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675B1 - 건축용 블록을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 Google Patents

건축용 블록을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675B1
KR101715675B1 KR1020150116735A KR20150116735A KR101715675B1 KR 101715675 B1 KR101715675 B1 KR 101715675B1 KR 1020150116735 A KR1020150116735 A KR 1020150116735A KR 20150116735 A KR20150116735 A KR 20150116735A KR 101715675 B1 KR101715675 B1 KR 101715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rtical
building
building block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130A (ko
Inventor
김명선
김상윤
Original Assignee
김명선
김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선, 김상윤 filed Critical 김명선
Priority to KR1020150116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6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가 비대칭 구조를 이루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블록 몸체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블록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 및 상기 블록 몸체의 하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블록을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Reinforcement block assembly having block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행 조적조 구조의 한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습식 모르타르를 접착제로 사용하지 않기에 양생기간이나 우기 또는 혹한기 등의 조건에 무관하게 시공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켜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조립식 구조여서 폐자재의 발생을 억제하고, 신축, 해체 또는 이전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건축용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건축용 블록은 대략 사각의 형태로 속이 비어있는 시멘트블록과 단열성을 대입한 일정의 공기층을 갖는 경량블록(ALC)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건축용 블록은 습식 시멘트 모르타르로 서로 부착하고 적층하여 건물의 블록 조적조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조적조(組積造)란 건축 양식 중 하나를 일컫는다. 석재,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 구조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었던 구조이다.
이와 같은 조적조 방식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기는 하지만 소재의 특성상 횡력, 진동, 균열 및 습기에 취약하며, 적층시 습식의 모르타르 만으로 접착하기에 온도변화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근본적으로 구조 및 기후변화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종전 단순 구조 보강의 조적 방식의 경우, 수직 방향으로만 철근을 사용하는 등 구조적인 한계가 있어 강도보강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이지 못하며, 무엇보다도 조립식 구조가 아니어서 시공이 어려워 공기가 지연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전의 조적조 구조에 사용되던 건축용 블록은 습식이 주된 공정이기 때문에 1일 적층 시 높이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양생시간이 지나야만 후속공사를 진행할 수 있고, 특히 우기, 혹한기에는 작업이 불가능하여 전반적으로 공기가 지연될 수밖에 없으며, 무엇보다도 그 구조상 해체 및 이전작업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술보완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9832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현행 조적조 구조의 한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양생기간이나 우기 또는 혹한기 등의 조건에 무관하게 시공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켜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조립식 구조여서 신축, 해체 또는 이전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건축용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부와 하부가 비대칭 구조를 이루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블록 몸체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블록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 및 상기 블록 몸체의 하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 몸체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 몸체를 구비하는 건축용 블록; 상호간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건축용 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단열재; 상기 중간 단열재가 개재된 건축용 블록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 단열재와 상기 건축용 블록들을 고정시키는 상부 브래킷; 및 상기 중간 단열재가 개재된 상기 건축용 블록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 단열재와 상기 건축용 블록들을 고정시키는 하부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블록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블록은 상부와 하부가 비대칭 구조를 이루는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블록 몸체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블록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블록 몸체의 하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래킷은, 상부 브래킷 바디;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간 단열재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하는 상부 지지리브; 및 상기 상부 지지리브의 양측에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건축용 블록의 상부를 덮는 한 쌍의 상부 경사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브래킷은, 하부 브래킷 바디; 상기 하부 브래킷 바디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간 단열재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리브; 및 상기 하부 지지리브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축용 블록의 하부를 덮는 한 쌍의 하부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브래킷과 상기 하부 브래킷은 다수의 칼 블록에 의해 해당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단열재에 종 방향으로 삽입되는 수직근; 상기 상부 브래킷의 상부에 배치되는 수평근; 및 상기 수평근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근을 고정시키는 풀림방지클립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블록을 수평으로 연장 시공시 상기 건축용 블록들 사이에 삽입되는 수직 백업재; 및 상기 건축용 블록의 상부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수평 백업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행 조적조 구조의 한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양생기간이나 우기 또는 혹한기 등의 조건에 무관하게 시공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켜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조립식 구조여서 신축, 해체 또는 이전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건축용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보강블록 조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건축 구조물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건축용 블록의 다양한 형태들,
도 3은 표준형 블록의 한 쌍의 사시도,
도 4는 표준형 블록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
도 6은 표준형 블록이 결합된 보강블록 조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건축 구조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블록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일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보강블록 조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건축 구조물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건축용 블록의 다양한 형태들, 도 3은 표준형 블록의 한 쌍의 사시도, 도 4는 표준형 블록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 도 6은 표준형 블록이 결합된 보강블록 조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건축 구조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블록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일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110)은 다양한 형태의 블록들, 예컨대 표준형, 하프형, 우코너형, 좌코너형, T자형, +자형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러한 건축용 블록(110)과 그에 부속되는 부속물들을 결합하여 보강블록 조립체(100)를 형성함으로써 도 1과 같은 건축 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의 형태는 하나의 예시일 뿐, 다른 형태의 건축 구조물 시공도 물론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현행 조적조 구조가 아닌 조립식 구조이기 때문에 종전처럼 양생기간이나 우기 또는 혹한기 등의 조건에 무관하게 시공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켜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신축, 해체 또는 이전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예컨대, 도 1과 같은 형태의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건축용 블록(110), 예컨대 표준형, 하프형, 우코너형, 좌코너형, T자형, +자형의 블록들과 그에 부속되는 부속물들이 필요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표준형의 건축용 블록(110)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표준형의 건축용 블록(110)과 이에 부속되는 부속물들을 이용해서 도 6과 같은 형태의 보강블록 조립체(100)를 갖는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실제, 건축용 블록(110)의 표준형과 하프형, 우코너형, 좌코너형, T자형, +자형의 블록들의 경우, 사이즈와 형태가 상이할 뿐 특징적인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110)은 하나의 세트로 연결되어 보강블록 조립체(100)를 형성한다. 즉 2개의 건축용 블록(110)이 한 쌍의 세트로 연결되어 하나의 보강블록 조립체(100)를 구성하게 된다.
각각의 건축용 블록(110)은 상부와 하부가 비대칭 구조를 이루는 블록 몸체(111)를 포함한다. 파손 방지를 위하여 건축용 블록(110)의 노출면 모서리는 모깎기 가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건축용 블록(110)은 섬유보강콘크리트 중 장시간 강도 변화가 없고 구조재로서 신뢰성이 높은 소재로서 인장강도 및 휨강도, 휨인성이 우수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아크릴 섬유를 소성하여 만든 Pan계 섬유와, 석탄의 Pitch를 원료로 하여 만든 Pitch계 섬유 등을 특수 믹서(Mixer)를 이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Mortar) 중에 균등, 분산, 혼입한 재료의 콘크리트(Carbon Fiber Reinforced Concrete)로 하여 형태별 몰드(Mould)에 의해 압출성형한 시멘트 패널Efxtrued Cement Panel)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재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목재(Wood Plastic Compsites), 천연목재 (Natural Timber), 천연점토 (Natural Clay), 슬래그재 (Materiol Slag) 등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건축용 블록(110)은 상기와 같은 판넬로 제작되어 규격별로 절단하고 용도별로 표면을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건축용 블록(110)의 블록 몸체(111) 상부 일측은 경사부(112)를 형성하고, 타측은 적층에 용이하도록 오목부(113)를 형성한다. 오목부(113)는 블록 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몸체(111)의 하부 일측에는 돌출부(11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114) 역시, 오목부(113)와 마찬가지로 블록 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오목부(113)에 대응하게 배치되어 적층에 유리한 기능을 제공한다.
블록 몸체(111)에는 건축용 블록(110)이 적층되는 방향(도 6의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다수의 제1 관통홀(115)이 형성된다. 건축용 블록(110)의 경량화를 위해 제1 관통홀(11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 관통홀(115)에는 설비배관이 배치되거나 단열재가 충전될 수 있다. 단열재는 건축용 블록(110)을 성형하여 표면 양생 등을 거친 후 충전될 수 있다. 건축용 블록(110)이 다른 부속물들을 결합하여 보강블록 조립체(100)로 형성될 때는, 제1 관통홀(115)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제1 관통홀(115)들 사이에는 비규격의 건축용 블록이 필요할 경우, 절단을 위해 형성되며, 후술하는 수직백업재(17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관통홀(116)이 형성된다. 제2 관통홀(116)은 제1 관통홀(115)에 비하여 면적이 작으며 단면 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제1 관통홀(115)의 주변에는 도 8처럼 건축용 블록(110)들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브래킷(130) 또는 하부 브래킷(140)을 고정시키는 칼 블록(150)이 체결되는 칼 블록 체결홀(117)이 형성된다. 나사의 일종인 칼 블록(150)이 상부 브래킷(130) 또는 하부 브래킷(140)을 지나 블록 몸체(111)에 체결될 수 있게 칼 블록 체결홀(117)은 원형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 설명한 건축용 블록(110)을 한쌍으로 배치하고 이에 부속되는 부속물들, 예컨대 중간 단열재(120), 상부 및 하부 브래킷(130,140), 칼 블록(150), 수직근(161), 수평근(163), 풀림방지클립(165), 수직 백업재(171), 수평 백업재(173) 등을 이용해서 보강블록 조립체(100)를 형성하여, 도 6과 같은 형태의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중간 단열재(120)는 한 쌍의 건축용 블록(110) 사이에 개재되어 단열 기능을 제공한다. 건축용 블록(110)의 제1 관통홀(115)에는 1차 단열재가 충전되므로, 중간 단열재(120)가 2차적인 단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쌍의 건축용 블록(110) 사이에 개재된 중간 단열재(120)가 빠지지 않고 한 쌍의 건축용 블록(110)과 일체화되어 한 몸체를 이뤄 일차적인 보강블록 조립체(100)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브래킷(130,140)이 마련된다.
상부 브래킷(130)은 중간 단열재(120)가 개재된 건축용 블록(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중간 단열재(120)와 상기 건축용 블록(110)들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하부 브래킷(140)은 중간 단열재(120)가 개재된 건축용 블록(110)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중간 단열재(120)와 건축용 블록(110)들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것처럼 상부 브래킷(130)은 상부 브래킷 바디(131)와, 상부 브래킷 바디(131)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중간 단열재(120)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하는 상부 지지리브(132)와, 상부 지지리브(132)의 양측에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건축용 블록(110)의 상부를 덮는 한 쌍의 상부 경사 날개부(133)를 포함한다. 상부 경사 날개부(133)에는 칼 블록(150)이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상부 칼 블록용 통공(134)이 형성된다. 상부 브래킷 바디(131)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제1 수직통공(135)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직근 및 수직백업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부 브래킷 바디(13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제1 수직통공(135)이 반쪽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1 홈부(136)가 배치되어 수평으로 연장 배치되는 상부 브래킷 바디(131)와 함께 제1 수직통공(135)과 동일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 브래킷(140)은 하부 브래킷 바디(141)와, 하부 브래킷 바디(141)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중간 단열재(120)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리브(142)와, 하부 지지리브(142)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축용 블록(110)의 하부를 덮는 한 쌍의 하부 날개부(143)를 포함한다.
상부 브래킷(130)의 상부 경사 날개부(133)가 경사지게 형성된 반면, 하부 브래킷(140)의 하부 날개부(143)는 수평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하부 날개부(143)에도 칼 블록(150)이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하부 칼 블록용 통공(144)이 형성된다.
하부 브래킷 바디(141)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제2 수직통공(145)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직근 및 수직백업재가 삽입될 수 있다. 하부 브래킷 바디(141)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제2 수직통공(145)이 반쪽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2 홈부(146)가 배치되어 수평으로 연장 배치되는 하부 브래킷 바디(141)와 함께 제2 수직통공(145)과 동일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칼 블록(150)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상부 브래킷(130)과 하부 브래킷(140)을 한 쌍의 건축용 블록(110)에 체결시켜 한 쌍의 건축용 블록(110)과 중간 단열재(120)가 일체화되어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중간 단열재(120)는 패널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며,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제3 수직통공(121)과 중간 단열재(1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3 홈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직근(161) 및 수직백업재(171)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 수직통공 그리고 제1 내지 제3 홈부에 삽입되어 수직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한쌍의 건축용 블록(110)과 중간 단열재(120), 상하부 브래킷(130, 14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단위의 보강블록 조립체(100)는 표면 마감 공정도 미리 수행될 수 있다. 즉 보강블록 조립체(100)의 일면 혹은 양면에 도장을 수행하거나, 석재, 타일, 금속판재 등을 붙여 보강블록 조립체(100)가 표면 마감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표면 마감공정이 없이 보강블록 조립체(100)의 표면이 그대로 노출되도록 시공하거나 노출면 상에 문양 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표면 마감이 이루어진 보강블록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게 되면, 별도의 복잡한 표면 마감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기의 단축이나 인건비의 절감에 더욱 효율적일 것이다.
한편, 보강블록 조립체(100)는 하나의 몸체로 된 한 쌍의 건축용 블록(110)과 중간 단열재(120)의 보강을 위해, 수직근(161), 수평근(163), 풀림방지클립(165), 수직 백업재(171), 수평 백업재(173)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수직 백업재(171)는 건축용 블록(110)을 수평으로 연장 시공할 때, 건축용 블록들(110) 사이에 삽입하여 보강함으로써, 건축용 블록(110)의 수평 적층 시 방풍, 방습, 방음 등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평 백업재(173)는 건축용 블록(110)의 상부에 중첩되게 배치되며, 건축용 블록(110)의 수직 적층 시 방풍, 방습, 방음 등의 역할을 한다.
수직근(161)은 상부 브래킷(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수평근(163)를 관통하여 중간 단열재(120)에 삽입됨으로써, 수직 적층되는 보강블록 조립체(100)를 수직 방향으로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근(161)은 축부(161a)와 헤드부(161b) 및 축부(161a)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부(161c)를 구비한다. 헤드부(161b)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수직근(161)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산부(161c)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근(161)이 수평근(163)을 관통하여 중간 단열재(120)에 삽입될 때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산부(161c)가 일부 노출되어 수직방향으로 하부에 적층 배치되는 보강블록 조립체(100)에 삽입된 수직근(161)의 축부(161b)와 나사결합할 수 있게 되어 수직 보강력을 증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풀림방지클립(165)은 수평근(163)에 결합되어 수직근(161)을 고정시켜 수직근(161)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풀림방지클립(165)에는 수직근(161)의 헤드부(161b)에 걸쳐지게 배치되는 통공(165a)과 헤드부(161b)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헤드부(161b)를 자리배치시키는 헤드부 자리배치공(165b)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직근(161)이 수평근(163)을 관통하여 중간 단열재(120)에 삽입되고 수직근(161) 하부의 나사산부(161c)가 하부에 적층 배치되어 있는 보강블록 조립체(100)에 결합되어 있는 수직근(161)의 헤드부(161b)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풀림방지클립(165)을 헤드부(161b)에 삽입시키면, 수직근(161)이 풀릴 가능성을 현저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헤드부(161b)는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자리배치공(165b) 또한 육각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여, 헤드부(161b)의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풀림방지클립(16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근(161)에 고정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수직백업재(17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블록(110)의 측면에 삽입되어 이웃하여 배치되는 건축용 블록(110)과 결합되는 사이드 수직백업재(171a)와 중간 단열재(120)에 삽입되는 중앙 수직백업재(171b)로 구성된다. 사이드 수직백업재(171a)는 주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건축용 블록(110)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건축용 블록(110)을 인접하여 배치하면, 측면이 제2 관통공(116) 형상으로 맞닿게 되고 이렇게 맞닿아 형성되는 제2 관통공(116) 안에 사이드 수직백업재(171a)가 삽입될 수 있다. 수직 백업재(171a)가 제2 관통공(116) 안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통줄눈 혹은 막힌 줄눈의 시공시에도 수직 백업재(171a)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건축용 블록(110)의 제2 관통공(116)에 끼워 넣음으로써, 수직 보강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이드 수직백업재(171a)의 삽입 개소는 더 늘어날 수 있을 것이다.
중앙 수직백업재(171b)는 중간 단열재(120)에 형성되는 제2 수직통공(121) 및 제2 홈부(122)에 삽입된다. 제2수직통공(121)에는 1차적으로 상술한 수직근(161)이 삽입되며, 제2 수직통공(121)에 삽입된 수직근(161)의 주위로 중앙 수직백업재(171b)가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수직통공(121)과 양단의 제2 홈부(122)가 배치되므로, 중앙 수직백업재(171b)는 3개가 삽입될 수 있으나, 그 개수는 필요에 다라 증감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중앙 수직백업재(171b)를 적당한 길이로 형성하여 적층 배치되는 보강블록 조립체(100)의 중간 단열재(120)에 형성되는 제2 수직통공(121) 및 제2 홈부에 삽입함으로써, 수직 보강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건축용 블록(110)과 이를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용 블록(110)들 사이에 중간 단열재(120)를 개재시킨 후 상부 브래킷(130) 및 하부 브래킷(140)을 상하부에 고정하여 보강블록 조립체(100)의 일차적인 형태를 형성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B) 위에 베이스 플레이트(180)를 먼저 설치한 후, 건축용 블록(110)들과 중간 단열재(120), 상부 브래킷(130) 및 하부 브래킷(140)이 고정된 단위 보강블록 조립체(100)를 배치한 후 수평근(163), 수직근(161), 수직 백업재(171), 풀림방지클립(165), 수평 백업재(173)를 순차적으로 더 결합하여 이를 원하는 구조로 적층함으로써, 간단하게 건축 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해진다.
이때 건축용 블록(110)은 구조 상 필요에 따라 표준형, 하프형, 우코너형, 좌코너형, T자형, +자형 등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행 조적조 구조의 한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양생기간이나 우기 또는 혹한기 등의 조건에 무관하게 시공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켜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조립식 구조여서 신축, 해체 또는 이전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조립식 보강블록 110 : 단위블록
111 : 블록 몸체 112 : 경사부
113 : 오목부 114 : 돌출부
115 : 제1 관통홀 116 : 제2 관통홀
117 : 칼 블록 체결홀 120 : 중간 단열재
130 : 상부 브래킷 131 : 상부 브래킷 바디
132 : 상부 지지리브 133 : 상부 경사 날개부
134 : 상부 칼 블록용 통공 140 : 하부 브래킷
141 : 하부 브래킷 바디 142 : 하부 지지리브
143 : 하부 날개부 144 : 하부 칼 블록용 통공
150 : 칼 블록 161 : 수직근
163 : 수평근 165 : 풀림방지클립
171 : 수직 백업재
173 : 수평 백업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 몸체를 구비하는 건축용 블록;
    상호간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건축용 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단열재;
    상기 중간 단열재가 개재된 건축용 블록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 단열재와 상기 건축용 블록들을 고정시키는 상부 브래킷;
    상기 중간 단열재가 개재된 상기 건축용 블록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 단열재와 상기 건축용 블록들을 고정시키는 하부 브래킷;
    상기 중간 단열재에 종 방향으로 삽입되는 수직근;
    상기 상부 브래킷의 상부에 배치되는 수평근;
    상기 수평근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근을 고정시키는 풀림방지클립;
    상기 건축용 블록을 수평으로 연장 시공시 상기 건축용 블록들 사이에 삽입되는 수직 백업재; 및
    상기 건축용 블록의 상부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수평 백업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백업재는 상기 건축용 블록의 측면에 삽입되어 이웃하여 배치되는 건축용 블록과 결합되는 사이드 수직백업재와 상기 중간 단열재에 종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근의 주위에 삽입되는 중앙 수직백업재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근은 축부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축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를 구비하여, 하부에 배치될 수직근의 헤드부와 상부에 배치될 수직근이 상호 견고히 나사 결합되어 수직 보강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블록은
    상부와 하부가 비대칭 구조를 이루는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블록 몸체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블록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블록 몸체의 하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래킷은,
    상부 브래킷 바디;
    상기 상부 브래킷 바디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간 단열재의 상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하는 상부 지지리브; 및
    상기 상부 지지리브의 양측에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건축용 블록의 상부를 덮는 한 쌍의 상부 경사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브래킷은,
    하부 브래킷 바디;
    상기 하부 브래킷 바디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간 단열재의 하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하는 하부 지지리브; 및
    상기 하부 지지리브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건축용 블록의 하부를 덮는 한 쌍의 하부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래킷과 상기 하부 브래킷은 다수의 칼 블록에 의해 해당 위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7. 삭제
  8. 삭제
KR1020150116735A 2015-08-19 2015-08-19 건축용 블록을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KR101715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735A KR101715675B1 (ko) 2015-08-19 2015-08-19 건축용 블록을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735A KR101715675B1 (ko) 2015-08-19 2015-08-19 건축용 블록을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130A KR20170022130A (ko) 2017-03-02
KR101715675B1 true KR101715675B1 (ko) 2017-03-13

Family

ID=5841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735A KR101715675B1 (ko) 2015-08-19 2015-08-19 건축용 블록을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1351U1 (ru) * 2023-05-05 2023-11-01 Анн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Будникова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ая панель, напечатанная на 3d-принтере из бетона,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288B1 (ko) * 2019-07-05 2021-12-22 최원옥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슬라브 시공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225B1 (ko) 2006-08-29 2007-09-12 반희환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0793B2 (ja) * 2003-04-18 2005-10-26 淳一 藤巻 組上げ構築壁
KR101250257B1 (ko) 2011-02-28 2013-04-04 국방과학연구소 관성 측정기의 교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395269B1 (ko) * 2012-06-08 2014-05-15 (주)계림건축사사무소 단열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225B1 (ko) 2006-08-29 2007-09-12 반희환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1351U1 (ru) * 2023-05-05 2023-11-01 Анн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Будникова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ая панель, напечатанная на 3d-принтере из бетона,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130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1699B2 (en) Precast concrete structures, precast tilt-up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3992844A (en) Building panel
CN108316546B (zh) 装配式一体化保温墙板
KR101715675B1 (ko) 건축용 블록을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CN113846795A (zh) 预应力装配式砌块墙板和墙体及制作工艺
CN212295037U (zh) 一种可快速装配的结构体系
RU134968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варианты)
US10415236B2 (en) Outer insulation integrated insulating block system easy to dry-finish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by
CN115977278A (zh) 装配式轻钢组合桁架承托钢丝网架砂浆-珍珠岩-聚苯复合剪力墙和作法
JP5281919B2 (ja) 外断熱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850948B1 (ko) 친환경 거푸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건축물의 시공 방법
EP2449185B1 (en) Supplementary insul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insulating a façade
US8590242B1 (en) Insulated concrete wall
JP3061925B2 (ja) 硬質壁材の開口部取付構造
CN218933507U (zh) 装配式带窗洞轻钢钢丝网架砂浆-珍珠岩-聚苯剪力墙
CN220620739U (zh) 一种用于瓦屋面顺水条和挂瓦条的固定机构
EP3128101A1 (en) Modular insulated and reinforced cladding layer for walls in general and method for making the cladding layer
CN217759382U (zh) 保温与结构一体化建筑上应用的保温装饰线条安装结构和墙体构造
CN211499446U (zh) 一种横向装配式墙板
JP3004453B2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JP3135218U (ja) 棟構造
CN117513605A (zh) 免拆保温模板、免拆保温模板系统及系统施工方法
KR20160108776A (ko)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3065425B2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CN111411690A (zh) 一种可快速装配的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