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101B1 - 창틀 고정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창틀 고정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101B1
KR100996101B1 KR1020100031217A KR20100031217A KR100996101B1 KR 100996101 B1 KR100996101 B1 KR 100996101B1 KR 1020100031217 A KR1020100031217 A KR 1020100031217A KR 20100031217 A KR20100031217 A KR 20100031217A KR 100996101 B1 KR100996101 B1 KR 100996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upport
fixing
reinforcing bar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원
Original Assignee
이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원 filed Critical 이충원
Priority to KR102010003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의 하단에 고정되는 받침부와 외벽에 고정되어 창틀을 지지하는 고정부를 각각 구성하여 창틀을 지지 고정하는 것으로 창틀의 시공에 따른 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고, 고정부를 수평부 및 수직부보강대, 수평 및 수직보강대를 보강하기 위한 지지보강대로 구성하여 일반창호와 달리 시스템 창호와 같이 크기 및 중량이 무거워 받침대의 보강을 요하는 경우에도 간단하게 적용 설치함으로써, 사용 신뢰도를 우수하게 제공하기 위한 창틀 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정 브래킷은, 창틀(A)의 하단에 조립부재(1)에 의해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을 이루는 평판(101)에 조립부재(1)를 통해 창틀(A)의 하단으로 조립가능하게 다수의 조립공(104)이 형성되고, 평판(101)의 양 측단부는 요부를 절개하여 하단으로 돌출되게 절곡부(103)가 형성되며, 평판(101) 선단부는 요부를 절개하여 하단으로 돌출되게 끼움부(102)가 형성되고, 타측은 고정지지부재(200)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지지부재(200)의 하단에서 체결유닛(2)에 의해 창틀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05)(106)이 형성되는 받침부(100)와,
상기 받침부(100)에 결합되며 건축물 외벽에 고정되어 창틀(A)을 지지하는 것으로, 선단부 양단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부로 돌출된 엠부싱(214)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2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의 사이에는 상기 끼움부(102)로 삽입 결합되는 끼움편(212)이 형성되며, 후단으로 상기 받침부(100) 하단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유닛(2)에 의해 체결할 수 있게 다수의 체결공(215)(216)이 형성되는 수평보강대(210) 및 상기 수평보강대(210)의 수직으로 결합 구비되는 수직보강대(220), 상기 수평보강대(210) 및 수직보강대(220)의 결합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지보강대(230)로 구비되는 고정지지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틀 고정용 브래킷{THE BRACKET FOR FIXING A WINDOW FRAME}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창틀 또는 문틀을 고정하는 고정 브라킷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각 부품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견고하면서도 일정한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제조하므로 생산성 및 상품성 등을 우수하며 창틀 또는 문틀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건축물의 외벽에는 창틀 또는 문틀을 설치되는데 이러한 창틀 또는 문틀의 폭이 외벽의 두께를 초과하게 되므로 별도의 브래킷을 설치하여 상기 창틀 등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은 외벽을 따라 창틀 하부에 "ㄱ"자형 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ㄱ"자형 브래킷의 상부 수평 부분은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창틀 하부에 결합시키고, 하부 수직 부분은 핀, 앵커 등의 고정철물을 통하여 외벽에 결합시킨다.
상기한 종래의 고정 브래킷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며, 판재를 "ㄱ"자로 절곡시켜 수평부분을 창틀의 하부에 고정시키고, 수직 부분을 외벽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ㄱ"자형 고정 브래킷은 구조상 일정한 무게의 창틀은 지지할 수 있으나, 특히 시스템 창호와 같이 중량이 많이 나가는 창호 등은 견고히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창틀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부와 벽면에 고정하는 수직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창틀 시공 작업에 따른 불편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에서 발생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량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틀의 하단에 고정되는 받침부와 외벽에 고정되어 창틀을 지지하는 고정부를 각각 구성하여 창틀을 지지 고정하는 것으로 창틀의 시공에 따른 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고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창틀의 하단에 고정되는 받침부와 상기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창틀을 받쳐주는 고정지지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창틀 시공시 창틀의 두께에 따라 벽면과 폭을 맞추어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창틀 시공성 향상시킨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정부를 수평부 및 수직부 수평부 와 수직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로 구성하여 일반창호와 달리 시스템 창호와 같이 크기 및 중량이 무거워 받침대의 보강을 요하는 경우에도 간단하게 적용 설치함으로써, 사용 신뢰도를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은, 창틀의 하단에 조립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을 이루는 평판에 조립부재를 통해 창틀의 하단으로 조립가능하게 다수의 조립공이 형성되고, 평판의 양 측단부는 요부를 절개하여 하단으로 돌출되게 절곡부가 형성되며, 평판 선단부는 요부를 절개하여 하단으로 돌출되게 끼움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고정지지부재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하단에서 조립부재에 의해 창틀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 및 위치고정홀이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며 건축물 외벽에 고정되어 창틀을 지지하는 것으로, 선단부 양단의 일부를 절개하여 하부로 돌출된 엠부싱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의 사이에는 상기 끼움부로 삽입 결합되는 끼움편이 형성되며, 후단으로 상기 받침부 하단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조립부재에 의해 체결할 수 있게 체결공이 형성되고, 위치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위치고정홀과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홀이 형성되는 수평보강대 및 상기 수평보강대의 수직으로 결합 구비되는 수직보강대, 상기 수평보강대 및 수직보강대의 결합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지보강대로 구비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으로써 상기한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은 건축물의 외벽에 창틀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와, 창틀 및 외벽에 고정브래킷을 조립이 가편하며, 시스템 창호와 같이 크기 및 중량이 무거운 경우에도 간단하게 적용 설치하여 견고히 지지하는 효과를 가지는 등, 사용 신뢰도를 극대화시키는 등의 효과 가 있다.
또한, 받침부와 고정지지부를 조립후에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함으로써, 창틀의 두께에 따라 설치되는 벽면에 폭을 맞추어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에 따른 편리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브래킷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브래킷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된 상태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브래킷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브래킷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조립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브래킷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브래킷을 이용한 창틀의 시공 상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먼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브래킷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브래킷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된 상태의 측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즉 본 발명의 창틀 고정용 브래킷(10)은 창틀(A)의 하단에 조립설치되는 받침부(100)와, 상기 받침부(100)의 하단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외벽에 앙카등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창틀(A)을 견고히 받쳐주는 고정지지부(200)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지부(200)는 수평보강대(210)와, 상기 수평보강대의 수직으로 조립되는 수직보강대(220)와, 상기 수평보강대(210) 및 수직보강대(220)의 내측으로 조립되어 지지력을 더욱 보강하는 지지보강대(230)로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창틀 고정 브래킷(10)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받침부(100)는 창틀(A)의 하단부에 밀착되게 수평을 이루는 평판(101)으로 이루어지며, 평판(101)의 하단으로 고정지지부(200)가 끼워져 조립되게 요부를 절개하여 하단으로 돌출시킨 끼움부(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평판(101)의 양 측단은 하단으로 돌출된 절곡부(103)가 형성되며, 상기 평판(101)을 창틀(A)의 하단에 조립설치하기 위한 조립공(104)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평판(101)의 양 측단에 하단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03)의 폭은 고정지지부(200)의 수평보강대(210)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수평보강대(210)의 가이드 역활을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절곡부(103)는 도면상 요부를 절개하여 하단으로 돌출되게 제시하고 있으나, 양 끝단을 하단으로 직각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평판의 선.후단은 창틀(A)의 종류에 따라 설치 편리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양 끝단을 상부로 절곡시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평판(101)의 후단부에는 평판(101)의 하단으로 고정지지부(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조립부재(1)에 의해 고정지지부(200)와 평판(10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06)이 형성된다.
또한, 체결공(106)의 사이에는 위치고정홀(105)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홀(105)의 설명은 하기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공(106)은 고정지지부(200)의 수평보강대(210)에 형성된 체결공(215)과 위치 조정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지지부(200)는 수평보강대(210)와, 수직으로 수직보강대(220)와, 상기 수평 및 수직보강대의 내측으로 지지보강대(230)로 구비된다.
상기 수평보강대(210)에는 수직 보강대(220) 및 지지보강대(230)가 끼워져 조립되게 다수의 조립홈(211)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보강대(220)에는 상기 조립홈(211)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다수의 조립돌기(221)와, 지지보강대(230)가 끼워져 조립되게 다수의 조립홈(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보강대(230)에는 상기 수평보강대(210) 및 수직보강대(220)의 형성된 조립홈(211)(222)에 끼워져 조립되게 다수의 조립돌기(2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수평보강대(210) 및 수직 보강대(220) 그리고 지지보강대(230)는 조립돌기와 조립홈에 의해 상호 조립된다.
한편, 상기 수직보강대(220)에는 앙카 등을 이용해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통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립력을 높이기 위해 펀치에 의해 조립돌기 또는 조립돌기의 주변을 가압하여 조립돌기가 조립홈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보강대(210)의 선단부는 요부를 절개하여 중앙에는 상기 받침부(100)의 끼움부(102)로 끼워지도록 끼움편(212)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편(212)의 양단으로는 하부로 돌출된 엠보싱(214)을 갖는 지지편(213)이 형성된다.
상기 엠보싱(214)은 받침부(100)의 하단으로 돌출된 끼움부(102)보다 더 돌출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단에는 상기 고정지지부(200)가 받침부(100)의 하단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수평보강대(210) 하단에서 조립부재(1)에 의해 창틀(A)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2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공(215)의 사이에는 위치고정홀(216)이 형성되되, 상기 위치고정홀(216)은 받침부(100)에 형성된 위치고정홀(105)의 하단에 위치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고정홀(105)은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215)은 받침부(100)의 평판(101)에 형성되는 체결공(10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위치고정홀(216)(105)에는 위치고정볼트(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고정 브래킷(10)은 받침부(100)가 창틀(A)의 하단으로 조립부재(1)에 의해 조립된 상태에서 그 하단으로 고정지지부(200)가 상기 받침부의 하단으로 조립설치되며, 이러한 조립된 상태로 벽면 설치부로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수직보강대(220)가 벽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창틀(A)의 폭에 따라 전후로 밀면 받침부(100)가 수평보강대(210)의 상단에서 슬라이딩되고, 위치가 선정되었다면, 위치고정볼트(2)를 완전히 조여 받침부(100)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브래킷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브래킷(1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창틀(A)의 하단에 조립설치되는 받침부(100)와, 상기 받침부(100)의 하단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면서 외벽에 앙카등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창틀(A)을 견고히 받쳐주는 고정지지부(200)로 구비된다.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되었기에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 도 6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00)는 수평을 이루는 평판(101)에 선단 중앙의 양단으로 요부를 절개하여 하단으로 절곡시킨 끼움부(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지지부(200)의 수평보강대(210)의 선단은 요부를 절개하여 중앙에는 엠보싱(214)을 갖는 지지편(213)과 상기 지지편(213)의 양단으로 상기 끼움부(102)로 끼워져 조립되는 끼움편(212)이 형성된다.
(제3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브래킷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서, 받침부(100)의 평판(101) 양 측단을 하단 수직으로 절곡시켜 수평보강대(210)의 가이드 역할을 행하는 절곡부(103')을 형성하며, 평판(101)의 전 후단에는 상부로 수직 절곡시켜 창틀의 종류에 따라 조립성을 높이기 위해 절곡부(217)가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브래킷(10)의 작용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고정용 브래킷(10)을 이용하여 창틀(A)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받침부(100)를 창틀(A)의 하단에 밀착시켜 조립부재(1)에 의해 1차적으로 조립설치한다.
즉, 받침부(100)의 창틀(A)에 밀착시킨 후, 받침부(100)의 하단에서 조립부재(1)를 이용하여 조립공(104)을 통해 받침부(100)를 창틀(A)의 하단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조립부재(1)는 창틀(A)의 내부에 설치된 보강바(B)를 관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평판(101)의 전 후단을 상부로 절곡 돌출시켜 절곡부(217)를 형성시켜 조립시 평판(10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지지부(200)를 받침부(100)의 하단으로 슬라이딩시켜 조립하고 수평보강대(210)의 하단에서 위치고정볼트(2)를 위치고정홀(216)(105)에 끼워 서로 단속시킨다.
즉, 고정지지부(200)를 받침부(100)의 하단으로 조립시, 수평보강대(210)를 받침부(100)의 하단으로 밀착시켜 끼움편(212)이 끼움부(102)로 삽입되도록 일측으로 밀어 조립한다.
이때, 수평보강대(210)의 폭이 상기 받침부(100)의 양단에 형성된 절곡부(103)의 폭과 동일함으로 수평보강대(210)가 좌우로 유동됨이 방지되어 고정지지부(200)를 받침부(100)의 하단으로의 설치가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창틀(A)의 하단에 고정 브래킷(10)을 조립한 상태에서 창틀(A)을 벽면의 설치부로 옮겨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지지부(200)를 벽면에 고정시킨다. 즉, 벽면에 미리 설치된 앙카볼트에 고정지지부(200)의 수직보강대(220)를 밀착시켜 후 너트를 조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창틀(A)을 설치한 후 창틀이 설치부에 정위치 되게 전.후로 밀면 받침부(100)가 고정지지부(200)에서 슬라이딩되므로 위치를 맞출 수 있다.
즉, 측변에서 볼 때 창틀의 폭과 관통된 설치부위 폭이 상호 틀릴 수 있으므로 설치부위 폭 중앙에 창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창틀을 전후로 밀어 조립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받침부가 고정지지부의 상단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이유는 수평보강대 선단에 형성되는 지지편(213)이 하단으로 엠보싱(214)이 이루어져 있어, 수평보강대가 벽면의 상부로 이격 되게 설치되어 지므로 끼움편(212)과 끼움부(102)가 조립된 상태에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위치선정을 한 후 위치고정볼트(2)를 완전히 조여 더이상 받침부(100)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시키고, 수평보강대(210)의 하단에서 조립부재(1)를 이용하여 체결공(215)과 체결공(106)을 더 조여 단속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브래킷(10)에 의해 설치된 창틀(A)은 본 발명의 고정 브래킷(1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즉, 창틀(A)의 중량이 무겁다 하더라도 고정지지부(200)의 수평보강대 및 수직보강대, 이를 더욱 견고히 지탱하는 지지보강대로 구성하고 있기에 그 하중을 견고히 받쳐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브래킷(10)은 창틀(A)의 하단에 장착이 용이하며, 건축물의 설치부에 창틀을 설치한 후 에도 고정지지부(200)에 의해 그 하중이 지탱되므로 중량에 의한 창틀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10: 창틀용 고정 브래킷 100: 받침부
101: 평판 102: 끼움부
103: 절곡부 104: 조립공
105, 106, 215, 216: 체결공
200: 고정지지부 210: 수평보강대
220: 수직보강대 230: 지지보강대
211, 222: 조립홈 221, 231: 조립돌기
212: 끼움편 213: 지지편
214: 엠보싱 A: 창틀

Claims (5)

  1.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 및 문틀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에 있어서,
    창틀(A)의 하단에 조립부재(1)에 의해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을 이루는 평판(101)에 조립부재(1)를 통해 창틀(A)의 하단으로 조립가능하게 다수의 조립공(104)이 형성되고, 평판(101)의 양 측단부는 요부를 절개하여 하단으로 돌출되게 절곡부(103)가 형성되며, 평판(101) 선단부는 요부를 절개하여 하단으로 돌출되게 끼움부(102)가 형성되고, 타측은 고정지지부재(200)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지지부재(200)의 하단에서 조립부재(1)에 의해 창틀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06) 및 위치고정홀(105)이 형성되는 받침부(100)와,
    상기 받침부(100)에 결합되며 건축물 외벽에 고정되어 창틀(A)을 지지하는 것으로, 선단부 양단의 일부를 절개하여 하부로 돌출된 엠부싱(214)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2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의 사이에는 상기 끼움부(102)로 삽입 결합되는 끼움편(212)이 형성되며, 후단으로 상기 받침부(100) 하단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조립부재(1)에 의해 체결할 수 있게 체결공(215)이 형성되고, 위치고정볼트(2)에 의해 상기 위치고정홀(105)과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홀이 형성되는 수평보강대(210) 및 상기 수평보강대(210)의 수직으로 결합 구비되는 수직보강대(220), 상기 수평보강대(210) 및 수직보강대(220)의 결합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지보강대(230)로 구비되는 고정지지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의 평판(101) 전면 및 후단부를 상부로 돌출되게 절곡부(21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의 평판 좌.우측부로 형성되는 절곡부(103)의 내측 폭 및 이에 끼워지는 수평보강대(210)의 좌.우폭의 길이는 동일 폭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의 평판에 형성되는 끼움부(102) 및 이에 조립되는 수평보강대(210)에 형성되는 끼움편(212)은 중앙 또는 양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강대(210)로 수직보강대(220), 지지보강대(230)가 조립되게 다수의 조립홈(211)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보강대(220)에는 상기 조립홈(211)에 조립되도록 다수의 조립돌기(221)와, 지지보강대(230)가 조립되게 다수의 조립홈(22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보강대(230)에는 상기 수평 및 수직보강대로 결합되게 다수의 조립돌기(231)가 형성되어 상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1020100031217A 2010-04-06 2010-04-06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100996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217A KR100996101B1 (ko) 2010-04-06 2010-04-06 창틀 고정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217A KR100996101B1 (ko) 2010-04-06 2010-04-06 창틀 고정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101B1 true KR100996101B1 (ko) 2010-11-22

Family

ID=4341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217A KR100996101B1 (ko) 2010-04-06 2010-04-06 창틀 고정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1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087A (ko) * 2018-01-12 2019-07-22 (주)엘지하우시스 창틀 수평유지용 브라켓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115788077A (zh) * 2022-12-15 2023-03-14 广州珠江外资建筑设计院有限公司 一种上部梁钢筋预先绑扎式预制混凝土飘窗的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087A (ko) * 2018-01-12 2019-07-22 (주)엘지하우시스 창틀 수평유지용 브라켓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16112B1 (ko) * 2018-01-12 2021-02-16 (주)엘지하우시스 창틀 수평유지용 브라켓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115788077A (zh) * 2022-12-15 2023-03-14 广州珠江外资建筑设计院有限公司 一种上部梁钢筋预先绑扎式预制混凝土飘窗的施工方法
CN115788077B (zh) * 2022-12-15 2023-09-15 广州珠江外资建筑设计院有限公司 一种上部梁钢筋预先绑扎式预制混凝土飘窗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RU2463932C2 (ru) Регулируемый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для стенного шкафа,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крепления шкафа к стене
JP2013528722A (ja) カーテンウォール固定用可変型ファスナー
JP2014516650A (ja) 引き出し
KR101081801B1 (ko) 강성이 보강된 커튼월
KR100996101B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AU2007200753A1 (en) A Panel Attachment Clip
JP5772664B2 (ja) 間仕切装置におけるアジャスター装置
JP4800264B2 (ja) 改装サッシ
KR200446319Y1 (ko) 창호설치용 브라켓 결합구조
KR20100007586U (ko) 커튼레일 고정구
KR200477827Y1 (ko)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US20050253489A1 (en) Self-squaring modular cabinetry
KR101712583B1 (ko) 슬라이드 도어를 갖는 장롱의 도어 지지 레일 구조
JP2014058862A (ja) フェンス
KR101304781B1 (ko) 보강 및 각도 조절수단을 갖는 벽선반 받침대
KR20150000296U (ko) 글라스 커튼월용 유리 고정장치
CN213234663U (zh) 门窗配件多功能安装固定支架及安装结构
RU2005125910A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вентилируемой облицовки зданий и конструкция ограждения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KR101044076B1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RU149504U1 (ru) Крепление кресла для стадионов (варианты)
CN215927107U (zh) 一种固定板及方便安装的铰链
CA3087638C (en) Mounting bracket assembly and window air conditioner assembly
JP2007247380A (ja) 出窓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90000552U (ko) 창틀용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