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806Y1 -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및 그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 - Google Patents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및 그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806Y1
KR200439806Y1 KR2020070020367U KR20070020367U KR200439806Y1 KR 200439806 Y1 KR200439806 Y1 KR 200439806Y1 KR 2020070020367 U KR2020070020367 U KR 2020070020367U KR 20070020367 U KR20070020367 U KR 20070020367U KR 200439806 Y1 KR200439806 Y1 KR 200439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panel
furniture
edge ban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호
Original Assignee
구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호 filed Critical 구자호
Priority to KR2020070020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8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 가구용 패널의 에지부에 부착된 에지밴드의 정면을 덮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에지밴드의 측면을 덮는 연장부가 몸체부의 선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부의 내측벽에 에지밴드의 돌출 선단이 끼워지는 에지수용홈이 형성되어, 외관이 매끄럽고 단순하여 깨끗한 외관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으며 에지밴드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가구, 패널, 에지밴드, 마감부재,

Description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및 그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Panel for furniture and Material for covering the side}
본 고안은 가구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널 마감부재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나 붙박이장, 책상이나 책장, 액자 등의 가구용 패널은 표면을 미려하게 가공하기 위해 페인팅이나 코팅을 하기도 한다. 한편, 패널의 테두리부는 장식미는 물론이고 견고하고 안전한 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통상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제0406555호(공고일자 2006년 1월 23일, 신장공업주식회사)에 개시된 「주방가구용 도어」를 보면, 목재패널의 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목재패널의 테두리를 감싸는 장식테에 상기 고정홈으로 압입되는 고정편이 형성되며, 장식테들을 연결하는 코너연결구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 신장공업주식회사의 고안은 고정편을 고정홈에 삽입시켜 장식테를 지지하도록 된 것으로, 목재패널의 측면에 고정홈을 형성해야 하므로 목재패널의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식테에 고정편을 돌출되게 형성해야 하므로 성형가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정편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많이 소요되어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등록실용신안 제434569호(출원일자 2006년 9월 22일)「가구용 패널의 측면 마감부재」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한 바 있다.
그러나, 본인의 고안은 마감부재의 외측면에 커버가 끼워짐으로써 마감부재의 외관에 커버로 인한 줄무늬가 형성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커버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마감부재에 형성해야 하고 피스를 구비해야 하는 등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피스로 마감부재를 결합시키게 되므로 마감부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커버를 분리시키고 피스를 제거해야 하므로 교체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관이 매끄럽고 단순하며 에지밴드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관이 매끄럽고 단순하며 에지밴드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마감부재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는, 가구용 패널의 에지부에 부착된 에지밴드의 정면을 덮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에지밴드의 선단 측면을 덮는 연장부가 몸체부의 선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부의 내측벽에 에지밴드의 돌출 선단이 끼워지는 에지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에지밴드의 선단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장부는 에지수용홈으로 에지밴드의 걸림턱이 끼워질 수 있도록 몸체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패널은, 패널부재; 패널부재의 에지부에 부착되고, 패널부재 에지부의 외측으로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된 에지밴드; 및 에지밴드의 정면을 덮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에지밴드의 선단 측면을 덮는 연장부가 몸체부의 선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부의 내측벽에 에지밴드의 돌출 선단이 끼워지는 에지수용홈이 형성된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은 패널부재의 정면(11) 쪽으로 절곡되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패널부재의 정면을 덮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에지밴드는 보강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및 그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에 의하면, 마감부재의 외관이 매끄럽고 단순하여 깨끗한 외관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으며, 마감부재가 에지밴드에 간편하게 결합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마감부재가 에지밴드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및 그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패널은, 패널부재(10)와, 패널부재(10)의 에지부(12)에 부착된 에지밴드(20), 및 에지밴드(20)의 외측면에 끼워지는 마감부재(30)를 포함한다.
패널부재(10)는 가구의 도어에 사용되는 판형상의 패널로 2개의 정면(11)과 에지부(12)를 포함하고 있다. 패널부재(10)는 목재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패널부재(10)의 정면(11)은 다양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패널부재(10)의 에지부(12)에는 에지밴드(20)가 접착제로 부착된다.
에지밴드(20)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에지부(12)의 외장재의 역할을 한다.
에지밴드(20)의 선단에는 걸림턱(21)이 패널부재(10) 에지부(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턱(2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사각형상이나 삼각형상 및 반원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21)의 단면형상에 따라 마감부재(30)의 단면형상도 달라지게 된다.
마감부재(30)는 몸체부(31)와 연장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몸체부(31)와 연장부(32)는 단면형상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감부재(30)는 알루미늄을 비롯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몸체부(31)는 직사각형의 금속판으로, 패널부재(10)의 에지부(12)에 부착된 에지밴드(20)의 정면(11)을 덮는다.
연장부(32)는 몸체부(31)의 선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에지밴드(20)의 걸림턱(21)과 패널부재(10)의 정면(11)을 덮는다.
연장부(32)의 내측벽에는 에지밴드(20)의 돌출선단인 걸림턱(21)을 수용하는 에지수용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에지수용홈(32a)으로 걸림턱(21)이 끼워져 안착됨으로써 마감부재(30)가 에 지밴드(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다.
연장부(32)는 에지수용홈(32a)으로 에지밴드(20)의 걸림턱(21)이 끼워질 수 있도록 몸체부(31)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에지밴드(20)의 외측에서 패널부재(10) 쪽으로 연장부(32)를 밀어 넣게 되면 에지밴드(20)가 신축적으로 변형됨과 동시에 연장부(32)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벌어지면서 에지밴드(20)의 걸림턱(21)이 연장부(32)의 에지수용홈(32a)으로 끼워지게 된다.
에지수용홈(32a)에 걸림턱(21)이 끼워지게 되면 걸림턱(21)이 연장부(32)를 지지함으로써 마감부재(30)가 에지밴드(20)에 결합되는 것이다.
도 6에는 에지밴드(20)의 걸림턱(21)과 에지수용홈(32a)의 다양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에지수용홈(32a)은 걸림턱(21)의 단면 형상에 따라 그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패널부재(10)의 정면(11)에는 보강부재(40)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재(40)는 패널부재(10)의 정면(11)에 형성된 무늬가 외부로 투영되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40)는 패널부재(10)의 정면(11)에 덮히고 선단이 연장부(32)에 의해 덮혀 지지된다. 이 경우 에지밴드(20)는 보강부재(4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연장부(32)의 형상도 달라지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에지밴드(20)와 걸림턱(215)은 그 단면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15)은 패널부재(10)의 정면(11)에 접촉되도록 ' ㄱ'자 형상의 절곡 부분이 패널부재(10)의 모서리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걸림턱(215)과 에지밴드(20)가 이루는 'ㄱ'자 형상의 절곡 부분이 패널부재(10)의 모서리에 안착됨으로써 에지밴드(20)를 패널부재(10)와 수평하게 위치시키기가 용이해진다.
즉, 걸림턱(215)의 'ㄱ'자 형상의 절곡 부분이 모서리에 안착되기만 하면 패널부재(10)에 대하여 에지밴드(20)의 수평위치를 별도로 맞출 필요 없이 패널부재(10)와 자동적으로 수평이 맞게 되는 것이다.
연장부(32)의 에지수용홈(32f)은 패널부재(10)의 정면(11)에 접촉된 걸림턱(215)을 덮도록 장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에지밴드(20)는 패널부재(10)의 에지부(32)에 타카못이나 나사를 비롯한 고정피스(50)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구용 패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마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구용 패널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구용 패널의 변형예들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패널을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패널부재 11 : 정면
12 : 에지부 20 : 에지밴드
21 : 걸림턱 30 : 마감부재
31 : 몸체부 32 : 연장부
32a : 에지수용홈 40 : 보강부재
50 : 고정피스

Claims (6)

  1. 가구용 패널부재의 에지부(12)에 부착된 에지밴드의 정면(11)을 덮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에지밴드의 선단 측면을 덮는 연장부가 몸체부의 선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부의 내측벽에 에지밴드의 돌출 선단이 끼워지는 에지수용홈이 형성된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에지밴드의 선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연장부는,
    에지수용홈으로 에지밴드의 걸림턱이 끼워질 수 있도록 몸체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4. 평판형의 패널부재;
    패널부재의 에지부(12)에 부착되고, 패널부재 에지부(12)의 외측으로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된 에지밴드; 및
    에지밴드의 정면(11)을 덮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에지밴드의 선단 측면을 덮는 연장부가 몸체부의 선단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장부의 내측벽에 에지밴드의 돌출 선단이 끼워지는 에지수용홈이 형성된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가구용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패널부재의 정면(11) 쪽으로 절곡되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패널부재의 정면(11)을 덮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에지밴드는 보강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패널.
KR2020070020367U 2007-12-17 2007-12-20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및 그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 KR200439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367U KR200439806Y1 (ko) 2007-12-17 2007-12-20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및 그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34 2007-12-17
KR2020070020367U KR200439806Y1 (ko) 2007-12-17 2007-12-20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및 그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806Y1 true KR200439806Y1 (ko) 2008-05-07

Family

ID=4164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367U KR200439806Y1 (ko) 2007-12-17 2007-12-20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및 그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8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599B1 (ko) 가구 도어틀
KR20100012397U (ko) 문짝용 프레임
US6315026B1 (en) Cornice box
KR20170017085A (ko) 휘어짐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 및 가구용 도어
KR200439806Y1 (ko)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및 그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
KR20180099100A (ko) 가구의 모서리 마감부재
KR200434569Y1 (ko) 가구용 패널의 측면 마감부재
KR20090011062U (ko) 가구용 패널의 코너 마감부재
KR200392546Y1 (ko) 주방가구용 도어
KR20110095683A (ko) 가구용 판넬
JP2017190634A (ja) 鏡板保持部材および框扉
JP5478301B2 (ja) パネル取付構造及びパネル取付具及びパネル組立体
KR20130064343A (ko) 경량화 및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한 욕실용의 거울조립체
KR200374472Y1 (ko) 주방가구용 도어
KR200406555Y1 (ko) 주방가구용 도어
JP2018165432A (ja) 縦目地用ジョイナ
CN218912112U (zh) 一种踢脚线构件及踢脚线组件
KR200382765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JP3188763U (ja) サッシ見切縁
JPS6022837Y2 (ja) 天板の端縁被覆装置
JP6872332B2 (ja) 天板構造
KR101565308B1 (ko) 가구용 패널의 마감장치
JP3902486B2 (ja) 玄関パン
JP3186221U (ja) サッシ見切縁
KR200177801Y1 (ko) 천정 테두리목에 장식판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