2002-12-13 2002-12-13 가구용 도어 프레임 KR200307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302U KR200307221Y1 (ko) 2002-12-13 2002-12-13 가구용 도어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302U KR200307221Y1 (ko) 2002-12-13 2002-12-13 가구용 도어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221Y1 true KR200307221Y1 (ko) 2003-03-12

Family

ID=4940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302U KR200307221Y1 (ko) 2002-12-13 2002-12-13 가구용 도어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2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599B1 (ko) 2018-10-12 2019-03-22 박광호 가구 도어틀
KR102088617B1 (ko) 2019-07-30 2020-03-12 박광호 가구용 도어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599B1 (ko) 2018-10-12 2019-03-22 박광호 가구 도어틀
KR102088617B1 (ko) 2019-07-30 2020-03-12 박광호 가구용 도어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66087S1 (en) Optical fiber connection cabinet
USD483044S1 (en) Refrigerator
USD475722S1 (en) Sectional wine refrigerator
USD467801S1 (en) Contoured rectangular lid
KR200307221Y1 (ko) 가구용 도어 프레임
KR101896298B1 (ko) 조립이 용이한 슬림형 슬라이드 도어의 내측 결합식 손잡이 구조
USD467756S1 (en) Doll wardrobe
USD493350S1 (en) Hinge
USD497534S1 (en) Cabinet hinge
USD545394S1 (en) Water treatment assembly
USD465944S1 (en) Doll cabinet
USD495063S1 (en) Acrylic window insert for a garage door
CA113973S (en) Window covering with shade panels
USD539762S1 (en) Sanitary enclosure
USD452999S1 (en) Outer surface of a cover for a casement window operator
USD488048S1 (en) Lock box
USD459983S1 (en) Door stay for furniture
USD486919S1 (en) Sliding patio door
USD485537S1 (en) Safety enclosure
USD491285S1 (en) Embossed panel
USD471756S1 (en) Grill
USD472330S1 (en) Panel door
KR200176318Y1 (ko) 강화유리문용 도어프레임
CA104676S (en) Latch furniture
USD430302S (en) Sauna en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