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838A -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 - Google Patents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838A
KR20190136838A KR1020180063023A KR20180063023A KR20190136838A KR 20190136838 A KR20190136838 A KR 20190136838A KR 1020180063023 A KR1020180063023 A KR 1020180063023A KR 20180063023 A KR20180063023 A KR 20180063023A KR 20190136838 A KR20190136838 A KR 20190136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panel
panel
support
fixing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길
Original Assignee
김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길 filed Critical 김순길
Priority to KR102018006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6838A/ko
Publication of KR20190136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7U- or C-shaped brackets an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마감패널의 밑면이 들뜨지 않고 밀착되게 받쳐지면서 받쳐지는 마감패널의 하중에 대하여 높은 대응력을 가져 처짐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받침앵글을 구성하는 고정면의 상단으로부터 받침면에 형성된 장공의 이전까지 이면으로부터 표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보강 돌출부; 및 받침면 상에 표면으로부터 이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 보강 돌출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마감패널의 정확한 위치로의 시공이 이루어져 마감패널의 시고에 따른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마감패널의 시공 오차를 줄여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Support angles for building finishing panels}
본 발명은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마감패널의 밑면이 들뜨지 않고 밀착되게 받쳐지면서 받쳐지는 마감패널의 하중에 대하여 높은 대응력을 가져 처짐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는 다양한 재질의 마감패널을 사용하여 마감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마감패널, 즉 대리석 등과 같은 석재패널은 물론 목재로 제작된 목재패널과 통상적인 보온재로 제작된 보온패널 등을 이용하여 외벽을 마감하게 되는 데, 이러한 외벽 마감은 건축물의 벽면과 마감패널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건축물 벽면이 강우나 외부 습기 등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각광받고 있다.
이렇게, 마감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인 벽면으로의 고정은 통상적인 받침앵글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통상적인 받침앵글은 한글 자음의 니은('ㄴ') 자와 같은 형태로, 벽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방향의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의 밑단으로부터 직교되게 절곡 형성되어 마감패널이 받쳐지는 수평방향의 받침면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면과 받침면에는 고정을 위한 각각의 장공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마감패널을 받쳐 지지하는 종래의 받침앵글과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815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18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78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82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6715호에 게시된 바 있다(이하 '선행기술문헌들'이라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815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18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78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82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6715호
그러나 마감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받침앵글은 물론 선행기술문헌들에 게시된 받침앵글은 고정면이나 받침면 모두 평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마감패널 중 특히 중량을 가지는 석재패널을 설치할 때, 그 석재패널의 하중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처짐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함에 따라 정확하게 시공되지 못하는 단점과 함께 그로 인해 시공기일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마감패널이 목재패널로 사용할 경우, 그 목재패널을 고정하기 위하여 받침앵글에 별도의 덧대기 작업을 행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마감패널의 밑면이 들뜨지 않고 밀착되게 받쳐지면서 받쳐지는 마감패널의 하중에 대하여 높은 대응력을 가져 처짐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받침앵글의 절곡된 부분 또한 고하중에도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마감패널 중 목재패널을 사용시 그 목재패널의 고정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벽면에 장공을 통하여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방향의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의 밑단으로부터 직교되게 절곡 형성되어 마감패널이 받쳐지는 장공이 형성된 수평방향의 받침면이 형성되는 건축물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로서, 상기 고정면의 상단으로부터 받침면에 형성된 장공의 이전까지 이면으로부터 표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보강 돌출부; 및 상기 받침면 상에 표면으로부터 이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 보강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면과 받침면이 접하는 절곡된 부분에 이면으로부터 표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3 보강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2 보강 돌출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마감패널의 밑면이 들뜨지 않고 밀착되게 받쳐지면서 받쳐지는 마감패널의 하중에 대하여 높은 대응력을 가져 처짐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감패널의 정확한 위치로의 시공이 이루어져 마감패널의 시고에 따른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마감패널의 시공 오차를 줄여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받침앵글의 절곡된 부분 또한 고하중에도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 하중의 마감패널의 시공에 따른 더욱더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또, 마감패널 중 목재패널을 사용시 그 목재패널의 고정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활성성을 가지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보강 돌출부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받침앵글(100)은 건축물의 외벽인 벽면(W)에 다양한 재질, 즉 대리석 등과 같은 석재패널이나 목재로 제작된 목재패널, 보온재로 제작된 보온패널 등과 같은 마감패널(P)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품이다.
통상적인 받침앵글(100)은 벽면에 장공(112)을 통하여 앵커볼트(A)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방향의 고정면(110)과, 상기 고정면(110)의 밑단으로부터 직교되게 절곡 형성되어 마감패널(P)이 받쳐지는 장공(122)이 형성된 수평방향의 받침면(120)이 형성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통상적인 받침앵글의 고정면과 받침면은 모두 평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마감패널 중 특히 중량을 가지는 석재패널을 설치할 때, 그 석재패널의 하중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처짐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함에 따라 정확하게 시공되지 못하는 단점과 함께 그로 인해 시공기일이 늦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마감패널이 목재패널로 사용할 경우, 그 목재패널을 고정하기 위하여 받침앵글에 별도의 덧대기 작업을 행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도 가진다.
본 발명은 마감패널의 밑면이 들뜨지 않고 밀착되게 받쳐지면서 받쳐지는 마감패널의 하중에 대하여 높은 대응력을 가져 처짐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앵글(100)은 상기 고정면(110)의 상단으로부터 받침면(120)에 형성된 장공(122)의 이전까지 이면으로부터 표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보강 돌출부(10)와; 및 상기 받침면(120) 상에 표면으로부터 이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 보강 돌출부(20);를 포함한다.
제1 보강 돌출부(10)와 제2 보강 돌출부(20)는 통상적인 프레스에 의한 엠보싱 작업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앵글(100) 제작 당시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받침앵글(100)을 제작한 후 후처리작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 돌출부(10)는 이면으로부터 표면 측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고정면(110)과 벽면(W)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재(I)와 고정면(110)의 이면과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보강 돌출부(10)는 고정면(110)의 상단으로부터 받침면(120)에 형성된 장공(122)의 이전까지, 즉 고정면으로부터 직교되게 절곡 형성되는 받침면까지 형성됨으로써, 받침면으로 받쳐지는 마감패널이 대리석 등과 같은 석재패널일 경우, 그 하중에 대해서도 받침편이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구축하게 된다.
그로 인해 마감패널을 정확한 위치에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보강 돌출부는 고정면 사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됨으로써, 벽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시에도 그 고정면 자체도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도 겸한다. 그에 따라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어 높은 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강 돌출부(20) 또한 표면으로부터 이면 측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받침면(120)의 표면으로 받쳐지는 마감패널(P)의 밑면이 들뜨지 않은 상태로 밀착된 상태로 받쳐진다. 상기 제2 보강 돌출부의 선단은 받침면 상에 형성되는 제1 보강 돌출부의 끝단과 맞닿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제1 보강 돌출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한다. 이는 받침면 전체에 고른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제2 보강 돌출부(20) 또한 받침면(120) 상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됨으로써, 받쳐지는 석재패널 등을 장공을 통하여 고정하고자 할 때에도 높은 대응력으로 인해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여 정확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받침앵글에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마감패널의 시공에 따른 처짐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마감패널의 시공에 따른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한편, 상기 고정면(110)과 받침면(120)이 접하는 절곡된 부분에 이면으로부터 표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3 보강 돌출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보강 돌출부는 고정면과 받침면이 접하는 절고된 부분의 제1 보강 돌출부 상에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제1 보강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3 보강 돌출부는 고정면과 받침면이 접하는 절곡된 부분에 형성됨으로써, 마감패널의 하중, 특히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석재패널일 때, 고 하중이 발생함에 따라 이러한 고 하중에도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로 인해 고 하중의 마감패널을 시공시에도 본 발명의 제3 보강 돌출부가 적용되는 받침앵글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지 않아, 더욱더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보강 돌출부(10)(20)에는 마감패널 중 목재로 제작된 목재패널의 경우, 종래와 같이 별도로 덧대기 작업 없이도 직접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40)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공은 공지된 펀칭방식이나 드릴링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공에는 공지된 탭핑작업도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마감패널이 목재패널일 경우에도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제1,2 보강 돌출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에 의해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서, 받침면(120)에 형성되는 제2 보강 돌출부(20)는 비교적 가공이 편리한 조건상 도 4에서와같이 다양한 형태, 즉 영문 알파벳의 엑스('X') 자 형태나 에스('S') 자 형태 등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통상적인 마름모꼴 형태가 연속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받침면에 형성되는 제2 보강 돌출부는 상기한 형상 이외에 공지된 어떠한 형태나 형상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며, 제1 보강 돌출부 또한 공지된 어떠한 형태나 형상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10 : 제1 보강 돌출부 20 : 제2 보강 돌출부
30 : 제3 보강 돌출부 40 : 고정공
100 : 받침앵글
110 : 고정면 112,122 : 장공
120 : 받침면

Claims (3)

  1. 벽면에 장공을 통하여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방향의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의 밑단으로부터 직교되게 절곡 형성되어 마감패널이 받쳐지는 장공이 형성된 수평방향의 받침면이 형성되는 건축물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로서,
    상기 고정면의 상단으로부터 받침면에 형성된 장공의 이전까지 이면으로부터 표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 보강 돌출부; 및
    상기 받침면 상에 표면으로부터 이면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 보강 돌출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과 받침면이 접하는 절곡된 부분에 이면으로부터 표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3 보강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보강 돌출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
KR1020180063023A 2018-05-31 2018-05-31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 KR20190136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023A KR20190136838A (ko) 2018-05-31 2018-05-31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023A KR20190136838A (ko) 2018-05-31 2018-05-31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838A true KR20190136838A (ko) 2019-12-10

Family

ID=6900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023A KR20190136838A (ko) 2018-05-31 2018-05-31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68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610A (ko) * 2021-02-02 2022-08-09 (주)미래이앤지 건축소방 스프링쿨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51Y1 (ko) 2001-12-13 2002-03-15 김순곤 석판 지지용 앵글
KR20100031806A (ko) 2008-09-16 2010-03-25 김재옥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스파이크 결합구조
KR101077844B1 (ko) 2011-04-29 2011-11-07 김재옥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KR101318299B1 (ko) 2012-05-21 2013-10-18 조아산업개발 주식회사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KR101486715B1 (ko) 2014-04-11 2015-01-28 송미선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 지지부재 설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지부재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151Y1 (ko) 2001-12-13 2002-03-15 김순곤 석판 지지용 앵글
KR20100031806A (ko) 2008-09-16 2010-03-25 김재옥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스파이크 결합구조
KR101077844B1 (ko) 2011-04-29 2011-11-07 김재옥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KR101318299B1 (ko) 2012-05-21 2013-10-18 조아산업개발 주식회사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KR101486715B1 (ko) 2014-04-11 2015-01-28 송미선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 지지부재 설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지부재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610A (ko) * 2021-02-02 2022-08-09 (주)미래이앤지 건축소방 스프링쿨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5721B2 (en) Fixture for building boards, a building board having the fixture fixed thereto, and the method of fastening the building boards
KR20190136838A (ko) 건축용 마감패널의 받침앵글
CN110392760B (zh) 安装配件以及建筑物的壁结构
KR101535770B1 (ko) 건축물 치장벽돌 지지용 멀티캡 앵글
JP2008255711A (ja) 木造建築物
WO2021065906A1 (en) Securing member and wall structure
JP7134152B2 (ja) 水平構面補強プレートおよび水平構面補強構造
JP4650317B2 (ja) 耐力壁パネルの取付方法、耐力壁パネル、建築構造物
KR100996345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5921954B2 (ja) 耐力壁
JP6473433B2 (ja) 外壁の構造
JP2021188366A (ja) 階段型枠
KR101787246B1 (ko) 외장 조립체
KR200339867Y1 (ko) 거푸집용 앵글
JP3269936B2 (ja) ユニット建物
JP2008208609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耐力壁の補強構造、及び鉄骨部材
JP2019138109A (ja) 耐力壁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89152B2 (ja) 建物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31749B2 (ja) サッシ枠の設置構造
JPS6223924Y2 (ko)
JP3950397B2 (ja) 付属物の取付構造、外壁パネル及び建物ユニット
JP4456447B2 (ja) 壁部支持構造
JP2009127223A (ja) 取付部材の取付構造及び簡易構造物
JP4317515B2 (ja) 建物外壁のふかし壁構造
KR100695815B1 (ko) 사각와셔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