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714A - 외장패널 고정구 - Google Patents

외장패널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714A
KR20190140714A KR1020180067550A KR20180067550A KR20190140714A KR 20190140714 A KR20190140714 A KR 20190140714A KR 1020180067550 A KR1020180067550 A KR 1020180067550A KR 20180067550 A KR20180067550 A KR 20180067550A KR 20190140714 A KR20190140714 A KR 20190140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panel
support
piece member
wal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9186B1 (ko
Inventor
이금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성석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성석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성석건
Priority to KR102018006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186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벽이나 외벽에 배치되는 외장패널을 건축물의 내벽이나 외벽에 지지하여 고정하는 외장패널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앵커볼트를 통해 벽체의 설치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수직 고정부와, 상기 수직 고정부에 직교하여 형성되어 벽체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수평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L"자형의 앵글부재와;
상기 고정앵글의 수평 지지부에 적층하여 진퇴구조로 조립되는 금속판재로 구성되며, 금속판재의 선단부에는 외장패널의 하측면, 또는 상측면을 구속핀을 통해 위치 구속하는 구속핀부가 일체로 형성된 "ㅡ"자형의 조절편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절편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하향 절곡된 절곡 지지날개가 형성되어, 구속핀부에 의해 상측면을 고정한 외장패널의 배면은 구속핀부의 후방 양측 가장자리에는 형성된 절곡 지지날개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장패널 고정구{Exterior panel fixture}
본 발명은 외장패널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벽이나 외벽에 배치되는 외장패널을 건축물의 내벽이나 외벽에 지지하여 고정하는 외장패널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장 공사시에 외장패널(예를 들어, 석재패널)의 마감처리 공법은 습식 공법과 건식 공법이 있다 습식 공법은, 건물벽과 외장패널에 시멘트 몰탈을 부어 시공하는 것으로, 이는 시멘트의 양생시간이 길고 작업성 및 시공성이 나빠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건식 공법(DRY WALL FIXING)은 상기와 같은 시멘트 몰탈을 이용하지 않고 금속으로 된 고정구를 매개로 외장패널을 건물벽에 설치하는 것으로, 작업성 및 시공성이 매우 좋아 현재 외장패널의 시공은 거의 건식 공법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종래 상기 외장패널 고정구는, 앵커볼트를 통해 벽체의 설치면에 고정되는 앵글부재와; 상기 앵글부재에 진퇴구조로 고정되어 외장패널을 지지하여 고정하면서 벽면과 외장패널 사이의 설치간격을 조절하는 조절편 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당 분야에서는 상기 조절편 부재의 선단부에 구속핀을 통해 외장패널의 상부면, 또는 하부변을 고정하는 구속핀을 형성하여, 구속핀을 통해 외장패널이 조절편 부재의 선단부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구속핀을 통해 구속핀부에 고정된 외장패널에 순간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핀홈이 형성된 상측면, 또는 하측면이 국부적으로 파손되어 구속핀을 통한 외장패널의 고정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외장패널의 고정상태가 불량해지면, 손상된 외장패널의 교체가 요구되고, 또 외장패널이 벽면에서 떨어지면 떨어진 외장패널에 의해 안전사고를 야기할 수도 있어서, 시급한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KR 10-1515939 B1 KR 10-1147446 B1 KR 10-0389114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벽면에 배치되는 외장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이격되게 고정함에 있어, 벽면에 이격하여 고정된 외장패널의 배면이 각각 안정되게 지지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외장패널이 물리적으로 가압되더라도 외력에 의해 외장패널이 파손되어 벽체에서 외장패널이 분리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한 외장패널 고정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패널 고정구는,
앵커볼트를 통해 벽체의 설치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수직 고정부와, 상기 수직 고정부에 직교하여 형성되어 벽체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수평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L"자형의 앵글부재와;
상기 고정앵글의 수평 지지부에 적층하여 진퇴구조로 조립되는 금속판재로 구성되며, 금속판재의 선단부에는 외장패널의 하측면, 또는 상측면을 구속핀을 통해 위치 구속하는 구속핀부가 일체로 형성된 "ㅡ"자형의 조절편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절편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하향 절곡된 절곡 지지날개가 형성되어, 구속핀부에 의해 상측면을 고정한 외장패널의 배면은 구속핀부의 후방 양측 가장자리에는 형성된 절곡 지지날개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글부재의 수평 지지부와 상기 수평 지지부에 적층되는 조절편 부재에는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고정공과 장공의 조절공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절편 부재는 조절공을 통해 진퇴하여 벽면과 외장패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고정볼트에 의해 압박하여 수평 지지부에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편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하향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 지지날개는, 앵글부재의 수평 지지편의 양측 가장자리와 외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편 부재의 상부에는 선단부에 상향 절곡된 지지단이 형성된 지지편 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구속핀부에 하부면을 안착하여 구속핀에 의해 하측면을 구속한 외장패널은 지지편 부재의 지지단에 의해 배면이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의 벽면에 배치되는 외장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이격되게 고정함에 있어, 벽면에 이격하여 고정된 외장패널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상기 절곡 지지날개는 별도의 추가적인 부품의 추가없이, 단순히 조절편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형성되므로, 제작에 따른 비용발생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절곡 지지날개는 외장패널의 지지하는 기능뿐 아니라, 조절편 부재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또 조절편 부재를 앵글부재의 수평 지지부에 지지하여 조절편 부재가 공회전하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조절편 부재와 앵글부재의 수평 지지부 사이의 보다 안정된 고정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패널 고정구를 통한 외장패널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외장패널 고정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상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외장패널 고정구를 통한 외장패널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외장패널 고정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과 도 8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외장패널 고정구를 통한 외장패널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9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외장패널 고정구의 조절판 부재에, 지지 간격 조절클립을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외장패널 고정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패널 고정구를 통한 외장패널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외장패널 고정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상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외장패널 고정구를 통한 외장패널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외장패널 고정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과 도 8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외장패널 고정구를 통한 외장패널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9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외장패널 고정구의 조절판 부재에, 지지 간격 조절클립을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패널 고정구(110, 12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W)의 시공면에 고정되어, 상기 벽체에 외장패널(P)들을 이격된 상태로 정형화되게 지지하여 고정하는 고정물이다.
상기 외장패널 고정구(1)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앵커볼트(30)를 통해 벽체의 설치면에 고정되는 앵글부재(10)와; 상기 앵글부재(10)에 진퇴구조로 고정되어 외장패널(110)을 지지하여 고정하면서 벽면(W)과 외장패널(110) 사이의 설치간격을 조절하는 조절편 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앵글부재(10)는, 앵커볼트(30)를 통해 벽체(W)의 시공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수직 고정부(11)와, 상기 수직 고정부(11)에 직교하여 형성되어 벽체(W)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수평 지지부(12)가 일체로 형성된 "L"자형으로 절곡된 금속판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앵글부재(10)를 구성하는 수직 고정부(11)에는 설치공(11a)이 형성되어, 상기 앵글부재(10)는 설치공(11a)이 형성된 수직 고정부(11)를 벽체(W)의 시공면에 밀착한 다음, 벽체(W)에 형성된 시공공(H)과 수직 고정부(11)의 설치공(11a)을 관통하는 앵커볼트(30)에 의해 벽체(W)의 시공면에 정형화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편 부재(20)는 상기 앵글부재(10)의 수평 지지부(12)에 적층하여 진퇴구조로 조립되는 "ㅡ"자형의 금속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판재의 선단부에는 외장패널(110)의 하측면(112), 또는 상측면(111)에 구속핀(21)을 진입시켜 외장패널(110)의 위치를 구속하는 구속핀부(2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편 부재(20)의 선단부에 형성된 구속핀부(22)는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핀홀(22a)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 3과 같이 하향 요입된 핀홈(111a)이 형성된 외장패널(110)의 상측면(111)과, 상향 요입된 핀홈(112a)이 형성된 외장패널(110)의 하측면(112)은, 구속핀부(22)의 핀홀(22a)을 상하 관통하는 구속핀(21)의 단부를 핀홈(111a, 112a)에 진입하여 조절편 부재(20)의 선단부에 위치 구속하여 고정된다.
이때, 상기 외장패널(110)의 하측면(112)과 상측면(111)에 형성되는 핀홈(111a, 112a)은 일반적으로 현장 작업자에 의해 현장에서 드릴링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앵글부재(10)의 수평 지지부(12)와 상기 수평 지지부(12)의 상부에 진퇴구조로 설치되는 조절편 부재(20)에는 고정볼트(40)가 관통하는 고정공(12a)과 장공의 조절공(23)이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편 부재(20)는 조절공(23)을 통해 진퇴하여 벽면(W)과 외장패널(110) 사이의 설치간격을 조절한 다음 고정볼트(40)의 체결에 의해 압박된 상태로 수평 지지부(12)에 고정되어서, 벽면(W)과 외장패널(110) 사이의 설치간격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외장패널 고정구(1)는 조절편 부재(20)의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된 외장패널(110)의 상측면(111), 또는 하측면(112)에 형성된 핀홈(111a, 112a)에 구속핀(21)의 단부를 삽입하여 외장패널(110)이 조절편 부재(20)의 구속핀부(22)에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구속핀(21)을 통해 구속핀부(22)에 고정된 외장패널(110)에 순간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핀홈(111a, 112a)이 형성된 상측면(111), 또는 하측면(112)이 국부적으로 파손되어 구속핀(21)을 통한 외장패널(110)의 고정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속핀(21)을 통해 조절편 부재(20)의 구속핀부(22)에 상측면(111), 또는 하측면(112)을 고정한 외장패널(110)의 배면을 지지하는 독특한 배면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배면 지지구조에 의해 외장패널의 배면이 지지되면, 상기 외장패널 고정구(1)를 통해 벽면(W)에 이격되게 배치된 외장패널(110)에 외부 충격이 순간적으로 가해지더라도 구속핀(21)에 의해 고정된 외장패널(110)의 상측면(111), 또는 하측면(112)이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어서, 외장패널 고정구(1)를 통한 외장패널(110)들의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절편 부재(20)의 양측 가장자리에 하향 절곡된 절곡 지지날개(24)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속핀부(22)의 후방 양편에 하향 절곡된 절곡 지지날개(24)가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절편 부재(20)를 구성하는 금속판재의 블랭킹 가공시에, 금속판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 지지날개를 구성하는 돌출편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돌출편부를 하향 절곡시켜 하향 절곡된 절곡 지지날개(2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구속핀부(22)의 구속핀(21)에 의해 상측면(111)이 고정된 외장패널(10)은, 구속핀부(22)의 후방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절곡 지지날개(24)에 의해 배면 양편이 각각 지지된다.
그리하여, 외장패널(110)이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더라도 상기 외장패널(110)은 구속핀(21)에 의한 구속력과 함께 절곡 지지날개(24)를 통해 제공되는 지지력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하여서, 국부적인 손상없이 구속핀부에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절편 부재(20)는 도 5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가장자리에 하향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 지지날개(24)을 통해 앵글부재(10)의 수평 지지부(12)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므로, 조절편 부재가 앵글부재의 수평 지지부에서 좌우로 공회전하는 현상이 예방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 지지날개(24)는 별도 용접이나 부가적인 부품의 추가없이 단순히 형상의 변형을 통해 형성이 가능하므로 제작에 따른 비용증가가 적고, 특히 조절편 부재(20)는 절곡 지지날개(24)에 의해 굽힘강도가 향상되므로, 고하중의 외장패널(110)을 구속핀부(22)에 안착하더라도 굽힘거나 변경되는 현상이 예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절편 부재(20)에 형성된 구속핀부(22)의 상부에 배치된 외장패널(110)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부가하여, 외력에 의해 구속핀부(22)의 상부에 배치된 외장패널(110)이 물리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편 부재(20)의 상부에 선단부에 상향 절곡된 지지단(51)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편 부재(50)를 진퇴구조로 배치하여, 조절편 부재(20)의 구속핀부(22) 상부에 배치된 외장패널(110)의 배면이 지지편 부재(50)의 지지단(51)에 의해 분산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편 부재(50)는 하부에 배치된 조절편 부재(20) 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조절편 부재(20)의 상부에서 진퇴하여 구속핀부(22)에 의해 하부면(112)을 구속한 외장패널(110)의 배면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편 부재(50)에는 조절편 부재(20)와 앵글부재(10)에 형성된 조절공(23) 및 고정공(12a)과 연통하는 장공의 조절공(52)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 부재(50)는 외장패널(110)의 지지위치에 따라 진퇴하여 고정 위치를 설정한 다음, 고정볼트(40)에 의해 압착 고정되어 외장패널(110)의 배면을 밀착되게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편에 절곡 지지날개(24)가 형성된 조절편 부재(20)의 내측에 상향 굴곡진 굴곡 지지부(25)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굴곡 지지부(25)에 의해 구속핀부(22)의 상부에 안착된 외장패널(110)의 배면이 지지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조절편 부재(20)의 중앙부에는 앵글부재(10)의 수평 지지부(12)와 평면상태로 밀착되며 조절공(23)이 형성된 평면 지지구간(20a)이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절곡 지지날개(24)가 각각 형성되고, 평면 지지구간(20a)과 절곡 지지날개(24) 사이에는 굴곡 지지부(25)가 형성되어서, 조절편 부재(20)와 수평 지지부(12) 사이의 안정된 밀착 고정상태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양편에 절곡 지지날개(24)가 형성된 조절편 부재(20)의 내측에 한 쌍의 굴곡 지지부(25)를 좌우 대칭되게 형성하면, 구속핀부(22)의 하부변(112), 또는 상부변(111)을 구속한 외장패널(110)들의 배면을 단차구조로 안정되게 지지하여 구속핀부(22)에 고정된 외장패널(110)이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이 예방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조절편 부재(20)에 부가적인 부품을 마련하지 아니하고 절곡 성형을 통해 조절편 부재(20)의 형상을 변형하여 절곡 지지날개(24)와 굴곡 지지부(25)를 각각 형성하면, 추가적인 부품의 별도 장착없이도 배면이 지지된 상태로 외장패널(110)을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어서 시공의 편리성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절곡 지지날개(24)와 굴곡 지지부(25)는 밴딩을 통해 일원화 공정을 통해 성형이 가능하고, 또 절곡 지지날개(24)와 굴곡 지지부(25)가 형성된 조절편 부재(20)는 강도가 보강되어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와 같이 상기 절곡 지지날개(24)와 굴곡 지지부(25)의 선단부에 덧씌워져 절곡 지지날개(24)와 굴곡 지지부(25)를 연장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지지 간격 조절클립(60)을 부가한다.
따라서, 상기 절곡 지지날개(24)에 지지되는 외장패널(110)과 굴곡 지지부(25)에 지지되는 외장패널(110)의 두께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 즉, 구속핀부(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외장패널(110)과, 구속핀부(22)의 상부에 배치되는 외장패널(110)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에, 절곡 지지날개(24)와 굴곡 지지부(25) 중 어느 하나에 지지 간격 조절클립(60)를 끼워 서로 다른 두께의 외장패널(110)이 절곡 지지날개(24)와 굴곡 지지부(25)에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간격 조절클립(60)은 절곡 지지날개(24)에는 세로로 세워진 상태로 삽입되고, 굴곡 지지부(25)에는 가로로 눕혀진 상태로 삽입되는 "ㄷ"자형으로 이루어져 진입방향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지 아니하고 공용된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편 부재의 양편에 형성된 절곡 지지날개를 통해 구속핀부의 하부에 형성된 외장패널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또 굴곡 지지부를 통해 구속핀부의 상부에 형성된 외장패널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절곡 지지날개와 굴곡 지지부의 형성 방향을 반대로 하여 지지되는 외장패널을 치환할 수 있다.
즉, 절곡 지지날개를 통해서는 상부에 형성된 외장패널의 배면이 지지되고, 굴곡 지지부를 통해서는 하부에 형성된 외장패널의 배면이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로 예정한다.
1. 외장패널 고정구
10. "L"자형의 앵글부재 11. 수직 고정부
11a. 설치공 12. 수평 지지부
12a. 고정공
20. "ㅡ"자형의 조절편 부재 20a. 평면 지지구간
21. 구속핀 22. 구속핀부
22a. 핀홀 23. 조절공
24. 절곡 지지날개 25. 굴곡 지지부
30. 앵커볼트 40. 고정볼트
50. 지지편 부재 51. 지지단
52. 조절공 60. 지지 간격 조절클립
110. 외장패널 111. 상측면
111a. 핀홈 112. 하측면
112a. 핀홈
W. 벽체 H. 시공공

Claims (4)

  1. 앵커볼트를 통해 벽체의 설치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수직 고정부와, 상기 수직 고정부에 직교하여 형성되어 벽체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수평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L"자형의 앵글부재와;
    상기 고정앵글의 수평 지지부에 적층하여 진퇴구조로 조립되는 금속판재로 구성되며, 금속판재의 선단부에는 외장패널의 하측면, 또는 상측면을 구속핀을 통해 위치 구속하는 구속핀부가 일체로 형성된 "ㅡ"자형의 조절편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절편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하향 절곡된 절곡 지지날개가 형성되어, 구속핀부에 의해 상측면을 고정한 외장패널의 배면은 구속핀부의 후방 양측 가장자리에는 형성된 절곡 지지날개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부재의 수평 지지부와 상기 수평 지지부에 적층되는 조절편 부재에는 고정볼트가 관통하는 고정공과 장공의 조절공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절편 부재는 조절공을 통해 진퇴하여 벽면과 외장패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고정볼트에 의해 압박하여 수평 지지부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편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하향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 지지날개는, 앵글부재의 수평 지지편의 양측 가장자리와 외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고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편 부재의 상부에는 선단부에 상향 절곡된 지지단이 형성된 지지편 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구속핀부에 하부면을 안착하여 구속핀에 의해 하측면을 구속한 외장패널은 지지편 부재의 지지단에 의해 배면이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고정구.
KR1020180067550A 2018-06-12 2018-06-12 외장패널 고정구 KR102119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550A KR102119186B1 (ko) 2018-06-12 2018-06-12 외장패널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550A KR102119186B1 (ko) 2018-06-12 2018-06-12 외장패널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714A true KR20190140714A (ko) 2019-12-20
KR102119186B1 KR102119186B1 (ko) 2020-06-04

Family

ID=6906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550A KR102119186B1 (ko) 2018-06-12 2018-06-12 외장패널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486A (ko) *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유토플러스 마감재 건식 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387Y1 (ko) * 1999-08-02 2000-02-15 박광면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KR200235678Y1 (ko) * 2001-03-14 2001-10-08 덕 수 강 석재 고정구
KR100389114B1 (ko) 2000-05-17 2003-06-27 김안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101147446B1 (ko)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KR101515939B1 (ko) 2014-12-12 2015-05-04 백승웅 이중구조로 보강하는 투 앵글
KR101808144B1 (ko) * 2017-07-26 2017-12-12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387Y1 (ko) * 1999-08-02 2000-02-15 박광면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KR100389114B1 (ko) 2000-05-17 2003-06-27 김안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200235678Y1 (ko) * 2001-03-14 2001-10-08 덕 수 강 석재 고정구
KR101147446B1 (ko)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KR101515939B1 (ko) 2014-12-12 2015-05-04 백승웅 이중구조로 보강하는 투 앵글
KR101808144B1 (ko) * 2017-07-26 2017-12-12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486A (ko) *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유토플러스 마감재 건식 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186B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KR101437429B1 (ko) 건물 외장재 및 외부 단열재 설치 브라켓
US9617738B2 (en) Auxiliary securing support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20190140714A (ko) 외장패널 고정구
KR101864841B1 (ko)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059957B1 (ko) 커튼월 고정구
JP2016223174A (ja)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支柱固定装置
KR20200025634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RU2335607C2 (ru) Металлическое крепление для внешнестеновой конструкции и внешне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0806188B1 (ko) 석재패널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KR20110000288U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90012585A (ko) 케이블 트레이 렁 및 이의 제조방법
JP7329211B2 (ja) 外壁材受け具
JP7068777B2 (ja) 固定金具及び支持構造
KR200460529Y1 (ko) 벽타일용 고정조절 장치
JP6045021B2 (ja) 屋根上設置物の取付具およびその取付具を用いた屋根上設置物の取付方法
JP2005256317A (ja) 建物用庇
JP6497219B2 (ja)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アジャスター装置
JP4899640B2 (ja) 雪止め金具
JP7161902B2 (ja) 軒天構造及び軒先側支持部材
KR102551781B1 (ko) 건축용 트러스 구조물 고정 브래킷
CN213477517U (zh) 一种墙板顶部收边型材
EP3572598B1 (en) Mounting bracket for mounting a cladding to a wall, and method therefor
KR20200112234A (ko) 외벽패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