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837B1 -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837B1
KR101374837B1 KR1020120041279A KR20120041279A KR101374837B1 KR 101374837 B1 KR101374837 B1 KR 101374837B1 KR 1020120041279 A KR1020120041279 A KR 1020120041279A KR 20120041279 A KR20120041279 A KR 20120041279A KR 101374837 B1 KR101374837 B1 KR 10137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helf
groove
moving groove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439A (ko
Inventor
윤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사
Priority to KR102012004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83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 A47B57/482Tong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 A47B57/5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characterised by shape or orientation of opening, e.g. keyhole-shaped
    • A47B57/5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characterised by shape or orientation of opening, e.g. keyhole-shaped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47B2095/021Pivotable handles with one socket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선반용 높이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선반용 높이조절장치는, 이동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중간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한 수직 프레임; 전면에 걸림수단이 형성되고, 각각의 걸림수단들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며, 상기 이동홈에 삽입 설치되는 걸림부재;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면에는 선반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하부에는 직하방으로 개구된 걸림홈이 형성되는 선반 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부와, 상기 이동홈의 외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걸림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 또는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 및 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이동홈 내부에서 회전되어 세로로 세워지면 상기 이동홈에서 이동가능하게 되고, 가로로 눕혀지면 양측의 걸림수단에 걸려 상기 선반 지지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부가 세로로 위치하도록 회전시키거나 가로로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는 조절부재의 조작만으로 별도의 공구 없이 시스템 가구에 설치되는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선반용 높이조절장치{DEVICE ADJUSTING SHELF HEIGHT FOR FURNITURE}
본 발명은 선반용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레스 룸이나 욕실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가 단순하고, 높이조절에 필요한 조작이 용이하게 선반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선반용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주거공간에서 인간의 생활을 원활하게 영위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생활도구의 하나이다. 가구는 인간의 생활을 더욱 윤택하게 하고 쾌적한 생활공간이 되도록 만드는 것으로서, 가구를 통하여 자신들이 그린 생활 이미지나 생활양식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현대는 개성화, 다양화 시대임을 반영하여 다양한 양식이나 기호에 따라 공간연출을 꾀하고 있으며, 가구는 이러한 개인적인 양식이나 기호의 실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우리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가구 예를 들면, 장롱이나 서랍장 들은 주로 목재로 되어 있고 부피가 커서 운반이 용이하지 못할 뿐 아니라, 항상 정해진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용도 고가격인 것이 많은데, 최근에는 의류나 양말, 넥타이 및 가방 등의 잡화류 수납을 위해 경량의 비철금속 소재로 된 시스템가구를 많이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스템 가구는 다수의 기둥(수직 프레임) 사이에 선반과 헹거를 설치하는 구조로, 종래의 장롱이나 서랍장 등과는 달리 수직 및 수평프레임과 선반으로 이루어진 오픈구조이므로, 의류나 수납품의 정리가 아주 편하고,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이 간편하여 이사를 하거나 실내구조의 변경시 실내공간의 형태나 수요자의 기호에 맞게 용이하게 배열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최근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 가구의 선반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스템 가구의 선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성이 종래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0194호(공고일자 : 2002.03.28))에 의한 시스템 가구의 선반 높이조절장치는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110)을 소정의 폭으로 개구하는 개구부(120)가 구비된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이동홈(110)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면에는 개구부(120)에 끼워져 결합되는 돌출부(210)가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나사체결구멍(211)이 형성된 고정편(200)과, 지지프레임(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프레임지지부(310)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지지부(310)에는 고정구(320)를 통하여 상기 고정편(200)과 체결되는 관통구멍(311)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고정돌기(330)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슬라이드부재(300)와, 일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지지부(310)와 결합되는 설치홈(410)이 내삽지게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면에 물품이 안착되는 선반(6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42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돌기(330)에 끼워지는 안착홈(430)이 형성된 선반지지부재(400)와, 상기 선반지지부재(400)에 형성된 설치홈(410)에 끼워지는 체결부(510)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선반지지부재(400)와 결합된 선반(60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편(520)이 형성된 가압커버부재(500)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선반 높이 조절장치는 고정구를 조이면 고정편이 이동홈에서 고정되므로 선반의 위치가 고정되고, 고정구를 풀면 고정편이 상,하부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선반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선반 높이 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미 고정된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구를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0194호(공고일자 : 2002.03.28)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가구에 설치되는 선반의 높낮이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중간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한 수직 프레임; 전면에 걸림수단이 형성되고, 각각의 걸림수단들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며, 상기 이동홈에 삽입 설치되는 걸림부재;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면에는 선반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하부에는 직하방으로 개구된 걸림홈이 형성되는 선반 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부와, 상기 이동홈의 외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걸림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 또는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 및 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이동홈 내부에서 회전되어 세로로 세워지면 상기 이동홈에서 이동가능하게 되고, 가로로 눕혀지면 양측의 걸림수단에 걸려 상기 선반 지지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높이조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선반 지지부재는 투명체 또는 불투명체, 반투명체로 형성될 수 있고, 합성수지재나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선반 지지부재는, 상면에 안착되는 선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선반 지지부재의 상면 일측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관통공의 상부 영역에서 직하방으로 자유단으로 연장 형성되고,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걸림부재의 일부가 절개된 후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편들로서, 같은 위치에서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돌출 형성되고, 각각의 걸림편들이 쌍을 이루어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걸림부재의 전면 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엠보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걸림부재의 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배열되는 다수개의 끼움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의 배면에는 상기 끼움공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기 위한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지지부재의 걸림홈 주변에는 상기 조절부재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의 길이방향 변에는 각 걸림편들이 끼워지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부가 세로로 위치하도록 회전시키거나 가로로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는 조절부재의 조작만으로 별도의 공구없이 드레스 룸의 시스템 가구나 욕실에 설치되는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선반 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반용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반용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선반용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조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걸림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반용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반용 높이조절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측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선반용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높이조절장치는 설치공간의 바닥과 천정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10)과, 이 수직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걸림부재(20)와, 선반이 지지되는 선반 지지부재(30)와, 선반 지지부재(30)를 통하여 수직 프레임(10)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 작동하는 조절부재(40)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 프레임(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앙 전면측과 배면측에 이동홈(12)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각각 형성되고, 이동홈(12)의 전면에는 개구부(14)가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장방형의 이동홈(12)의 중간부가 외부로 개구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 프레임(10)은 별도의 설치부재에 의해 천정과 바닥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걸림부재(20)는 이동홈(12)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조절부재(40)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두께와 폭 및 길이를 갖는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걸림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수단인 걸림편(22)들이 같은 위치에서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고, 각각의 걸림편(22)들이 쌍을 이루어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각각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걸림편(22)들은 걸림부재(20)의 일부가 절개된 후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걸림수단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걸림부재(20)의 일부가 전방쪽으로 돌출되는 엠보싱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걸림편(22)들의 좌,우 간격(L)은 후술할 조절부재(40)의 걸림부(42)의 높이(H)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걸림부(42)가 세워졌을 때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걸림부재(20)는 별도로 제작된 걸림편들이 용접되어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며, 합성수지재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걸림부재(20)는 걸림편(22)들이 전면(수직 프레임을 기준으로)을 향상하도록 이동홈(12)에 삽입 설치된다.
선반 지지부재(30)는 조절부재(40)에 의해 수직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면에는 선반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수직 프레임(10)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면에는 선반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하부에는 직하방으로 개구된 걸림홈(32)이 형성된구조를 갖는다. 걸림홈(32)은 후술할 조절부재(40)의 연결부(46)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하부로 개구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선반 지지부재(30)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연결부(46)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홈(32)이 형성된 주변 영역에는 조절부재(40)의 손잡이부(44)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3)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는 장방형의 손잡이부(44)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역할도 하게 된다. 그리고, 선반 지지부재(30)의 상면 일측에는, 상면에 안착되는 선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이 형성된다.
이 이탈방지수단은 선반 지지부재(30)의 상면 일측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고, 관통공(34A)이 형성된 지지부(34)와, 관통공(34A)의 상부 영역에서 직하방으로 자유단으로 연장 형성되고, 끝단에는 걸림돌기(34C)가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편(34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이탈방지편(34B)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자체 탄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선반 지지부재(30)는 투명체나 불투명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금속제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절부재(40)는 이동홈(12)의 내부에서 세로로 세워지도록 회전되어 걸림편(22)들로부터 걸림이 해제되거나, 가로로 눕혀지도록 회전되어 걸림편(22)들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절부재(40)는 이동홈(12)의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부(42)와, 이동홈(12)의 외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44)와, 걸림부(42)에 비하여 작은 지름 또는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손잡이부(44) 및 걸림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6)를 갖는다.
즉, 조절부재(40)는 선반 지지부재(30)의 높이를 고정하거나 해제하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6)의 지름 또는 두께는 개구부(14)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조절부재(40)가 자유롭게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걸림부(42)는 이동홈(12)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고, 회전할 수 있을 뿐 개구부(14)를 통하여 전방부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이다.
한편, 손잡이부(44)는 사용자가 조절부재(4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면 일부가 전방 쪽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조절부재(40)의 전면에 손잡이부(44)가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공구없이 조절부재(4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40)의 걸림부(42)가 이동홈(12)의 내부에서 가로(수평방향)로 눕혀져 걸림부재(20)의 걸림편(22)에 얹혀지고, 연결부(46)가 선반 지지부재(30)의 걸림홈(32)에 삽입된 상태는, 선반 지지부재(30)의 높이가 고정된 상태이다.
즉, 조절부재(40)의 걸림부(42)가 걸림편(22)에 걸려 지지되고, 선반 지지부재(30)는 조절부재(40)에 걸려 있기 때문에 그 높이(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다.
그리고, 손잡이부(44)는 선반 지지부재(30)의 안착부(33)에 삽입되어 안정되게 안착된 상태이다. 이는 안착부(33)가 장방형의 손잡이부(44)가 가로로 눕혀진 상태로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형성되기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지지부재(30)에 안착되는 선반은 그 단부가 이탈방지편(34B)의 걸림돌기(34C)에 걸리게 되므로 이탈이 방지된다. 이는 이탈방지편(34B)이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을 갖게 되므로 선반이 상향에서 하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배면 방향으로 변형된 후 선반이 안착되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걸림돌기(34C)로 선반의 단부를 가압하여 선반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서,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지지부재(30)를 상향으로 들어올려, 걸림홈(32) 및 안착부(33)에서 조절부재(40)이 이탈되도록 한 후, 손잡이부(44)를 파지하고, 걸림부(42)가 수직상태로 세워지도록 손잡이부(44)를 90°회전시킨다.
이 과정으로 걸림편(22)들에 걸려 있던 걸림부(42)는 걸림편(22)들로부터 이격된 후 양측의 걸림편(22)들 사이에서 수직상태로 세워지게 되므로, 상,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별도의 공구없이 조절부재(40)의 손잡이부(44) 만을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부재(40)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손잡이부(44)를 파지한 후 조절부재(40)를 원하는 위치(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킨 후, 선택된 위치에서 손잡이부(44)를 다시 90°로 회전시켜 손잡이부(44)를 비롯한 걸림부(42)가 수평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걸림부(42)가 수평상태가 되면, 걸림부(42)는 해당 위치의 걸림편(22)들의 상면에 안착되어 걸리게 된다.
즉, 조절부재(40)를 세로로 회전시키면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하고, 가로로 회전시키면 이동이 정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정으로 걸림부(42)의 양측이 각 걸림편(22)들에 안착되어 걸린 상태에서, 상향으로 들어 올려졌던 선반 지지부재(30)를 내리게 되면, 연결부(46)가 걸림홈(32)에 삽입되면서 손잡이부(44)도 안착부(33)에 삽입되어 안착되면서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40)의 걸림부(42)에는 각 걸림편(22)들이 끼워지기 위한 결합홈(48)들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각각의 결합홈(48)들은 걸림부(42)의 길이방향 변에 각 걸림편(22)들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각 결합홈(48)들의 입구를 넓게 형성함으로써 각 걸림편(22)들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걸림부(42)에 결합홈(48)들이 형성됨으로써, 걸림부(42)가 각 걸림편(22)들에 안정적으로 걸려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걸림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수단은 걸림부재(20)의 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배열되는 다수개의 끼움공(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그리고, 조절부재(40)의 걸림부(42)의 배면에는 끼움공(24)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기 위한 끼움돌기(49)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부(44)를 파지한 후 끼움돌기(49)가 끼움공(24)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만으로 조절부재(4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절부재(40)를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별도의 공구나 기구 없이 시스템 가구의 선반이나 욕실 선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선반의 높이 조절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수직 프레임 12 : 이동홈
14 : 개구부 20 : 걸림부재
22 : 걸림편 30 : 선반 지지부재
24 : 끼움공
32 : 걸림홈 33 : 안착부
34 : 지지부 34A : 관통공
34B : 이탈방지편 34C : 걸림돌기
40 : 조절부재 42 : 걸림부
44 : 손잡이부 46 : 연결부
49 : 끼움돌기
L : 간격 H : 높이

Claims (8)

  1. 이동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중간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한 수직 프레임;
    전면에 걸림수단이 형성되고, 각각의 걸림수단들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며, 상기 이동홈에 삽입 설치되는 걸림부재;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면에는 선반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하부에는 직하방으로 개구된 걸림홈이 형성되는 선반 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부와, 상기 이동홈의 외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걸림부에 비하여 작은 지름 또는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와 걸림부를 연결하고,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연결부를 갖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걸림부재의 일부가 절개된 후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편들로서, 같은 위치에서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들이 쌍을 이루어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열되고,
    상기 선반 지지부재의 상기 걸림홈 주변 영역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안착되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이동홈 내부에서 회전되어 세로로 세워지면 상기 이동홈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길이방향 상,하부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가로로 눕혀지면 양측의 걸림수단에 걸려 상기 선반 지지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지지부재는 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지지부재는,
    상면에 안착되는 선반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선반 지지부재의 상면 일측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관통공의 상부 영역에서 직하방으로 자유단으로 연장 형성되고,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길이방향 변에는 각 걸림편들이 끼워지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KR1020120041279A 2012-04-20 2012-04-20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KR101374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279A KR101374837B1 (ko) 2012-04-20 2012-04-20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279A KR101374837B1 (ko) 2012-04-20 2012-04-20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439A KR20130118439A (ko) 2013-10-30
KR101374837B1 true KR101374837B1 (ko) 2014-03-17

Family

ID=4963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279A KR101374837B1 (ko) 2012-04-20 2012-04-20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004B1 (ko) * 2013-11-25 2015-03-23 명진실업 주식회사 선반 클램프장치
CN107007052A (zh) * 2016-01-27 2017-08-04 郑泰衍 家具搁板固定装置
KR101694333B1 (ko) * 2016-07-06 2017-01-17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수납기구
KR101694334B1 (ko) * 2016-07-15 2017-01-17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수납기구
KR200482760Y1 (ko) * 2016-07-27 2017-03-03 김준경 조립식 선반
KR102019753B1 (ko) * 2018-03-21 2019-09-10 도디스 주식회사 안정성이 강화된 조립식 앵글 선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204U (ko) * 1998-08-10 1998-11-25 김근배 조립식 장식용 수납선반
KR200231072Y1 (ko) * 2001-02-10 2001-07-19 육태오 가구의 선반높이 조절구
KR100769114B1 (ko) * 2006-12-26 2007-10-22 주식회사 동성사 가구용 선반 설치장치
KR100872792B1 (ko) * 2007-06-01 2008-12-09 (주)우영금속 선반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204U (ko) * 1998-08-10 1998-11-25 김근배 조립식 장식용 수납선반
KR200231072Y1 (ko) * 2001-02-10 2001-07-19 육태오 가구의 선반높이 조절구
KR100769114B1 (ko) * 2006-12-26 2007-10-22 주식회사 동성사 가구용 선반 설치장치
KR100872792B1 (ko) * 2007-06-01 2008-12-09 (주)우영금속 선반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439A (ko)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837B1 (ko) 선반용 높이조절장치
KR101375599B1 (ko)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KR101804752B1 (ko) 벽부형 다목적 보관대
KR20110008667U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JP2008133641A (ja) 引手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JP6395245B2 (ja) 収納掛留具に引っ掛け固定して使用する収納具
KR200436737Y1 (ko) 시스템가구용 높이조절장치
CA2464008A1 (en) Self-opening waste bin manager
KR20170089059A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 체결구
KR101563581B1 (ko) 도어용 회전 지지장치 및 수납기능을 갖는 다용도실 또는 드레스 룸용 도어장치
KR101876891B1 (ko) 시스템 가구
JP5930851B2 (ja) 吊掛装置
KR102608564B1 (ko) 개량된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가구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KR20150024709A (ko) 2단 옷걸이 봉 고정대
JP4937638B2 (ja) 椅子用ハンガー
KR101412282B1 (ko) 포스트형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가구
KR200471962Y1 (ko) 가스기기 연결용 어댑터를 구비한 레저용 테이블
JP6121685B2 (ja) 椅子
JP5953214B2 (ja) 作業台
JP4574886B2 (ja) 引き出しのラッチレバー取付構造
KR102169348B1 (ko) 조립식 다용도 선반 걸이대
JP2022034145A (ja) 突っ張り棒用取付具
KR102135281B1 (ko) 옷걸이봉에 대한 자동 출몰수단이 구비된 옷장
CN208510330U (zh) 背墙收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