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935B1 -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 Google Patents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935B1
KR102396935B1 KR1020210122516A KR20210122516A KR102396935B1 KR 102396935 B1 KR102396935 B1 KR 102396935B1 KR 1020210122516 A KR1020210122516 A KR 1020210122516A KR 20210122516 A KR20210122516 A KR 20210122516A KR 102396935 B1 KR102396935 B1 KR 102396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upled
wall
panel
coupl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춘숙
Original Assignee
(주)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셈텍 filed Critical (주)셈텍
Priority to KR1020210122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 조립체에 의해 건물 외벽에 패널(석재패널, 샌드위치패널 등) 설치시, 아이젠외벽보강부재가 외벽 내에서 외벽을 잡아주어, 외부 충격에 의해 외벽이 균열되는 것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BRACKET ASSEMBLY FOR EXTERIOR WALL PANEL INSTALLATION}
본 발명은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라켓 조립체에 의해 건물 외벽에 패널(석재패널, 샌드위치패널 등) 설치시, 아이젠외벽보강부재가 외벽 내에서 외벽을 잡아주어, 외부 충격에 의해 외벽이 균열되는 것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축 구조물 등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건축 구조물의 벽체, 천장 등에 추가적으로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는 건축 구조물의 단열 성능을 증대시키게 되어 냉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건축 구조물의 수명을 증가시키게 되는 효과도 가져오게 된다.
다만, 종래 단열재 시공 과정은 일반적으로 단열 성능을 가지는 건축용 자재를 벽체에 접착시키거나, 볼트, 앵커 등을 통해 벽체에 붙박이 형태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단열재의 시공 이후 건축 구조물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켜야 하는 경우, 그 복원 과정에 많은 노력이 소요되며, 또한 다량의 건축 폐기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은 단열재가 건축 구조물의 벽체에 완전히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내부에 공기층이 없어 단열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69772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브라켓 조립체에 의해 건물 외벽에 패널(석재패널, 샌드위치패널 등) 설치시, 아이젠외벽보강부재가 외벽 내에서 외벽을 잡아주어, 외부 충격에 의해 외벽이 균열되는 것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건물의 외벽에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조립체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외벽에 삽입결합되는 앙카볼트의 타측에 상부몸체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와 연결된 하부몸체가 수회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외벽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몸체에 상하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제1브라켓; 일측이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조절바; 제1결합면에 상기 조절바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고, 제2결합면이 상기 제1결합면의 단부에서 꺾여 연장된 제2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제2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패널에 결합된 패스닝브라켓에 결합되는 제3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에 수평방향의 결합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앙카볼트의 일단부는 상기 결합장공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바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외벽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1결합면과 나란하며, 상기 조절바가 관통하는 제1패널면과; 상기 제1패널면의 단부에서 상기 제1결합면 방향으로 꺾여 연장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1결합면을 지지하는 제2패널면을 포함하는 지지패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일측이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상부몸체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다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의 상부몸체 측면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보강돌기가 상기 외벽에 매립되어 상기 외벽의 균열을 보강하는 아이젠외벽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 조립체에 의해 건물 외벽에 패널(석재패널, 샌드위치패널 등) 설치시, 아이젠외벽보강부재가 외벽 내에서 외벽을 잡아주어, 외부 충격에 의해 외벽이 균열되는 것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가 패널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X-X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2개 사이에 아이젠외벽보강부재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가 패널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X-X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2개 사이에 아이젠외벽보강부재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건물의 외벽에 패널(P)을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조립체(100)에 있어서, 일측이 외벽에 삽입결합되는 앙카볼트(102)의 타측에 상부몸체(104)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부몸체(104)와 연결된 하부몸체(106)가 수회 절곡되어 그 단부가 외벽을 지지하며, 하부몸체(106)에 상하방향의 장공(H)이 형성된 제1브라켓(108); 일측이 장공(H)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조절바(110); 제1결합면(112)에 조절바(110)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고, 제2결합면(114)이 제1결합면(112)의 단부에서 꺾여 연장된 제2브라켓(116); 및 일단이 제2브라켓(116)에 결합되고, 타단이 패널(P)에 결합된 패스닝브라켓(118)에 결합되는 제3브라켓(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패널(P)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형성되며, 복수개가 서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제1브라켓(108), 조절바(110), 제2브라켓(116) 그리고 제3브라켓(120)을 포함한다.
제1브라켓(108)은, 상부몸체(104)와 하부몸체(106)를 갖는다.
상부몸체(104)는 앙카볼트(102)의 타측에 끼워져 결합되는데, 앙카볼트(102)의 일측은 외벽에 삽입결합된다.
상부몸체(104)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결합장공(122)을 갖는다.
앙카볼트(102)의 일단부는 결합장공(122)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물론, 결합장공(122)을 관통한 앙카볼트(102)의 일단부에는, 너트(N)와 와셔(W) 등이 체결된다.
하부몸체(106)는 상부몸체(104)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하부몸체(106)는 수회 절곡되어 그 단부가 외벽을 지지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하부몸체(106)는 상부몸체(104)의 하단부에서 패널(P)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연장된 제1하부연장몸체(106a), 제1하부연장몸체(106a)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다시 절곡연장된 제2하부연장몸체(106b), 그리고 제2하부연장몸체(106b)의 단부에서 패널(P)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다시 절곡연장된 제3하부연장몸체(106c)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하부몸체(106)에는 상하방향의 장공(H)이 형성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장공(H)은 상술한 제2하부연장몸체(106b)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어서, 조절바(110)는 일측이 장공(H)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이러한 조절바(110)는 지지부재(124)를 더 포함하는데, 지지부재(124)는 조절바(1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외벽을 지지한다.
지지부재(124)는 일예로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재(124)는 조절바(110)의 일측 단부에 용접 등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조절바(110)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124)는 조절바(110)의 일측 단부가 외벽에 맞닿는 면적을 증가시켜, 조절바(110)의 타측에 가해지는 하중을 외벽으로 전달하면서 분산시킨다.
물론, 장공(H)을 사이에 두고 조절바(110)의 양측에 볼트들(B)이 결합될 수 있으며, 조절바(110)는 장공(H)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 후, 양쪽 볼트들(B)에 의해 위치고정됨으로써, 조절바(110)의 상하 위치가 변경 및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벽에 결합되는 패널(P)의 상하 위치 역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공(H)을 관통하여 패널(P) 방향으로 돌출되는 조절바(110)의 길이가 조절된 후, 양쪽 볼트들(B)에 의해 위치고정됨으로써, 외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조절바(110)의 길이가 변경 및 조절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벽에 결합되는 패널(P)의 돌출 위치 역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제2브라켓(116)은 제1결합면(112)에 조절바(110)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고, 제2결합면(114)이 제1결합면(112)의 단부에서 꺾여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제1브라켓(116)은 제1결합면(112)과 제2결합면(114)이 'L'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조절바(110)의 타측은 제1결합면(112)에 삽입된 후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제3브라켓(120)은 일단이 제2브라켓(116)에 결합되고, 타단이 패널(P)에 결합된 패스닝브라켓(118)에 결합된다.
제3브라켓(120)의 일단은 제2브라켓(116)의 제2결합면(114)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될 수 있다.
패널(P)에 결합된 패스닝브라켓(118)은, 하부가 절곡되고, 상부에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클립부(C)가 형성되며, 이 클립부(C)에 제3브라켓(120)의 타단에 형성된 탄성클립부(EC)가 체결된다.
물론, 이러한 탄성클립부(EC)는 제3브라켓(120)의 타단에서 양쪽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제2브라켓(116)의 제1결합면(112)과 나란하며, 조절바(110)가 관통하는 제1패널면(402)과; 제1패널면(402)의 단부에서 제1결합면(112) 방향으로 꺾여 연장되며, 그 단부가 제1결합면(112)과 결합되어 지지하는 제2패널면(404)을 포함하는 지지패널부재(406);를 더 포함한다.
지지패널부재(406)는 조절바(110)에 결합된 제2브라켓(116)의 강성을 보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일측이 제1브라켓(108)의 상부몸체(104)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다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상부몸체(104') 측면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보강돌기(128)가 외벽에 매립되어 외벽의 균열을 보강하는 아이젠외벽보강부재(1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이젠외벽보강부재(126)는 외벽에 매립되어 외벽의 균열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외벽에 매립된 아이젠외벽보강부재(126)는, 복수개의 보강돌기(128)가 외벽 내에서 외벽을 잡아주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외벽이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아이젠외벽보강부재(126)의 일측은 제1브라켓(108)의 상부몸체(104) 측면에 결합된다.
일예로, 제1브라켓(108)의 상부몸체(104) 양측면에는 패널(P)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연장날개부(104a, 104b)가 형성되고, 아이젠외벽보강부재(126)의 일측은 제1브라켓(108)의 상부몸체(104) 일측면에 형성된 연장날개부(104a)와 나란하게 형성되어서, 아이젠외벽보강부재(126)의 일측과 제1브라켓(108)의 상부몸체(104) 일측면에 형성된 연장날개부(104a)가 상호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아이젠외벽보강부재(126)의 타측은 다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상부몸체(104') 측면에 결합된다.
아이젠외벽보강부재(126)의 타측과 다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10')의 상부몸체(104') 측면이 결합되는 방식 및 구조는, 상술한 아이젠외벽보강부재(126)의 일측이 제1브라켓(108)의 상부몸체(104) 측면에 결합되는 방식 및 구조와 동일하다.
아이젠외벽보강부재(126)는 복수개의 보강돌기(128)를 갖는다.
이러한 보강돌기(128)는, 일예로 아이젠외벽보강부재(126)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복수개로 형성된다.
물론, 비록 도면상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보강돌기(128)는 그 외주면이 요철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강돌기(128)가 외벽 내에서 외벽을 잡아주는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 조립체에 의해 건물 외벽에 패널 설치시, 아이젠외벽보강부재가 외벽 내에서 외벽을 잡아주어, 외부 충격에 의해 외벽이 균열되는 것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 :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102 : 앙카볼트
104, 104' : 상부몸체
106 : 하부몸체
106a : 제1하부연장몸체
106b : 제2하부연장몸체
106c : 제3하부연장몸체
108, 108' : 제1브라켓
110 : 조절바
112 : 제1결합면
114 : 제2결합면
116 : 제2브라켓
118 : 패스닝브라켓
120 : 제3브라켓
122 : 결합장공
124 : 지지부재
126 : 아이젠외벽보강부재
128 : 보강돌기
402 : 제1패널면
404 : 제2패널면
406 : 지지패널부재

Claims (5)

  1. 건물의 외벽에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조립체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외벽에 삽입결합되는 앙카볼트의 타측에 상부몸체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와 연결된 하부몸체가 수회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외벽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몸체에 상하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제1브라켓;
    일측이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조절바;
    제1결합면에 상기 조절바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고, 제2결합면이 상기 제1결합면의 단부에서 꺾여 연장된 제2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제2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패널에 결합된 패스닝브라켓에 결합되는 제3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바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외벽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에 수평방향의 결합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앙카볼트의 일단부는 상기 결합장공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3. 삭제
  4. 건물의 외벽에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조립체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외벽에 삽입결합되는 앙카볼트의 타측에 상부몸체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와 연결된 하부몸체가 수회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외벽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몸체에 상하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제1브라켓;
    일측이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조절바;
    제1결합면에 상기 조절바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고, 제2결합면이 상기 제1결합면의 단부에서 꺾여 연장된 제2브라켓;
    일단이 상기 제2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패널에 결합된 패스닝브라켓에 결합되는 제3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1결합면과 나란하며, 상기 조절바가 관통하는 제1패널면과; 상기 제1패널면의 단부에서 상기 제1결합면 방향으로 꺾여 연장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1결합면을 지지하는 제2패널면을 포함하는 지지패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5. 건물의 외벽에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조립체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외벽에 삽입결합되는 앙카볼트의 타측에 상부몸체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와 연결된 하부몸체가 수회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외벽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몸체에 상하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제1브라켓;
    일측이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조절바;
    제1결합면에 상기 조절바의 타측이 삽입 결합되고, 제2결합면이 상기 제1결합면의 단부에서 꺾여 연장된 제2브라켓;
    일단이 상기 제2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패널에 결합된 패스닝브라켓에 결합되는 제3브라켓; 및
    일측이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상부몸체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다른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의 상부몸체 측면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보강돌기가 상기 외벽에 매립되어 상기 외벽의 균열을 보강하는 아이젠외벽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KR1020210122516A 2021-09-14 2021-09-14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KR102396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516A KR102396935B1 (ko) 2021-09-14 2021-09-14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516A KR102396935B1 (ko) 2021-09-14 2021-09-14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935B1 true KR102396935B1 (ko) 2022-05-12

Family

ID=8159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516A KR102396935B1 (ko) 2021-09-14 2021-09-14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9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9772A (ko) 2007-01-24 2008-07-29 보승산업주식회사 건축구조물의 천정에 장착되는 단열재의 구성 및 단열재를시공하는 방법
KR20140049413A (ko) * 2012-10-17 2014-04-25 (주)하나피앤씨 벽체 외장설비
KR101486784B1 (ko) * 2014-07-17 2015-01-27 백승웅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9772A (ko) 2007-01-24 2008-07-29 보승산업주식회사 건축구조물의 천정에 장착되는 단열재의 구성 및 단열재를시공하는 방법
KR20140049413A (ko) * 2012-10-17 2014-04-25 (주)하나피앤씨 벽체 외장설비
KR101486784B1 (ko) * 2014-07-17 2015-01-27 백승웅 말발굽 단열재 트러스와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372B1 (ko) 태양광모듈설치용 지붕패널
US20190326851A1 (en) Solar panel frame assembly
CN205399846U (zh) 一种曲面屋顶防风挡雪装置
KR101526239B1 (ko) 지붕 구조를 위한 새들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지붕 구조
KR102396935B1 (ko)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JP2007092290A (ja) 外断熱用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375896B1 (ko)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누수방지를 위한 체결구
JP2015048690A (ja) 防水シート固定構造
KR20200079831A (ko) 건축물의 열교차단파스너를 이용한 외부단열 시공구조
KR102415459B1 (ko)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KR20120074058A (ko) 스틸 커튼월 장착구조
JP3197136U (ja) 無落雪屋根用太陽光パネル架台
KR20150001076U (ko) 지붕판넬 어셈블리
KR10170571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JP6263863B2 (ja) ソーラーパネルの風除け装置、およびソーラーパネルの設置構造
JP2007285048A (ja) 勾配対応型換気棟
KR200359197Y1 (ko) 지붕판넬과 채광판넬의 연결을 위한 이음부재
JP2013117119A (ja) 支持瓦
KR200247950Y1 (ko) 건축용 판넬의 연결구조
KR20190136838A (ko)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
KR102595471B1 (ko) 형상과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연결형 루버체
KR20190140714A (ko) 외장패널 고정구
KR102600895B1 (ko) 지붕일체형 태양광 발전용 클램프
KR200375818Y1 (ko) 샌드위치패널
KR200377453Y1 (ko) 건축용 외장단열패널 고정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