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564B1 -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 Google Patents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564B1
KR102608564B1 KR1020210098716A KR20210098716A KR102608564B1 KR 102608564 B1 KR102608564 B1 KR 102608564B1 KR 1020210098716 A KR1020210098716 A KR 1020210098716A KR 20210098716 A KR20210098716 A KR 20210098716A KR 102608564 B1 KR102608564 B1 KR 10260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upport
frame
coupling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7017A (ko
Inventor
윤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사
주식회사 유니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사, 주식회사 유니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사
Priority to KR102021009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56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16Uprights receiving panels and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0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1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25Uprights secured to ceiling and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는, 설치공간의 바닥과 천장에 상,하단부가 프레임 높이조절구에 의해 지지되는 각각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서랍장; 상기 수직 프레임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선반을 지지하고 선반 높이조절구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선반 받침대; 및 상기 선반 받침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 받침대의 양 단부를 커버하는 마감캡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 받침대에는, 상기 선반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선반 고정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이 외력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체; 및 흔들림 조절볼트에 의해 상기 프레임 고정체와 연결되고 벽체에 지지되는 벽 지지체로 이루어진 흔들림 방지구가 마련되고, 상기 서랍장은, 양쪽의 측판이 넘어짐 방지수단에 의해 양쪽의 상기 수직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넘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SYSTEM FURNITURE WITH IMPROVED FUNCTIONS}
본 발명은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랍장과 수직 프레임을 결합하여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선받 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직 프레임의 높이조절 구성요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직 프레임이 횡방향 외력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선반 받침대에 안착되는 선반이 상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선반 받침대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레스 룸은 가정의 실내에 의류를 포함한 악세서리 등을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으로, 이러한 드레스 룸에는 시스템 가구나 조립식 가구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자립형 가구나 붙박이장 등을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 가구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용자의 의도와 취향에 맞게 다양하게 연출이 가능한 기능이 있는 것으로, 바닥과 천장에 상,하단부가 지지되도록 세워지는 다수개의 지주(수지 프레임)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한 후 각 지주 사이에 선반이나 옷걸이용 바를 설치하며 지주와 지주 사이의 하부쪽 공간에는 서랍장을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시스템 가구를 구성하는 지주의 상,하단부에는 지주의 길이와 바닥과 천장 사이의 거리를 일치시켜 지주가 바닥과 천장 사이에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시스템 가구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6167호(공고일 : 2004.11.03)에는 드레스 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드레스 룸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포스트(1)와, 높낮이 조절용 볼트(5)가 고정되는 포스트캡(4)과, 포스트캡(4)에 마련되는 높낮이 조절구(6)와, 상기 메인포스트(1)를 지지하는 지지편(7)과, 선반이 안착되는 선반날개(19)와, 선반날개(19)를 지지하는 선반연결 브라켓(8)과, 상기 메인포스트(1)의 가이드홈(2)에 체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복수의 가이드편(18)과, 선반연결 브라켓(8)의 저면에 체결되는 선반이동편(12)과, 가이드편(18)에 볼트 결합되는 옷걸이봉 걸이(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시스템 가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시스템 가구는, 수직 프레임(지주)의 상,하단부가 바닥과 천장에만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직 프레임에 횡방향 외력이 가해질 때 중간부가 좌,우(수평방향)로 흔들릴 수 있었고, 수직 프레임이 외력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에 바닥과 천장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높이조절장치가 바닥이나 천장으로부터 이격되어 시스템 가구 자체가 전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시스템 가구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서랍장이 배치되는 경우에, 서랍장과 수직 프레임이 결합되지 않음으로써 서랍을 인출할 경우에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쏠려 서랍장이 전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시스템 가구의 각 수직 프레임 상,하단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구의 조임볼트 등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높이조절구의 각 부품 사이에 이물질 등이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고, 각 구성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시스템 가구의 수직 프레임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높이 조절되는 선반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선반 받침대로부터 선반들 제거한 후 조절나사를 조이거나 푸는 등의 조작을 해야 함으로써 선반 받침대의 높이 조절작업이 곤란한 문제점 있었다.
다섯째, 시스템 가구의 선반 받침대에 선반이 안착된 상태에서 선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음으로써 이용자의 부주의로 선반을 상향으로 들어 올릴 경우에 선반이 선반 받침대에서 이탈되어 낙하 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6167호(공고일 : 2004.11.03)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가구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선반이 선반 받침대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으며, 선반 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선반의 분리 없이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직 프레임의 높이조절 구성요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공간의 바닥과 천장에 상,하단부가 프레임 높이조절구에 의해 지지되는 각각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서랍장; 상기 수직 프레임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선반을 지지하고 선반 높이조절구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선반 받침대; 및 상기 선반 받침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 받침대의 양 단부를 커버하는 마감캡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 받침대에는, 상기 선반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선반 고정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 높이조절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단부에 한쪽이 끼움 결합되고 측부에 공구 삽입공이 형성된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고정체;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이 천장이나 바닥에 지지되는 조절체; 상기 고정체와 상기 조절체에 각각 결합되어 공구에 의한 회전조작으로 상기 조절체를 상기 작동공간에서 인출 또는 인입시켜 상기 수직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 및 상기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공구 삽입공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이 외력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체; 및 흔들림 조절볼트에 의해 상기 프레임 고정체와 연결되고 벽체에 지지되는 벽 지지체로 이루어진 흔들림 방지구가 마련되고, 상기 서랍장은, 양쪽의 측판이 넘어짐 방지수단에 의해 양쪽의 상기 수직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넘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선반 고정수단은, 상기 선반 받침대가, 상기 선반의 저면 가장자리가 안착는 안착단; 및 상기 안착단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결합 지지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선반이 상기 안착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도록 상기 결합 지지단에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선반 고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선반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 지지단이 끼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한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안착단에 안착된 상기 선반의 측단부가 밀착되기 위한 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면의 상단에는 상기 선반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상기 선반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고정수단은, 상기 선반 받침대가, 상기 선반 높이조절구에 의해 상기 수직 프레임의 걸림홈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블럭에 결합되는 결합단; 및 상기 결합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지지단과 상기 선반의 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단을 통하여 상기 선반에 체결되는 고정나사 또는 상기 지지단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선반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와 결합되는 결합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높이조절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단이 한쪽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끼움단과 반대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 양쪽에는 고정단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에 대응되는 상기 작동공간의 양쪽 벽에는 상기 공구 삽입공이 형성되는 상기 고정체; 수평부의 중앙에 회전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직단이 양쪽의 상기 고정단에 결합되는 볼트 지지구;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과 상기 수평부 사이에 머리부가 위치하고 끝단이 상기 개구부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공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지지구에 지지되는 상기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 및 상기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중앙의 결합부에 형성되고, 외측면은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며,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조절볼트가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공구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될 때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상기 조절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흔들림 방지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부를 감싸면서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삽입홈이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 고정체; 벽체에 지지되는 밀착부가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외주면에 제1 공구 결합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조절볼트 결합부가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상기 벽 지지체; 및 머리부가 상기 결합홈에 고정되고 조절 나사부는 상기 조절볼트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고정체와 상기 벽 지지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벽 지지체에는, 회전 결합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 결합수단은, 상기 밀착부와 상기 결합부가 분리 구성되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밀착부와 상기 결합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흔들림 방지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부를 감싸면서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삽입홈이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제1 나사 결합부가 마련되는 프레임 고정체; 벽체에 지지되는 밀착부가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 내주면에는 제2 나사 결합부가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벽 지지체; 및 한쪽의 제1 나사부는 상기 제1 나사 결합부에 결합되고 반대쪽의 제2 나사부는 상기 제2 나사 결합부에 결합되며 중간부에는 제2 공구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고정체와 상기 벽 지지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흔들림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넘어짐 방지수단은, 상기 서랍장의 양 측판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관통공과 일치하는 각각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에 각각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2 관통공의 수와 간격에 대응되는 상,하부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 설치되는 높이조절블럭; 및 상기 서랍장의 내부에서 상기 제1,2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상,하부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는 서랍장 결합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랍장 결합볼트가 상기 서랍장의 내부에서 상기 제1,2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상,하부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면 상기 높이조절블럭이 상기 걸림홈 내부에 걸려 고정됨에 따라 상기 서랍장과 상기 수직 프레임이 일체화되어 넘어짐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넘어짐 방지수단은,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서랍장의 양쪽 측판 상,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보강 지지체; 및 상기 걸림홈의 내부 격벽에 형성되는 각각의 관통장공을 통하여 각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결합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볼트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장공을 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면 상기 서랍장과 상기 수직 프레임이 일체화되어 넘어짐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높이조절구는, 상기 수직 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높이조절블럭; 및 상기 선반 받침대를 통하여 상기 높이조절블럭에 체결되어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블럭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블럭은, 상기 걸림홈과 같은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전면에서 돌출 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의 입구 쪽으로 노출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전면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상기 선반 받침대의 상,하부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각각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체결공과 하부 체결공; 및 상부쪽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상기 상부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상부 체결공에 체결되더라도 상기 선반 받침대의 일면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측면 사이가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체결공의 주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선반 받침대의 일면에 접하는 간격유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돌기에 의해 상기 선반 받침대의 일면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측면 사이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하부쪽 상기 높이조절볼트를 상기 하부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하부 체결공에 조이거나 푸는 동작만으로 상기 걸림부를 상기 걸림홈의 내부면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켜 상기 높이조절블럭의 위치 조절을 통하여 상기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은, 내측에서 입구 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양쪽에는 상기 입구 쪽으로 경사진 내부 경사 걸림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내부 경사 걸림면에 대응되는 측면 경사 걸림면이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와 결합부의 양 측면 하부영역에는, 상기 하부 높이조절볼트를 조임에 따라 양쪽의 상기 측면 경사 걸림면이 상기 내부 경사 걸림면에 밀착될 때 상기 내부 경사 걸림면에 파고들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들이 연이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랍장의 양 측판이 양쪽의 수직 프레임과 결합됨으로써 서랍장의 전도 및 수직 프레임을 포함한 시스템 가구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선반 받침대에 선반 고정부재가 구비됨으로서 선반이 선반 받침대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으며, 선반 받침대와 높이조절블럭이 상,하부 높이조절볼트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선반을 탈거하지 않고 선반의 하부로 노출되는 하부 높이조절볼트의 조작만으로 선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수직 프레임의 높이조절 구성요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 프레임에 흔들림 방지구가 구비됨으로써 바닥과 천장에 양단이 지지되는 수직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수직 프레임이 흔들리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시스템 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반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반 고정수단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6에 도시된 프레임 높이조절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프레임 높이조절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흔들림 방지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된 흔들림 방지구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넘어짐 방지수단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2에 도시된 넘어짐 방지수단에 보조판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넘어짐 방지수단의 높이조절블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넘어진 방지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넘어짐 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된 보조판재에 소품 걸이구와 소품 보관함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선반 높이조절구를 도시한 결합상태 정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2에 도시된 선반 높이조절구를 도시한 결합상태 평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2에 도시된 선반 높이조절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반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10)는, 설치공간의 바닥과 천장에 상,하단부가 프레임 높이조절구(20)에 의해 지지되는 각각의 수직 프레임(30)과, 양쪽의 수직 프레임(30) 사이에 배치되는 서랍장(70)과, 수직 프레임(30)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선반(51)을 지지하고 선반 높이조절구(5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선반 받침대(53)와, 선반 받침대(53)의 단부에 결합되어 선반 받침대(53)의 양 단부를 커버하는 마감캡(55)을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스템 가구(10)의 기둥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30)은, 양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34)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 걸림홈(34)에는 선반 받침대(53)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블럭(52)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수직 프레임(30)은 시스템 가구(10)의 구성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다.
수직 프레임(30)의 상단부와 하단부 또는 상단부나 하단부에는, 수직 프레임(30)의 높이, 즉, 수직 프레임(30)의 하단부와 바닥 사이, 수직 프레임(30)의 상단부와 천장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프레임 높이조절구(2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프레임(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프레임 높이조절구(20)가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수직 프레임(30)은, 양쪽 측면(32)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34)이 각각 형성된다. 걸림홈(34)은 도 18의 평면을 기준으로 내측에서 입구(31) 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양쪽에는 입구(31) 쪽으로 경사진 내부 경사 걸림면(34A)이 각각 형성된다. 걸림홈(34)의 내부 양쪽에 내부 경사 걸림면(34A)이 입구(31) 쪽으로 경사지게 각각 형성됨으로써 걸림홈(34)은 평면을 기준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프레임 높이조절구(20)는, 수직 프레임(30)의 단부에 한쪽이 끼움 결합되고 측부에 공구 삽입공(22A)이 형성된 작동공간(22B)이 형성되는 고정체(22)와, 작동공간(22B)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이 천장이나 바닥에 지지되는 조절체(24)와, 고정체(22)와 조절체(24)에 각각 결합되어 공구에 의한 회전조작으로 조절체(24)를 작동공간(22B)에서 인출 또는 인입시켜 수직 프레임(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와,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공구 삽입공(22A)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 높이조절구(2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 및 도 6의 (a), (b)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22)는, 수직 프레임(30)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단(22C)이 한쪽에 형성된다. 내부에는 끼움단(22C)과 반대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작동공간(22B)이 형성된다. 작동공간(22B)의 바닥 양쪽에는 고정단(22D)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고정단(22D)에 대응되는 작동공간(22B)의 양쪽 벽에는 전술한 공구 삽입공(22A)이 형성된다. 공구 삽입공(22A)은 공구가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의 머리부(26A)에 결합되도록 작동공간(22B)의 양쪽 벽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공구 삽입공(22A)을 커버하는 커버부재(28)는, 공구 삽입공(22A)을 커버하기 위한 면적으로 형성되며 양단에 걸림단(28A)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커버부재(28)는 양쪽의 걸림단(28A)이 양쪽 고정단(22D)에 형성된 경사면(22D-1)을 따라 변형되면서 이동한 후 경사면(22D-1)과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는 걸림면(22D-2)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때 양쪽의 걸림단(28A)은 자체 탄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경사면(22D-1)과 걸림면(22D-2)이 이루는 각도와 걸림단(28A)의 절곡된 각도는 같도록 한다. 이는 걸림단(28A)이 경사면(22D-1)에 안내된 후 걸림면(22D-2)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공구 삽입공(22A)의 가장자리에는, 걸림면(22D-2)에 걸린 커버부재(28)를 분리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도록 분리홈(22A-1)이 형성된다. 즉, 공구 삽입공(22A)의 가장자리와 커버부재(28)의 끝단 사이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날이 삽입되도록 공구 삽입공(22A)의 가장자리에 분리홈(22A-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리홈(22A-2)에 의해 커버부재(28)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볼트 지지구(27)는, 수평부(27A)의 중앙에 회전 지지공(27A-1)이 형성되고, 수평부(27A)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으로 각각 연장되는 수직단(27B)이 양쪽의 고정단(22D)에 결합된다. 이러한 볼트 지지구(27)는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의 머리부(26A)가 작동공간(22B)의 바닥과 수평부(27A)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회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는, 작동공간(22B)의 바닥과 수평부(27A) 사이에 머리부(26A)가 위치하고 끝단이 작동공간(22B)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회전 지지공(22A-1)을 관통하여 볼트 지지구(27)에 지지된다. 이러한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의 단부에는 공구 결합홈(26B)이 형성된다. 즉,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의 끝단에, 조절체(24)의 체결공(24A)에 체결된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를 외부(작동공간의 바깥쪽)에서 체결공(24A)을 통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하도록 공구가 결합되기 위한 공구 결합홈(26B)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공구 결합홈(26B)은 수직 프레임(30)를 바닥과 천장 사이에 설치하기 전에 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를 회전시켜 조절체(24)를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조절체(24)는,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24A)이 중앙의 결합부(24B)에 형성되고, 외측면은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며, 일부가 작동공간(22B)의 내부에 삽입되고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가 체결공(24A)에 체결되어 공구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될 때 작동공간(22B)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조절체(24)는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의 회전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다각형 단면을 갖는 고정체(22)와 유사 내지 동일한 단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체(24)의 외측면(바닥이나 천장을 향하는 면)에는 외측면이 바닥 또는 천장에 미끄럼 없이 밀착되도록 실리콘재, 고무재, 합성수지재,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밀착패드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 높이 조절구(20)를 이용하여 수직 프레임(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22)에 마련된 커버부재(28)를 분리한 후 공구 삽입공(22A)을 통하여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의 머리부(26A)에 공구를 결합한다. 이어서 공구를 이용하여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를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체(24)는 작동공간(22B)로부터 천장쪽으로 인출되면서 천장에 밀착되고 반대로 수직 프레임(30)은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프레임 높이 조절구(20)가 수직 프레임(30)의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공구로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를 회전시키면 조절체(24)를 기준으로 고정체(22)와 수직 프레임(30)이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프레임 높이 조절구(20)는,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26)가 커버부재(28)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높이조절을 위한 부품들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수직 프레임(30)을 비롯한 프레임 높이 조절구(20)의 미관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높이조절을 위한 부품들이 커버부재(28)에 의해 커버되므로 이물질의 유입도 차단될 수 있다.
전술한 선반 받침대(53)는 선반(51)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양쪽 수직 프레임(30)에 수평으로 각각 결합되어 선반(51)을 지지하고 선반 높이조절구(5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다.
선반 받침대(5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30)의 걸림홈(34)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블럭(52)에 결합되는 결합단(53A)과, 결합단(53A)보다 좁은 폭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단(53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반 받침대(53)는 2 - 10mm 이내의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선반 받침대(53)에 구비되는 선반 고정수단은, 선반 받침대(53)에 결합된 선반(51)이 임의로 선반 받침대(53)에서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단(53B)과 선반(51)의 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지지단(53B)을 통하여 선반(51)의 측면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단(53B)에 고정되는 고정구(53C)와 선반(51)의 측면에 매립되어 구비되는 결합구(51A)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고정구(53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수평의 받침단(53C-2)이 형성되고, 받침단(53C-2)에서 수직으로 끼움 결합단(53C-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끼움 결합단(53C-1)은 상부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고 선반(51)의 측면과 마주보는 면에서 그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사다리꼴 형상을 갖으며, 중간에는 수평방향으로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구(53C)는 결합볼트가 지지단(53B)를 통하여 체결공에 체결됨에 따라 지지단(53B)에 결합된다.
결합구(5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51)의 측면에 매립되는 것으로, 고정구(53C)의 끼움 결합단(53C-1)이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으며 내부는 넓고 입구는 좁은 형태의 쐐기 결합공(51A-1)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 측면에 결합구(51A)가 매립된 선반(51)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끼움 결합단(53C-1)이 쐐기 결합공(51A-1)에 삽입시킴으로써 선반(51)이 지지단(53)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반 고정수단은, 선반 받침대(53)가, 한쪽 수직면(53-1) 하단에서 선반(51)의 저면 가장자리가 안착되도록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단(53E)과, 안착단(53B)과 평행하도록 수직면(53-1)에서 연장 형성되는 결합 지지단(53F)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선반(51)의 양쪽 저면 가장자리가 안착단(53E)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선반(51)이 안착단(53E)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도록 결합 지지단(53F)에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선반 고정부재(53G)로 구성된다.
이때, 선반 고정부재(53G)는, 결합 지지단(53F)이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53G-1)이 한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안착단(53E)에 안착된 선반(51)의 측단부가 밀착되기 위한 밀착면(53G-3)이 형성되며, 밀착면(53G-3)의 상단에는 선반(51)의 상단 가장자리, 즉 상면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선반(51)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53G-2)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선반(51)이 안착단(53E)에 안착된 상태에서 선반 고정부재(53G)를 결합 지지단(53F)에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함으로써 고정단(53G-2)이 선반(51)의 상면 가장자리를 가압한 상태가 되어 선반(51)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단(53E)에는 선반 받침대(53)와 선반(51)을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가 통과되기 위한 나사공(53E-1)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면(53-1)에는 수직면(53-1)과 선반(51)의 측단면 사이에 회피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간격유지단(53-2)이 안착단(53E) 및 결합 지지단(53F)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수직면(53-1)에 간격유지단(53-2)이 형성되어 선반(51)의 측면과 수직면(53-1) 사이에 회피공간(S)이 형성됨으로써 안착단(53E)에 선반(40)이 안착되었을 때 선반(40)의 측단면과 높이조절 결합볼트(54A)가 걸림홈(34)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높이조절블럭(52)에 체결되더라도 높이조절 결합볼트(54A)가 선반(51)의 측면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한편, 선반 받침대(53)의 양쪽 단부에는 마감캡(55)이 각각 결합된다. 마감캡(55)은, 선반 받침대(53)의 양쪽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선반 받침대(53)와 선반(51)을 추가로 결합하여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마감캡(5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받침대(53)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55A)와, 끼움부(55A)의 전방부(55B)에서 수평으로 다단 연장되는 안착단 지지부(55C)로 이루어진다. 안착단 지지부(55C)에는 나사공(53E-1)과 일치되는 캡 나사공(55D)이 형성된다.
따라서, 끼움부(55A)가 선반 받침대(53)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55E)가 나사공(55D)과 캡 나사공(55D)을 통하여 선반(51)의 저면에 체결되므로, 선반 받침대(53)와 마감캡(55) 및 선반(51)이 일체화되어 선반(51)이 임의로 선반 받침대(53)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선반 높이조절구(50)는, 도 2 및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블럭(52)에 결합되는 결합단(53A)과, 결합단(53A)보다 좁은 폭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단(53B)으로 이루어진 선반 받침대(53)에 적용된다.
이러한 선반 높이조절구(50)는, 수직 프레임(30)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홈(3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높이조절블럭(52)과, 선반 받침대(53)를 관통하여 높이조절블럭(52)에 체결되어 조임과 풀림에 따라 높이조절블럭(5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높이조절볼트(56)를 포함한다.
높이조절블럭(5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는 블럭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 18의 평면을 기준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걸림홈(34)과 같은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52A)와, 걸림부(52A)의 전면에서 돌출 되어 걸림부(52A)가 걸림홈(34)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홈(34)의 입구 쪽으로 노출되는 결합부(52B)와, 결합부(52B)의 전면 상부영역(52C-1)과 하부영역(52C-2)에 선반 받침대(53)의 상,하부 관통공(53A-1,53A-2)을 통과한 높이조절볼트(56)가 각각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체결공(52D-1)과 하부 체결공(52D-2)과, 상부쪽 높이조절볼트(56A)가 상부 관통공(53A-1)을 통하여 상부 체결공(52D-1)에 체결되더라도 선반 받침대(53)의 일면(53A-3)과 수직 프레임(30)의 측면(32) 사이가 이격되도록 상부 체결공(52D-1)의 주변에서 돌출 형성되어 선반 받침대(53)의 일면(53A-3)에 접하는 간격유지돌기(52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간격유지돌기(52E)에 의해 선반 받침대(53)의 일면(53A-3)과 수직 프레임(30)의 측면(32) 사이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하부쪽 높이조절볼트(56B)를 하부 관통공(53A-2)을 통하여 하부 체결공(52D-2)에 조이거나 푸는 동작만으로 걸림부(52A)를 걸림홈(34)의 내부면(내부 경사 걸림면)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켜 높이조절블럭(52)의 위치 조절을 통하여 선반(5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간격유지돌기(52E)는, 상부 체결공(52D-1))의 주변에서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간격유지돌기(52E)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쪽 높이조절볼트(56B))가 상부 관통공(53A-1)을 통하여 상부 체결공(52D-1)에 체결되더라도 선반 받침대(53)의 일면(53A-3)이 수직 프레임(30)의 측면(32)에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상부쪽 높이조절볼트(56B)가 선반 받침대(53)의 결합단(53A)을 통하여 높이조절블럭(52)의 상부 체결공(52D-1)에 체결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도 높이조절블럭(52)은 걸림홈(34)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절술한 걸림부(52A)와 결합부(52B)의 양 측면 하부영역(A1)에는, 도 2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쪽 높이조절볼트(56B)를 조임에 따라 양쪽의 측면 경사 걸림면(52A-1)이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 밀착될 때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 밀착되어 파고들기 위한 고정돌기(52F)들이 연이어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52F)들은 걸림부(52A)와 결합부(52B)의 상부영역 양 측면보다 더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돌기(52F)들의 끝단은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 파고 들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52A)와 결합부(52B)의 양 측면 하부영역(A1)에 끝이 뾰족한 걸림돌기(52F)들이 연이어 형성됨으로써 하부쪽 높이조절볼트(56B)를 조이게 되면 양쪽의 각 걸림돌기(52F)들이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 파고들어 고정되기 때문에 높이조절블럭(52)이 보다 견고하게 수직 프레임(3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선반 높이조절구(50)를 이용하여 선반(51)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51)이 지지된 선반 받침대(53)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부쪽 높이조절볼트(56B)를 풀어 조임 상태를 해제하면, 높이조절블럭(52)의 고정돌기(52F)들이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서 이격되므로 선반 받침대(53)의 일면(53A-3)과 수직 프레임(30)의 측면(32) 사이에 간격(T)이 발생하고, 특히 간격유지돌기(52E)에 의해 선반 받침대(53)의 일면(53A-3)과 수직 프레임(30)의 측면(32) 사이에 간격(T)이 발생하므로 높이조절블럭(52)과 선반 받침대(53)은 서로 구속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높이조절블(52)은 상부 또는 하부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선반(51)의 위치(높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즉, 간격유지돌기(52E)에 의해 수직 프레임(30)의 측면(32)과 선반 받침대(53)의 일면(53A-3) 사이에 간격(T)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쪽 높이조절볼트(56A)는 상부쪽 체결공(52D-1)에 체결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하부쪽 높이조절볼트(56B) 만을 풀면, 높이조절블럭(52)의 고정돌기(52F)가 걸림홈(34)의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서 이격되므로 높이조절블럭(52)의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선반(51)의 위치(높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선반(52)의 위치가 설정되면 설정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쪽 체결공(52D-2))에 체결된 하부쪽 높이조절볼트(56B)를 조인다. 하부쪽 높이조절볼트(56B)를를 조이게 되면, 높이조절블럭(52)의 전면 하부영역(52C-2)(하부쪽 체결공 주변)이 선반 받침대(53)의 결합단(53A) 일면(53A-3)에 밀착되고, 양쪽의 고정돌기(52F)들이 걸림홈(34)의 양쪽에 형성된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 파고들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52F)들이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 파고들어 고정됨으로써 하부쪽 높이조절볼트(56B)에 의해 선반 받침대(53)의 결합단(53A)과 결합된 높이조절블럭(52)이 걸림홈(34)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높이가 조절된 선반(51)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내부 경사 걸림면(34A)이 입구(31)를 기준으로 내측에서 입구(31)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걸림부(52A)의 양쪽에 결합부(52B) 쪽으로 경사진 측면 경사 걸림면(52A-1)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하부쪽 높이조절(56B)를 조이면 조일수록 양쪽의 측면 경사 걸림면(52A-1)가 더욱 견고하게 양쪽의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한편, 하부쪽 높이조절볼트(56B)를 조여 선반 받침대(53)의 위치를 고정하면, 선반 받침대(53)의 후단부 수직면(53D)이 수직 프레임(30)의 날개(38)에 밀착되어 지지되므로 선반 받침대(53)은 더욱 견고한 수평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수직 프레임(30)에는, 도 2 및 도 8,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흔들림 방지구(40)가 구비된다.
흔들림 방지구(40)는, 수직 프레임(30)이 외력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 프레임(30)에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체(42)와, 흔들림 조절볼트(44)에 의해 프레임 고정체(42)와 연결되고 벽체(W)에 지지되는 벽 지지체(46)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레임 고정체(42)는, 수직 프레임(30)의 후면부 일부를 감싸면서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삽입홈(42A)이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결합홈(42B)이 형성된다.
프레임 삽입홈(42A)에는 낙하방지수단이 구비된다. 낙하방지수단은 밀착부(46A)가 벽체(W)에서 이격되더라도 흔들림 방지구(40)가 낙하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 프레임(30)의 한쪽, 즉 후방 양쪽에 날개(38)가 형성된 경우에, 날개(38)가 삽입되기 위한 날개 삽입부(42A-1)가 프레임 삽입홈(42A)의 내측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벽 지지체(46)는, 벽체(W)에 지지되는 밀착부(46A)가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외주면에 다각형의 제1 공구 결합부(46B-1)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조절볼트 결합부(46B-2)가 형성된 결합부(46B)로 이루어진다. 벽 지지체(46)의 밀착부(46A) 외측면에는 설치홈(46A-2)이 형성되고, 설치홈(46A-2)에는 벽체(W)와 사이에서 미끄럼이 방지되록 미끄럼 방지부재(46A-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부재(46A-1)는 고무재나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흔들림 조절볼트(44)는, 머리부(44A)가 결합홈(42B)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조절 나사부(44B)는 조절볼트 결합부(46B-2)에 결합되어 프레임 고정체(42)와 벽 지지체(46)를 가변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조절볼트 결합부(46B-2)에는 암나산이 형성될 수 있고, 암사산을 구비한 너트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구조의 흔들림 방지구(4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즉, 흔들림 조절볼트(44)를 풀게 되면 프레임 고정체(42)와 벽 지지체(46)가 서로 멀어지게 되므로 벽 지지체(46)는 벽(W)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프레임 고정체(42)는 프레임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흔들림 조절볼트(44)를 풀어 프레임 고정체(42)와 벽 지지체(46)가 서로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수직 프레임(30)의 중간부는 벽체(W)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상태가 되므로 수직 프레임(30)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흔들리지 않게 된다.
한편, 벽 지지체(46)에는, 회전 결합수단이 마련된다. 회전 결합수단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46A)와 결합부(46B)가 분리 구성되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밀착부(46A)와 결합부(46B)의 중앙을 관통하는 축부재(4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밀착부(46A)와 결합부(46B)가 분리 구성되고 축부재(47)로 연결됨으로써, 결합부(46B)의 회전시 벽체(W)와 밀착부(46A) 사이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결합부(46B)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의 (b)는 수직 프레임(3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구(4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흔들림 방지구(40)는, 수직 프레임(30)의 후면부 일부를 감싸면서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삽입홈(42A)이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제1 나사 결합부(42C)가 마련되는 프레임 고정체(42)와, 벽체(W)에 지지되는 밀착부(46A)가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 내주면에는 제2 나사 결합부(46B-3)가 형성된 결합부(46B)를 구비하는 벽 지지체(46)와, 한쪽의 제1 나사부(44D)는 제1 나사 결합부(42C)에 결합되고 반대쪽의 제2 나사부(44E)는 제2 나사 결합부(46B-3)에 결합되며 중간부에는 제2 공구 결합부(44C)가 형성되어, 프레임 고정체(42)와 벽 지지체(46)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흔들림 조절볼트(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흔들림 조절볼트(44)의 양쪽 제1,2 나사부(44D,44E)가 제1,2 나사 결합부(42C,46B-3)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제2 공구 결합부(44C)에 공구를 결합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에 따라 프레임 고정체(42)와 벽 지지체(46)가 서로 가까워져 벽 지지체(46)가 벽체(W)로부터 이격되거나, 서로 멀어지면서 벽 지지체(46)가 벽체(W)에 지지되면서 수직 프레임(30)의 수평방향 흔들림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 및 도 10 내지 도 15에는, 서랍장(70)과 양쪽의 수직 프레임(30)들을 각각 결합하여 서랍장(70)은 물론 수직 프레임(30)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넘어진 방지수단(80)이 도시되어 있다.
넘어진 방지수단(8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장(70)의 양 측판(72)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관통공(72A)과 일치하는 각각의 제2 관통공(84A)이 형성되어 측판(72)의 안착홈(72B)에 삽입되어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84)와, 제1,2 관통공(72A,84A)의 수와 간격에 대응되는 상,하부 체결공(82A,82B)이 각각 형성되어 수직 프레임(30)의 걸림홈(34)에 삽입 설치되는 고정블럭(82)과, 서랍장(70)의 내부에서 제1,2 관통공(72A,84A)을 통하여 상,하부 체결공(82A,82B)에 각각 체결되는 서랍장 결합볼트(86)들로 이루어진다.
고정블럭(82)은 전술한 높이조절블럭(52)와 동일한 구조와 형상 모양으로 구성되며 동일한 작용을 한다. 도 2 및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럭(82)은, 걸림홈(34)에 삽입되어 수직 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도 12의 평단면을 기준으로 후방쪽(좌측)은 넓고 전방쪽(우측)은 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82C)와, 걸림부(82C)의 전방부에서 입구(31) 쪽으로 돌출 형성 되어 걸림부(82C)가 걸림홈(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입구(31) 쪽으로 노출되는 결합부(82D)와, 결합부(82D)의 전면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지지 플레이트(74)의 제2 관통공(84A)을 통과한 결합볼트(86)가 각각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체결공(82A) 및 하부 체결공(8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걸림부(82C)와 결합부(82D)의 양 측면 하부영역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쪽 결합볼트(86)를 조임에 따라 양쪽의 측면 경사 걸림면(82C-1)이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 밀착될 때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 밀착되어 파고들기 위한 고정돌기(82F)들이 연이어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82F)들은 걸림부(82C)와 결합부(82D)의 상부영역 양 측면보다 더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돌기(82F)들의 끝단은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 파고 들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부(82C)와 결합부(82D)의 양 측면 하부영역에 끝이 뾰족한 걸림돌기(82F)들이 연이어 형성됨으로써 하부쪽 결합볼트(86)를 조이게 되면 양쪽의 각 걸림돌기(82F)들이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 파고들어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블럭(82)이 보다 견고하게 수직 프레임(3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부 체결공(82A)의 주변에는, 상부족 결합볼트(86)가 상부쪽 제2 관통공(84A)을 통하여 상부 체결공(82A)에 체결되더라도 지지 플레이트(84)의 일면(수직 프레임의 측면과 마주보는 면)과 수직 프레임(30)의 측면(32) 사이가 이격되도록 간격유지돌기(88)가 돌출 형성된다.
간격유지돌기(88)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쪽 결합볼트(86)를 상부 체결공(82A)에 체결하여 조이더라도 간격유지돌기(88)가 지지 플레이트(84)의 일면에 닿아 수직 프레임(30)의 측면과 지지 플레이트(84)이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하부쪽 결합볼트(86B)를 풀게 되면 고정블럭(82)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걸림홈(34)의 내부 경사 걸림면(34A)과 고정블럭(82)의 측면 경사 걸림면(82C-1)이 이격되는 것이고, 따라서 고정블럭(82)은 걸림홈(34) 내부에서 상,하부로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쪽 결합볼트(86)를 조이게 되면 고정블럭(82)의 측면 경사 걸림면(82C)이 걸림홈(34)의 내부 경사 걸림면(34A)에 밀착되므로 고정블럭(82)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서랍장(70)의 높이 조절에 따라 고정블럭(82)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좁더 정확하게는, 서랍장(7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은 아니고, 수직 프레임(3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에 서랍장(70)과 수직 프레임(6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지지 플레이트(84)는, 다수개의 결합볼트(81)가 안착홈(72B)에 안착된 지지 플레이트(84)를 관통하여 측판(72)에 매립된 너트(72E)에 체결됨에 따라 측판(72)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블럭(82)과 전술한 높이조절블럭(52)을 동일하게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체결공을 구비하여 수직 프레임(30)의 걸림홈(34) 내부에서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블럭(또는 고정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서랍장(70)의 양 측판(72) 각 외측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72B)을 커버하고 서랍장(70)과 수직 프레임(30)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판재(78)가 각각 구비된다.
각 보조판재(78)는, 측판(72)과 마주보는 일면(78A)이 측판(72)에 밀착되고 저면(78B)은 바닥에 지지되며 배면(78C)은 수직 프레임(3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측판(72)에 결합된다. 이러한 보조판재(78)는, 다수개의 매립너트(78E)를 구비하고 다수개의 고정볼트(78D)에 의해 측판(72)에 결합된다. 이때, 고정볼트(78D)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장(70)의 내부에 측판(72)을 통하여 매립너트(78E)에 체결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매립너트(78E)가 측판(72)에 구비되고 고정볼트(78D)가 보조판재(78)의 외측으로부터 측판(72)의 매립너트(78E)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결합볼트(86)들이 서랍장(70)의 내부에서 제1,2 관통공(84A)을 통하여 상,하부 체결공(82A,82B)에 각각 체결되면 고정블럭(82)이 수직 프레임(30)의 걸림홈(34) 내부에 걸려 고정됨에 따라 서랍장(70)과 수직 프레임(30)이 일체화된다. 따라서 서랍의 인출로 서랍장(70)의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더라도 서랍장(70)이 넘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서랍장(70)의 양 측판(72)에 보조판재(78)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서랍장(70)과 수직 프레임(30)의 결합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되며 서랍장(70)의 넘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넘어짐 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넘어짐 방지수단(80)은, 걸림홈(34)의 내부 격벽(37)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각각의 관통장공(37A)이 형성되고, 체결공(89A)을 구비하여 서랍장(70)의 측판(72) 상,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보강 지지체(89)와, 걸림홈(35)의 내부 격벽(37)에 상,하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각각의 관통장공(37A)을 통하여 각 체결공(89A)에 체결되는 결합볼트(86)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보강 지지체(89)는 매립너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측판(72)의 내측 또는 서랍장(70)의 내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합볼트(86)가 수직 프레임(30)의 외측에서 관통장공(37A)을 통하여 체결공(89A)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서랍장(70)과 수직 프레임(30)이 일체화되어 넘어짐이 방지된다. 특히, 관통장공(37A)을 통하여 보강 지지체(89)에 체결되므로, 서랍장(70)과 수직 프레임(30)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결합볼트(86)가 관통장공(37A)을 통하여 보장 지지체(89)에 체결될 수 있음으로써, 프레임 높이조절구(20)에 의해 수직 프레임(30)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질 경우에도 관통장공(37A)을 통하여 결합볼트(86)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6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된 보조판재에 소품 걸이구와 소품 보관함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판재(78)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걸이구(92)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걸이구(92)에 소품을 보관할 수 있다.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판재(78)의 외측면에는 소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소품 보관함(94)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소품 보관함(94)에 소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시스템 가구 20 : 프레임 높이조절구
30 : 수직 프레임 34 : 걸림홈
40 : 흔들림 방지구 50 : 선반 높이조절구
70 : 서랍장 72 : 측판
78 : 보조판재 80 : 넘어짐 방지수단
82 : 고정블럭 84 : 지지 플레이트
86 : 결합볼트

Claims (12)

  1. 설치공간의 바닥과 천장에 상,하단부가 프레임 높이조절구에 의해 지지되고 양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된 각각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서랍장; 상기 수직 프레임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선반을 지지하고 선반 높이조절구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선반 받침대; 및 상기 선반 받침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 받침대의 양 단부를 커버하는 마감캡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 받침대에는,
    상기 선반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선반 고정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 높이조절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단부에 한쪽이 끼움 결합되고 측부에 공구 삽입공이 형성된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고정체;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이 천장이나 바닥에 지지되는 조절체; 상기 고정체와 상기 조절체에 각각 결합되어 공구에 의한 회전조작으로 상기 조절체를 상기 작동공간에서 인출 또는 인입시켜 상기 수직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 및 상기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공구 삽입공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이 외력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체; 및 흔들림 조절볼트에 의해 상기 프레임 고정체와 연결되고 벽체에 지지되는 벽 지지체로 이루어진 흔들림 방지구가 마련되고,
    상기 서랍장은,
    양쪽의 측판이 넘어짐 방지수단에 의해 양쪽의 상기 수직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넘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고정수단은,
    상기 선반 받침대가, 상기 선반의 저면 가장자리가 안착는 안착단; 및 상기 안착단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결합 지지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선반이 상기 안착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도록 상기 결합 지지단에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선반 고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선반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 지지단이 끼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한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안착단에 안착된 상기 선반의 측단부가 밀착되기 위한 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밀착면의 상단에는 상기 선반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상기 선반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고정수단은,
    상기 선반 받침대가, 상기 선반 높이조절구에 의해 상기 수직 프레임의 걸림홈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블럭에 결합되는 결합단; 및 상기 결합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지지단과 상기 선반의 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단을 통하여 상기 선반에 체결되는 고정나사 또는 상기 지지단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선반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와 결합되는 결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높이조절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단이 한쪽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끼움단과 반대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 양쪽에는 고정단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에 대응되는 상기 작동공간의 양쪽 벽에는 상기 공구 삽입공이 형성되는 상기 고정체;
    수평부의 중앙에 회전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직단이 양쪽의 상기 고정단에 결합되는 볼트 지지구;
    상기 작동공간의 바닥과 상기 수평부 사이에 머리부가 위치하고 끝단이 상기 개구부를 향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공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지지구에 지지되는 상기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 및
    상기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중앙의 결합부에 형성되고, 외측면은 바닥 또는 천장에 지지되며,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조절볼트가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공구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될 때 상기 작동공간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상기 조절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부를 감싸면서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삽입홈이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 고정체;
    벽체에 지지되는 밀착부가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외주면에 제1 공구 결합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조절볼트 결합부가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상기 벽 지지체; 및
    머리부가 상기 결합홈에 고정되고 조절 나사부는 상기 조절볼트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고정체와 상기 벽 지지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프레임 높이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벽 지지체에는,
    회전 결합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 결합수단은, 상기 밀착부와 상기 결합부가 분리 구성되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밀착부와 상기 결합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부를 감싸면서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삽입홈이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제1 나사 결합부가 마련되는 프레임 고정체;
    벽체에 지지되는 밀착부가 한쪽에 형성되고 반대쪽 내주면에는 제2 나사 결합부가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는 벽 지지체; 및
    한쪽의 제1 나사부는 상기 제1 나사 결합부에 결합되고 반대쪽의 제2 나사부는 상기 제2 나사 결합부에 결합되며 중간부에는 제2 공구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고정체와 상기 벽 지지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흔들림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넘어짐 방지수단은,
    상기 서랍장의 양 측판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관통공과 일치하는 각각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에 각각 마련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2 관통공의 수와 간격에 대응되는 상,하부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 설치되는 높이조절블럭; 및
    상기 서랍장의 내부에서 상기 제1,2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상,하부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는 서랍장 결합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랍장 결합볼트가 상기 서랍장의 내부에서 상기 제1,2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상,하부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면 상기 높이조절블럭이 상기 걸림홈 내부에 걸려 고정됨에 따라 상기 서랍장과 상기 수직 프레임이 일체화되어 넘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넘어짐 방지수단은,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서랍장의 양쪽 측판 상,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보강 지지체; 및
    상기 걸림홈의 내부 격벽에 형성되는 각각의 관통장공을 통하여 각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결합볼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볼트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장공을 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면 상기 서랍장과 상기 수직 프레임이 일체화되어 넘어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높이조절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기 걸림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높이조절블럭; 및
    상기 선반 받침대를 통하여 상기 높이조절블럭에 체결되어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블럭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블럭은,
    상기 걸림홈과 같은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전면에서 돌출 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의 입구 쪽으로 노출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전면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 상기 선반 받침대의 상,하부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각각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체결공과 하부 체결공; 및
    상부쪽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상기 상부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상부 체결공에 체결되더라도 상기 선반 받침대의 일면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측면 사이가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 체결공의 주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선반 받침대의 일면에 접하는 간격유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돌기에 의해 상기 선반 받침대의 일면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측면 사이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하부쪽 상기 높이조절볼트를 상기 하부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하부 체결공에 조이거나 푸는 동작만으로 상기 걸림부를 상기 걸림홈의 내부면에 밀착시키거나 이격시켜 상기 높이조절블럭의 위치 조절을 통하여 상기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내측에서 입구 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양쪽에는 상기 입구 쪽으로 경사진 내부 경사 걸림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내부 경사 걸림면에 대응되는 측면 경사 걸림면이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와 결합부의 양 측면 하부영역에는, 상기 하부 높이조절볼트를 조임에 따라 양쪽의 상기 측면 경사 걸림면이 상기 내부 경사 걸림면에 밀착될 때 상기 내부 경사 걸림면에 파고들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들이 연이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KR1020210098716A 2021-07-27 2021-07-27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KR102608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716A KR102608564B1 (ko) 2021-07-27 2021-07-27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716A KR102608564B1 (ko) 2021-07-27 2021-07-27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017A KR20230017017A (ko) 2023-02-03
KR102608564B1 true KR102608564B1 (ko) 2023-12-01

Family

ID=8522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716A KR102608564B1 (ko) 2021-07-27 2021-07-27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5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291Y1 (ko) 2001-03-26 2001-10-10 송진태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조절너트 보호커버
KR200380827Y1 (ko) 2005-01-14 2005-04-07 주식회사 동성사 선반지지장치
KR200417204Y1 (ko) 2006-03-02 2006-05-24 주식회사 스페이스맥스 선반용 지주 고정장치
KR200431872Y1 (ko) 2006-08-02 2006-11-27 황경주 조립식 선반
KR101375599B1 (ko) 2013-03-08 2014-03-17 주식회사 동성사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167Y1 (ko) 2004-07-26 2004-11-03 조수호 드레스룸 시스템
KR20100018149A (ko) * 2008-08-06 2010-02-17 (주)디폴 조립식 선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291Y1 (ko) 2001-03-26 2001-10-10 송진태 높이 조절용 지지다리의 높이조절너트 보호커버
KR200380827Y1 (ko) 2005-01-14 2005-04-07 주식회사 동성사 선반지지장치
KR200417204Y1 (ko) 2006-03-02 2006-05-24 주식회사 스페이스맥스 선반용 지주 고정장치
KR200431872Y1 (ko) 2006-08-02 2006-11-27 황경주 조립식 선반
KR101375599B1 (ko) 2013-03-08 2014-03-17 주식회사 동성사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017A (ko)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599B1 (ko)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KR10057239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1374837B1 (ko)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KR102608564B1 (ko)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JP6395245B2 (ja) 収納掛留具に引っ掛け固定して使用する収納具
US2289451A (en) Corner shelf
KR101018272B1 (ko) 선반장치
KR20100018151A (ko) 조립식선반 고정장치
KR200397511Y1 (ko) 행거 조립체
US2848184A (en) Curtain fixture
KR102064916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가구
US11647870B2 (en) Shower shelving system
KR200417642Y1 (ko) 벽면부착형 조립식 선반
KR102325389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포스트를 구비한 드레스 선반
KR102124248B1 (ko) 가구용 옷걸이봉 고정구
KR20110067427A (ko) 벽체 부착형 선반용 선반본체 고정구
KR102492153B1 (ko) 시스템 가구용 수직 프레임
KR102529487B1 (ko) 시스템 가구의 프레임용 흔들림 방지장치
KR20110005809U (ko) 주방용 선반의 고정구
KR200494791Y1 (ko) 선반 이탈방지구 및 선반 이탈방지구를 이용한 선반 조립체
KR20090002556U (ko) 주방 액세서리 설치용 압연 프레임 조립구조
KR102556837B1 (ko) 시스템 가구용 비노출형 높이조절장치
KR102529480B1 (ko) 개선된 가구용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KR101335016B1 (ko) 수납기능을 갖는 드레스 룸용 도어장치
KR102491821B1 (ko) 가구용 선반의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