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802U -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802U
KR19990035802U KR2019980001468U KR19980001468U KR19990035802U KR 19990035802 U KR19990035802 U KR 19990035802U KR 2019980001468 U KR2019980001468 U KR 2019980001468U KR 19980001468 U KR19980001468 U KR 19980001468U KR 19990035802 U KR19990035802 U KR 199900358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prefabricated
square bar
open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3946Y1 (ko
Inventor
박우희
Original Assignee
박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희 filed Critical 박우희
Priority to KR2019980001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94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8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8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2Wardrobes with extensible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스트 상단부에 상단 포스트가 하단 포스트 내로 인입출 되도록 구성 하여 상단 포스트 저부에 사각봉을 고정시켜 말단에 조절구와 조절링이 유착된 상태로 삽착되도록 하여 하부 포스트 상단 내면으로 삽입되도록 한후 상단 포스트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구가 조절링을 확개시켜 하부 포스트 내벽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며 상단 포스트는 저면에 고정된 고정봉과 조절구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의 탄발에 의하여 상단 포스트가 신축되도록 하므로서 한옥,양옥,빌라,아파트등 설치 장소의 높이 차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식 붙박이장,조립식 의복걸이대,조립식 화분 받침대등으로 사용중 올려진 물건의 하중에 의하여 포스트가 천장에서 이격및 이완되는 것을 스프링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흔들되는 것을 방지하고, 간단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고안한 포스트 신축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
본 고안은 조립식 붙박이장, 조립식 의복걸이대, 화분 받침대등에 사용되는 포스트에 관한것으로서, 상단 포스트와 하단 포스트가 연결되는 부위에 조절구와 조절링을 삽입하여 결합이 간단용이 하도록 하며 또한 신축조절 스프링에 의하여 방,거실, 발코니등 설치장소의 높이차에 관계없이 간편하고 튼튼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고안된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에 관한것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의복걸이대용 포스트는 여러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실내의 천장과 바닥면 간의 발력을 이용하여 입설되는 의복걸이대용 포스터는 통상 2단으로 이루어져 상부 포스트와 하부 포스트의 연결부위에 고정클립을끼워서 볼트로 고정하고 하부에 나사식으로된 조절부를 이용하여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아파트의 경우 거실 및 방과 발코니의 바닥과 천장의 높이가 현저한 차이를 갖게 되므로 포스트 제작시 거실과 방에 사용되는 포스트와 발코니에서 사용되는 포스트를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제작단계에서 부터 포장상의 규격표시 까지 각각 작업해야 하는 불편과 특히 가옥마다 바닥과 천장의 높이가 상이하여 소비자가 물품 구입시 집안의 천장의 높이를 정확히 알고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상품만을 보고 구매하므로서 설치시 포스트의 길이와 설치장소의 높이가 상이하여 다시 교체한 후 설치해야하며 또한 사용중 선반, 걸이대 등에 올려진 물건의 하중에 의하여 다수의 포스트중 일부분이 이격되어 흔들리는 등의 문제점이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포스트 상단부에 상단 포스트가 하단 포스트 내로 인입출 되도록 하여 상단 포스트 저부에 사각봉을 고정시켜 말단 걸림콘 상의 사각봉에 조절구와 조절링이 유착된 상태로 삽착되도록 하여 하부 포스트 상단 내면으로 상부 포스트 끝단까지 삽입되도록 한다음 상단 포스트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구가 조절링을 확개시켜 하부 포스트 내벽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며 상단 포스트는 저면의 고정봉과 조절구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의 탄발에 의하여 상단포스트가 신축되도록 하므로서 한옥,양옥,빌라,아파트등의 천장높이 차이에 관계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식 붙박이장,조립식 의복걸이대,조립식 화분 받침대등의 포스트를 간단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고안한 포스트 신축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2 (가)는 상하 포스트를 고정하기 전의 구성단면도.
(나)는 상하 포스트가 고정되도록한 상태의 구성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포스트가 천장 높이에 따라 설치되는 작동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예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포스트, 1a: 상부 포스트, 2b:하부 포스트, 2: 사각봉,
2a: 고정봉, 2b: 걸림콘, 2c: 절결부, 3: 조절구,
3a,3b,3c: 환형돌기, 4: 조절링, 4a,4b,4c: 걸림턱,
4′:개구부, 5: 스프링, 6: 고정핀, 7: 사각통공,
본 고안은 조립식 붙박이장,의복걸이대,화분 받침대등에 사용되는 포스트 ( 1 )에 있었서, 포스트( 1 )의 상단 부위에 상부 포스트( 1a )가 하부 포스트( 1b )로 인입출 되도록 구성하되 상부 포스트( 1a ) 저면에는 말단부에 절결부( 2c )를 갖는 걸림콘( 2b ) 일체로 형성된 사각봉( 2 )의 상단 고정봉( 2a )이 끼워져 고정핀( 6 )으로 고정되고, 상기 사각봉( 2 ) 말단 걸림콘( 2b )상에는 외면에 다수의 환형돌기( 3a )( 3b )( 3c )를 갖고 중앙에 사각통공( 2 )이 형성된 조절구( 3 )가 삽착되며, 상기 조절구( 3 ) 외면 일측에 개구부( 4′)가 형성되고 내면에는 조절구( 3 )의 환형돌기( 3a )( 3b )( 3c )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걸림턱( 4a )( 4b )( 4c )이 구비된 조절링( 4 )이 유착되어 하부 포스트( 1b ) 상단 내면에 삽입된 다음 조절구의 회전에 의하여 조절링이 내벽에 확개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사각봉( 2 )의 고정봉( 2a )과 조절구 사이에는 스프링( 5 )이 개재되어 상부 포스트( 1a )의 신축을 조절할 수 있게된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8은 조절구의 환형돌기 상하부에 형성된 받침턱이며, 9는 포스트와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는 걸이봉 이고, 10은 포스트 하단부에 수납식으로 설치되는 바구니이며, 11은 상부캡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상부 포스트( 1a ) 저면 내에 사각봉( 2 )의 고정봉( 2a )을 삽입시킨 후 나사못, 스폿트 용접, 고정핀( 6 )등으로 고정봉 ( 2a )을 고정하고 사각봉( 2 )에 스프링( 5 )을 삽입 시킨 다음 말단 걸림콘(2b )을 조절구( 3 ) 중앙 사각통공( 7 )으로 밀어 넣으면 절결부( 2c )가 축소되면서 인입된 후 조절구( 3 )의 사각통공( 7 )을 빠져나오는 동시에 탄발되어 본래의 모습으로 복귀되어 걸림콘( 2b )이 조절구( 3 ) 저면에 걸려 조절구( 3 )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사각봉( 2 ) 말단에 끼워진 조절구( 3 ) 외면에 조절링( 4 )의 내면에서 경사면을 갖는 다수의 걸림턱( 4a )( 4b )( 4c )이 조절구( 3 )의 환형돌기( 3a ) ( 3b )( 3c ) 사이에 위치하도록 도2 (가)와 같이 조절링( 4 )을 유착시켜 하부 포스트( 1b ) 상단 내면으로 상부 포스트( 1a ) 외면 끝단 위치까지 밀어 넣은 다음 상부 포스트( 1a )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사각통공( 7 ) 내의 사각봉( 2 )이 조절구( 3 )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조절구( 3 ) 외면의 환형돌기( 3a ) ( 3b )( 3c )가 조절링( 4 ) 내면의 걸림턱( 4a )( 4b )( 4c ) 경사면을 따라서 올라가 일정 부위에 도달하면 조절구( 3 )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일측에 개구부 ( 4′)를 갖은 조절링( 4 )은 최대한 확개되어 하부 포스트( 1b ) 내벽에 밀착되어 도2 (나)와 같이 고정된다. 이때 조절구( 3 )의 환형돌기( 3a )( 3b )( 3c ) 상하부에는 받침턱( 8 )이 형성되어 그 사이에 조절링( 4 )이 끼워진 상태이므로 하부 포스트( 1b ) 내로 삽입시 밀려서 위로 올라가지 않게되며 조절링( 4 )의 외경 크기는 하부 포스트( 1b ) 내경 크기 보다 약간 작게 된것으로 내벽에 대응된 상태이므로 조절구( 3 )가 회전시 조절링( 4 )을 지지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더라도 조절링( 4 )은 헛돌지 않고 확개되면서 상부 포스트( 1a ) 내벽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조절링( 4 )은 확개되더라도 조절구( 3 )의 상하 받침턱( 8 ) 사이를 이탈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조절링( 4 )과 조절구( 3 )가 고정되면 스프링( 5 )이 조절구 ( 3 )위에서 고정봉( 2a ) 저면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부 포스트( 1a )는 상부로 신장된 상태가된다. 따라서 포스트( 1 ) 설치시 상단에 씌워진 상부캡( 10 )을 전장에 밀착시킨 다음 포스트( 1 ) 하단부를 위로 들면서 세우면 포스트 ( 1 )의 길이보다 천장이 낮으면 스프링( 5 )이 수축되는 동시에 상부 포스트( 1a ) 저면에 고정된 사각봉( 2 )이 조절구( 3 )하부로 도3과 같이 하강한 상태이고 스프링( 5 )은 고정봉( 2a )을 지지하여 상부 포스트( 1a )는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5 )은 포스트 ( 1 )가 버팀지지 반력을 갖도록 탄발력의 강도 있어야 하며, 포스트( 1 ) 하단에는 통상사용되는 나사식 높이 미세조정 조절부를 형성하여 함께사용하면 스프링의 탄발력을 조절할 수 있게되므로 포스트의 지지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을 해체시에는 상부포스트( 1a )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경사면을 갖는 걸림턱( 4a )( 4b )( 4c )과 맞물려 있던 조절구 ( 3 )의 환형돌기( 3a )( 3b )( 3c )가 경사면을 따라 내려오면서 조절링( 4 )이 축소되어 하부 포스트( 1b ) 내벽에서 약간 이격되므로 상 하부 포스트( 1a )(1b )를 분리할 수 있게 된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조립식 붙박이장,조립식 의복걸이대, 화분 받침대등의 포스트 설치시 그 설치가 간단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거실,발코니등의 천장 높이에 관계 없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이 설치장소의 천장 높이를 모르는 상태에서 물건을 구매하더라도 포스트를 설치할 수있으며,특히 기존에는 조립식 붙박이장,조립식 의복걸이대를 설치후 이불,의복,기타 물건을 보관시 하중에 의하여 포스트가 이완되어 다수의 포스트 기둥 중 한두개가 움직이게 되었으나 본 고안은 선반,걸이봉,바구니등이 설치된 포스트 상단부에 유격조절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선반등에 올려진 하중에 의하여 각각의 포스트가 이완되더라도 천장에 대응된 상부 포스트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조립식 붙박이장,조립식 의복걸이대가 사용중에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아 매우 실용적임은 물론 상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제품의 경쟁력을 갖게된 효과를 얻게되었다.

Claims (1)

  1. 본 고안은 조립식 붙박이장,의복걸이대,화분 받침대등에 사용되는 포스트 ( 1 )에 있었서, 포스트( 1 )의 상단 부위에 상부 포스트( 1a )가 하부 포스트( 1b )로 인입출 되도록 구성하되 상부 포스트( 1a ) 저면에는 말단부에 절결부( 2c )을 갖는 걸림콘( 2b ) 일체로 형성된 사각봉( 2 )의 상단 고정봉( 2a )이 끼워져 고정핀( 6 )으로 고정되고, 상기 사각봉( 2 ) 말단 걸림콘( 2b )상에는 외면에 다수의 환형돌기( 3a )( 3b )( 3c )를 갖고 중앙에 사각통공( 7 )이 형성된 조절구( 3 )가 삽착되며, 상기 조절구( 3 ) 외면 일측에 개구부( 4′)가 형성되고 내면에는 조절구( 3 )의 환형돌기( 3a )( 3b )( 3c )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걸림턱( 4a )( 4b )( 4c )이 구비된 조절링( 4 )이 유착되어 하부 포스트( 1b ) 상단 내면에 삽입된 다음 조절구의 회전에 의하여 조절링이 내벽에 확개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사각봉( 2 )의 고정봉( 2a )과 조절구 사이에는 스프링( 5 )이 개재되어 상부 포스트( 1a ) 신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조립식 붙박이장, 조립식 의복걸이대의 기둥으로 사용되는 각각의 포스트가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사용중 천장과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포스트 설치 장소의 천장 높이 차이에 관계 없이 대응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포스트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포스트 신축조절장치.
KR2019980001468U 1998-02-09 1998-02-09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 KR200173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468U KR200173946Y1 (ko) 1998-02-09 1998-02-09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468U KR200173946Y1 (ko) 1998-02-09 1998-02-09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02U true KR19990035802U (ko) 1999-09-15
KR200173946Y1 KR200173946Y1 (ko) 2000-03-02

Family

ID=1953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468U KR200173946Y1 (ko) 1998-02-09 1998-02-09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9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335A (ko) * 1999-01-06 2000-08-05 우종길 적재식 상품 진열대의 체결구조
KR100614915B1 (ko) * 2002-06-04 2006-08-25 윤완국 신발걸이대
CN109363466A (zh) * 2018-12-10 2019-02-22 金彩萍 一种衣柜挂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126B1 (ko) * 2002-12-12 2005-05-27 이종화 파이프의 높이조절장치
KR20070003384A (ko) * 2005-07-01 2007-01-05 장동훈 걷기놀이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335A (ko) * 1999-01-06 2000-08-05 우종길 적재식 상품 진열대의 체결구조
KR100614915B1 (ko) * 2002-06-04 2006-08-25 윤완국 신발걸이대
CN109363466A (zh) * 2018-12-10 2019-02-22 金彩萍 一种衣柜挂架
CN109363466B (zh) * 2018-12-10 2024-04-19 金彩萍 一种衣柜挂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946Y1 (ko)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94873A1 (en) Lazy susan device with tool free installation
KR200380827Y1 (ko) 선반지지장치
EP1530925A1 (en) Height adjusting apparatus and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provided with the same
KR102014637B1 (ko) 옷걸이 행거
KR200173946Y1 (ko)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
KR20110008667U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200420174Y1 (ko) 수납 선반용 고정구
KR200391887Y1 (ko) 이동식 세탁물 건조대
US4886172A (en) Clothes hanging stand
KR100819888B1 (ko) 수납 선반용 신축 지주
KR100592348B1 (ko) 건축물 출입구 붙박이 구조물
KR20140095372A (ko) 빨래 건조대
KR101794481B1 (ko)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선반이 구비된 건조대
KR200307537Y1 (ko) 벽면 부착형 행거의 걸이대 각도 조절구조
JP2007044133A (ja) スタンドタイプの物干し金物
KR102209180B1 (ko) 높이 조절 포스트
KR200244469Y1 (ko)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
JP7349722B2 (ja) 物干し器具
KR200268703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461651Y1 (ko) 빨래 건조대
KR102529487B1 (ko) 시스템 가구의 프레임용 흔들림 방지장치
KR200444762Y1 (ko) 코너 선반
KR200214931Y1 (ko) 조립식 선반
KR200236743Y1 (ko) 부착형 옷걸이
KR102442317B1 (ko) 다용도 전도 방지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