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761B1 -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761B1
KR101917761B1 KR1020150112689A KR20150112689A KR101917761B1 KR 101917761 B1 KR101917761 B1 KR 101917761B1 KR 1020150112689 A KR1020150112689 A KR 1020150112689A KR 20150112689 A KR20150112689 A KR 20150112689A KR 101917761 B1 KR101917761 B1 KR 10191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wall
fastening
bracket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8723A (ko
Inventor
이윤규
Original Assignee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2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7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7U- or C-shaped brackets an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의 일 양태는, 건축물의 외벽에 위치되는 단열재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열재의 일부를 압입하여 후방으로 개방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외벽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외벽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외벽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삽입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외벽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된 후 상기 제2브라켓에 외장재가 고정된다.

Description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SUPPORT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EXTERIOR MATERIAL}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외장재란, 건축물의 외벽 마감을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석재, 철재, 세라믹과 같은 재질로 성형된다. 이와 같은 건축용 외장재는, 건축물의 외벽에 직접 고정되거나 별도의 브라켓에 걸어진다. 선행특허문헌(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084034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고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문헌에는, 건축물의 외벽에 제1브라켓(210)이 고정되고, 제1브라켓(210)에는 그 선단에 외장재(1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용 패스너(14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서는, 제1브라켓(210)이 건축물의 외벽 상측 및 일측에 고정되므로, 외장재와 건축물의 외벽 사이의 거리 조절이나 외장재의 길이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에 대한 제1브라켓(210) 또는/및 고정용 패스너(140)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게 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084034호(발명의 명칭: 건축 외장재 상부 연결 고정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 조건이나 현장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치수로 외장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의 일 양태는, 건축물의 외벽에 위치되는 단열재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열재의 일부를 압입하여 후방으로 개방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외벽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외벽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외벽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삽입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2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외벽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된 후 상기 제2브라켓에 외장재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외벽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 하나에 대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외벽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 본체; 및 상기 제1브라켓 본체의 양단에서 상기 제1브라켓 본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한쌍의 제1연장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연장부에는, 그 선단 일부가 나머지에 대하여 외측으로 단차지게 연장되어 상기 삽입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제1브라켓을 상기 외벽에 고정하는 제1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하여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에는,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제2브라켓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하는 제2체결구의 체결을 위하여 제1관통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연장부의 선단에, 상기 제1연장부의 선단의 일부가 상기 제1연장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테이퍼짐으로써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삽입 돌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 본체; 및 상기 제2브라켓 본체의 양단에서 상기 제2브라켓 본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 공간을 따라서 이동하는 한쌍의 제2연장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연장부에는, 상기 제2브라켓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하는 제2체결구의 체결을 위하여 제2체결 슬롯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제2브라켓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하는 제2체결구의 체결을 위하여 제1관통홀, 및 상기 제1관통홀에서 연장되는 제1연통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에는, 상기 제2체결구의 체결을 위하여 제2체결 슬롯, 및 상기 제2체결 슬롯에서 연장되는 제2연통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는,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의 위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가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구의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를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제1관통홀 및 제2체결 슬롯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을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외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2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외장재가 고정되는 제3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브라켓이 상기 외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된 후 상기 제3브라켓에 외장재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브라켓에는, 상기 제3브라켓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2브라켓에 고정하는 제3체결구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에서는,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에 제2브라켓이 외벽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2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장재 고정 부재에 외장재가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설계 조건이나 현장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치수로 외장재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를 구성하는 제1브라켓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를 구성하는 제1브라켓을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1)는, 제1 내지 제3브라켓(101)(201)(301)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브라켓(101)은, 단열재(20)를 관통하여 건축물의 외벽(10)에 고정되고, 상기 제2브라켓(201)은, 상기 외벽(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브라켓(10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브라켓(301)은, 상기 외벽(10)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브라켓(201)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3브라켓(301)이 삭제되고, 상기 제2브라켓(201)에 외장재(미도시)가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외장재에 고정되는 다른 부재가 상기 제2브라켓(201)에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브라켓(101)은, 제1브라켓 본체(110) 및 한쌍의 제1연장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브라켓 본체(110)는 다략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120)는 상기 제1브라켓 본체(110)의 양단에서 상기 제1브라켓 본체(110)에 직교되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1개의 장방형의 판재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밴딩되어 상기 제1브라켓 본체(110) 및 제1연장부(120)가 정의된다.
상기 제1브라켓 본체(110)에는 제1체결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111)은, 상기 제1브라켓(101)을 상기 외벽(10)에 고정하는 제1체결구(S1)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체결공(111)은, 상기 제1브라켓 본체(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120)는, 상기 단열재(20)에 삽입되는 곳이다. 상기 제1연장부(120)에는, 제1관통홀(1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홀(121)은, 상기 제1브라켓(101)에 상기 제2브라켓(201)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하는 제1체결구(S1)의 체결을 위한 곳이다. 상기 제1관통홀(121)은, 상기 제1연장부(120)의 일부가 상기 제1연장부(120)의 연장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120)에는 제1연통 개구(122)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연통 개구(122)는, 상기 제1관통홀(1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 개구(122)는, 상기 제1관통홀(1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체결구(S2)의 일부가 상기 제1연장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곳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체결구(S2)가 T-볼트 및 이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T-볼트의 헤드 부분이 상기 제1연통 개구(122)를 통하여 상기 제1연장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연장부(120)에 공간 형성부(123)가 구비된다. 상기 공간 형성부(123)는, 상기 제1브라켓(101)이 상기 단열재(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브라켓(201)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삽입 공간(21)을 형성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브라켓(101)이 상기 단열재(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브라켓(101), 즉 상기 제1연장부(120)에 인접하는 상기 단열재(20)의 일부를 압착하여 상기 삽입 공간(21)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연장부(120)의 선단 일부가 나머지에 대하여 외측으로 단차지게 연장되어 상기 공간 형성부(123)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공간 형성부(123)는, 예를 들면, 상기 제1연장부(120)의 외측면에 별도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1연장부(120)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요철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201)은, 제2브라켓 본체(210) 및 한쌍의 제2연장부(220)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브라켓 본체(210) 및 제2연장부(220)는, 상기 제1브라켓(101)과 동일하게, 1개의 장방형의 판재가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밴딩되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201)은, 그 내면이 상기 제1브라켓(101)의 외면에 접촉하거나 인접되게 설치될 것이다.
상기 제2브라켓 본체(210)에는 슬라이딩 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홈(211)은, 상기 제3브라켓(301)을 상기 제2브라켓(201)에 고정하는 제3체결구(S3)가 슬라이딩하는 곳이다.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딩 홈(211)은, 상기 제2브라켓 본체(210)의 일부가 상하로 길게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홈(211)에는, 상기 제3체결구(S3)의 일부가 위치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3체결구(S3)가 서로 결합되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볼트의 헤드부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201)에 상기 외장재가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211)이 삭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2연장부(220)는, 상기 제2브라켓(201)이 상기 외벽(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 공간(21)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장부(220)에는, 제2체결 슬롯(22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 슬롯(221)은, 상기 제2연장부(220)의 일부가 상기 제2연장부(220)의 연장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체결 슬롯(221)은, 상기 제2브라켓(201)이 상기 외벽(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관통홀(121)과 적어도 일부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201)이 상기 외벽(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관통홀(121) 및 제2체결 슬롯(22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상기 제1체결구(S1)에 의하여 상기 제2브라켓(201)이 상기 제1브라켓(101)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연장부(122)에는, 제2연통 개구(2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통 개구(222)는, 상기 제2체결 슬롯(221)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101)(102)(201)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연통 개구(1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연통 개구(222)는, 상기 제2연장부(122)의 선단에 인접하는 상기 제2체결 슬롯(221)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122)(222)가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구(S2), 즉 T-볼트의 헤드가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122)(222)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1연장부(12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구(S2)는,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122)(222)를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제1관통홀(121) 및 제2체결 슬롯(22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연장부(220)에 가이드 리브(223)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223)는, 상기 제2연장부(220)의 상하단에서 상기 제2연장부(220)의 내측을 향하여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223)는, 상기 제2브라켓(201)이 상기 외벽(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브라켓(201)을 상기 제1브라켓(101)에 대하여 가이드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 리브(223)는, 상기 제1브라켓(101), 즉 상기 제1연장부(120)의 상단에 지지되거나 상기 제1연장부(120)의 하단에 접촉 또는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브라켓(301)은, 제3브라켓 본체(310) 및 제3연장부(32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1개의 판재가 직교되게 밴딩되어 상기 제3브라켓 본체(310) 및 제3연장부(320)가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브라켓 본체(310)에는 제3체결 슬롯(311)이 형성된다. 상기 제3체결 슬롯(311)은, 상기 제3체결구(S3)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3체결 슬롯(311)은, 상기 제3브라켓 본체(310)에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홈(211)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상기 제3체결구(S3)가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3체결공(311)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3브라켓(301)이 상기 제2브라켓(20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3연장부(320)에는 상기 외장재가 고정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3연장부(320)의 형상은, 고정되는 상기 외장재의 형상이나 크기 재질 등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상기 제1브라켓(101)이 상기 단열재(20)에 삽입되어 상기 외벽(10)에 고정된다. 실질적으로 제1연장부(120)가 상기 단열재(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공간 형성부(123)가 상기 제1연장부(120)에 인접하는 상기 단열재(20)을 일부를 압착함으로써, 삽입 공간(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101)은, 상기 외벽(10)에 기설치된 상기 제1체결구(S1)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브라켓(201)이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브라켓(10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브라켓(201)이 상기 외벽(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브라켓(101)에 설치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제1브라켓(101)이 고정된 상기 외벽(10)에 대한 상기 제2브라켓(201)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브라켓(201), 즉 제2연장부(2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삽입 공간(21)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201)이 상기 외벽(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벽(10)에 대하여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구(S2)에 의하여 상기 제2브라켓(201)이 상기 제1브라켓(10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체결구(S2)는,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101)(201)의 위치에 따라서 연통되는 제1 및 제2연통 개구(122)(222)을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122)(222)을 따라서 이동하여 제1체결홀(121) 및 제2체결 슬롯(221) 상에 위치되어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2브라켓(201)이 상기 제1브라켓(101)에 고정되면, 상기 제3브라켓(301)이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2브라켓(20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브라켓(301)이 상기 외벽(10)에 평행한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브라켓(201)에 설치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101)(201)이 고정된 상기 외벽(10)에 대한 상기 제3브라켓(301)의 높이 및 좌우 위치가 조절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브라켓(301)이 상기 외벽(10)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벽(10)에 대하여 기설정된 높이 및 좌우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3체결구(S3)에 의하여 상기 제3브라켓(301)이 상기 제2브라켓(201)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브라켓(301)에 외장재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3브라켓(301)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외장재가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제3브라켓(301)이 삭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브라켓(201)에 상기 외장재가 직접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를 구성하는 제1브라켓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외장재 지지 구조에서는, 제1브라켓(102), 실질적으로 제1연장부(120)의 선단에 적어도 1개의 삽입 돌기(125)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 돌기(125)는, 상기 제1연장부(120)의 선단의 일부가 상기 제1연장부(12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테이퍼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브라켓(102)이 보다 용이하게 단열재(20)에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를 구성하는 제1브라켓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브라켓(103)에 가이드 리브(127)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27)는, 상기 제1브라켓(101), 실질적으로 제1연장부(120)의 상하단에서 상기 제1연장부(120)의 외측으로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외벽 20: 단열재
101: 제1브라켓 110: 제1브라켓 본체
111: 제1체결홀 120: 제1연장부
121: 제1관통홀 122: 제1연통 개구
123: 공간 형성부 201: 제2브라켓
210: 제2브라켓 본체 211: 슬라이딩 홈
220: 제2연장부 221: 제2체결 슬롯
222: 제2연통 개구 223: 가이드 리브
301: 제3브라켓 310: 제3브라켓 본체
311: 제3체결 슬롯 320: 제3연장부

Claims (11)

  1. 건축물의 외벽(10)에 위치되는 단열재(2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열재(20)의 일부를 압입하여 후방으로 개방되는 삽입 공간(21)을 형성하고, 상기 외벽(10)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101)(102)(103); 및
    상기 외벽(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브라켓(101)(102)(103)에 설치되고, 상기 외벽(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삽입 공간(21)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2브라켓(201); 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공간(21)은, 상기 외벽(10)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폭이 적어도 상기 제2브라켓(201)의 두께를 초과하는 값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201)이, 상기 삽입 공간(21)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벽(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브라켓(101)(102)(103)에 고정된 후 상기 제2브라켓(201)에 외장재가 고정되는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101)(102)(103)(201)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브라켓(201)이 상기 외벽(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101)(102)(103)(201)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 하나에 대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127)(223)가 구비되는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101)(102)(103)은,
    상기 외벽(10)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 본체(110); 및
    상기 제1브라켓 본체(110)의 양단에서 상기 제1브라켓 본체(110)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 공간(21)을 형성하는 한쌍의 제1연장부(1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부(120)에는, 그 선단 일부가 나머지에 대하여 외측으로 단차지게 연장되어 상기 삽입 공간(21)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부(123)가 구비되는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본체(110)에는, 상기 제1브라켓(101)(102)(103)을 상기 외벽(10)에 고정하는 제1체결구(S1)를 체결하기 위하여 제1체결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120)에는, 상기 제1브라켓(101)(102)(103)에 상기 제2브라켓(201)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하는 제2체결구(S2)의 체결을 위하여 제1관통홀(121)이 형성되는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120)의 선단에, 상기 제1연장부(120)의 선단의 일부가 상기 제1연장부(12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테이퍼짐으로써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삽입 돌기(125)가 구비되는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201)은,
    상기 제1브라켓(101)(102)(103)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 본체(210); 및
    상기 제2브라켓 본체(210)의 양단에서 상기 제2브라켓 본체(210)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 공간(21)을 따라서 이동하는 한쌍의 제2연장부(220); 를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220)에는, 상기 제2브라켓(201)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1브라켓(101)(102)(103)에 고정하는 제2체결구(S2)의 체결을 위하여 제2체결 슬롯(221)이 각각 형성되는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101)(102)(103)에는, 상기 제1브라켓(101)(102)(103)에 상기 제2브라켓(201)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하는 제2체결구(S2)의 체결을 위하여 제1관통홀(121), 및 상기 제1관통홀(121)에서 연장되는 제1연통 개구(1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201)에는, 상기 제2체결구(S2)의 체결을 위하여 제2체결 슬롯(221), 및 상기 제2체결 슬롯(221)에서 연장되는 제2연통 개구(2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122)(222)는,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101)(102)(103)(201)의 위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122)(222)가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구(S2)의 일부가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122)(222)를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122)(222)를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제1관통홀(121) 및 제2체결 슬롯(221)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101)(102)(103)(201)을 고정시키는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10. 제 1 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10)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2브라켓(201)에 설치되고, 상기 외장재가 고정되는 제3브라켓(30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브라켓(301)이 상기 외벽(10)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2브라켓(201)에 고정된 후 상기 제3브라켓(301)에 외장재가 고정되는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201)에는, 상기 제3브라켓(301)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2브라켓(201)에 고정하는 제3체결구(S3)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홈(211)이 형성되는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KR1020150112689A 2015-08-10 2015-08-10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KR10191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689A KR101917761B1 (ko) 2015-08-10 2015-08-10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689A KR101917761B1 (ko) 2015-08-10 2015-08-10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723A KR20170018723A (ko) 2017-02-20
KR101917761B1 true KR101917761B1 (ko) 2019-01-24

Family

ID=5826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689A KR101917761B1 (ko) 2015-08-10 2015-08-10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604B1 (ko) * 2023-09-21 2024-05-22 이재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입체패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5908B2 (en) * 2017-08-14 2020-08-18 Studer Residential Designs, Inc. Deck mounting system
KR102270802B1 (ko) * 2020-08-26 2021-06-28 조희건 외장판넬 조립용 체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360Y1 (ko) * 2002-08-22 2002-11-04 오태훈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100840342B1 (ko) * 2007-03-16 2008-06-20 지영화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110B1 (ko) * 2012-08-24 2014-06-10 안병욱 결로방지를 위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20140137878A (ko) * 2013-05-24 2014-12-03 조한성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재를 포함한 외장재 설치를 위한 앵커 조립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360Y1 (ko) * 2002-08-22 2002-11-04 오태훈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100840342B1 (ko) * 2007-03-16 2008-06-20 지영화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604B1 (ko) * 2023-09-21 2024-05-22 이재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입체패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723A (ko) 201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8923B2 (en) Adjustable bracket assembly and slide assembly
KR101917761B1 (ko)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US9723924B1 (en) Bracket assembly
EP2988396B1 (en) System for fastening attachment elements to an electrical machine housing
KR101621908B1 (ko) 건축 외장재용 트러스 어셈블리
EP2893838A1 (en) Adjustable bracket assembly and slid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EP2764796A1 (en) Slide rail assembly for use in rack system and reinforcement member thereof
JP3220667U (ja) 面格子の取付構造
KR101573341B1 (ko)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KR101866750B1 (ko) 건물외장재 고정브라켓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건물외장재 고정브라켓
KR20170012990A (ko)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KR101621070B1 (ko) 석재 설치용 브래킷 조립체
KR102363668B1 (ko) 전자장치 및 계기 함체를 위한 장착 프레임 및 레일
KR101676295B1 (ko) 승강기 도어의 하부가이드
KR20140114607A (ko) 창틀용 지지대
KR200398652Y1 (ko) 매입형 전선함의 후면 지지봉
JP2003534644A (ja) 電気的な組込部材および/または電子的な組込部材を受容するためのケーシング
KR101621690B1 (ko)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KR101665305B1 (ko) 건물 외벽용 루버
KR20170000568U (ko) 슬라이딩식 잠금장치 및 상기 슬라이딩식 잠금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펜
JP2016217037A (ja) 伸縮ガイドレール
CN105655771B (zh) 连接器、该连接器所使用的端子、以及容纳该端子的壳体
KR102273342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딩 클립바 장치
KR20150004061U (ko) 가변형 케이블 서포트
JP5253837B2 (ja) 格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