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935B1 -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 - Google Patents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935B1
KR102057935B1 KR1020190003150A KR20190003150A KR102057935B1 KR 102057935 B1 KR102057935 B1 KR 102057935B1 KR 1020190003150 A KR1020190003150 A KR 1020190003150A KR 20190003150 A KR20190003150 A KR 20190003150A KR 102057935 B1 KR102057935 B1 KR 10205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support member
plate portion
drive screw
curtai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청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충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충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충신
Priority to KR102019000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4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 A47H1/144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for supporting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3Brackets or adjustable mountings for both roller blinds and drawable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14Apparatus for lowering curtains or the like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레일 설치용 브래킷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커튼레일이 장착되는 마운트클립의 수직이동에 의거 커튼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 또는/및 벽면에 부착설치되는 어태치바디; 커튼레일 장착에 필요한 마운트클립이 하측에 구비결합되는 한편, 상기 어태치바디 전방에 연계배치된 상태로 상기 마운트클립의 수직이동을 위한 승강작동을 하는 서포트멤버; 및, 상기 서포트멤버를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호 스크루결합을 이루며, 자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어태치바디에 연계조립됨에 따라, 회전조작시 상기 서포트멤버가 수직이동되게 한 드라이브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CURTAIN RAIL BRACKET FOR HIGH AND LOW REGULATION OF CURTAIN}
본 발명은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튼레일 설치용 브래킷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커튼레일이 장착되는 마운트클립의 수직이동에 의거 커튼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우리네 생활환경(生活環境, life environment)이 윤택해지면서,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고 본능적인 욕구충족을 위한 장소인 주거공간(住居空間)의 개념이 기본적 욕구충족을 위한 장소라는 목적 이외에도 미적 욕구충족의 장소라는 의미를 더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간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미적 욕구는, 디자인(design)이라 하는 보다 합리적이고 계획적인 방법을 통해 주거환경을 꾸미기에 적당한 장식성과 기능성을 겸한 커튼을 만들기에 이르렀다.
커튼(curtain)은 원래 빛과 바람 소리 등을 차단하는 차양(遮陽)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생활용품이었으나, 점차 장식적인 측면이 강조되면서 생활용품에서 장식품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즉, 빛과 소음 등을 차단하고 냉·난방 효율을 높이는 기능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쾌적한 실내분위기에서 시간을 즐기는 소비자의 취향과 시각의 욕구를 만족시킨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이후 그 사용량이 급속히 증가되었는데, 이는 주거형태가 서구화되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주거공간을 꾸미기에 적당한 커튼의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라 하겠다.
한편, 앞서 언급한 커튼을 창문 등에 달려면, 커튼레일(curtain rail)을 감추기 위해 천장면과 창틀에 설치하는 커튼박스(curtain box) 안쪽에 상기 커튼레일 전용의 브래킷(bracket)을 미리 장치(裝置)하고 그 브래킷에 커튼레일을 장착해야만 한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브래킷은 단순히 커튼레일 장착의 기능만 나타내는 관계로 커튼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하다. 즉, 창문 크기에 맞춰 커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실내고(室內高, interior height)와 커튼박스 규격을 고려하지 않는 등의 이유를 포함한 미처 생각지 못한 변수로 인해 창문에 단 커튼의 세로길이가 안맞는 경우가 허다하다.
예컨대, 커튼의 세로길이가 짧아 창문을 전부 가리지 못하는 경우 해당 커튼의 밑단으로부터 빛이 새고 소음이 유입되는 등 기능상의 문제점이 유발되고, 커튼의 세로길이가 길어 바닥으로 밑단이 늘어지는 경우 미관상 보기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유발, 어쩔 수 없이 커튼을 새로 제작해야만 하는 등의 폐단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7827호를 통해, 커튼레일이 고정되는 커튼레일 고정구의 높낮이를 커튼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이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의 사시도로써, 종래의 상기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9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천장 고정면(921)과 상기 천장 고정면(921)에서 수직 절곡 연장된 높낮이 조절면(922)을 포함하며, 상기 천장 고정면(921)과 상기 높낮이 조절면(922)이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 형상의 천장 고정대(920); 및, 상기 천장 고정면(921)보다 길게 형성되는 커튼 거치 고정면(931)과,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931)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 연장된 수직 고정면(932)이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형상의 높낮이 조절 보조대(9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천장 고정대(920)의 천장 고정면(921)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 장착공(923)이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면(922)에는 다수개의 미세 조절공으로 형성되는 미세 조절부(924), 수평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수평 보조 결합공 및 수직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벽면 장착공(926)이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 보조대(930)의 커튼 거치 고정면(931)에는 다수개의 레일 보조 브라켓 고정공(933)및 상기 레일 보조 브라켓 고정공(933)과 상기 수직 고정면이 연장되는 부분 사이에는 나사나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구의 결합시에 드라이버나 전동공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낮은 조절 고정 시 결합 유도공(937)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고정면(932)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위치 결합공(934), 간격 조절공(935) 및 다수개의 공간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면(922)에 상기 수직 고정면(932)을 밀착시킨 후 상기 높낮이 조절면(922)의 상기 미세조절부(924), 상기 수평 보조 결합공 및 상기 벽면 장착공(926)과 상기 수직 고정면(932)의 상기 위치 결합공(934), 상기 간격 조절공(935) 및 상기 공간 결합공을 위치조절하여 체결구(950)로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커튼 거치 고정면(931)에서 하측으로 수직 절곡 연장된 수직 고정면(932)이 일체로 형성되는 'ㄱ'자형상의 높낮이 조절 보조대(930)의 위치조절로 커튼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결과도출을 위해서는, 상기 천장 고정대(920)를 천장에 우선 부착설치한 다음 그 전면에 높낮이 조절 보조대(930)를 한 손으로 붙잡고 위치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는 별도의 공구(드라이버 등)를 이용 상기 체결구(950)들을 정해진 복수 위치에 체결시켜야만 하는 작업관계상, 그 설치과정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다수 부속들의 조합으로 인해 브라켓(브래킷)의 구조적 형태가 매우 난잡하고 조잡하여 일부분이 커튼박스 및 커튼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미관을 크게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장식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커튼 설치조건에 적합하지 못하다.
결국, 구성 단일화를 통해 설치를 손쉽게 한 설치편의성 제공은 물론 커튼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작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커튼레일 브래킷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7827호(등록일자 : 2015.07.20.)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5219호(등록일자 : 2018.08.30.) (문헌 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2125호(공개일자 : 1999.01.1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의 단일화로 설치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스크루 회전방식으로 승강작동하는 서포트멤버에 의한 커튼레일의 수직이동식 구조달성으로, 상기 커튼레일에 달린 커튼의 높낮이 조절관계가 편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서포트멤버에 복수의 마운트클립가 구비결합되는 구조로의 변형실시를 통해, 두 종류의 커튼을 동시에 달거나 혹은 커튼 및 다른 차양장치(블라이드 등)를 동시에 설치함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장 또는/및 벽면에 부착설치되는 어태치바디; 커튼레일 장착에 필요한 마운트클립이 하측에 구비결합되는 한편, 상기 어태치바디 전방에 연계배치된 상태로 상기 마운트클립의 수직이동을 위한 승강작동을 하는 서포트멤버; 및, 상기 서포트멤버를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호 스크루결합을 이루며, 자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어태치바디에 연계조립됨에 따라, 회전조작시 상기 서포트멤버가 수직이동되게 한 드라이브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태치바디는, 벽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서포트멤버의 연계조립 및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수직판부와,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의 결합 및 지지를 위해, 상기 수직판부의 하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수평절곡된 하부절곡단과, 상기 수직판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부절곡단과 동일측으로 수평절곡됨에 따라, 천장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의 결합 및 지지가 가능한 상부절곡단으로 구분되고, 상기 수직판부에는, 상기 서포트멤버 후방 양단의 구속 및 수직이동 안내를 위해 세로로 긴 복수의 레일편이 상호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돌출절곡된다.
더하여, 상기 서포트멤버는, 상기 마운트클립이 하측에 구비결합되고,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의 수직관통 및 상호 스크루결합이 이루어지는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의 후단부로부터 하향절곡되며, 상기 레일편들에 의해 양단이 구속된 상태로 수직이동 가능토록 상기 수직판부에 연계조립되는 수직절곡단으로 구분되고, 상기 수평판부에는,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의 외둘레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내둘레면에 형성된 나사관부가 정해진 부위에 돌출되며, 상기 마운트클립의 위치고정을 위한 복수의 제지턱이 상기 마운트클립의 양단과 밀착하는 부위에 각각 돌출된다.
또한,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에는, 상기 하부절곡단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이 구비결합되고, 상기 하부절곡단에는, 상기 드라이브스크루가 삽입되는 제1통공이 중앙에 관통되고, 상기 스냅링의 구속을 위한 후크형의 압착돌기가 상기 제1통공의 근접 양측부 각각으로부터 돌출절곡되며, 상기 상부절곡단에는,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의 선단이 삽입되는 제2통공이 중앙에 관통된다.
더하여, 상기 수평판부의 길이를 늘려 여유공간을 확보하고, 공간확보된 상기 수평판부 하측에 복수의 마운트클립을 구비결합하며, 상기 마운트클립들을 이용, 두 개의 커튼을 동시에 달거나 또는 커튼과 다른 차양장치를 동시에 설치함이 가능케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은, 천장 또는/및 벽면에 부착설치되는 어태치바디와 그 어태치바디 전방에 연계배치된 상태로 승강작동하는 서포트멤버 및 그 서포트멤버를 승강작동시키는 드라이브스크루가 서로연계된 구성 단일화의 달성으로, 부속품의 분실우려가 없고 아울러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편의성과 커튼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작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어태치바디에 연계조립된 드라이브스크루의 단순 회전조작만으로도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에 스크루결합된 서포트멤버의 승강작동을 이룰 수 있어, 상기 서포트멤버의 수평판부 하측에 구비결합된 마운트클립에 장착되어 있는 커튼레일의 수직이동 및 그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이 보다 용이케 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각종 효과의 달성에 따라, 현재 건축물에 있어서 필수품으로 인식될 만큼 차양장치(sunshade apparatus)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지금, 소비자 구매욕구 충족의 판매경쟁력 확보는 물론이거니와 그로 인한 기업이익 창출과 관련산업의 발전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정면도와 측면도.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에 있어서, 어태치바디와 서포트멤버의 상호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의 작동관계를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2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에 있어서 어태치바디와 서포트멤버의 상호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의 작동관계를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A)은, 천장 또는/및 벽면에 부착설치되는 어태치바디(1)와, 커튼레일(R) 장착에 필요한 마운트클립이 하측에 구비결합되는 한편 상기 어태치바디(1) 전방에 연계배치된 상태로 상기 마운트클립의 수직이동을 위한 승강작동을 하는 서포트멤버(2)와, 상기 서포트멤버(2)를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호 스크루결합(screw coupling)을 이루며 자전(自轉) 가능한 상태로 상기 어태치바디(1)에 연계조립됨에 따라 회전조작시 상기 서포트멤버(2)가 수직이동되게 한 드라이브스크루(3)를 포함한다.
어태치바디(attach boby, 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장 또는/및 벽면에 부착설치되며 상기 서포트멤버(2)와 드라이브스크루(3)의 조립결합 및 동작안내를 위한 것으로, 벽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서포트멤버(2)의 연계조립 및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수직판부(11)와, 상기 드라이브스크루(3)의 결합 및 지지를 위해 상기 수직판부(11)의 그 하단으로부터 일측(전방)으로 수평절곡된 하부절곡단(12)과, 상기 수직판부(11)의 그 상단으로부터 하부절곡단(12)과 동일측(전방)으로 수평절곡됨에 따라 천장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브스크루(3)의 결합 및 지지가 가능한 상부절곡단(13)으로 구분된다.
상기 수직판부(11)에는, 서포트멤버(2) 후방 양단의 구속 및 수직이동 안내를 위한 복수의 레일편(111)이 상호 간격을 두어 세로로 길고 전방으로 돌출절곡되며, 이에 따라 상기 레일편(111) 각각의 안쪽으로 상기 서포트멤버(2) 후방 양단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가이드홀(111a)이 마련된다.
또한, 스크루(screw / 나사못)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한 벽면 부착을 고려하여, 양측 가장자리 복수의 정해진 위치마다 제1조립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절곡단(12)에는, 상기 드라이브스크루(3)가 삽입되는 제1통공(121)이 중앙에 관통되어 있고, 상기 제1통공(121)의 근접 양측부 각각으로부터는 차후 설명할 상기 드라이브스크루(3)의 스냅링 구속(압착)을 통해 드라이브스크루(3)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후크형(hook type) 압착돌기(122)가 돌출절곡되어 있다.
상기 상부절곡단(13)에는, 상기 드라이브스크루(3)의 선단이 삽입되는 제2통공(131)이 중앙에 관통되어 있고, 앞서 설명한 상기 결합부재를 이용한 천장 부착을 고려하여 양측 가장자리 복수의 정해진 위치마다 제2조립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멤버(support member, 2)는, 커튼레일(R)의 장착 및 그 커튼레일(R)의 수직이동을 위한 승강작동을 하게 된 것으로,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튼레일(R) 장착에 필요한 상기 마운트클립(20)이 하측에 구비결합되고 상기 드라이브스크루(3)의 수직관통 및 상호 스크루결합이 이루어지는 수평판부(21)와, 상기 수평판부(21)의 후단부로부터 하향절곡되며 상기 레일편(111)들에 의해 양단이 구속된 상태로 수직이동 가능토록 상기 어태치바디(1)의 수직판부(11)에 연계조립되는 수직절곡단(22)으로 구분된다.
상기 수평판부(21)에는, 차후 설명할 상기 드라이브스크루(3)의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210)이 내둘레면에 형성된 나사관부(211)가 정해진 부위(후측 중앙)에 돌출되어 있고, 하측에 구비결합되는 상기 마운트클립(20)의 위치고정을 위한 복수의 제지턱(212)이 마운트클립(20)의 양단과 밀착하는 부위에 각각 돌출되어 있다.
드라이브스크루(drive screw, 3)는, 상기 어태치바디(1) 전방에 연계배치된 서포트멤버(2)의 수직이동으로 마운트클립(20)에 장착된 커튼레일(R)이 더불어 수직이동되게 하는 상기 서포트멤버(2) 동작제어를 위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태치바디(1)의 상,하부절곡단(13)(12)에 관통된 제1,2통공(121)(131)에 동시삽입 가능한 길이를 가지며, 그 외둘레면에는 상기 서포트멤버(2)의 수평판부(21)에 돌출된 나사관부(211)의 암나사산(210)에 대응하는 수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에 부착하여 부품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스프링 부품인 스냅링(snap ring, 32)이 구비결합되는 바, 상기 스냅링(32)은 상기 하부절곡단(12)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압착돌기(122)들에 의해 양단이 구속됨으로써 견고한 조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서포트멤버(2)의 변형실시를 통해 두 개의 커튼을 동시에 달거나 또는 커튼과 다른 차양장치(블라인드 등)를 동시에 설치가 가능한 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멤버(2)의 수평판부(21) 길이를 늘려 여유공간을 확보, 공간이 확보된 상기 수평판부(21) 하측에 복수의 마운트클립(20)을 구비결합하는 것으로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빛과 소음 등을 차단하고 냉·난방 효율을 높이며 아울러 주거공간을 꾸밀 커튼을 다는데 필요한 커튼레일(R) 설치에 앞서, 상기 커튼레일(R) 설치에 필요한 본 발명의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A)을 천장 또는/및 벽면에 미리 설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커튼박스 안쪽의) 천장 또는/및 벽면에 어태치바디(1)의 수직판부(11) 배면과 상부절곡단(13)의 상면을 벽면과 천장에 각각 밀착시킨 다음, 별도의 결합부재(스크루 등)를 이용해서 상기 어태치바디(1)를 벽면과 천장에 견고히 부착설치한다.
이후, 상기 어태치바디(1)의 전방에 연계배치된 서포트멤버(2) 하측의 마운트클립(20)에 상기 커튼레일(R)를 장착한 후, 그 커튼레일(R)에 커튼을 다는 것으로 설치를 최종 마무리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튼레일(R)에 단 커튼의 세로길이가 짧아 창문을 전부 가리지 못하는 경우 혹은 커튼의 세로길이가 길어 바닥으로 밑단이 늘어지는 경우에, 본 발명을 이용하여 커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별도의 공구(드라이버 등)를 이용해서 상기 드라이브스크루(3)를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스크루(3)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포트멤버(2)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작동을 이루도록 하고, 이로써 상기 서포트멤버(2)의 수평판부(21) 하측에 구비결합된 마운트클립(20)과 그 마운트클립(20)에 장착된 상기 커튼레일(R)이 동시에 수직이동되게 하는 것에 의해 커튼레일(R)에 달린 커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서포트멤버(2)의 수직절곡단(22) 양단이 상기 수직판부(11)의 레일편(111)들에 안내되어 가이드홀(111a)을 따라 상,하 이동을 이룸으로 서포트멤버(2)의 승강작동이 원활케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전조작되는 드라이브스크루(3)는, 상기 수직절곡단(22)의 상,하부절곡단(13)(12)에 지지되고 상기 스냅링(32)에 의해 분리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트멤버(2)의 변형실시를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커튼을 동시에 달거나 또는 커튼과 다른 차양장치(블라인드 등)를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다(도 6 참조).
정리하여, 본 발명의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A)에 의하면, 천장 또는/및 벽면에 부착설치되는 상기 어태치바디(1)와 그 어태치바디(1) 전방에 연계배치된 상태로 승강작동하는 서포트멤버(2) 및 그 서포트멤버(3)를 승강작동시키는 드라이브스크루(3)가 서로연계된 구성 단일화의 달성으로, 부속품의 분실우려가 없고 아울러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편의성과 커튼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조작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태치바디(1)에 연계조립된 드라이브스크루(3)의 단순 회전조작만으로도 상기 드라이브스크루(3)에 스크루결합된 서포트멤버(2)의 승강작동을 이룰 수 있어, 상기 서포트멤버(2)의 수평판부(21) 하측에 구비결합된 마운트클립(20)에 장착되어 있는 커튼레일(R)의 수직이동 및 그에 따른 커튼 높낮이 조절이 보다 용이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커튼브래킷, 1 : 어태치바디
2 : 서포트멤버, 3 : 드라이브스크루
11 : 수직판부, 12 : 하부절곡단
13 : 상부절곡단, 20 : 마운트클립
21 : 수평판부, 22 : 수직절곡단
31 : 수나사산, 32 : 스냅링
111 : 레일편, 111a : 가이드홀
112 : 제1조립공, 121 : 제1통공
122 : 압착돌기, 131 : 제2통공
132 : 제2조립공, 210 : 암나사산
211 : 나사관부, 212 : 제지턱

Claims (5)

  1. 천장 또는/및 벽면에 부착설치되는 어태치바디;
    커튼레일 장착에 필요한 마운트클립이 하측에 구비결합되는 한편, 상기 어태치바디 전방에 연계배치된 상태로 상기 마운트클립의 수직이동을 위한 승강작동을 하는 서포트멤버; 및,
    상기 서포트멤버를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호 스크루결합을 이루며, 자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어태치바디에 연계조립됨에 따라, 회전조작시 상기 서포트멤버가 수직이동되게 한 드라이브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어태치바디는, 벽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서포트멤버의 연계조립 및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수직판부와,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의 결합 및 지지를 위해, 상기 수직판부의 하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수평절곡된 하부절곡단과, 상기 수직판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부절곡단과 동일측으로 수평절곡됨에 따라, 천장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의 결합 및 지지가 가능한 상부절곡단으로 구분되고,
    상기 수직판부에는, 상기 서포트멤버 후방 양단의 구속 및 수직이동 안내를 위해 세로로 긴 복수의 레일편이 상호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돌출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멤버는, 상기 마운트클립이 하측에 구비결합되고,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의 수직관통 및 상호 스크루결합이 이루어지는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의 후단부로부터 하향절곡되며, 상기 레일편들에 의해 양단이 구속된 상태로 수직이동 가능토록 상기 수직판부에 연계조립되는 수직절곡단으로 구분되고,
    상기 수평판부에는,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의 외둘레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내둘레면에 형성된 나사관부가 정해진 부위에 돌출되며, 상기 마운트클립의 위치고정을 위한 복수의 제지턱이 상기 마운트클립의 양단과 밀착하는 부위에 각각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에는, 상기 하부절곡단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이 구비결합되고,
    상기 하부절곡단에는, 상기 드라이브스크루가 삽입되는 제1통공이 중앙에 관통되고, 상기 스냅링의 구속을 위한 후크형의 압착돌기가 상기 제1통공의 근접 양측부 각각으로부터 돌출절곡되며,
    상기 상부절곡단에는, 상기 드라이브스크루의 선단이 삽입되는 제2통공이 중앙에 관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부의 길이를 늘려 여유공간을 확보하고, 공간확보된 상기 수평판부 하측에 복수의 마운트클립을 구비결합하며,
    상기 마운트클립들을 이용, 두 개의 커튼을 동시에 달거나 또는 커튼과 다른 차양장치를 동시에 설치함이 가능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
KR1020190003150A 2019-01-10 2019-01-10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 KR102057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50A KR102057935B1 (ko) 2019-01-10 2019-01-10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50A KR102057935B1 (ko) 2019-01-10 2019-01-10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935B1 true KR102057935B1 (ko) 2020-02-07

Family

ID=6957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150A KR102057935B1 (ko) 2019-01-10 2019-01-10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9053A1 (en) * 2021-12-22 2023-06-29 Renson Sunprotection Screens Nv Assembly of a screen device and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a screen casing of this scree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125U (ko) 1997-06-25 1999-01-15 정재엽 커텐걸이장치
KR100730774B1 (ko) * 2006-12-16 2007-06-20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천장 이동식 행거구조
KR200477827Y1 (ko) 2014-10-28 2015-07-28 김천웅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KR101895219B1 (ko) 2017-05-31 2018-09-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 가변식 커튼 걸이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125U (ko) 1997-06-25 1999-01-15 정재엽 커텐걸이장치
KR100730774B1 (ko) * 2006-12-16 2007-06-20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천장 이동식 행거구조
KR200477827Y1 (ko) 2014-10-28 2015-07-28 김천웅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KR101895219B1 (ko) 2017-05-31 2018-09-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 가변식 커튼 걸이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9053A1 (en) * 2021-12-22 2023-06-29 Renson Sunprotection Screens Nv Assembly of a screen device and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a screen casing of this screen device
BE1030065B1 (nl) * 2021-12-22 2023-07-17 Renson Sunprotection Screens Nv Samenstel van een scherminrichting en bevestigingsmiddelen ter bevestiging van een schermkast van deze scherminrich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7261B2 (en) Window treatment mounting bracket
US8480048B2 (en) Fascia attachment system
US20090014134A1 (en) Energy efficient window shade
US20100032536A1 (en) Interchangeable window treatment apparatus
KR102057935B1 (ko) 커튼 높낮이 조절형 커튼레일 브래킷
US5667178A (en) Bracket assembly for mounting a shade
KR102194391B1 (ko) 차양용구 행거 브래킷
US6840482B2 (en) Mounting bracket for curtain rods
US6659154B2 (en) Valance with adjustable mounting features
US20070029050A1 (en) Hanging device for a Roman shade
US5713657A (en) Indirect lighting system
KR20180003249U (ko) 평면등용 프레임 설치장치
US9004144B2 (en) Window covering with independently movable support rods
CA2902473C (en) Roller shade system
KR200477827Y1 (ko)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KR102167997B1 (ko) 차양용구 행거 브래킷
RU189550U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кронштейна для оконных штор
CN110062593B (zh) 包括可移除的装饰头的房间变暗窗帘杆
CN213391921U (zh) 一种可调高度的电动窗帘卷帘管支架
KR20170003197U (ko) 천정 루바 설치구조
US20100155002A1 (en) Curtain glide and clip ring
CN220013126U (zh) 晾晒挂载机构及晾衣机
CN220423705U (zh) 一种简易安装的窗帘杆托架
KR20190018871A (ko) 설치가 용이하고 위치 조절이 가능한 창호 프레임 입면 분할 바 세트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분할 창호
CN218644097U (zh) 隐藏结构及推拉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