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837B1 -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837B1
KR102556837B1 KR1020210078870A KR20210078870A KR102556837B1 KR 102556837 B1 KR102556837 B1 KR 102556837B1 KR 1020210078870 A KR1020210078870 A KR 1020210078870A KR 20210078870 A KR20210078870 A KR 20210078870A KR 102556837 B1 KR102556837 B1 KR 102556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lt
system furniture
hol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859A (ko
Inventor
윤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사
주식회사 유니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사, 주식회사 유니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사
Priority to KR102021007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837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25Uprights secured to ceiling and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16Uprights receiving panels and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66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Abstract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는, 시스템 가구용 지주의 한쪽 단부 또는 양쪽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단이 한쪽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끼움단과 반대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 양쪽에는 고정단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에 대응되는 양쪽 벽에는 공구 삽입공이 형성되는 고정체; 수평부의 중앙에 회전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직단이 양쪽의 상기 고정단에 결합되는 볼트 지지구;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과 상기 수평부 사이에 머리부가 위치하고 끝단이 상기 개구부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공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지지구에 지지되는 조절볼트; 상기 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중앙의 결합부에 형성되고, 외측면은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며,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조절볼트가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될 때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 작동하는 조절체; 및 상기 공구 삽입공을 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조절볼트를 커버하도록 상기 공구 삽입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HIDDEN HEIGHT ADJUSTING DEVICE TYPE FOR SYSTEM FURNITURE}
본 발명은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레스 룸과 같은 공간의 바닥과 천장에 상,하단부가 각각 지지되는 시스템 가구용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지주를 비롯한 시스템 가구의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레스 룸은 가정의 실내에 의류를 포함한 악세서리 등을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으로, 이러한 드레스 룸에는 시스템 가구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자립형 가구나 붙박이장 등을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 가구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용자의 의도와 취향에 맞게 다양하게 연출이 가능한 기능이 있는 것으로, 바닥과 천장에 상,하단부가 지지되도록 세워지는 다수개의 지주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한 후 각 지주 사이에 선반이나 옷걸이용 바를 설치하며 지주와 지주 사이의 하부쪽 공간에는 서랍장을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지주의 상,하단부에는 지주의 길이와 바닥과 천장 사이의 거리를 일치시켜 지주가 바닥과 천장 사이에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다.
높이조절장치는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천정 또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체와 고정체와 지지체를 연결하는 조절볼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높이조절장치는 조절볼트를 공구로 회전 조작함에 따라 지지체가 고정체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되므로 지주의 길이, 즉 지주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 가구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6737호(공고일자 : 2007.09.28)에는 시스템가구용 높이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장치는 간단한 노브 조작과 스프링의 완충작용을 이용하여 시스템가구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흔들림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높이조절장치는, 지지부재와 밀착부재 사이의 조절 노브를 비롯한 높이조절에 필요한 부품들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스템 가구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물질이 구서요소에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6737호(공고일자 : 2007.09.28)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과 바닥에 지지되어 세워지는 시스템 가구용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비롯한 부품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지주를 비롯한 시스템 가구의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이물질이 유입되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시스템 가구용 지주의 한쪽 단부 또는 양쪽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단이 한쪽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끼움단과 반대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 양쪽에는 고정단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에 대응되는 양쪽 벽에는 공구 삽입공이 형성되는 고정체; 수평부의 중앙에 회전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직단이 양쪽의 상기 고정단에 결합되는 볼트 지지구;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과 상기 수평부 사이에 머리부가 위치하고 끝단이 상기 개구부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공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지지구에 지지되는 조절볼트; 상기 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중앙의 결합부에 형성되고, 외측면은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며,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조절볼트가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될 때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 작동하는 조절체; 및 상기 공구 삽입공을 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조절볼트를 커버하도록 상기 공구 삽입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고정단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걸림단이 걸리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서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걸림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구 삽입공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기 커버부재를 분리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도록 분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와 상기 조절체는, 상기 지주의 단면 형상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볼트의 끝단에는, 상기 체결공에 체결된 상기 조절볼트를 외부에서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하도록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체의 외측면에는, 바닥 또는 천장에 미끄럼 없이 밀착되기 위한 밀착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밀착부재에는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형성되거나 널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유동방지수단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한쪽에 상기 고정체의 일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고정홈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조절부재의 머리부가 고정되는 제1 유동방지체; 한쪽에 상기 조절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되거나 너트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공구 결합부가 형성되며 반대쪽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 유동방지체; 및 한쪽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반대쪽은 벽면에 밀착되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고정홈에 상기 고정체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구 결합부에 공구를 결합하여 상기 제2 유동방지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 유동방지체와 상기 제2 유동방지체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고정체의 흔들림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자체 탄성을 갖는 고무재, 합성수지재 또는 실리콘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대쪽에는 상기 벽면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과 바닥에 지지되어 세워지는 시스템 가구용 지주의 한쪽 단부 또는 양쪽 단부에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가 결합됨으로써 지주의 높이를 조절용 조절볼트를 비롯한 부품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절볼트 등이 내장되는 작동공간이 커버부재에 의해 개폐되므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체가 유동방지수단에 의해 벽면에 고정됨으로써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면서도 벽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가 지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절체에 마련되는 밀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에 유동방지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유동방지수단이 고정체를 벽면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가 지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는, 시스템 가구용 지주(10)의 한쪽 단부 또는 양쪽 단부에 구비되어 바닥과 천장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10)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체(20)와,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는 조절체(50)와, 고정체(20)와 조절체(5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작동에 의해 조절체(50)를 지주(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볼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체(20)는, 지주(10)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주(10)의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 결합공(12)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단(22)이 한쪽에서 돌출 형성된다. 끼움단(22)은 끼움 결합공(1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으며, 끼움 결합공(12)의 2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끼움단(22)도 2개로 이루어진다. 고정체(20)의 내부에는 끼움단(22)과 반대 방향으로 개구부(24A)가 형성되는 작동공간(24)이 형성된다. 작동공간(24)의 바닥 양쪽에는 고정단(26)이 개구부(24A)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양쪽의 고정단(26)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는 양쪽 벽(25)에는 공구 삽입공(27)들이 각각 형성된다.
전술한 끼움단(22)이 끼움 결합공(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나사로 지주와 끼움단(22)을 체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끼움단(22)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끼움 결합공(12)에는 걸림공을 형성하여 끼움단(22)을 끼움 결합공(12)에 끼움에 따라 걸림돌기가 걸림공에 걸리도록 하여 끼움단(22)의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단(22)이 끝단으로 갈수록 좁은 쐐기 형태를 갖는다. 이는 끼움단(22)이 끼움 결합공(12)에 간섭없이 끼움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
본 실시예에서 고정체(20)는 지주(10)의 단면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지주(10)의 단면과 다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체(20)에 형성되는 공구 삽입공(27)은 커버부재(6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커버부재(60)는 공구 삽입공(27)을 통하여 노출되는 조절볼트(40)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공구 삽입공(27)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부재(60)는 고정단(26)에 걸려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단(26)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60)의 소정의 각도(대략 45°각도)로 절곡된 걸림단(62)이 걸리기 위한 걸림부(26A)가 형성된다. 걸림부(26A)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6A-1)과 경사면(26A-1)에서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걸림면(26A-2)으로 이루어진다. 걸림부(26A)가 경사면(26A-1)과 걸림면(26A-2)으로 이루어지므로 경사면(26A-1)과 걸림면(26A-2)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 내지 유사한 각도로 절곡된 형태의 걸림단(62)이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60)의 양쪽에 형성되는 걸림단(62)은 커버부재(60)의 양쪽 단부에서 외팔보 구조로 연장 형성되므로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는다. 즉, 공구 삽입공(27)에 삽입될 때 변형된 후 자체 탄성으로 걸림부(26A)에 걸리게 되어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분리할 때는 커버부재(60)를 외력으로 잡아 당기면 걸림단(62)이 변형되면서 걸림부(26A)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공구 삽입공(27)의 가장자리에는, 걸림부(26A)에 걸린 커버부재(60)를 분리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도록 분리홈(27A)이 형성된다. 즉, 공구 삽입홈(27)의 가장자리와 커버부재(60) 사이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날이 삽입되도록 공구 삽입홈(27)의 가장자리에 분리홈(27A)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리홈(27A)에 의해 커버부재(6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볼트 지지구(30)는, 작동공간(24)의 바닥과의 사이에 조절볼트(40)의 머리부(42)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도록 공간을 형성하고 조절볼트(40)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볼트 지지구(30)는, 수평부(32)의 중앙에 조절볼트(40)가 회전 지지되기 위한 회전 지지공(32A)이 형성되고, 수평부(32)의 양단에는 수직단(34)이 각각 직각으로 연장 형성된다. 양쪽의 수직단(34)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단(26)에 고정되거나, 끼움 구조에 의해 고정되거나,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된다.
볼트 지지구(30)는 머리부(42)가 바닥과 수평부(32)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절볼트(40)가 회전 지지공(32A)을 통과한 상태에서 양쪽의 수직단(34)이 고정단(26)에 고정된다. 따라서 조절볼트(40)는 볼트 지지구(30)에 회전지지 될 수 있다.
조절볼트(40)는, 조절체(50)에 나사 결합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으로 조절체(50)를 작동공간(24)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외측으로 이동시켜 궁극적으로 지주(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주(10)와 바닥, 또는 지주(10)와 천장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절볼트(40)는 공구가 결합되기 위한 머리부(42)와, 숫나산이 형성된 체결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지지공(3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체결부(44)가 회전 지지공(32A)을 통과하도록 볼트 지지구(30)에 결합된다.
한편, 조절볼트(40)의 끝단에는, 체결공(52A)에 체결된 조절볼트(40)를 외부(작동공간의 바깥쪽)에서 체결공(52A)을 통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하도록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 결합홈(46)이 형성된다. 이 공구 결합홈(46)은 지주(10)를 바닥과 천장 사이에 설치하기 전에 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조절볼트(40)를 회전시켜 조절체(50)를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구 결합홈(46)은 지주(10)가 바닥과 천장 사이에 설치된 후에는 사용할 수 없다.
조절체(50)는, 조절볼트(40)에 의해 고정체(20)와 결합되어 시스템 가구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 또는 천장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조절볼트(40)의 체결부(44)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52A)이 중앙의 결합부(52)에 형성된다. 이러한 조절체(50)는, 작동공간(24)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절볼트(40)의 체결부(44)가 체결공(52A)에 체결된다. 따라서 조절볼트(40)의 머리부(42)를 정회전 시키거나 역회전 시키면 조절체(50)는 작동공간(24)의 내부로 이동하여 그 외측면이 바닥이나 천장과 이격되거나, 외측으로 이동하여 그 외측면이 바닥이나 천장에 밀착 지지된다.
조절체(50)는 조절볼트(40)의 회전시 조절볼트(40)와 같이 회전하지 않도록 다각형 단면을 갖는 고정체(20)와 유사 내지 동일한 단면으로 형성된다. 만약 조절체(50)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조절체(5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바닥이나 천장과 마주보는 조절체(50)의 외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이 바닥 또는 천장에 미끄럼 없이 밀착되기 위한 제1 밀착부재(56)가 마련된다. 이 제1 밀착부재(56)는 조절체(50)의 외측면이 바닥이나 천장에 밀착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밀착부재(56)는, 실리콘재, 고무재, 합성수지재,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착부재(56)에는, 천장이나 바닥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돌기(56A)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밀착부재(56)는 경질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 방지돌기(56A) 대신에 널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고정체(20)의 작동공간(24)에 조절체(50)가 삽입되고 고정체(20)의 내부에서 조절체(50)가 조절볼트(40)에 의해 고정체(2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공구 삽입공(27)을 통하여 공구로 조절볼트(40)를 조작한 후 커버부재(60)로 공구 삽입공(27)를 커버함으로써, 조절체(50)를 이동시켜 지주(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40)를 포함한 기타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지주(10)의 미관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가구용 지주(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20)가 지주(10)의 단부에 결합되고, 조절체(50)가 작동공간(24)에 삽입되며, 조절볼트(40)가 조절체(50)의 체결공(52A)에 체결된 상태에서, 공구 삽입공(27)으로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삽입하여 머리부(42)를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볼트(40)는 회전 지지공(32A)에 회전 지지된 상태이므로 자전을 하게 되고, 이 작동으로 조절체(50)는 바닥이나 천장 쪽으로 이동하여 바닥이나 천장에 밀착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지주(10)의 높이가 조절되면 커버부재(60)를 공구 삽입공(27)에 삽입하여 공구 삽입공(27)을 커버한다. 따라서, 지주(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40)를 비롯한 기타 부품 및 작동공간(24)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조절볼트(40)를 전술한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체(50)는 바닥이나 천장에서 이격되어 작동공간(24)으로 삽입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체(20)가 유동되지 않도록 벽면에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유동방지수단(70)을 더 구비한다.
유동방지수단(70)은, 한쪽에 고정체(20)의 일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고정홈(72A)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조절부재(73)의 머리부가 고정되는 제1 유동방지체(72)와, 한쪽에 조절부재(73)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되거나 너트(76A)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공구 결합부(76B)가 형성되며 반대쪽에는 삽입홈(76C)이 형성되는 제2 유동방지체(76)와, 한쪽이 삽입홈(76C)에 삽입되고 반대쪽은 벽면에 밀착되는 제2 밀착부재(7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동방지수단(7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고정홈(72A)에 고정체(50)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제2 밀착부재(78)가 벽면(W)에 밀착된 상태에서 공구 결합부(76B)에 공구를 결합하여 제2 유동방지체(76)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 유동방지체(72)와 제2 유동방지체(76)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고정체(20)의 흔들림을 고정하게 된다. 즉, 유동방지수단(70)이 고정체(20)와 벽면(W)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체(20)를 지지하게 되므로 고정체(2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2 유동방지체(76)를 회전시킬 때 삽입홈(76C)에 삽입된 제2 밀착부재(76)는 삽입홈(76C)에서 슬립이 일어므로 제2 유동방지체(76)의 회전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2 유동방지체(76)의 더욱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는 공구 결합부(76B)가 제2 유동방지체(76)로부터 분리된 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밀착부재(78)는, 자체 탄성을 갖는 고무재, 합성수지재 또는 실리콘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밀착부재(78)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삽입홈(76C)에 삽입되는 일단의 반대쪽에는 벽면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78A)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 유동방지체(76)를 벽면(W)에 고정하지 않고 밀착되어 지지 하도록 구성한 것은 벽면(W)에 나사공이나 기타 구멍을 형성하면서 훼손하기 않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제2 유동방지체(76)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나사 등을 이용하여 제2 유동방지체(76)를 벽면(W)에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시스템 가구를 구성하는 지주(10)의 단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장치의 조절볼트(4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 가구를 구성하는 지주(10)의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지주 12 : 끼움 결합공
20 : 고정체 22 : 끼움단
24 : 작동공간 26 : 고정단
27 : 공구 삽입공 30 : 볼트 지지구
32 : 수평부 32A : 회전 지지공
34 : 수직단 40 : 조절볼트
42 : 머리부 44 : 체결부
46 : 공구 결합홈 50 : 조절체
52 : 결합부 52A : 체결공

Claims (9)

  1. 시스템 가구용 지주의 한쪽 단부 또는 양쪽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단이 한쪽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끼움단과 반대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 양쪽에는 고정단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에 대응되는 양쪽 벽에는 공구 삽입공이 형성되는 고정체;
    수평부의 중앙에 회전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직단이 양쪽의 상기 고정단에 결합되는 볼트 지지구;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과 상기 수평부 사이에 머리부가 위치하고 끝단이 상기 개구부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공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지지구에 지지되는 조절볼트;
    상기 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중앙의 결합부에 형성되고, 외측면은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며,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조절볼트가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될 때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 작동하는 조절체; 및
    상기 공구 삽입공을 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조절볼트를 커버하도록 상기 공구 삽입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걸림단이 걸리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부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서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걸림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삽입공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기 커버부재를 분리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도록 분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와 상기 조절체는,
    상기 지주의 단면 형상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의 끝단에는,
    상기 체결공에 체결된 상기 조절볼트를 외부에서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하도록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체의 외측면에는,
    바닥 또는 천장에 미끄럼 없이 밀착되기 위한 밀착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밀착부재에는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형성되거나 널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유동방지수단에 의해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한쪽에 상기 고정체의 일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고정홈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조절부재의 머리부가 고정되는 제1 유동방지체;
    한쪽에 상기 조절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공이 형성되거나 너트가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공구 결합부가 형성되며 반대쪽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 유동방지체; 및
    한쪽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반대쪽은 벽면에 밀착되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고정홈에 상기 고정체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구 결합부에 공구를 결합하여 상기 제2 유동방지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 유동방지체와 상기 제2 유동방지체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고정체의 흔들림을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자체 탄성을 갖는 고무재, 합성수지재 또는 실리콘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대쪽에는 상기 벽면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개의 돌기들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KR1020210078870A 2021-06-17 2021-06-17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KR102556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70A KR102556837B1 (ko) 2021-06-17 2021-06-17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870A KR102556837B1 (ko) 2021-06-17 2021-06-17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859A KR20220168859A (ko) 2022-12-26
KR102556837B1 true KR102556837B1 (ko) 2023-07-18

Family

ID=8454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870A KR102556837B1 (ko) 2021-06-17 2021-06-17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8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697Y1 (ko) 2006-05-10 2006-08-01 황경주 조립식 가구의 지주
KR200431872Y1 (ko) 2006-08-02 2006-11-27 황경주 조립식 선반
KR200482760Y1 (ko) 2016-07-27 2017-03-03 김준경 조립식 선반
KR101909872B1 (ko) 2018-05-20 2018-10-18 이용백 높이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737Y1 (ko) 2007-06-19 2007-09-28 주식회사 창신산업 시스템가구용 높이조절장치
KR20100018149A (ko) * 2008-08-06 2010-02-17 (주)디폴 조립식 선반
KR101708392B1 (ko) * 2015-05-14 2017-03-09 주식회사 신코 시스템가구용 포스트
KR102118514B1 (ko) * 2017-06-14 2020-06-03 김종원 가구 받침다리
KR102325389B1 (ko) * 2017-09-01 2021-11-11 고경돈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포스트를 구비한 드레스 선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697Y1 (ko) 2006-05-10 2006-08-01 황경주 조립식 가구의 지주
KR200431872Y1 (ko) 2006-08-02 2006-11-27 황경주 조립식 선반
KR200482760Y1 (ko) 2016-07-27 2017-03-03 김준경 조립식 선반
KR101909872B1 (ko) 2018-05-20 2018-10-18 이용백 높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859A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8785B2 (en) Vertically stabilized adjustable shelf bracket assembly
US7677521B2 (en) Adjustable wall hanger assembly
KR200380827Y1 (ko) 선반지지장치
US8739324B2 (en) Shower rod mounting bracket
US9464476B2 (en) Wall entry tunnel for a pet door
US6112801A (en) Pendant finial
KR102556837B1 (ko)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US6840482B2 (en) Mounting bracket for curtain rods
US8959850B2 (en) Wall entry tunnel for a pet door
US20200281353A1 (en) Storage systems including back channels and walls mountable along the back channels
KR20180007461A (ko) 마감패널 조립구조
US8807899B2 (en) Insert wall anchor for a grab bar
CA2586517C (en) Shower curtain bar
WO2020215166A1 (en) Curtain rod suspension system and assembly
KR20170100949A (ko) 가구용 걸이대
KR101834497B1 (ko) 조립식 선반구조
KR102529487B1 (ko) 시스템 가구의 프레임용 흔들림 방지장치
KR200294575Y1 (ko) 고리장착식 행거형 마감재 및 그 지지프레임
JPH0720194U (ja) 物干し竿支持具
KR102608564B1 (ko)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KR19990035802U (ko)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
KR200368834Y1 (ko) 행거 고정장치
KR200449597Y1 (ko) 천장 설치형 커튼 레일용 고정구
KR102199822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200285512Y1 (ko) 코너 수납장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