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650B1 -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 Google Patents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650B1
KR102055650B1 KR1020180150451A KR20180150451A KR102055650B1 KR 102055650 B1 KR102055650 B1 KR 102055650B1 KR 1020180150451 A KR1020180150451 A KR 1020180150451A KR 20180150451 A KR20180150451 A KR 20180150451A KR 102055650 B1 KR102055650 B1 KR 102055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fastening
bar
bin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찬
Original Assignee
(주)조은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은건설 filed Critical (주)조은건설
Priority to KR102018015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벽체의 시공면을 따라 고정부재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며 상기 벽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결속볼트를 구비하는 결속브라켓; 상기 결속브라켓의 결속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체결홀을 관통하는 결속볼트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홀의 일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브라켓으로부터 캐리어를 연결하면서 상기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결속부재; 및 상기 캐리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에 체결되는 M-Bar;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Lightweight wall frame with easy vertical adjustment of carrier}
본 발명은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외장재로서 석고보드나 흡음재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석고보드나 흡음재 등은 방음이나, 방습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미관상의 이유로 자주 사용된다.
상술한 내외장재의 설치를 위해서는 벽체틀을 건축물의 내외 일정 부분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설치되는 벽체틀은 벽체에 완전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내외장재는 사전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제작된다. 이에 따라, 내외장재는 완전 고정된 벽체에 고정 배치시키는 과정에서 적절히 정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내외장재의 크기와 벽체틀의 배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벽체틀은 벽체에 다시 설치해야 한다. 벽체를 다시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벽체틀을 벽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시 설치해야 번거로움이 있다.
최초 작업 시 벽체틀을 정밀하게 설치하는 경우 이러한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나, 벽체틀의 설치 과정에서 다양한 이유로 정밀한 시공이 어렵거나 또는 설치 과정에서 내외장재의 정확한 정렬을 위하여 벽체틀 조정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벽체틀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벽체틀을 벽체로부터 해체하고, 정렬에 따른 위치 조정을 수행한 후 다시 정렬해야 하는 등의 작업을 되풀이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내외장재 설치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적절한 정렬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66302호(2011.09.1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캐리어와 M-Bar의 배열로 구성되는 벽체틀을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설치된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벽체와 내외장재 간에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특히 결속부재의 너트 움직임만으로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경량벽체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은, 벽체의 시공면을 따라 고정부재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며 상기 벽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결속볼트를 구비하는 결속브라켓; 상기 결속브라켓의 결속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체결홀을 관통하는 결속볼트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홀의 일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브라켓으로부터 캐리어를 연결하면서 상기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결속부재; 및 상기 캐리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에 체결되는 M-Bar;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결속볼트가 삽입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의 체결홀을 관통한 결속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의 외주연으로부터 단면이 확장되는 너트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연에 구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의 폭과 대응하는 피치를 갖는 제 2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홀의 단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체결부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상기 체결홀의 개구된 폭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하부의 직경이 상기 체결홀의 개구된 폭과 같거나 작게 구성되고, 이분등으로 절개되어 대칭을 이루도록 절개구가 구성되어 상기 체결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 회전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체결홀은, 상기 캐리어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결속볼트가 관통된 상태에서 캐리어의 수평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캐리어에 M-Bar를 직교하도록 체결하는 M-Bar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M-Bar 및 캐리어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및 각 측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바닥면을 향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를 구비한 'c 찬넬' 형태로 구성되되 상호 개구 부위가 서로 대면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M-Bar체결부재는, 상기 M-Bar의 개구 부위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제 1체결면과 상기 제 1체결면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M-Bar의 내부 공간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제 2체결면이 구비되며, 상기 캐리어의 각 측면에서 상기 M-Bar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캐리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M-Bar체결부재는, 상기 캐리어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상기 캐리어의 바닥면과 한 쌍의 측면을 감싸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M-Bar의 개구 부위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제 3체결면과 상기 제 3체결면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M-Bar의 내부 공간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제 4체결면이 상기 M-Bar를 향하는 일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M-Bar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2체결면 및 제 4체결면의 양단에는 사선으로 절개된 절개단이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은 복수의 캐리어와 M-Bar의 배열로 구성되는 벽체틀을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설치된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벽체와 내외장재 간에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특히 결속부재의 너트 움직임만으로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브라켓과 캐리어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Bar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캐리어에 M-Bar를 체결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Bar클립을 이용하여 캐리어에 M-Bar를 체결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브라켓과 캐리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이하 '경량벽체틀'이라 칭함)은 벽체(10)에 시공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30)와, 상기 캐리어(30)에 직교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M-Bar(50)와, 상기 캐리어(30)에 M-Bar(50)을 체결하기 위한 M-Bar체결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벽체(10)는 본 발명의 경량벽체틀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건물의 내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벽체(10)는 건물의 측벽이나 바닥면은 물론 천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벽체(10)는 시멘트 벽체, 콘크리트 벽체, 화강암 벽체, 대리석 벽체 등 다양한 재질의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경량벽체틀의 일정한 설치를 위하여 벽체(10)의 면은 균일한 형태의 평탄면을 가지거나 균일한 형태의 평탄면을 가지도록 사전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캐리어(3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결속브라켓(20)과 결속부재(40)를 이용하여 벽체(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 간격을 가지며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30)는 벽체(10)에 체결된 후에 결속부재(4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직방향'이라 함은 캐리어(30)가 벽체(10)의 시공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 등 벽체(10)와의 간격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M-Bar(50)는 벽체(10)에 시공된 캐리어(30)와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벽체틀을 구성하게 되며, 이렇게 구성된 벽체틀의 외면에는 내외장재(60)가 체결되어 벽체틀을 마감하게 된다.
상기 M-Bar체결부재(70)는 상기 캐리어(30)에 상기 M-Bar(50)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체결 및 고정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M-Bar체결부재(70)는 상기 캐리어(30)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독립된 별개의 단위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량벽체틀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벽체(10)에 캐리어(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결속브라켓(20)과 결속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브라켓(20)은 벽체(10)의 시공면 즉, 상기 캐리어(30)를 포함하는 벽체틀의 시공 영역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속브라켓(20)은 평판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200)로 구성되어 벽체(10)의 시공면에 밀착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220)를 통해 밀착된 벽체(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00)를 관통하여 벽체에 고정되는 못이나 볼트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브라켓(20)은 벽체(10)의 시공면과 밀착되는 면의 배면에 해당되는 플레이트(200)의 일면에 상기 벽체(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결속볼트(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속볼트(210)의 길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결속부재(40)를 이용하여 캐리어(30)의 수직방향 위치 이동을 조정할 수 있는 범위이며, 벽체(10)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캐리어(30)와 M-Bar(50)의 폭을 합한 길이를 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M-Bar(50)에 체결되는 내외장재(60)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캐리어(30)는 상기 결속브라켓(20)의 결속볼트(210)가 관통되는 체결홀(300)이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다. 상기 체결홀(300)은 통상의 원형홀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 2 등에서와 같이 사각형상을 갖는 홀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속볼트(2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결속볼트(2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 또는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300)은 상기 캐리어(30)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결속볼트(210)가 관통된 상태에서 캐리어(30)의 수평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속부재(40)는 상기 캐리어(30)의 체결홀(300)을 관통하는 결속볼트(210)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홀(300)의 일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브라켓(20)으로부터 캐리어(30)를 연결하면서 상기 캐리어(30)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속부재(40)는 상기 결속볼트(210)가 삽입되는 중공(401)과 상기 중공(401)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나사산(402)이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30)의 체결홀(300)을 관통한 결속볼트(210)가 나사 결합되는 몸체부(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결속부재(40)는 상기 몸체부(400)의 일단의 외주연으로부터 단면이 확장되는 너트부(410) 및 상기 몸체부(400)의 외주연에 구성되며 상기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에 체결되는 체결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부(420)에 대한 2 가지 실시 예가 제시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420)는 상기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의 폭과 대응하는 피치(a)를 갖는 제 2나사산(421)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홀(300)의 단면(30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420)는 제 2나사산(421)이 체결홀(300)의 단면(3010)에 나사 결합되어 캐리어(30)가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410)를 회전하는 것만으로 상기 몸체부(400)에 체결된 결속볼트(2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캐리어(30)의 수직방향 위치 이동이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a의 체결부(420)가 적용된 결속부재(40)를 이용하여 캐리어(30)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하면서 본 발명의 경량벽체틀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결속브라켓(20)를 고정부재(220)에 의해 벽체(10)에 고정한다. 이 과정에서는 벽체(10)의 시공면에 복수의 캐리어(30)가 정열할 수 있도록 사전 마킹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상기 결속브라켓(20)의 설치는 600mm 내지 800mm로 간격으로 시공하여 캐리어(30)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벽체(10)에 고정 설치된 결속브라켓(20)으로부터 돌출된 결속볼트(210)가 캐리어(30)의 체결홀(300)을 각각 관통하도록 캐리어(30)를 배치한 후, 결속부재(40)를 상기 결속볼트(210)에 체결시켜, 상기 결속부재(40)가 결속브라켓(20)에 캐리어(30)를 결속시키면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재(40)의 체결부(4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에 체결되도록 하고, 몸체부(400)의 중공(401)에는 결속브라켓(20)의 결속볼트(210)가 회전 결합되어 결속브라켓(20)과 캐리어(30)가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결속부재(40)는 캐리어(30)의 체결홀(300)에 체결된 상태에서 너트부(4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4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결속볼트(210)가 결속부재(40)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 이동이 됨으로써 결속된 캐리어(30)가 함께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결속부재(40)의 조정을 통해 캐리어(30)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수행되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벽체(10)와 내외장재(60) 간의 간격이 균일해질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캐리어(30)에 대한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완료되면, M-Bar체결부재(70)를 이용하여 캐리어(3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M-Bar(50)를 상기 캐리어(30)에 체결한다.
상기 캐리어(30)와 M-Bar(50)의 고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황에 따라 또는 작업 목적에 따라 상기 캐리어(30)와 M-Bar(50)의 설치로 인해 형성되는 공간에 단열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캐리어(30) 및 M-Bar(50)에 의해 벽체틀의 시공이 완료되면, 석고보드 또는 판재와 같은 내외장재(60)를 M-Bar(50)에 결합시켜 벽체틀이 시공된 모든 영역을 마감한다.
한편 상기 체결부(420)의 다른 예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420)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상기 체결홀(300)의 개구된 폭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테이퍼(422) 형상을 가지며 하부의 직경이 상기 체결홀(300)의 개구된 폭과 같거나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체결부(420)는 이분등으로 절개되어 대칭을 이루도록 절개구(423)가 구성되어 상기 체결홀(30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 회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체결부(420)는 테이퍼(422) 형상과 절개구(423)에 의해 상기 체결홀(300)에 강제 끼움될 수 있으며, 상기 테이퍼(422) 형상이 체결홀(300)을 통과하게 되면 하부의 직경이 체결홀(300)의 개구된 폭과 같거나 작으므로 상기 체결홀(300)의 단면(301)과 대면하게 위치하여 캐리어(30)를 결속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420)는 캐리어(30)가 결속된 상태에서 자유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너트부(410)를 회전하는 것만으로 상기 몸체부(400)에 체결된 결속볼트(2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캐리어(30)의 수직방향 위치 이동이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Bar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캐리어에 M-Bar를 체결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Bar클립을 이용하여 캐리어에 M-Bar를 체결한 도면이다.
한편 상기 캐리어(30) 및 M-Bar(50)는 'c 찬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M-Bar(50) 및 캐리어(30)는 바닥면(330, 500)과 상기 바닥면(330, 500)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340, 350, 510, 520) 및 각 측면(340, 350, 510, 520)의 단부로부터 상기 바닥면(330, 500)을 향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360, 370, 530, 5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어(30) 및 M-Bar(50)는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c 찬넬'의 개구 부위(380, 550)가 서로 대면하도록 위치하면서 상기 M-Bar체결부재(7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M-Bar체결부재(7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30)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독립된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M-Bar체결부재(70)는 상기 M-Bar(50)의 개구 부위(550)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제 1체결면(700)과 상기 제 1체결면(700)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M-Bar(50)의 내부 공간(560)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제 2체결면(710)이 구비되며, 상기 캐리어(30)의 각 측면(340, 350)에서 상기 M-Bar(5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캐리어(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M-Bar체결부재(70)는 상기 캐리어(30)의 내부공간(390)에 수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상기 캐리어(30)의 바닥면(330)과 한 쌍의 측면(340, 350)을 감싸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M-Bar(50)의 개구 부위(550)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제 3체결면(720)과 상기 제 3체결면(720)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M-Bar(50)의 내부 공간(560)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제 4체결면(730)이 상기 M-Bar(50)를 향하는 일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M-Bar클립(7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M-Bar클립(740)는 앞서 고정된 형태를 갖는 실시 예의 M-Bar체결부재(70)와는 달리 임의로 캐리어(30)의 일 부위에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M-Bar클립(740)은 상기 M-Bar(50)의 배치 간격에 따라 임의로 캐리어(30)에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두 가지 실시 예에서 제 2체결면(710) 및 제 4체결면(730)의 양단에는 사선으로 절개된 절개단(750)이 구성되어 제 2체결면(710) 또는 제 4체결면(730)에 M-Bar(50)의 개구부위(550)가 용이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M-Bar(50)의 내부 공간(560)에서 수용되는 상기 제 2체결면(710) 또는 제 4체결면(730)이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벽체 20 : 결속브라켓
30 : 캐리어 40 : 결속부재
50 : M-Bar 60 : 내외장재
70 : M-Bar체결부재 200 : 플레이트
210 : 결속볼트 220 : 고정부재
300 : 체결홀 400 : 몸체부
401 : 중공 402 : 제 1나사산
410 : 너트부 420 : 체결부
421 : 제 2나사산 422 : 테이퍼
423 : 절개구 700 : 제 1체결면
710 : 제 2체결면 720 : 제 3체결면
730 : 제 4체결면 740 : M-Bar클립
750 : 절개단

Claims (9)

  1. 벽체의 시공면을 따라 고정부재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며 상기 벽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결속볼트를 구비하는 결속브라켓;
    상기 결속브라켓의 결속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캐리어;
    상기 결속볼트가 삽입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벽체에 고정 설치된 결속브라켓으로부터 캐리어의 체결홀을 관통한 결속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의 외주연으로부터 단면이 확장되는 너트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서 외주연의 일부 구간에 구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연에 있어 상기 너트부와 체결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형성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의 체결홀을 관통하는 결속볼트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홀의 일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브라켓으로부터 캐리어를 결속시키면서 상기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결속부재; 및
    상기 캐리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에 체결되는 M-Bar;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의 폭과 대응하는 피치를 갖는 제 2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제 2나사산이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에 나사 결합되면서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이 상기 회전부에 위치하여 상기 캐리어의 결속과 회전 가능한 상태가 확보되며,
    상기 너트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유 회전시켜 몸체부에 체결된 결속너트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속 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캐리어가 함께 수직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캐리어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속볼트가 관통된 상태에서 캐리어의 수직방향 조정과 더불어 수평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 M-Bar를 직교하도록 체결하는 M-Bar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M-Bar 및 캐리어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및 각 측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바닥면을 향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를 구비한 'c 찬넬' 형태로 구성되되 상호 개구 부위가 서로 대면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M-Bar체결부재는,
    상기 M-Bar의 개구 부위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제 1체결면과 상기 제 1체결면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M-Bar의 내부 공간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제 2체결면이 구비되며, 상기 캐리어의 각 측면에서 상기 M-Bar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캐리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M-Bar체결부재는,
    상기 캐리어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상기 캐리어의 바닥면과 한 쌍의 측면을 감싸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M-Bar의 개구 부위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제 3체결면과 상기 제 3체결면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M-Bar의 내부 공간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제 4체결면이 상기 M-Bar를 향하는 일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M-Bar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9. 삭제
KR1020180150451A 2018-11-29 2018-11-29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KR102055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451A KR102055650B1 (ko) 2018-11-29 2018-11-29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451A KR102055650B1 (ko) 2018-11-29 2018-11-29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650B1 true KR102055650B1 (ko) 2019-12-13

Family

ID=6884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451A KR102055650B1 (ko) 2018-11-29 2018-11-29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399B1 (ko) * 2019-12-24 2020-11-06 (주)조은건설 이중너트 구조를 이용한 수직방향 위치 조정형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184U (ja) * 1991-12-02 1993-06-22 株式会社クボタ 壁材の取付具
KR101066302B1 (ko) 2009-02-09 2011-09-20 주식회사 동성사 가변형 경량벽체
KR20140006280U (ko) * 2013-06-07 2014-12-17 주식회사 신아석재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
KR20170050657A (ko) * 2015-10-30 2017-05-11 이봉찬 M-Bar 보조클립 및 이를 사용한 경량벽체틀
JP3211482U (ja) * 2014-03-26 2017-07-20 ウムゼン エルティーディー. 建築構造物に物体を固定するためのナットと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184U (ja) * 1991-12-02 1993-06-22 株式会社クボタ 壁材の取付具
KR101066302B1 (ko) 2009-02-09 2011-09-20 주식회사 동성사 가변형 경량벽체
KR20140006280U (ko) * 2013-06-07 2014-12-17 주식회사 신아석재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
JP3211482U (ja) * 2014-03-26 2017-07-20 ウムゼン エルティーディー. 建築構造物に物体を固定するためのナットと方法
KR20170050657A (ko) * 2015-10-30 2017-05-11 이봉찬 M-Bar 보조클립 및 이를 사용한 경량벽체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399B1 (ko) * 2019-12-24 2020-11-06 (주)조은건설 이중너트 구조를 이용한 수직방향 위치 조정형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9030635B4 (de) Haltewinkel für ein Fassadensystem
KR20150072143A (ko) 무용접 하지 트러스 철물
US201302279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EP0710751A2 (de) Element zur Befestigung von Apparaten und Gegenständen auf einer aussenisolierten Gebäudefassade und dgl.
KR102055650B1 (ko)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EP3680533B1 (en) Profiled section element with stepped sidewall
JP2002161632A (ja) 床敷設構造
EP1793057B1 (de) Aufdopplungsprofil zur Erhöhung der Höhe eines Trägers
KR20110008010A (ko) 패널용 연결 요소
KR101533829B1 (ko) 다기능 빔 클램프
KR101755111B1 (ko) 결합용 홈볼트
KR102114047B1 (ko)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SK283628B6 (sk) Upevňovacie kovanie na pozdĺžne drážkované krycie lišty
KR102175399B1 (ko) 이중너트 구조를 이용한 수직방향 위치 조정형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914728B (zh) 一种墙板与层板的挂装结构
KR20170050657A (ko) M-Bar 보조클립 및 이를 사용한 경량벽체틀
KR101057832B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
KR102551781B1 (ko) 건축용 트러스 구조물 고정 브래킷
JP2018165451A (ja) 柵取付部材及び壁構造体
GB2412952A (en) An adjustable load-bearing bracket arrangement
KR20240020295A (ko) 앵커볼트 가이드형 건식 벽체용 앵커
JP4309961B1 (ja) 入隅連結金具
KR101803784B1 (ko) 위치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감재 구조물 고정구
KR20130113720A (ko) 경량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설치 방법
KR200331280Y1 (ko) 레벨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