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280U -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 - Google Patents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280U
KR20140006280U KR2020130004574U KR20130004574U KR20140006280U KR 20140006280 U KR20140006280 U KR 20140006280U KR 2020130004574 U KR2020130004574 U KR 2020130004574U KR 20130004574 U KR20130004574 U KR 20130004574U KR 20140006280 U KR20140006280 U KR 201400062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fastening
bracket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석주
문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아석재
문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아석재, 문수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아석재
Priority to KR2020130004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280U/ko
Publication of KR201400062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2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means for align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19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inserted into grooves i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04F13/0887Adhesiv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dhesive foils or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16B13/06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fastened by extracting a separate expander-part, actuated by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06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fastened by extracting a separate expander-part, actuated by the screw, nail or the like expanded in two or more places

Abstract

본 고안은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피체결물을 브라켓에 결합 고정시키되, 피체결물의 배면 상에 입구보다 바닥부 내경이 크게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는 앵커 볼트에 있어서,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삽입방향 말단 둘레에 형성되어 체결홈의 바닥부에 결착되는 제1 말단돌기 및 내주면에 암나사산 형성된 내부홀을 포함하는 앵커부; 외부 둘레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브라켓을 관통하여 앵커부의 내부홀에 나사체결되며 내부홀에 삽입됨에 따라 제1 말단돌기를 체결홈의 바닥부 측면에 밀착시키는 체결 볼트부; 및 체결 볼트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앵커부측 일면이 체결홈 주위 표면에 밀착되고 브라켓측 타면이 브라켓에 밀착되며 체결홈 주위 표면 상의 밀착지점으로부터 브라켓의 밀착면까지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앵커 볼트가 제안된다. 또한, 그를 이용한 석재 외장 패널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ANCHOR BOLT AND STONE EXTERIOR PANEL}
본 고안은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체결물과 브라켓의 체결시 피체결물의 정면으로부터 브라켓까지 일정 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소켓을 갖는 앵커 볼트 및 이를 이용하여 석재판의 정면으로부터 패널 브라켓까지 일정 거리가 유지되는 석재 외장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건축용 내외장재에서 석재를 사용한 패널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석재 패널은 통상 천연 석재판을 가공하여 패널을 제작하는데, 이때, 석재의 가공에 따라 두께가 각 패널 세그멘트별로 일부 오차가 생겨 모두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고, 하나의 세그멘트 내에서도 위치별로 두께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석재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용 외장 패널 벽체를 형성하는 경우, 벽체의 정면을 형성하는 석재판들의 두께가 달라 그대로 벽체를 시공하게 되면, 외부 벽면이 평평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벽체 시공 시에 각 패널별로 두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게 되고, 이에 따라, 공정이 복잡해지고, 공정비용이 많이 발생된다.
즉, 석재 패널의 석재판과 같은 피체결물과 브라켓을 체결하는데 있어서 피체결물과 브라켓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하여 피체결물의 정면으로부터 브라켓까지 일정 거리가 유지되도록 하는 작업을 다수의 피체결물 패널 조립 또는 시공시 수행하게 되면 공정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5665호 (2008년 12월 4일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피체결물과 브라켓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피체결물의 정면에서부터 브라켓까지 동일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는 앵커 볼트 및 그를 이용한 석재 외장 패널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피체결물을 브라켓에 결합 고정시키되, 피체결물의 배면 상에 입구보다 바닥부 내경이 크게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는 앵커 볼트에 있어서,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삽입방향 말단 둘레에 형성되어 체결홈의 바닥부에 결착되는 제1 말단돌기 및 내주면에 암나사산 형성된 내부홀을 포함하는 앵커부; 외부 둘레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브라켓을 관통하여 앵커부의 내부홀에 나사체결되며 내부홀에 삽입됨에 따라 제1 말단돌기를 체결홈의 바닥부 측면에 밀착시키는 체결 볼트부; 및 체결 볼트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앵커부측 일면이 체결홈 주위 표면에 밀착되고 브라켓측 타면이 브라켓에 밀착되며 체결홈 주위 표면 상의 밀착지점으로부터 브라켓의 밀착면까지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앵커 볼트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앵커부는 말단부 둘레에 앵커부의 삽입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말단부의 내부홀의 내주면 및 제1 말단돌기를 다수 세그먼트로 분할시키는 절개홈을 더 포함하고, 앵커부의 내부홀은 체결 볼트부의 미삽입 시 삽입방향 말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들고, 체결 볼트부가 내부홀로 삽입됨에 따라, 다수 세그먼트로 분할된 제1 말단돌기가 말단 둘레 방향으로 퍼지며 체결홈의 바닥부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앵커부는 체결 볼트부의 미삽입 시 제1 말단돌기의 외경이 체결홈의 입구 직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체결 볼트부는 무두 볼트이고, 앵커 볼트는 체결 볼트부 상에 브라켓 바깥에 체결되며 소켓의 브라켓측 타면에 브라켓을 밀착시키는 고정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앵커부는 삽입방향 반대측 말단 둘레에 체결홈의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소켓의 앵커부측 관통홀 부위에 또는 앵커부측 공간에 삽입되는 제2 말단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소켓의 관통홀은: 피체결물에서의 체결홈의 바닥으로부터 체결홈의 주위 표면까지의 깊이 차이에 따라 앵커부의 제2 말단돌기의 삽입 깊이가 변동될 수 있도록 소켓의 앵커부측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제1 관통홀; 및 제1 관통홀과 연통되며 체결 볼트부가 관통하도록 소켓의 브라켓측에 제1 관통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앵커부의 제2 말단돌기는 평면상 다각형 구조이고, 소켓의 제1 관통홀은 제2 말단돌기에 맞는 평면상 다각형 구조의 홀이고, 소켓은 브라켓측에 브라켓의 소켓홈에 삽입되는 삽입돌부를 구비하고, 제2 관통홀은 적어도 삽입돌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예에서, 소켓은 브라켓측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통되는 앵커부측 공간으로서 제2 말단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접착제 수용홈을 더 구비하고, 접착제 수용홈은 앵커부 및 체결 볼트부의 체결홈으로의 삽입 체결에 따라 체결홈과의 간극을 통해 체결홈으로부터 누출되는 접착제를 수용하고 피체결물의 배면에서의 접착제의 퍼짐 또는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라, 배면 상에 입구보다 바닥부 내경이 크게 형성된 다수의 체결홈 및 앵커 볼트의 소켓이 밀착되는 체결홈 주위 표면을 이루는 다수의 체결면을 구비하되, 정면으로부터 체결면 상의 소켓의 밀착지점까지 동일 두께를 갖는 석재판; 피체결물인 석재판을 패널 브라켓에 결합 고정시키되, 석재판의 배면 상의 체결홈에 체결된 전술한 본 고안의 어느 하나 예에 따른 다수의 앵커 볼트; 및 앵커 볼트의 체결 볼트부에 의해 관통되고 앵커 볼트의 소켓에 밀착되며, 앵커 볼트에 의해 석재판의 정면으로부터 동일 거리를 유지하며 석재판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패널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석재 외장 패널이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체결면은 배면에 일차로 형성된 홈의 바닥면이고, 체결홈은 체결면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앵커 볼트의 앵커부는 삽입방향 반대측 말단 둘레에 체결홈의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소켓의 일측 관통홀 부위에 삽입되는 제2 말단돌기를 더 포함하고, 소켓의 관통홀은: 피체결물에서의 체결홈의 바닥으로부터 체결홈의 주위 표면까지의 깊이 차이에 따라 앵커부의 제2 말단돌기의 삽입 깊이가 변동될 수 있도록 소켓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관통홀; 및 제1 관통홀과 연통되며 체결 볼트부가 관통하도록 소켓의 타측에 제1 관통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에서, 앵커 볼트의 앵커부는 삽입방향 반대측 말단 둘레에 체결홈의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소켓의 앵커부측 공간에 삽입되는 제2 말단돌기를 더 포함하고, 석재판의 체결홈 내에 앵커부와 체결홈과의 고정 결합을 위한 접착제가 삽입되고, 소켓은 패널 브라켓측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통되는 앵커부측 공간으로서 제2 말단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접착제 수용홈을 더 구비하고, 접착제 수용홈은 앵커부 및 체결 볼트부의 체결홈으로의 삽입 체결에 따라 체결홈과의 간극을 통해 체결홈으로부터 누출되는 접착제를 수용하고 석재판의 배면에서의 접착제의 퍼짐 또는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석재 외장 패널은 석재판의 배면 측에 형성된 단열판을 더 포함하는 복합 패널이고, 패널 브라켓의 앵커 볼트 체결부위가 단열판의 정면에 배치되도록 패널 브라켓은 단열판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형성되고, 패널 브라켓의 앵커 볼트 체결부위로부터 단열판의 배면까지 일정한 동일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패널 브라켓은 복합 패널 조립 시 이웃하는 상측, 하측 또는 상하측 복합 패널의 패널 브라켓들과 암수 체결되고, 복합 패널 조립 시 석재판의 정면이 이웃 복합 패널의 석재판의 정면과 동일 수직 평면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패널 브라켓은 소켓의 적어도 패널 브라켓 방향측을 수용하는 소켓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피체결물과 브라켓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피체결물의 정면에서부터 브라켓까지 동일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석재 가공에 따라 생기는 두께 편차를 제거하고 손쉽게 석재판들의 정면이 동일 평면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a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a에 따른 앵커 볼트의 앵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a에 따른 앵커 볼트의 소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3b 및 3c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를 석재판에 체결한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 패널의 구조물에의 고정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면', '전면' 및 '배면'은 고정된 방향의 표면이 아니라 기준에 따라 달라지는 개념으로 사용이고, 통상 도면 상에서 하나의 기준에 따라 구분된다. 또한, '정면' 및 '전면'은 동일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고안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는 도 1a에 따른 앵커 볼트의 앵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a에 따른 앵커 볼트의 소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a, 3b 및 3c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를 석재판에 체결한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1b,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른 앵커 볼트(10)를 살펴보면, 앵커 볼트(10)는 피체결물(20)을 브라켓(30)에 결합 고정시킨다. 이때, 앵커 볼트(10)는 피체결물(20)의 배면 상에 입구보다 바닥부 내경이 크게 형성된 체결홈(23)에 체결된다. 예컨대, 피체결물(20)은 건축재로 사용되는 외장 패널 보드일 수 있고, 예컨대 석재판(20)일 수 있다. 도 3a, 3b 및 3c에서, 피체결물의 예로 석재판(20)이 도시되고 있으나, 본 고안에서 피체결물은 석재판(20)에 한정해석되지 않고, 다양한 피체결물, 예컨대 다양한 건축 외장 패널보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a, 3b 및 3c의 석재판(20)은 다양한 건축 외장 패널보드의 하나의 예시일뿐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앵커 볼트(10)가 체결되는 피체결물에 대하여 도 3a, 3b 및 3c에 예시된 석재판(20)을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에 따른 앵커 볼트(10)가 체결되는 피체결물의 범위가 석재판(20)에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앵커 볼트(10)와 체결되는 피체결물, 예컨대 도 3a, 3b 및 3c의 석재판(20)의 배면에는 체결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피체결물의 배면, 예컨대 도 3a, 3b 및 3c의 석재판(20)의 배면에 형성된 체결홈(23)은 입구보다 체결홈(23) 내부 바닥부 내경이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체결홈(23) 구조는 앵커 볼트(10)의 앵커부 말단이 밀착되어 앵커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하나의 예에 따른 앵커 볼트(10)는 앵커부(11), 체결 볼트부(13) 및 소켓(15)을 포함하고 있다. 예컨대, 앵커부(11) 및 체결 볼트부(13)의 재질은 금속재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그의 합금 재질일 수 있고, 소켓(15)의 재질은 예컨대 수지재질일 수 있다. 도 1a, 1b, 2a, 2b,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여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a, 1b, 2a,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면, 앵커 볼트(10)의 앵커부(11)는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체결홈(2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앵커부(11)는 제1 말단돌기(111) 및 내부홀(113)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말단돌기(111)는 앵커부(11)의 삽입방향 말단 둘레에 형성되며, 앵커부(11)는 체결홈(23)으로의 삽입 고정에 따라 체결홈(23)의 바닥부에 결착된다. 제1 말단돌기(111)는 앵커부(11)의 말단 둘레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앵커부(11)의 내부홀(113)은 앵커부(11)의 삽입방향을 따라 관통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 형성되어 있다. 앵커부(11)의 내부홀(113)에 형성된 암나사산은 체결 볼트부(13)가 삽입되며 나사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앵커부(11)의 내부홀(113)로 체결 볼트부(13)가 삽입되면 내부홀(113)의 말단 외곽 둘레에 형성된 제1 말단돌기(111)가 둘레방향으로 퍼지며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체결홈(23)의 바닥부 측면(23a)에 밀착 결합되게 된다. 예컨대, 내부홀(113)에 형성된 암나사산은 내부홀(113)의 내주면 전체에 또는 앵커부(11)의 머리부분, 예컨대 제2 말단돌기(117) 부분에 대응하는 내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내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내부홀(113)에 형성된 암나사산은 적어도 절개홈(115)이 형성된 구간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a, 1b, 2a,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나의 예에 따른 앵커 볼트(10)의 앵커부(11)는 절개홈(115)을 더 포함하고 있다. 절개홈(115)은 앵커부(11) 말단부 둘레에 앵커부(11)의 삽입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된다. 이때, 절개홈(115)은 앵커부(11) 말단부의 내부홀(113)의 내주면 및 제1 말단돌기(111)를 다수 세그먼트로 분할시킨다. 이때, 앵커부(11)의 내부홀(113)은 체결 볼트부(13)의 미삽입 시 삽입방향 말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들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체결 볼트부(13)가 내부홀(113)로 삽입됨에 따라, 다수 세그먼트로 분할된 제1 말단돌기(111)가 말단 둘레 방향으로 퍼지며 체결홈(23)의 바닥부 측면(23a)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도 1a, 1b, 2a,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앵커부(11)는 체결 볼트부(13)의 미삽입 시 제1 말단돌기(111)의 외경이 체결홈(23)의 입구 직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앵커 볼트(10)의 체결 시, 앵커부(11)가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체결홈(23)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앵커부(11)의 절개홈(115)은 예컨대 도 1b를 참조하면 앵커부(11)의 머리부, 예컨대 제2 말단돌기(117)의 하단까지 형성되거나, 또는 예컨대 도 1a 또는/및 2a를 참조하면 앵커부(11)의 머리부, 예컨대 제2 말단돌기(11)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더 내려간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피체결물, 예를 들면 석재판(20)의 두께가 얇아 체결홈(23)의 깊이가 낮은 경우, 앵커부(11)의 길이가 짧은 앵커볼트(10)를 사용하게 되므로, 이때 절개홈(115)이 제2 말단돌기(117) 하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 1b, 2a,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앵커부(11)는 제2 말단돌기(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말단돌기(117)는 삽입방향 반대측 말단 둘레에 체결홈(23)의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제2 말단돌기(117)는 앵커 볼트(10)의 소켓(15)의 앵커부측의 관통홀(151) 부위에 또는 앵커부측 공간(155)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a 및 3b에서는 제2 말단돌기(117)가 소켓(15)의 앵커부측의 관통홀(151) 부위, 예컨대 도 3a에서의 제1 관통홀(151a)에 삽입되는 것이 도시되고 있고, 도 3c에서는 제2 말단돌기(117)가 소켓(15)의 앵커부측의 공간, 예컨대 접착제 수용홈(155)에 삽입되는 것이 도시되고 있다. 제2 말단돌기(117)의 크기가 체결홈(23)의 입구 직경보다 크므로, 앵커부(11)의 최대 삽입 깊이는 삽입방향 말단에서부터 제2 말단돌기(117) 전까지이다. 제2 말단돌기(117)는 소켓(15)의 앵커부측의 관통홀(151) 부위, 예컨대 도 3a에서의 제1 관통홀(151a)에, 또는 소켓(15)의 앵커부측 공간, 예컨대 도 3c에서의 접착제 수용홈(155)에 삽입되므로, 바람직하게, 앵커 볼트(10)에 의해 체결되는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배면에 형성된 체결홈(23)의 입구부터 바닥까지의 깊이는 앵커부(11)의 최대 삽입 깊이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a, 1b,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면, 앵커부(11)의 제2 말단돌기(117)는 평면상 다각형 구조, 예컨대 육각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소켓(15)의 관통홀(151),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2b 및/또는 3a에서의 제1 관통홀(151a)은 제2 말단돌기(117)에 맞는 평면상 다각형 구조, 예컨대 육각 구조의 홀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a, 1b,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여, 앵커 볼트(10)의 체결 볼트부(13)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체결 볼트부(13)는 외부 둘레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 볼트부(13)는 브라켓(30)을 관통하여 앵커부(11)의 내부홀(113)에 나사체결된다. 도 3b 및 3c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았으나, 도 3a에서와 마찬가지로, 체결 볼트부(13)는 브라켓(30)을 관통한다. 또한, 체결 볼트부(13)는 내부홀(113)에 삽입됨에 따라 앵커부(11)의 제1 말단돌기(111)를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체결홈(23)의 바닥부 측면(23a)에 밀착시킨다. 예컨대, 다수 세그먼트로 절개되며 삽입방향 말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든 앵커부(11)의 내부홀(113)로 체결 볼트부(13)가 삽입됨에 따라, 앵커부(11)의 내부홀(113) 직경이 확장되며 앵커부(11)의 말단 둘레에 다수 세그먼트로 분할되어 형성된 제1 말단돌기(111)를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배면 체결홈(23)의 바닥부 측면(23a)에 밀착시켜 앵커부(11)를 체결홈(23)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 볼트부(13)는 예컨대 도 1a, 1b, 3a, 3b 또는/및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두 볼트이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 직경보다 돌출된 머리가 있는 볼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두 볼트는 볼트몸체 직경보다 큰 돌출부위가 없는 볼트를 말한다. 예컨대, 체결 볼트부(13)가 무두 볼트인 경우 머리측 말단에 육각, 사각 등의 렌치용 홈(13a)이 형성되거나 볼트몸체 직경보다 작은 사이즈의 육각, 사각 등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a, 1b,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체결 볼트부(13)는 무두 볼트이다. 이때, 앵커 볼트(10)는 고정 너트(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앵커 볼트(10)의 고정 너트(17)는 체결 볼트부(13) 상에 브라켓(30) 바깥에 체결되며 소켓(15)의 브라켓측 타면에 브라켓(30)을 밀착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a, 1b, 2b,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여, 앵커 볼트(10)의 소켓(15)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소켓(15)은 체결 볼트부(13)가 관통하는 관통홀(151)을 구비한다. 또한, 소켓(15)의 일면, 구체적으로 앵커부측 일면이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체결홈 주위 표면, 예컨대 체결면(21)에 밀착된다. 또한, 소켓(15)의 타면, 구체적으로 브라켓측 타면이 브라켓(30)에 밀착된다. 이때, 소켓(15)은 체결홈 주위 표면 상의 밀착지점으로부터 브라켓(30)의 밀착면까지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예컨대, 소켓(15)은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소켓(15)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배면에 형성된 체결홈 주위 표면, 예컨대 체결면(21) 상의 소켓(15)의 밀착지점 또는 밀착부위가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정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 본 구성인 소켓(15)이 구비된 앵커 볼트(10)를 이용하여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과 브라켓(30)을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정면으로부터 브라켓(30), 예컨대 패널 브라켓(30)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앵커 볼트(10)에 의해 브라켓(30), 예컨대 패널 브라켓(30)과 결합된 석재판(20)을 구조물(200)에 고정 설치하며 조립하는 경우 석재판(20)들의 두께 오차에 따른 별도의 보정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다수의 석재판(20)의 정면이 동일 수직 평면을 이루도록 하여 손쉽고 간편하게 석재 외장 패널 벽체를 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소켓(15)은 앵커부측 공간을 구비하고, 소켓(15)의 앵커부측 공간은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배면에서 돌출된 앵커부(11)의 머리부, 예컨대 제2 말단돌기(117)를 커버할 수 있다. 예컨대, 소켓(15)의 앵커부측 공간, 예컨대 도 1a 또는/및 도 3a에 도시된 제1 관통홀(151a) 공간 또는 도 1b 또는/및 도 3c에 도시된 접착제 수용홈(155)은 앵커부(11)의 머리부, 예컨대 제2 말단돌기(117)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도 1a, 2b,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소켓(15)의 관통홀(151)은 제1 관통홀(151a) 및 제2 관통홀(15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관통홀(151b)은 제1 관통홀(151a)과 연통된다. 제1 관통홀(151a)은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에서의 체결홈(23)의 바닥으로부터 체결홈(23)의 주위 표면, 예컨대 체결면(21)까지의 깊이 차이에 따라 앵커부(11)의 제2 말단돌기(117)의 삽입 깊이가 변동될 수 있도록 소켓(15)의 앵커부측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제2 관통홀(151b)은 제1 관통홀(151a)과 연통되며 체결 볼트부(13)가 관통하도록 소켓(15)의 브라켓측에 형성된다. 이때, 제2 관통홀(151b)의 내경은 제1 관통홀(151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관통홀(151a)과 제2 관통홀(151b)은 단차진 연통된 홀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 관통홀(151a)에 삽입되는 앵커부(11)의 제2 말단돌기(117)의 삽입깊이가 한정되게 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소켓(15)의 제1 관통홀(151a)은 제2 말단돌기(117)에 맞는 평면상 다각형 구조의 홀일 수 있다. 이때, 소켓(15)은 브라켓측에 브라켓(30)의 소켓홈(35)에 삽입되는 삽입돌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관통홀(151b)은 적어도 삽입돌부(153)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소켓(15)이 브라켓측의 삽입돌부(153)와 앵커부측의 몸통 또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관통홀(151a)은 몸통에 형성되고, 제2 관통홀(151b)은 적어도 삽입돌부(153)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관통홀(151b)은 삽입돌부(153)와 삽입돌부측 몸통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제1 관통홀(151a)은 몸통의 나머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브라켓(30)과 밀착되는 소켓(15)의 브라켓측 타면은 몸통 표면이거나 또는 삽입돌부(153) 말단면일 수 있다. 예컨대, 소켓(15)의 몸통의 브라켓측 표면이 브라켓(30)의 소켓홈(35)의 돌출면에 밀착될 수 있고, 또는, 소켓(15)의 삽입돌부(153) 말단면이 브라켓(30)의 소켓홈(35)의 홈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b 및/또는 3c를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앵커볼트(10)를 살펴본다. 도 1b 및/또는 3c를 참조하면, 소켓(15)은 브라켓측에 형성된 관통홀(151)과 연통되는 앵커부측 공간으로서 제2 말단돌기(117)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접착제 수용홈(15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 수용홈(155)은 앵커부(11) 및 체결 볼트부(13)의 체결홈(23)으로의 삽입 체결에 따라 체결홈(23)과의 간극을 통해 체결홈(23)으로부터 누출되는 접착제(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한다. 또한, 접착제 수용홈(155)은 누출되는 접착제의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배면에서의 퍼짐 또는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체결홈(23)의 깊이가 깊지 않으므로 앵커 볼트(10)의 삽입 깊이가 낮다. 따라서 앵커 볼트(10)에 의한 고정 결착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체결홈(23) 내에 접착제를 주입시킨 후 앵커볼트(10)를 체결하여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접착제 수용홈(155)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의 흘러내림이나 퍼짐을 막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접착제에 의한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른 석재 외장 패널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앵커 볼트에 대한 설명 및 도 1a, 1b, 2a 및 2b가 참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고, 생략된 설명은 전술한 앵커 볼트에 대한 설명들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a, 3b 및 3c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 볼트를 석재판에 체결한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 패널의 구조물에의 고정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3b, 3c, 4 또는/및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석재 외장 패널(100)은 석재판(20), 다수의 앵커 볼트(10) 및 다수의 패널 브라켓(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a, 3b, 3c, 4 또는/및 5를 참조하여 각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a, 3b, 3c, 4 또는/및 5를 참조하면, 석재 외장 패널(100)의 석재판(20)은 배면 상에 다수의 체결홈(23) 및 다수의 체결면(21)을 구비하고 있다. 다수의 체결홈(23)은 석재판(20)의 배면 상에 입구보다 바닥부 내경이 크게 형성된다. 다수의 체결면(21)은 각 체결홈 주위 표면을 이룬다. 이때, 체결면(21)을 이루는 체결홈 주위 표면에 앵커 볼트(10)의 소켓(15)이 밀착된다. 이때, 석재판(20)은 석재판(20)의 정면으로부터 체결면(21) 상의 소켓(15)의 밀착지점까지 동일 두께를 갖는다. 한편, 석재판(20)의 재질은 천연석재이거나 세라믹 석재이거나 천연석재와 세라믹 복합 석재일 수 있다. 석재판(20)의 재질이 천연석재인 경우 예컨대 화강암 재질이거나 천연 대리석 등일 수 있다.
또한, 도 3a, 3b, 3c, 4 또는/및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체결면(21)은 배면에 일차로 형성된 홈의 바닥면일 수 있다. 이때, 체결홈(23)은 체결면(21)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두께가 두터운 석재판(20)의 배면을 그라인더 등으로 그라인딩하거나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소정의 예정된 두께의 초과 부분을 깎아내어 체결홈 주위 표면을 이루는 체결면(2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앵커 볼트(10)의 소켓(15)의 밀착지점이 정면으로부터 동일 두께를 갖도록 체결면(21)을 석재판(20)의 배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체결홈(23)은 일측만 오픈되고 타측은 막힌 구조로 형성된다.
석재 외장 패널(100)에 사용되는 석재판(20)은 평평하게 가공 혹은 제작된 석재판(20)을 사용한다. 이때, 석재판(20)으로 사용되는 천연석재는 평평한 판재로 제작시 판재 두께가 일정하게 가공하기가 어렵다. 일반적으로 석재 외장 패널에 사용되는 천연 석재판은 각각의 판재별로 두께가 상이하게 가공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가공 두께 오차를 갖는 석재판(20)을 그대로 사용하여 석재 외장 패널을 제조하여 패널 벽체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패널 벽체 면이 석재 외장 패널의 세그먼트별로 돌출되거나 들어가게 되어 평탄하지 않게 되어 동일한 수직면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석재 외장 패널을 가지고 패널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석재판(20)의 두께 오차를 보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또는 석재 외장 패널 제조 시에 하나하나 패널에 대해 두께 오차를 보정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종래에는, 통상적으로 석재 외장 패널을 사용한 벽체 시공시에 두께 오차를 보정하고 있었으나, 본 고안에 따라, 벽체 시공될 각 석재 외장 패널(100)에 대하여, 석재판(20)의 정면으로부터 체결홈 주위 표면의 소켓(15)의 밀착지점까지 동일 두께를 유지하도록 하고, 소켓(15)을 포함하는 앵커 볼트(10)를 사용하여 소켓(15)의 밀착지점으로부터 패널 브라켓(30)까지 동일 이격 거리를 갖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석재판(20)의 두께 오차 보정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그에 따라, 패널 벽체 시공이 간편해지고 쉽게 벽체 정면이 동일 수직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3b, 3c, 4 또는/및 5를 참조하여 석재 외장 패널(100)의 다수의 앵커 볼트(10)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다수의 앵커 볼트(10)는 피체결물인 석재판(20)을 패널 브라켓(30)에 결합 고정시키고, 석재판(20)의 배면 상의 체결홈(23)에 체결된다. 체결홈(23)에 앵커부(11)가 삽입되어 체결홈(23)의 바닥부 측면(23a)에 밀착되게 앵커 볼트(10)로 석재판(10)을 결착시킬 수 있고, 또는, 예컨대, 체결홈(23)에 접착제 등을 채우고 앵커부(11)를 삽입시켜 앵커부(11)와 체결홈(23) 사이가 더욱 공고하게 결착되도록 앵커 볼트(10)를 체결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석재판(20)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체결홈(23)의 깊이가 낮고 그에 따라 앵커부(11)의 삽입 깊이도 낮으므로, 체결홈(23) 내에 접착제가 충전(充塡)된 후 앵커볼트(10)를 삽입시켜 고정 체결할 수 있고, 이때, 접착제가 앵커부(11)와 체결홈(23)을 접착시켜 고정 결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 1b, 3a, 3b, 3c 또는/및 4를 참조하면, 앵커 볼트(10)는 앵커부(11), 체결 볼트부(13) 및 소켓(15)을 포함하고 있다. 예컨대, 도 4 또는/및 5를 참조하면, 앵커 볼트(10)는 석재판(20)의 체결홈 수에 맞추어 상측에 2조, 하측에 2조가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하게 수량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은 앵커 볼트(10)에 대한 설명들은 전술한 앵커 볼트(10)의 실시예 및 도 1a, 1b, 2a, 2b, 3a, 3b 및 3c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앵커 볼트(10)의 앵커부(11)는 체결홈(2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앵커부(11)는 제1 말단돌기(111) 및 내부홀(113)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말단돌기(111)는 앵커부(11)의 삽입방향 말단 둘레에 형성되며, 앵커부(11)의 체결홈(23)에의 삽입 고정에 따라 체결홈(23)의 바닥부에 결착된다. 앵커부(11)의 내부홀(113)은 앵커부(11)의 삽입방향을 따라 관통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 형성되어 있다. 앵커부(11)의 내부홀(113)에 형성된 암나사산은 체결 볼트부(13)가 삽입되며 나사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도 1a, 1b, 2a,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면, 앵커 볼트(10)의 앵커부(11)는 절개홈(115)을 더 포함하고 있다. 절개홈(115)은 앵커부(11) 말단부 둘레에 앵커부(11)의 삽입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된다. 이때, 절개홈(115)은 앵커부(11) 말단부의 내부홀(113)의 내주면 및 제1 말단돌기(111)를 다수 세그먼트로 분할시킨다. 이때, 앵커부(11)의 내부홀(113)은 체결 볼트부(13)의 미삽입 시 삽입방향 말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들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체결 볼트부(13)가 내부홀(113)로 삽입됨에 따라, 다수 세그먼트로 분할된 제1 말단돌기(111)가 말단 둘레 방향으로 퍼지며 체결홈(23)의 바닥부 측면(23a)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앵커부(11)는 체결 볼트부(13)의 미삽입 시 제1 말단돌기(111)의 외경이 체결홈(23)의 입구 직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앵커부(11)는 삽입방향 반대측 말단 둘레에 체결홈(23)의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제2 말단돌기(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말단돌기(117)는 앵커 볼트(10)의 소켓(15)의 일측, 예컨대 앵커부측의 관통홀(151) 부위, 예컨대 도 3a의 제1 관통홀(151a), 또는 앵커부측 공간, 예컨대 도 3c의 접착제 수용홈(155)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 3a의 제1 관통홀(151a), 또는 앵커부측 공간, 예컨대 도 3c의 접착제 수용홈(155)은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배면에서 돌출된 앵커부(11)의 머리부, 예컨대 제2 말단돌기(117)를 커버한다.
또한, 도 1a, 1b,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면, 앵커 볼트(10)의 체결 볼트부(13)는 외부 둘레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 볼트부(13)는 패널 브라켓(30)을 관통하여 앵커부(11)의 내부홀(113)에 나사체결된다. 이때, 체결 볼트부(13)는 내부홀(113)에 삽입됨에 따라 앵커부(11)의 제1 말단돌기(111)를 석재판(20)의 체결홈(23)의 바닥부 측면(23a)에 밀착시킨다. 예컨대, 체결 볼트부(13)는 무두 볼트이거나 또는 몸체 직경보다 돌출된 머리가 있는 볼트일 수 있고, 하나의 예에서, 체결 볼트부(13)가 무두 볼트인 경우 앵커 볼트(10)는 고정 너트(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앵커 볼트(10)의 고정 너트(17)는 체결 볼트부(13) 상에 패널 브라켓(30) 바깥에 체결되며 소켓(15)의 브라켓측 타면에 패널 브라켓(30)을 밀착시킬 수 있다.
게다가, 도 1a, 1b, 2b,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면, 앵커 볼트(10)의 소켓(15)은 체결 볼트부(13)가 관통하는 관통홀(151)을 구비한다. 소켓(15)의 앵커부측 일면이 석재판(20)의 체결홈 주위 표면, 예컨대 체결면(21)에 밀착되고, 소켓(15)의 브라켓측 타면이 패널 브라켓(30)에 밀착된다. 이때, 소켓(15)은 체결홈 주위 표면 상의 밀착지점으로부터 패널 브라켓(30)의 밀착면까지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소켓(15)이 구비된 앵커 볼트(10)를 이용하여 석재판(20)과 패널 브라켓(30)을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석재판(20)의 정면으로부터 패널 브라켓(30)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외장 패널(100)을 구조물(200)에 고정/조립/설치하는 경우 석재판(20)들의 두께 오차에 따른 별도의 보정 작업 없이도 손쉽게 다수의 석재판(20)의 정면이 동일 수직 평면을 이루도록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a, 2b, 3a, 3b 또는/및 3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앵커 볼트(10)의 소켓(15)의 관통홀(151)은 제1 관통홀(151a) 및 제2 관통홀(15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관통홀(151a)은 석재판(20)에서의 체결홈(23)의 바닥으로부터 체결홈(23)의 주위 표면, 예컨대 체결면(21)까지의 깊이 차이에 따라 앵커부(11)의 제2 말단돌기(117)의 삽입 깊이가 변동될 수 있도록 소켓(15)의 일측, 예컨대 앵커부측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제2 관통홀(151b)은 제1 관통홀(151a)과 연통되며 체결 볼트부(13)가 관통하도록 소켓(15)의 타측, 예컨대 패널브라켓측에 형성된다. 이때, 제2 관통홀(151b)의 내경은 제1 관통홀(151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관통홀(151a)과 제2 관통홀(151b)은 단차진 연통된 홀을 형성한다.
예컨대, 도 1b 및/또는 3c를 참조하면, 앵커 볼트(10)의 앵커부(11)는 삽입방향 반대측 말단 둘레에 체결홈(23)의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소켓(15)의 앵커부측 공간에 삽입되는 제2 말단돌기(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석재판(20)의 체결홈(23) 내에, 앵커부(11)와 체결홈과의 고정 결합을 위한 접착제(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어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도 1b 및/또는 3c를 참조하면, 소켓(15)은 패널브라켓측에 형성된 관통홀(151)과 연통되는 앵커부측 공간으로서 제2 말단돌기(117)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접착제 수용홈(15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접착제 수용홈(155)은 앵커부(11) 및 체결 볼트부(13)의 체결홈(23)으로의 삽입 체결에 따라 체결홈(23)과의 간극을 통해 체결홈(23)으로부터 누출되는 접착제(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한다. 또한, 접착제 수용홈(155)은 누출되는 접착제의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배면에서의 퍼짐 또는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석재판(20)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체결홈(23)의 깊이가 깊지 않으므로 앵커 볼트(10)의 삽입 깊이가 낮다. 따라서 앵커 볼트(10)에 의한 고정 결착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체결홈(23) 내에 접착제를 주입시킨 후 앵커볼트(10)를 체결하여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접착제 수용홈(155)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의 흘러내림이나 퍼짐을 막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접착제에 의한 피체결물, 예컨대 석재판(20)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3b, 3c, 4 또는/및 5를 참조하여 석재 외장 패널(100)의 다수의 패널 브라켓(30)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패널 브라켓(30)은 앵커 볼트(10)의 체결 볼트부(13)에 의해 관통되고 앵커 볼트(10)의 소켓(15)에 밀착된다. 이때, 패널 브라켓(30)은 앵커 볼트(10)에 의해 석재판(20)의 정면으로부터 동일 거리가 유지되며 석재판(20)을 고정시킨다. 예컨대, 패널 브라켓(30)은 금속재,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그의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3a, 3b, 4 또는/및 5를 참조하면, 패널 브라켓(30)은 소켓(15)의 적어도 패널 브라켓 방향측, 예컨대, 적어도 소켓(15)의 삽입돌부(153)를 수용하는 소켓홈(35)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소켓(15)이 브라켓 방향측에 몸체보다 직경이 작은 삽입돌부(153)를 구비하는 경우, 패널 브라켓(30)의 소켓홈(35)은 예컨대 소켓(15)의 삽입돌부(153)를 수용하는 홈일 수 있고, 이때, 소켓(15)의 삽입돌부(153)가 패널 브라켓(30)의 소켓홈(35)에 밀착되거나 삽입돌부(153) 주위의 소켓(15)의 몸체가 패널 브라켓(30)의 소켓홈(35)의 측면을 형성하는 돌기면 상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소켓(15)이 삽입돌부(153) 없이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진 경우, 패널 브라켓(30)의 소켓홈(35)은 소켓(15)의 패널 브라켓 방향측을 수용하고, 소켓(15)의 말단이 패널 브라켓(30)의 소켓홈(35)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도 4 또는/및 5를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석재 외장 패널(100)은 석재판(20)의 배면 측에 형성된 단열판(40)을 더 포함하는 복합 패널일 수 있다. 예컨대, 단열판(40)은 도 4 또는/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판(20)의 배면측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시된 바와 달리 석재판(20)의 배면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단열판(40)은 케이스가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도 4 또는/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없이 바로 석재판(20)의 배면측에 부착되고 패널 브라켓(30)에 의해 석재 외장 패널(100)이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열판(40)은 예컨대 폴리우레탄 폼이나 페놀수지를 발포시켜 형성할 수 있고, 기타 다양한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패널 브라켓(30)의 앵커 볼트(10) 체결부위가 단열판(40)의 정면에 배치되도록 패널 브라켓(30)은 단열판(40)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부호 30a는 하부 패널 브라켓이고, 30b는 상부 패널 브라켓이다. 이때, 석재 외장 패널(100)은 패널 브라켓(30)의 앵커 볼트(10) 체결부위로부터 단열판(40)의 배면까지 일정한 동일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석재판(20)의 정면에서부터 앵커 볼트(10)의 소켓(15)의 밀착지점까지 동일 두께로 이루어지고, 소켓(15)의 밀착지점으로부터 패널 브라켓(30)까지 일정한 동일 이격 거리가 유지되므로, 동일 두께의 단열판(40)이 석재판(20) 배면측에 형성된 경우에 석재판(20)의 정면으로부터 단열판(40) 배면까지 일정한 동일 두께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패널 벽체 시공 시 각 석재판(20)들의 두께 오차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오차 보정 작업 없이 간편하고 손쉽게 석재판(20)들의 정면이 동일 수직 평면을 이루는 패널 벽체를 시공/조립할 수 있다.
이때, 도 4 또는/및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패널 브라켓(30)은 복합 패널 조립 시 이웃하는 상측, 하측 또는 상하측 복합 패널의 패널 브라켓들(30)과 암수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석재 외장 패널(100)의 조립 시 손쉽게 패널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고, 더불어 패널 벽체 시공을 위한 석재 외장 패널(100)의 암수 체결 조립만으로 석재판(20)의 정면으로부터 패널 브라켓(30)까지 동일 두께가 유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합 패널 조립 시 석재판(20)들의 정면이 이웃 복합 패널의 석재판(20)의 정면과 동일 수직 평면이 유지되며 패널 벽체의 정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 또는/및 5를 참조하면, 패널 조립 시 이웃하는 상측, 하측 또는 상하측 패널의 브라켓들(30, 30a, 30b)과 암수 체결되는 패널 브라켓(30)은 암수 결합 가능하도록 수용홈(31) 또는 삽입돌기(33)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암수 체결되는 하부 패널 브라켓(30b)는 삽입돌기(33)를 구비하고, 이에 상응하여 체결되는 상부 패널 브라켓(30a)는 수용홈(30a)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패널 벽체 시공시 최외각 복합 패널을 형성하는 석재 외장 패널의 하부 패널 브라켓(30b')은 삽입돌기와 같은 돌출부위가 없도록, 예컨대 수용홈(31)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면, 패널 브라켓(30)은 소켓(15)의 적어도 패널 브라켓 방향측, 예컨대, 적어도 소켓(15)의 삽입돌부(153)를 수용하는 소켓홈(3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고안에 따른 석재 외장 패널들(100) 및 각 석재 외장 패널(100)을 구조물(200)에 지지시키는 다수의 고정 브라켓(50)을 이용하여 석재 외장 패널 조립 벽체 시공 시, 다수의 석재 외장 패널들(100)은 적어도 상하방향으로 암수 결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브라켓(50)은 석재 외장 패널(100)의 단열판(40)의 배면 측에 일측이 체결되고 타측이 구조물(200)에 고정 결합되며 석재 외장 패널(100)을 구조물(200)에 지지시킬 수 있다. 구조물(200)은 건물 벽체 자체이거나, 건물 벽체에 설치된 프레임이거나, 건물의 슬라브 구조물 등일 수 있다. 예컨대, 고정 브라켓(50)은 단열판(40) 배면에 형성된 브라켓과 결합되거나 단열판 케이스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 브라켓(50)과 결합되는 단열판(40) 배면에 형성된 브라켓은 별도 브라켓이거나 또는 앵커 볼트(10)를 이용하여 석재판(20)을 고정 지지시키는 패널 브라켓(30)의 일부일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50)과 결합되는 단열판(40) 배면에 형성된 브라켓이 앵커 볼트(10)를 이용하여 석재판(20)을 고정 지지시키는 패널 브라켓(30)의 일부인 경우, 적어도 후방측, 또는 후방측 및 노출되는 상측 또는 하측에 고정 브라켓(50)과 체결되는 체결수단(60)을 고정하기 위한 홈(37)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체결수단(60)은 홈(37)에 삽입되는 단면 사다리꼴 형상의 너트(63)와 체결볼트(6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50)과 구조물(200)은 체결수단(60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고정 브라켓(50)은 하나의 'L'자 또는 '┏┛'자 등의 구조일 수 있고,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L'자형 구조가 연결된 것(50a, 50b)일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0 : 앵커 볼트 11 : 앵커부
111 : 제1 말단돌기 113 : 내부홀
115 : 절개홈 117 : 제2 말단돌기
13 : 체결 볼트부 13a : 렌치용 홈
15 : 소켓 151 : 관통홀
151a : 제1 관통홀 151b : 제2 관통홀
153 : 삽입돌부 155 : 접착제 수용홈
17 : 고정너트 20 : 석재판 또는 피체결물
21 : 체결면 23 : 체결홈
23a : 바닥부 측면 30 : 브라켓 또는 패널 브라켓
31 : 수용홈 33 : 삽입돌기
35 : 소켓홈 40 : 단열판
50 : 고정 브라켓 100 : 석재 외장 패널
200 : 구조물

Claims (15)

  1. 피체결물을 브라켓에 결합 고정시키되, 상기 피체결물의 배면 상에 입구보다 바닥부 내경이 크게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는 앵커 볼트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되, 삽입방향 말단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의 바닥부에 결착되는 제1 말단돌기 및 내주면에 암나사산 형성된 내부홀을 포함하는 앵커부;
    외부 둘레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앵커부의 상기 내부홀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내부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말단돌기를 상기 체결홈의 바닥부 측면에 밀착시키는 체결 볼트부; 및
    상기 체결 볼트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앵커부측 일면이 상기 체결홈 주위 표면에 밀착되고 브라켓측 타면이 상기 브라켓에 밀착되며 상기 체결홈 주위 표면 상의 밀착지점으로부터 상기 브라켓의 밀착면까지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앵커 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말단부 둘레에 상기 앵커부의 삽입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말단부의 상기 내부홀의 내주면 및 상기 제1 말단돌기를 다수 세그먼트로 분할시키는 절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의 상기 내부홀은 상기 체결 볼트부의 미삽입 시 상기 삽입방향 말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들고,
    상기 체결 볼트부가 상기 내부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다수 세그먼트로 분할된 상기 제1 말단돌기가 말단 둘레 방향으로 퍼지며 상기 체결홈의 바닥부 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체결 볼트부의 미삽입 시 상기 제1 말단돌기의 외경이 상기 체결홈의 입구 직경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부는 무두 볼트이고,
    상기 앵커 볼트는 상기 체결 볼트부 상에 상기 브라켓 바깥에 체결되며 상기 소켓의 상기 브라켓측 타면에 상기 브라켓을 밀착시키는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앵커 볼트.
  5.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삽입방향 반대측 말단 둘레에 상기 체결홈의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소켓의 상기 앵커부측 상기 관통홀 부위에 또는 상기 앵커부측 공간에 삽입되는 제2 말단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피체결물에서의 상기 체결홈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체결홈의 주위 표면까지의 깊이 차이에 따라 상기 앵커부의 상기 제2 말단돌기의 삽입 깊이가 변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소켓의 상기 앵커부측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되며 상기 체결 볼트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소켓의 상기 브라켓측에 상기 제1 관통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의 상기 제2 말단돌기는 평면상 다각형 구조이고,
    상기 소켓의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제2 말단돌기에 맞는 상기 평면상 다각형 구조의 홀이고,
    상기 소켓은 상기 브라켓측에 상기 브라켓의 소켓홈에 삽입되는 삽입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관통홀은 적어도 상기 삽입돌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브라켓측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상기 앵커부측 공간으로서 상기 제2 말단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접착제 수용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 수용홈은 상기 앵커부 및 상기 체결 볼트부의 상기 체결홈으로의 삽입 체결에 따라 상기 체결홈과의 간극을 통해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누출되는 접착제를 수용하고 상기 피체결물의 배면에서의 상기 접착제의 퍼짐 또는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볼트.
  9. 배면 상에 입구보다 바닥부 내경이 크게 형성된 다수의 체결홈 및 앵커 볼트의 소켓이 밀착되는 상기 체결홈 주위 표면을 이루는 다수의 체결면을 구비하되, 정면으로부터 상기 체결면 상의 상기 소켓의 밀착지점까지 동일 두께를 갖는 석재판;
    피체결물인 상기 석재판을 패널 브라켓에 결합 고정시키되, 상기 석재판의 배면 상의 상기 체결홈에 체결된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다수의 앵커 볼트; 및
    상기 앵커 볼트의 상기 체결 볼트부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앵커 볼트의 상기 소켓에 밀착되며, 상기 앵커 볼트에 의해 상기 석재판의 정면으로부터 동일 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석재판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패널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석재 외장 패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체결면은 상기 배면에 일차로 형성된 홈의 바닥면이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면의 중심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외장 패널.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앵커 볼트의 상기 앵커부는 삽입방향 반대측 말단 둘레에 상기 체결홈의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소켓의 일측 관통홀 부위에 삽입되는 제2 말단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석재판에서의 상기 체결홈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체결홈의 주위 표면까지의 깊이 차이에 따라 상기 앵커부의 상기 제2 말단돌기의 삽입 깊이가 변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소켓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되며 상기 체결 볼트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소켓의 타측에 상기 제1 관통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외장 패널.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앵커 볼트의 상기 앵커부는 삽입방향 반대측 말단 둘레에 상기 체결홈의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소켓의 앵커부측 공간에 삽입되는 제2 말단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재판의 상기 체결홈 내에 상기 앵커부와 상기 체결홈과의 고정 결합을 위한 접착제가 삽입되고,
    상기 소켓은 패널 브라켓측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상기 앵커부측 공간으로서 상기 제2 말단돌기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접착제 수용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 수용홈은 상기 앵커부 및 상기 체결 볼트부의 상기 체결홈으로의 삽입 체결에 따라 상기 체결홈과의 간극을 통해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누출되는 상기 접착제를 수용하고 상기 석재판의 배면에서의 상기 접착제의 퍼짐 또는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외장 패널.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석재 외장 패널은 상기 석재판의 배면 측에 형성된 단열판을 더 포함하는 복합 패널이고,
    상기 패널 브라켓의 상기 앵커 볼트 체결부위가 상기 단열판의 정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단열판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 브라켓의 상기 앵커 볼트 체결부위로부터 상기 단열판의 배면까지 일정한 동일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외장 패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복합 패널 조립 시 이웃하는 상측, 하측 또는 상하측 복합 패널의 패널 브라켓들과 암수 체결되고,
    상기 복합 패널 조립 시 상기 석재판의 정면이 이웃 복합 패널의 석재판의 정면과 동일 수직 평면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외장 패널.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패널 브라켓은 상기 소켓의 적어도 상기 패널 브라켓 방향측을 수용하는 소켓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외장 패널.
KR2020130004574U 2013-06-07 2013-06-07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 KR201400062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74U KR20140006280U (ko) 2013-06-07 2013-06-07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74U KR20140006280U (ko) 2013-06-07 2013-06-07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420U Division KR20140006422U (ko) 2014-10-13 2014-10-13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80U true KR20140006280U (ko) 2014-12-17

Family

ID=5361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574U KR20140006280U (ko) 2013-06-07 2013-06-07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28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1198A (zh) * 2015-04-13 2016-11-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螺纹紧固组件及其螺合件
KR102055650B1 (ko) * 2018-11-29 2019-12-13 (주)조은건설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KR102273811B1 (ko) * 2020-10-29 2021-07-06 남병수 고정용철심과 실리콘캡슐로 고정력이 상승된 앙카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1198A (zh) * 2015-04-13 2016-11-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螺纹紧固组件及其螺合件
KR102055650B1 (ko) * 2018-11-29 2019-12-13 (주)조은건설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KR102273811B1 (ko) * 2020-10-29 2021-07-06 남병수 고정용철심과 실리콘캡슐로 고정력이 상승된 앙카 어셈블리
KR20220057395A (ko) * 2020-10-29 2022-05-09 남병수 고정용철심과 실리콘캡슐로 고정력이 상승된 앙카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436B1 (ko)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
US9702154B2 (en) Structural arrangement and method for securing scaffolding to a building wall
KR101239383B1 (ko) 외단열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JP6204009B2 (ja) パネルユニット接合構造及びパネルユニット
KR101537929B1 (ko) 띠장 고정 부재 및 이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KR20140006280U (ko)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
US20190234066A1 (en) Thermal insulator module and thermal insulating wall structure using same and thermal insulat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JP6301587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KR20170003454U (ko) 고정철물을 이용한 일체형 마감재 시공구조
KR20150003622A (ko) 석재 오픈 조인트용 연결철물 및 이를 이용한 석재의 고정구조
KR20140142109A (ko) 석재 복합 패널, 석재 복합 패널 조립 벽체 및 석재 복합 패널 제조 방법
KR20170111347A (ko) 마감재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용 마감재 고정구조
KR200478374Y1 (ko) 외장재 고정 브라켓 및 건축 외장 벽체
KR20140006422U (ko) 앵커 볼트 및 석재 외장 패널
KR101578534B1 (ko) 건축물의 외벽을 단열과 동시에 마감하는 시공방법 및 시공구조
KR101868944B1 (ko) 건물 외벽 마감용 마감패널 고정장치
CN202023273U (zh) 墙板定位固定件
KR200487569Y1 (ko) 삽입보강재를 이용한 일체형 마감재 및 그 시공구조
KR100806188B1 (ko) 석재패널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KR20140123307A (ko) 벽체외장패널 조립체
KR101998321B1 (ko) 단열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TWI683064B (zh) 用於牆壁的可調式固定器及包含其的飾板組合
JP2012255332A (ja) 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構造並びに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取り付け方法
CN217998724U (zh) 一种建筑装饰用复合式装饰板
JP3711961B2 (ja) 胴縁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