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784B1 -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784B1
KR101486784B1 KR20140090418A KR20140090418A KR101486784B1 KR 101486784 B1 KR101486784 B1 KR 101486784B1 KR 20140090418 A KR20140090418 A KR 20140090418A KR 20140090418 A KR20140090418 A KR 20140090418A KR 101486784 B1 KR101486784 B1 KR 101486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horseshoe
stone
truss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웅
Original Assignee
백승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5926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8678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웅 filed Critical 백승웅
Priority to KR20140090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784B1/ko
Priority to CN201510197215.1A priority patent/CN105275098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Abstract

본 발명은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의 외측으로 설치하는 단열재와 석재를 조립식으로 설치하는데 있어서 단열재 브라켓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절취하지 않고 시공을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앵글부분의 보강을 통하여 큰 하중을 견디어 트러스를 설치가 필요 없는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열재가 설치되는 건물 벽체에 셋트 앙카를 고정하며 석재를 전방에 시공하되;
상기 셋트 앙카가 결합하는 상부 장공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브라켓 몸체의 상측과 하측에 상, 하부 절단부를 통하여 양쪽으로 형성되는 상, 하부 고정다리를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 몸체의 하측에 하부 장공을 설치하는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과; 하부 장공에 스프링 티볼트로 연결되어 "ㄴ"형으로 형성되며 하측의 하측 연결 장공에서 연결볼트와 연결너트로 결합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몸체의 절반 하측으로 한 몸으로 형성되며 공간을 갖도록 돌출되고 상기 하부 장공이 형성된 후 전체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석재 앵글과;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하는 조정 장공을 형성하며 선단에 끼움핀이 형성되는 조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Horseshoe trus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insulation}
본 발명은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HT)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의 외측으로 설치하는 단열재와 석재를 조립식으로 설치하는데 있어서 단열재 브라켓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절취하지 않고 시공을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앵글부분의 보강을 통하여 큰 하중을 견디어 트러스의 설치가 필요 없는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벽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하여 타일, 테라코타, 석판 등의 내·외장재 패널로 이루어진 커트 월이 조립식으로 설치된다.
또한, 건축물의 벽면과 커튼 월 사이에는 건축물 내부에 대한 단열을 위하여 폴리우레탄 폼 또는 스티로폼 등의 발포성 단열재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에 건축물 벽면에 대하여 발포성 단열재와 더불어 커튼 월을 설치할 경우, 각 내·외장재 패널들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해당하는 발포성 단열재 부위는 칼로 도려내어 지거나 화염으로 녹이는 과정 등에 의해 제거되어 커튼 월 설치를 위한 홀이 형성되고, 이 홀에 의해 노출된 건축물 벽체에 앵글유닛을 고정한 후, 내·외장재 패널들을 앵글유닛에 조립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종래에는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을 설치하기 위하여 발포성 단열재의 제거된 홀 부위는, 설치되는 커튼 월에 대하여 부분적인 단열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의 제거된 홀 부위에 대하여 단열성 발포재를 재 충전하는 등의 별도의 시공이 필요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7446호에는 발포성 단열재를 도려내거나 화염으로 녹여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의 설치 영역을 만드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단열재의 손상된 부위에 대한 추가적인 단열 보완작업을 생략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단열 효율을 유지 내지는 더욱 향상시키도록 구조가 개선된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의 구성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7446호의 앵글유닛은 고정구 본체에 제 1 장공이 형성되고, 양측 절곡된 부위는 이들 사이의 중심부위가 건축물 벽체에 평행을 이루며 마주하도록 동일한 길이의 다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구 본체는 다리부의 첨예한 단부가 발포성 단열재에 박혀 벽체에 접촉 지지되어 설치됨으로써, 발포성 단열재를 도려 내거나 녹여내지 않고 또 도려낸 부위에 단열재를 채우는 보완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구조가 개시된다.
하지만, 이러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7446호의 앵글유닛은 다리부가 고정구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서, 다리부의 길이를 가변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발포성 단열재의 다양한 두께에 따라, 다리부의 길이를 맞춰 고정구 본체를 제작하거나, 다리부의 길이를 다양하게 하여 여러 종류의 고정구 본체를 다수 제작한 후, 단열재 두께에 따라 고정구 본체를 선택하여 시공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등록번호 제1270436호(2013. 05. 28. 등록)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제1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한 쌍의 제2 볼트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구 본체; 건축물 벽면에 매입설치되고, 끝단이 상기 발포성 단열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볼트 결합공에 나사 결합되는 앙카볼트; 상기 제2 볼트 결합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고정구 본체의 하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발포성 단열재를 뚫고 상기 건축물 벽면에 접촉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볼트; 세로판과 가로판으로 이루어져 "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세로판에는 상기 고정구 본체의 제1 볼트 결합공을 통해 돌출된 상기 앙카볼트의 끝단이 끼워지는 장공이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후단부는 상기 가로판에 고정되고, 전단부는 상기 패널을 설치하는 끼움 격판부가 구비된 조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판은
상기 세로판의 하단으로부터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는 제1 가로판; 및, 상기 제1 가로판과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세로판으로부터 직각되게 연장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제1 핀 삽입공이 형성된 제2 가로판;을 포함하는 것이 공지되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중앙에 앙카를 결합하고 하측으로 지지볼트를 시공해야 하므로 자재비가 많이 들고, 석재트러스로 시공해야만 하며, 석재마감거리에 따라서 볼트 길이가 다르므로 많은 양의 볼트 때문에 가격이 상승하고, 건물에 큰 하중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앙카를 박은 자리에 앵글을 또 다시 연결해야 함으로 고정 작업이 허술하게 이루어지고 같이 무게를 지탱해야 하므로 정상적으로 힘을 지탱하지 못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147446호(2012. 05. 11.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270436호(2013. 05. 28.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402669호(2014. 05. 27.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244981호(2013. 03. 12.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석재 마감거리가 멀어도 시공이 가능하며,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은 앙카와 석재앵글 고정을 분리되게 시공함으로써 석재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은 앙카와 석재앵글 위치를 달리하여 한 몸체로 붙어 있어서 더욱 견고하고 마감거리가 어떤 상황에서도 가능하며 큰 하중을 견디므로 트러스가 필요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단열재를 절취하지 않아 시공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가 설치되는 건물 벽체에 셋트 앙카를 고정하며 석재를 전방에 시공하되;
상기 셋트 앙카가 결합하는 상부 장공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브라켓 몸체의 상측과 하측에 상, 하부 절단부를 통하여 양쪽으로 형성되는 상, 하부 고정다리를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 몸체의 하측에 하부 장공을 설치하는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과; 하부 장공에 스프링 티볼트로 연결되어 "ㄴ"형으로 형성되며 하측의 하측 연결 장공에서 연결볼트와 연결너트로 결합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몸체의 절반 하측으로 한 몸으로 형성되며 공간을 갖도록 돌출되고 상기 하부 장공이 형성된 후 전체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석재 앵글과;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하는 조정 장공을 형성하며 선단에 끼움핀이 형성되는 조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석재 마감거리가 멀어도 시공 가능하도록 하며,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은 앙카와 석재앵글 위치를 달리하여 고정을 분리되게 시공함으로써 석재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의 앙카 고정부위와 석재앵글 위치를 달리하며 압출에 의한 성형을 통해 한 몸체로 붙어 있어서 더욱 견고하고 마감거리가 어떤 상황에서도 가능하며 큰 하중을 견디므로 트러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재를 절취하지 않고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의 고정다리를 단열재에 결합할 수 있어서 시공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며, 스프링 티볼트를 이용한 고정부재의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석재앵글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에 대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말발굽 단열재에 대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말발굽 단열재에 대한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말발굽 단열재에 대한 우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스프링 티볼트에 대한 분리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석재앵글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건물 벽체(10)의 전방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단열재(11)를 설치하고, 상기 단열재(11)를 통과하여 건물 벽체(10)에 셋트 앙카(30)를 넣기 위하여 구멍을 뚫어 셋트 앙카(30)를 펀치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단열재(11)를 관통하여 고정하며, 셋트 앙카(30)가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20)의 상, 하부 고정다리(22, 22a)를 단열재(11)의 전면에 대고 망치로 충격을 가하여 상, 하부 고정다리(22, 22a)가 단열재(11)를 관통하여 건물 벽체(10)의 전방에 닿도록 한다.
상기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20)의 상부 장공(24)에 셋트 앙카(30)가 관통하여 와셔(31)와 너트(32)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20)은 셋트 앙카(30)가 설치된 하측의 석재 앵글(25)에 고정부재(40)를 스프링 티볼트(50)로 연결하고, 상기 고정부재(40)에는 조정판(60)을 연결하여 상기 조정판(60)의 끼움핀(61)이 석재(12)의 고정홈(13)에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 티볼트(50)는 "ㄴ"형으로 형성된 고정부재(40)의 고정부재 장공(41)에서 고정너트(55)로 연결하며, 상기 고정부재(40)의 하측에 있는 하측 연결장공(42)과 조정판(60)의 조정 장공(62)에서는 연결볼트(63)와 연결너트(64)가 끼움핀(61)의 위치에 맞게 석재 마감거리를 조절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40)는 고정부재 장공(41)의 한쪽 면에 요철부(25a)와 만나는 부분에 요철 결합부(45)를 형성하여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말발굽 단열재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말발굽 단열재에 대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말발굽 단열재에 대한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20)은 브라켓 본체(2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4067294142-pat00001
"와 같은 형상을 하며,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양쪽으로 상, 하부 고정다리(22, 22a)가 말발굽 형태로 돌출되도록 상, 하부 절단부(23, 23a)를 안쪽에서 좁게 1차로 경사지게 벌어지는 선단에서 각도가 작게 2차로 경사지게 벌어지는 선단에서 급한 경사를 이루며 크게 3차로 벌어져 "
Figure 112014067294142-pat00002
"형으로 절단하여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본체(21)는 중앙과 하측에서 한쪽으로 공간(26)을 갖도록 돌출되어 석재 앵글(25)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 본체(21)는 절반 하측으로 석재 앵글(25)을 형성하고, 절반의 상측에는 상부 장공(24)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석재 앵글(25)에는 하부 장공(27)이 형성되며 전체면에 요철부(25a)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 본체(21)에서 상, 하부 고정다리(22, 22a)와 연결되는 절곡 부분에 덧살(28)을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20)은 알루미늄을 압출하여 성형하는 것이며, 후 가공에 의해 상, 하부 절단부(23, 23a)와 상, 하부 장공(24, 27)을 성형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프링 티볼트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하부 장공(27)에서 고정부재(40)와 결합하는 스프링 티볼트(50)는 장공 형태로 형성된 볼트머리(51)에서 형성된 돌출부(52)의 중앙으로부터 볼트 축(53)이 돌출되며, 상기 볼트 축(53)에는 판스프링(54)이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건물 벽체(10)의 전방에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발포에 의해 성형되는 단열재(11)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단열재(11)의 전방에는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20)을 설치하기 위하여 단열재(11)의 전방에 목줄을 놓는다.
12mm의 앙카를 고정하기 위하여 19mm의 드릴날로 건물 벽체(10)에 앙카 구멍을 형성하고, 셋트 앙카(30)를 결합하여 펀치로 고정하는 것이다.
셋트 앙카(30)가 상부 장공(24)을 관통하도록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20)의 상, 하부 고정다리(22, 22a)를 단열재(11)의 상부에 대고 망치와 같은 도구로 충격을 가하여 상, 하부 고정다리(22, 22a)가 단열재(11)를 관통하여 건물 벽체(10)의 외측에 닿도록 한다.
그러면 "
Figure 112014067294142-pat00003
"형으로 상, 하부 절단부(23, 23a)를 통하여 형성된 상, 하부 고정다리(22, 22a)가 단열재(11)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상, 하부 고정다리(22, 22a)만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단열재(11)에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 작업이 편리하며, 단열재(11)에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서 단열재(11)에 형성한 공간을 채우는 작업이 필요 없고 단열효과가 저하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20)은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한 것이므로 녹의 발생이 없으며, 절곡 형태보다 강도가 세배는 더 높고, 절곡 부분에 덧살(28)이 형성되어 더욱 강도를 높이며 별도의 부속으로 형성되지 않고 단일형태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더욱 견고한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부 장공(24)에 셋트 앙카(30)가 관통되도록 결합한 후에는 외측에서 와셔(31)와 너트(32)를 결합하여 셋트 앙카(30)를 통하여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20)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20)은 "
Figure 112014067294142-pat00004
"형으로 형성되어 상측에서는 셋트 앙카(30)를 결합하고, 하측에 형성한 석재 앵글(25)의 전방에는 "ㄴ"형 고정부재(40)의 고정부재 장공(41)에 스프링 티볼트(50)를 결합하여 볼트 머리(51)가 하부 장공(27)을 관통하도록 한 후 90도 회전시켜 공간(26)에 볼트 머리(51)가 분리되지 않도록 위치한다.
상기 스프링 티볼트(50)는 조정판(60)의 위치를 고려하여 고정너트(55)로 높이를 조절한 후 고정부재(40)를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석재 앵글(25)의 요철부(25a)와 고정부재(40)의 요철 결합부(45)가 요철형태로 결합하여 한번 결합한 후에는 결합력이 크게 작용하여 결합상태가 흔들리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된 결합상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40)의 하측 연결 장공(42) 상측에는 조정판(60)을 올려놓고 연결볼트(63)가 하측 연결장공(42)과 조정 장공(62)을 관통하도록 한 후 끼움핀(61)이 석재(12)를 고정시킬 위치를 설정하여 연결너트(64)로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면 조정판(60)의 끼움핀(61)이 석재(12)의 고정홈(13)과 결합하면서 석재(12)를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석재 앵글(25)에는 요철부(25a)를 형성하고 상기 석재 앵글(25)과 만나는 고정부재(40)에는 요철 결합부(45)가 형성되어 스프링 티볼트(50)가 고정된 이후에 강력한 결합력으로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장기간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20)은 셋트 앙카(30)와 하측의 석재 앵글(25)에서 고정부재(40)를 분리하여 시공함으로써 석재(12)의 시공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셋트 앙카(30)와 석재 앵글(25)이 브라켓 본체(21)에서 한 몸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석재(12)의 마감 거리가 어떤 상황에서도 가능하므로 별도의 트러스를 필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20)는 가볍고 고강도 제품이어서 건물에 하중을 주지 않아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트러스 대용으로 시공되므로 트러스 설치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여 큰 경제적 이득을 제공하고, 단열재의 시공을 빠르고 완벽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측과 하측에 있는 상, 하부 고정다리가 단열재를 절개하지 않고 손쉽게 관통하여 고정되며 브라켓 본체에서 셋트 앙카와 고정부재를 모두 연결할 수 있으므로 트러스 대용으로 시공하여 충분한 하중을 견디고 별도의 트러스를 설치한 필요가 없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건물 벽체 11 : 단열재
12 : 석재 20 :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
21 : 브라켓 본체 22 : 상부 고정다리
22a : 하부 고정다리 23 : 상부 절단부
23a : 하부 절단부 24 : 상부 장공
25 : 석재 앵글 25a : 요철부
26 : 공간 27 : 하부 장공
28 : 덧살 30 : 셋트 앙카
40 : 고정부재 41 : 고정부재 장공
42 : 하측 연결장공 45 : 요철 결합부
50 : 스프링 티볼트 51 : 볼트 머리
52 : 돌출부 53 : 돌출축
54 : 판스프링 55 : 고정너트
60 : 조정판 61 : 끼움핀
62 : 조절 장공

Claims (6)

  1. 단열재(11)가 설치되는 건물 벽체(10)에 셋트 앙카(30)를 고정하며 석재(12)를 전방에 시공하되;
    상기 셋트 앙카(30)가 결합하는 상부 장공(24)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브라켓 몸체(21)의 상측과 하측에 상, 하부 절단부(23, 23a)를 통하여 양쪽으로 형성되는 상, 하부 고정다리(22, 22a)를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 몸체(21)의 하측에 하부 장공(27)을 설치하는 말발굽 단열재 브라켓(20)과; 하부 장공(27)에 스프링 티볼트(50)로 연결되어 "ㄴ"형으로 형성되며 하측의 하측 연결 장공(42)에서 연결볼트(63)와 연결너트(64)로 결합하는 고정부재(40)로 이루어지는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몸체(21)의 절반 하측으로 한 몸으로 형성되며 공간(26)을 갖도록 돌출되고 상기 하부 장공(27)이 형성된 후 전체면에 요철부(25a)가 형성되는 석재 앵글(25)과;
    상기 고정부재(40)와 결합하는 조정 장공(62)을 형성하며 선단에 끼움핀(61)이 형성되는 조정판(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 앵글(24)은 브라켓 본체(21)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공간(26)을 갖도록 돌출되며, 전체면에 요철부(25a)를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25a)와 만나는 고정부재(40)에는 요철 결합부(45)를 형성하여 요철형태로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
  6. 삭제
KR20140090418A 2014-07-17 2014-07-17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 KR101486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0418A KR101486784B1 (ko) 2014-07-17 2014-07-17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
CN201510197215.1A CN105275098A (zh) 2014-07-17 2015-04-23 马蹄式隔热材料桁架及其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0418A KR101486784B1 (ko) 2014-07-17 2014-07-17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784B1 true KR101486784B1 (ko) 2015-01-27

Family

ID=5259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0418A KR101486784B1 (ko) 2014-07-17 2014-07-17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6784B1 (ko)
CN (1) CN10527509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46B1 (ko) * 2016-06-09 2017-03-13 서동균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 고정장치
CN110259019A (zh) * 2019-07-23 2019-09-20 吕秋海 一种可拆卸快速安装的装置
KR102270802B1 (ko) * 2020-08-26 2021-06-28 조희건 외장판넬 조립용 체결구
KR102396935B1 (ko) * 2021-09-14 2022-05-12 (주)셈텍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KR102415459B1 (ko) * 2021-09-14 2022-07-01 (주)셈텍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KR102454872B1 (ko) * 2021-10-06 2022-10-17 계민교 스프링을 이용한 내진용 외장재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42B1 (ko) * 2007-03-16 2008-06-20 지영화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
KR101147446B1 (ko) *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487Y1 (ko) * 2003-11-05 2004-01-24 황유섭 건축물 석재판넬 시공을 위한 앵글지지부재
CN102094480B (zh) * 2011-03-15 2012-12-19 王云飞 石材陶瓷板挂扣组件及其安装工艺
CN103174275B (zh) * 2011-12-21 2015-08-05 王云飞 保温装饰板挂扣组件及其安装方法
KR101270436B1 (ko) * 2012-11-13 2013-06-04 박재민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
CN103628649A (zh) * 2013-12-12 2014-03-12 金京华 施工用混凝土墙体含隔热材料的贴面锚定组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42B1 (ko) * 2007-03-16 2008-06-20 지영화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
KR101147446B1 (ko) *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46B1 (ko) * 2016-06-09 2017-03-13 서동균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 고정장치
CN110259019A (zh) * 2019-07-23 2019-09-20 吕秋海 一种可拆卸快速安装的装置
KR102270802B1 (ko) * 2020-08-26 2021-06-28 조희건 외장판넬 조립용 체결구
KR102396935B1 (ko) * 2021-09-14 2022-05-12 (주)셈텍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KR102415459B1 (ko) * 2021-09-14 2022-07-01 (주)셈텍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KR102454872B1 (ko) * 2021-10-06 2022-10-17 계민교 스프링을 이용한 내진용 외장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75098A (zh)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784B1 (ko)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
KR101270436B1 (ko)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
KR101515939B1 (ko) 이중구조로 보강하는 투 앵글
US9340969B1 (en) Crush zone dowel tube
US9297168B2 (en) Panel for wall of a set building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AU2012280201B2 (en) Fastening system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1257364B1 (ko) 건축물용 패널 고정장치
KR101515938B1 (ko) 이중구조로 보강하는 투 까치발
GB2522208A (en) A modular wall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modular wall
KR20170111347A (ko) 마감재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용 마감재 고정구조
KR101502055B1 (ko) 목재 장식부재가 결합된 옹벽패널 및 상기 옹벽패널을 이용한 절토부 옹벽구조
KR100753544B1 (ko) 건축용 샌드위치 블럭
KR101894424B1 (ko)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KR20150116505A (ko)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458158B1 (ko) 전통가옥의 시스템 단열 기와지붕
KR101302466B1 (ko) 건축용 벽체 가시설 거푸집
KR200485666Y1 (ko)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JP4293126B2 (ja) 盛土用の面状材付き発泡樹脂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軽量盛土構造
KR200482083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f자형 연결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KR101533077B1 (ko) 벽체용 샌드위치 패널의 조립구조
KR20160023284A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KR20130051403A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715675B1 (ko) 건축용 블록을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KR200482005Y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십자형 보강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