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690B1 -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690B1
KR101621690B1 KR1020150153279A KR20150153279A KR101621690B1 KR 101621690 B1 KR101621690 B1 KR 101621690B1 KR 1020150153279 A KR1020150153279 A KR 1020150153279A KR 20150153279 A KR20150153279 A KR 20150153279A KR 101621690 B1 KR101621690 B1 KR 101621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coupling
rail
fixed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규
Original Assignee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의 일 양태는, 건축물의 벽 또는 천장에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레일 부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기설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건축용 부재의 상대 각도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기 건축용 부재를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SUPPORTING DEVICE FOR CONSTRUCTION MEMBER}
본 발명은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부재란, 건축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 마감에 사용되는 외장재 및 내장재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축용 부재, 예를 들면, 외장재는, 건축물의 벽에 직접 고정되거나 별도의 브라켓에 걸어진다. 선행특허문헌(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084034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외장재 지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문헌에는, 건축물의 벽에 제1브라켓(210)이 고정되고, 제1브라켓(210)에는 그 선단에 외장재(1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용 패스너(140)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서는, 제1브라켓(210)이 건축물의 벽 상측 및 일측에 고정되므로, 외장재의 형상이나 길이에 따른 조절 및 다양한 형태로의 외장재의 지지가 불가능하게 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084034호(발명의 명칭: 건축 외장재 상부 연결 고정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 조건이나 현장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이나 치수의 건축용 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로 건축용 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의 일 양태는, 건축물의 벽 또는 천장에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레일 부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기설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건축용 부재의 상대 각도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기 건축용 부재를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건축용 부재의 이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 대하여 상대 각도가 가변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의 외면에 가상의 중심점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건축용 부재의 이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외면의 일부에 외접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한 상기 건축용 부재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결합 돌기 중 적어도 1개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1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기설정된 직경을 가지는 원주상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 브라켓의 일면은, 상기 제1결합부의 외면의 일부에 형합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의 일부가 절개되는 삽입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슬롯의 양측에 가상의 중심점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만큼 서로 이격되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삽입 슬롯의 양측에서 상기 삽입 슬롯의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결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건축용 부재의 이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 슬롯에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한 상기 건축용 부재의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위치의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결합 브라켓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결합 브라켓이 상기 삽입 슬롯의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 브라켓의 원판 형상 이상의 단면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레일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체결공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적어도 1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관통공이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가이드 레일 상의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레일 부재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연장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건축물의 벽 또는 천장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을 더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건축물의 벽 또는 천장에 고정되는 레일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건축용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여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설계 조건이나 현장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치수의 건축용 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절 부재에 의하여 벽 또는 천장 및 가이드 레일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벽 또는 천장의 평탄도가 좋지 않은 경우도 인접하는 가이드 레일이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이동부 및 지지부의 상대 각도가 조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형상의 건축용 부재를 다양한 각도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는, 1개의 레일 부재(100), 슬라이딩 부재(200), 및 결합 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 부재(100)는, 건축물의 벽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는, 상기 레일 부재(100)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면서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부재(30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에 대하여 건축용 부재(10)의 상대 각도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기 건축용 부재(10)를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에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건축용 부재(10)는, 상기 레일 부재(100)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외장재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레일 부재(100)가 건축물의 내벽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내장재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 부재(100)는, 건축물의 천장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천장재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레일 부재(100)를 상기 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레일 부재(100)는, 상기 벽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부재(100)는, 레일부(110) 및 연장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부(11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레일부(11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 레일(1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11)은, 실질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가 슬라이딩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110)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레일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체결공(113)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레일부(110)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부재(400)에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는,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11)을 따라서 슬라이딩 하다가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111) 상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체결공(113)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관통공(2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01)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113)에 체결되는 제1체결구(S1)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가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111) 상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결합 부재(300)는, 제1 및 제2결합부(310)(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31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111)의 외부로 노출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결합부(31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320)는, 상기 건축용 부재(10)의 이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결합부(310)에 대하여 상대 각도가 가변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결합부(310)는, 그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기설정된 직경을 가지는 원주상에 위치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310)에는, 다수개의 결합 돌기(311)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 돌기(311)는, 상기 제1결합부(310)의 외면에 가상의 중심점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가 상기 가이드 레일(111)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는 방향, 예를 들면,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320)는, 고정 브라켓(321) 및 결합 브라켓(32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321)은, 상기 건축용 부재(10)의 이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브라켓(323)은, 상기 고정 브라켓(3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부(310)의 외면의 일부에 외접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 브라켓(323)의 일면은, 상기 제1결합부(310)의 외면의 일부에 형합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브라켓(323)에는, 적어도 1개의 결합홈(32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324)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에 대한 상기 건축용 부재(10)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결합 돌기(311) 중 적어도 1개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324)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 돌기(311)의 위치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에 대한 상기 건축용 부재(10)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건축용 부재(1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입체적 형태로 상기 건축용 부재(10)가 지지됨으로써, 건축물의 외벽, 내벽 또는 천장의 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400)는, 제1 및 제2고정부(420)(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410)는, 상기 레일부(110), 실질적으로 연장부(120)에 제2체결구(S2)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420)는, 상기 제1고정부(410)에서 연장되어 제3체결구(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벽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410)에 삽입 슬롯(410S)이 형성되고, 제2결합부(420)가 상기 삽입 슬롯(410S)에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삽입 슬롯(410S)은, 상기 제1결합부(410)의 일부가 절개되는 삽입 슬롯(410S)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410)에는 상기 삽입 슬롯(410S)의 양측에서 상기 삽입 슬롯(410S)의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결합 돌기(411)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 돌기(411)는, 상기 삽입 슬롯(410S)의 양측에 가상의 중심점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만큼 서로 이격되게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420)는, 고정 브라켓(421) 및 결합 브라켓(42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421)은, 상기 건축용 부재(10)의 이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브라켓(423)은, 상기 고정 브라켓(421)에서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삽입 슬롯(410S)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결합 브라켓(423)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에 대한 상기 건축용 부재(10)의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위치의 상기 결합 돌기(411)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홈(424)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 브라켓(423)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410)는, 상기 결합 브라켓(423)이 상기 삽입 슬롯(410S)의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 브라켓(423)의 원판 형상 이상의 단면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 즉 적어도 상기 결합 브라켓(423)의 직경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424)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 돌기(411)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에 대한 상기 건축용 부재(10)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건축용 부재 100: 레일 부재
110: 레일부 111: 가이드 레일
113: 체결공 120: 연장부
200: 슬라이딩 부재 201: 관통공
300: 결합 부재 310: 제1결합부
311: 결합 돌기 320: 제2결합부
321: 고정 브라켓 323: 결합 브라켓
324: 결합홈 400: 고정 부재
410: 제1고정부 420: 제2고정부

Claims (9)

  1. 건축물의 벽 또는 천장에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111)이 형성되는 레일 부재(100);
    상기 가이드 레일(111)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111) 상에서 기설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딩 부재(200);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에 대하여 건축용 부재(10)의 상대 각도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기 건축용 부재(10)를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에 결합하는 결합 부재(400);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400)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111)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결합부(410); 및
    상기 건축용 부재(10)의 이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결합부(410)에 대하여 상대 각도가 가변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4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410)에는,
    상기 제1결합부(410)의 일부가 절개되는 삽입 슬롯(410S)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슬롯(410S)의 양측에 가상의 중심점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만큼 서로 이격되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삽입 슬롯(410S)의 양측에서 상기 삽입 슬롯(410S)의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결합 돌기(411)가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420)는,
    상기 건축용 부재(10)의 이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421); 및
    상기 고정 브라켓(4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 슬롯(410S)에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에 대한 상기 건축용 부재(10)의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위치의 상기 결합 돌기(411)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홈(424)이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423); 을 포함하는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브라켓(423)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410)는, 상기 결합 브라켓(423)이 상기 삽입 슬롯(410S)의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 브라켓(423)의 원판 형상 이상의 단면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10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1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체결공(113)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11) 상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체결공(113)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적어도 1개의 관통공(20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13)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관통공(201)이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01)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113)에 체결되는 체결구(S1)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200)가 상기 가이드 레일(111) 상의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레일 부재(100)에 고정되는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100)는,
    상기 가이드 레일(111)이 형성되는 레일부(110); 및
    상기 레일부(110)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20); 를 포함하는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0)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410); 및
    상기 제1고정부(410)에서 연장되어 상기 건축물의 벽 또는 천장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420); 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400)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KR1020150153279A 2015-11-02 2015-11-02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KR101621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279A KR101621690B1 (ko) 2015-11-02 2015-11-02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279A KR101621690B1 (ko) 2015-11-02 2015-11-02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690B1 true KR101621690B1 (ko) 2016-05-17

Family

ID=5610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279A KR101621690B1 (ko) 2015-11-02 2015-11-02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6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199B2 (ja) 1996-06-28 2000-03-27 核燃料サイクル開発機構 円環槽用中性子吸収部材取付け構造
JP2010090702A (ja) * 2010-01-15 2010-04-22 Kikukawa Kogyo Kk 建築用ファスナ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199B2 (ja) 1996-06-28 2000-03-27 核燃料サイクル開発機構 円環槽用中性子吸収部材取付け構造
JP2010090702A (ja) * 2010-01-15 2010-04-22 Kikukawa Kogyo Kk 建築用ファスナ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1154B2 (en) Bar hanger assembly with mating telescoping bars
US9033163B2 (en) Curved shower rod assembly having flexible mounting base
EP2400210B1 (en) Lighting System
TWI552670B (zh) 滑軌總成及其托架裝置
US20130192772A1 (en) Decorative multi-slat system
JP6660947B2 (ja) スライドドアを案内するガイドデバイス及びキャビネット家具
RU2670853C2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вижной двери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раздвижной двери
US9942637B2 (en) L-brackets for mounting with extended mobility range
KR101621690B1 (ko)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KR101581939B1 (ko) 커튼 레일 커넥터
US10816172B2 (en) Lighting system for suspended ceiling
KR101615883B1 (ko) 유무선통신기기 설치용 고정형 브라켓
EP3591164A1 (en) Clamping system for a decorative valance of roller shade or blind and decorative valance provided with such clamping system
JP2016531224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支持装置
KR101917761B1 (ko)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US11739882B2 (en) Bracket for adjustable-depth mounting of electrical boxes
KR101603905B1 (ko)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KR200492672Y1 (ko) 건물 외장용 어셈블리
KR200483204Y1 (ko) 무지주 선반
JP2003534644A (ja) 電気的な組込部材および/または電子的な組込部材を受容するためのケーシング
KR20170012990A (ko)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
KR102055650B1 (ko)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BE1021732B1 (nl) Samenstel en werkwijze voor het inbouwen van een elektrische module
KR200487832Y1 (ko) 건축자재 고정장치
KR101788209B1 (ko)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