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047B1 -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047B1
KR102114047B1 KR1020190081199A KR20190081199A KR102114047B1 KR 102114047 B1 KR102114047 B1 KR 102114047B1 KR 1020190081199 A KR1020190081199 A KR 1020190081199A KR 20190081199 A KR20190081199 A KR 20190081199A KR 102114047 B1 KR102114047 B1 KR 102114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fastening
binding
wall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찬
Original Assignee
(주)조은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은건설 filed Critical (주)조은건설
Priority to KR1020190081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047B1/ko
Priority to PCT/KR2019/010835 priority patent/WO202100641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틀로 사용되는 캐리어를 고정시킴에 있어 수직 및 수평 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한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벽체의 시공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벽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결속볼트가 구비되는 결속브라켓; 상기 결속브라켓의 결속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공면을 따라 상기 결속브라켓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체결홀을 관통하는 결속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체결홀의 일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브라켓과 캐리어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시공면으로부터 상기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결속조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Lightweight wall structure for easy vertical direction adjust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벽체틀로 사용되는 캐리어를 고정시킴에 있어 수직 및 수평 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한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외장재로서 석고보드나 흡음재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석고보드나 흡음재 등은 방음이나, 방습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미관상의 이유로 자주 사용된다.
상술한 내외장재의 설치를 위해서는 벽체틀을 건축물의 내외 일정 부분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설치되는 벽체틀은 벽체에 완전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내외장재는 사전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제작된다. 이에 따라, 내외장재는 완전 고정된 벽체에 고정 배치시키는 과정에서 적절히 정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내외장재의 크기와 벽체틀의 배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벽체틀은 벽체에 다시 설치해야 한다. 벽체를 다시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벽체틀을 벽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시 설치해야 번거로움이 있다.
최초 작업 시 벽체틀을 정밀하게 설치하는 경우 이러한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나, 벽체틀의 설치 과정에서 다양한 이유로 정밀한 시공이 어렵거나 또는 설치 과정에서 내외장재의 정확한 정렬을 위하여 벽체틀 조정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벽체틀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벽체틀을 벽체로부터 해체하고, 정렬에 따른 위치 조정을 수행한 후 다시 정렬해야 하는 등의 작업을 되풀이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내외장재 설치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적절한 정렬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66302호(2011.09.1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틀로 사용되는 캐리어를 고정시킴에 있어 필요에 따라 설치된 캐리어의 수직 및 수평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벽체와 내외장재 간에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특히 결속조정너트의 너트 움직임만으로 캐리어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이하, '본 발명의 벽체 구조'라 칭함)는, 벽체의 시공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벽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결속볼트가 구비되는 결속브라켓; 상기 결속브라켓의 결속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공면을 따라 상기 결속브라켓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체결홀을 관통하는 결속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체결홀의 일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브라켓과 캐리어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시공면으로부터 상기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결속조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결속조정너트는, 상기 결속볼트가 삽입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의 체결홀을 관통한 결속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의 외주연으로부터 단면이 확장되는 너트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 폭과 대응하는 피치를 갖는 제 2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너트부와 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체결홀은, 상기 캐리어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결속볼트가 관통된 상태에서 캐리어의 수평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캐리어는, 상기 체결홀이 구성되는 체결면과 상기 체결면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및 각 측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체결면을 향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가 구비되어 개구부위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캐리어의 개구부위를 통해 인입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클립; 및 복수열로 배치되는 상기 캐리어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고정클립을 통해 캐리어에 고정 설치되는 벽체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벽체패널은 둘 이상 상기 캐리어에 나란히 결합되며 상호 인접하는 벽체패널 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영역이 형성되도록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제 1적층턱 및 제 2적층턱이 구성되며, 상기 적층 영역에는 단면이 'T' 형상을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적층턱과 제 2적층턱 중 외부에 노출되는 제 1적층턱이 다른 하나의 제 2적층턱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대면하는 제 1적층턱과 제 2적층턱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적층턱이 구성된 벽체패널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적층턱보다 ?은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제 1적층턱에 대면하는 제 3적층턱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개구부위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넥부재와, 상기 개구부위로 인입되고 상기 개구부위의 노출된 단면 폭만큼 상기 넥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양측으로 각각 폭이 확장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내면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걸림몸체; 및 상기 넥부재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2적층턱과 제 3적층턱의 상부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양측에 하나 이상의 날개클립이 구비되어 'T'자 형상을 갖는 클립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발명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의 시공방법(이하, '본 발명의 '시공방법'이라 칭함)은, a) 벽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결속볼트가 구비된 결속브라켓을 상기 벽체의 시공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결속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는 캐리어를 상기 시공면을 따라 상기 결속브라켓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시공면에 배치된 상기 캐리어를 고정시키면서 시공면으로부터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d) 조정이 완료된 상기 캐리어에 벽체패널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결속볼트가 삽입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나사산이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의 외주연으로부터 단면이 확장되는 너트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 폭과 대응하는 피치를 갖는 제 2나사산이 구비되는 체결부 및 상기 너트부와 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결속조정너트가 상기 캐리어의 체결홀을 통과한 결속볼트에 나사 결합을 통해 체결되고 상기 체결홀의 일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브라켓으로부터 캐리어를 결속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결속조정너트의 제 2나사산이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에 나사 결합되면서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이 상기 회전부에 위치하여 상기 캐리어의 결속과 회전 가능한 상태가 확보된 이후, 상기 너트부를 자유 회전시켜 결속볼트에 체결된 몸체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속 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캐리어가 함께 수직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c) 단계는, c-1) 시공면을 따라 이격된 전방에 기준 라인을 설정하는 단계; c-2) 상기 너트부에 대응하고 상기 시공면과 기준 라인 간 이격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며 후방의 어느 일 지점에 체크 라인이 표시되는 소켓을 준비하는 단계; 및 c-3) 상기 시공면에 배치된 캐리어를 관통한 각 결속볼트에 상기 소켓을 회전시켜 결속조정너트를 체결하면서 상기 캐리어를 결속브라켓에 고정시키되, 상기 소켓에 표시된 체크 라인과 상기 기준 라인이 일치할 때까지 상기 소켓을 회전시켜 시공면으로부터 상기 캐리어의 수직 방향 위치가 일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구조는 간소화된 구성으로 벽체를 시공할 수 있으며, 벽체틀로 사용되는 캐리어를 고정시킴에 있어 필요에 따라 설치된 캐리어의 수직 및 수평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하여 벽체와 내외장재 간에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시공성의 향상과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결속조정너트의 너트 움직임만으로 캐리어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며, 시공방법에 있어서도 기설정된 기준 라인과 전동공구의 소켓에 표시된 체크라인이 일치되도록 각각의 너트를 회전 및 조정시켜 벽체 전체의 수직 방향 위치가 일치되므로 시공성은 물론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브라켓과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정너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조정너트를 이용하여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틀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클립과 벽체패널의 구조와 결합 방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벽체 구조의 수직 방향 위치를 일치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구조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벽체 구조는 벽체(10)의 시공면에 나란히 시공되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30), 상기 캐리어(30)를 상기 시공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결속브라켓(20) 및 상기 결속브라켓(20)에 상기 캐리어(30)를 결속시키면서 결속된 캐리어(30)의 수직 및 수평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결속조정너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벽체(10)는 본 발명의 벽체 구조가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건물의 내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벽체(10)는 건물의 측벽이나 바닥면은 물론 천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벽체(10)는 시멘트 벽체, 콘크리트 벽체, 화강암 벽체, 대리석 벽체 등 다양한 재질의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3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결속브라켓(20)과 결속조정너트(40)를 이용하여 벽체(10)의 시공면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30)는 벽체(10)의 시공면에 체결된 후에 결속조정너트(4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직방향'이라 함은 캐리어(30)가 벽체(10)의 시공면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등 벽체(10)와의 간격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결속브라켓(20)은 벽체(10)의 시공면 즉, 상기 캐리어(30)를 포함하는 벽체틀이 시공될 영역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벽체(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결속볼트(210)가 구비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결속브라켓(20)은 벽체(10)의 시공면에 삽입 설치되어 결속볼트(210)가 노출될 수 있는 셋트앵커, 스트롱앵커 등 통상의 벽면 고정용 볼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결속브라켓(20)은 평판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200)로 구성되어 벽체(10)의 시공면에 밀착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220)를 통해 밀착된 벽체(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속브라켓(20)의 고정부재(2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00)를 관통하여 벽체(10)에 고정되는 못이나 볼트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브라켓(20)은 벽체(10)의 시공면과 밀착되는 플레이트(200)의 배면에 해당되는 일측면에 상기 벽체(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속볼트(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속볼트(210)의 길이는 결속조정너트(40)를 이용하여 캐리어(30)의 수직방향 위치 이동을 조정할 수 있는 범위로, 상기 벽체(10)에 체결되는 캐리어(30)의 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캐리어(30)의 일면에 접하여 결합되는 벽체패널(50)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캐리어(30)는 일측면에 상기 결속브라켓(20)의 결속볼트(210)가 관통되는 체결홀(300)이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다. 상기 체결홀(300)은 통상의 원형홀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 3 등에서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갖는 사각 형상의 홀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속볼트(210)가 충분히 통과될 수 있도록 결속볼트(2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 또는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300)은 상기 캐리어(30)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결속볼트(210)가 관통된 상태에서 캐리어(30)의 수평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되고 이후 결속조정너트(40)을 통해 결속 및 고정이 완료되도록 한다.
상기 결속조정너트(40)는 상기 캐리어(30)의 체결홀(300)을 관통한 결속볼트(210)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홀(300)의 일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브라켓(20)으로부터 캐리어(30)를 결속시키면서 상기 캐리어(30)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속조정너트(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볼트(210)가 삽입되는 중공(401)과 상기 중공(401)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나사산(402)이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30)의 체결홀(300)을 관통한 결속볼트(210)가 나사 결합되는 몸체부(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조정너트(40)는 상기 몸체부(400)의 일측의 외주연으로부터 단면이 확장되는 너트부(410) 및 상기 몸체부(400)의 타측에서 상기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 폭과 대응하는 피치를 갖는 제 2나사산(421)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에 나사 결합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부(42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결속조정너트(40)는 상기 너트부(410)와 체결부(420) 사이에서 상기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회전부(4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체결부(420)가 상기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에 나사 결합되어 제 2나사산(421)이 형성된 범위를 지나가 되면, 상기 회전부(430)가 상기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에 대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캐리어(30)의 결속과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확보된다.
그리고 자유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430)에 따라 상기 너트부(410)를 회전시켜 상기 결속볼트(210)에 체결된 몸체부(4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체결부(420)에 의해 결속 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캐리어(30)가 함께 이동하게 됨으로써 벽체(10)의 시공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도 5c를 참조하여 결속조정너트(40)를 통한 캐리어(30)의 결속과 위치 조정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고정부재(220)를 이용하여 상기 결속브라켓(20)를 벽체(10)의 시공면에 겹합시켜 고정한다. 이 과정에서는 벽체(10)의 시공면에 복수의 캐리어(30)가 정열될 수 있도록 사전 마킹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상기 결속브라켓(20)의 설치는 600mm 내지 800mm로 간격으로 시공하여 캐리어(30)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벽체(10)에 고정 설치된 결속브라켓(20)으로부터 돌출된 결속볼트(210)가 캐리어(30)의 선택된 체결홀(300)을 각각 관통하도록 캐리어(30)를 배치한 후, 결속조정너트(40)를 상기 결속볼트(210)에 나사 결합을 통해 체결시킴으로써, 상기캐리어(30)가 상기 결속브라켓(20)에 결속됨과 더불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재(40)의 체결부(4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에 체결되도록 하고, 몸체부(400)의 중공(401)에는 결속브라켓(20)의 결속볼트(210)가 나사 결합되어 결속브라켓(20)과 캐리어(30)가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결속조정너트(40)가 상기 캐리어(30)의 체결홀(300)에 완전히 체결되면, 회전부(430)는 상기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에 대향하도록 위치하게 됨으로써 너트부(41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이 가능해지게 되는 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4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결속볼트(210)가 결속조정너트(40)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 이동하게 되어 결속된 상태의 캐리어(30)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결속조정너트(40)의 조정을 통해 캐리어(30)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수행되는 것이며, 이렇게 시공된 벽체틀에 벽체패널(50)이 결합되면 벽체(10)의 시공면으로부터 벽체패널(50)의 간격 역시 균일하게 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캐리어(30)는 통상의 'c찬넬'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 등을 참조하면 상기 캐리어(30)는 상기 체결홀(300)이 구성되는 체결면(310)과 상기 체결면(310)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320) 및 각 측면(320)의 단부로부터 상기 체결면(310)을 향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330)가 구비되어 개구부위(34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벽체 구조에서는 상기 캐리어(30)의 개구부위(340)를 통해 인입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클립(60)과, 복수열로 배치되는 상기 캐리어(30)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고정클립(60)을 통해 캐리어(30)에 고정 설치되어 벽체 구조를 마감하는 벽체패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벽체패널(50)은 본 발명의 벽체 구조를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 석고보드 또는 판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 시공된 벽체틀 중 캐리어(30)의 체결면(3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벽체패널(5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 상기 캐리어(30)에 나란히 결합되고 상호 인접하는 벽체패널(50) 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영역(a)이 형성되도록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제 1적층턱(500) 및 제 2적층턱(510)이 구성되며, 상기 제 1적층턱(500) 및 제 2적층턱(510) 간에 형성되는 적층 영역(a)에는 단면이 'T' 형상을 갖는 공간부(520)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520)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고정클립(60)이 벽체패널(50)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면서 고정클립(5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
일 예로 벽체패널(50)에 있어 상기 제 1적층턱(500)과 제 2적층턱(510) 중 외부에 노출되는 제 1적층턱(500)이 다른 하나의 제 2적층턱(510)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대면하는 제 1적층턱(500)과 제 2적층턱(510) 사이에는 횡방향 이격 공간(521)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적층턱(500)이 구성된 벽체패널(50)의 일측면에는 상기 횡방향 이격 공간(52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적층턱(51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제 1적층턱(500)에 대면하게 되는 제 3적층턱(530)이 구성되어 제 2적층턱(510)과 제 3적층턱(530) 사이에는 종방향 이격 공간(522)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클립(60)은 상기 개구부위(340)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넥부재(601)와, 상기 개구부위(340)를 통해 캐리어(30)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개구부위(340)의 노출된 단면 폭만큼 상기 넥부재(60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양측으로 각각 폭이 확장되어 양측 걸림돌기(330)의 내면에 각각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602)를 포함하는 걸림몸체(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몸체(600)는 상기 개구부위(340)를 향하는 걸림부재(602)의 저면이 곡선형으로 구성되어 걸림돌기(330)의 내면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60)은 상기 넥부재(601)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일부가 상기 공간부(500)에 위치하며, 상기 제 2적층턱(510)과 제 3적층턱(530)의 상부면에 밀착하여 제 2적층턱(510) 및 제 3적층턱(530)을 각각 가압하도록 양측에 하나 이상의 날개클립(611)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갖는 클립몸체(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날개클립(611)은 끝단이 상향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제 2적층턱(510) 및 제 3적층턱(530)이 날개클립(611)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하며, 일정한 탄성력이 유지되는 판 스프링 구조로 장착된 제 2적층턱(510) 및 제 3적층턱(530)을 가압하는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클립(6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장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캐리어(30)의 개구부위(40)에 걸림부재(602)가 90도 회전한 상태로 인입시킨 이후, 장착 위치를 선택하여 다시 90도 회전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걸림부재(602)가 상기 걸림돌기(330)에 걸리도록 장착될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고정클립(60)에 대한 장착 위치까지의 이동과 장착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벽체 구조를 마감하기 위해 결합되는 벽체패널(50)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벽체 패널(5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또 다른 구조를 갖는 고정클립(60-1)이 이용될 수 있다.
최외곽에 위치하는 벽체 패널(5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60-1)의 경우 벽체 패널(50)의 일측면만을 고정시켜야 하므로 앞서 설명한 고정클립(60)의 걸림몸체(600)의 체결 방식 및 구조는 동일하지만, 고정 대상 벽체패널(50)의 제 1적층턱(500)을 가압할 수 있도록 클립몸체(610)가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면서, 일측 방향으로만 날개클립(611)이 형성된 차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고정클립(60)은 상기 개구부위(340)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넥부재(601)와, 상기 개구부위(340)를 통해 캐리어(30)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개구부위(340)의 노출된 단면 폭만큼 상기 넥부재(60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양측으로 각각 폭이 확장되어 양측 걸림돌기(330)의 내면에 각각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602)를 포함하는 걸림몸체(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결속볼트(210)가 구비된 결속브라켓(20)을 상기 벽체(10)의 시공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S100)와, 상기 결속볼트(210)가 관통되는 체결홀(300)이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는 캐리어(30)를 상기 시공면을 따라 상기 결속브라켓(20)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이후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상기 시공면에 배치된 상기 캐리어(30)를 고정시키면서 시공면으로부터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는 상기 S300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결속조정너트(30)를 이용하여 캐리어(30)에 대한 수직방향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300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볼트(210)가 삽입되는 중공(401)과 상기 중공(401)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나사산(402)이 구비되는 몸체부(400)와, 상기 몸체부(400)의 일측의 외주연으로부터 단면이 확장되는 너트부(410)와, 상기 몸체부(400)의 타측에서 상기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 폭과 대응하는 피치를 갖는 제 2나사산(421)이 구비되는 체결부(420) 및 상기 너트부(410)와 체결부(420) 사이에서 상기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회전부(430)를 포함하는 결속조정너트(40)가 상기 캐리어(30)의 체결홀(300)을 통과한 결속볼트(210)에 나사 결합을 통해 체결되고, 상기 체결홀(300)의 일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브라켓(20)으로부터 캐리어(30)를 결속시킨다.
또한 이 과정(S300)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조정너트(40)의 제 2나사산(421)이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에 나사 결합되면서 체결홀(300)의 노출된 단면(301)에 상기 회전부(430)가 대향하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캐리어(30)의 결속과 회전 가능한 상태가 확보된 이후, 상기 너트부(410)를 자유 회전시켜 몸체부(400)에 체결된 결속볼트(2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체결부(420)에 의해 결속 상태가 유지된 상기 캐리어(30)가 함께 수직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수행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결속조정너트(40)의 회전을 통해 캐리어(30)의 수직 방향 위치를 조정함에 있어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결속조정너트(4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벽체 구조 전체에 대한 수직 방향 위치 조정을 일괄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S300단계는, 벽체(10)의 시공면을 따라 이격된 전방에 기준 라인(A)을 설정하는 단계을 수행한다.
이때 기준 라인(A)은 레이저 수평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벽체(10)의 시공면 중 어느 일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결속조정너트(40)의 너트부(410)에 대응하고 상기 시공면과 기준 라인(A) 간에 이격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며 후방의 어느 일 지점에 체크 라인(B)이 표시되는 소켓(70)을 준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소켓(7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회전력을 제공하는 드릴 등의 전동공구에 체결가능한 통상의 육각소켓으로 너트부(410)의 치수에 대응하여 상기 결속조정너트(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공면에 배치된 각 캐리어(30)를 관통한 각 결속볼트(210)에 상기 소켓(70)을 회전시켜 결속조정너트(40)를 체결하면서 상기 캐리어(30)를 결속브라켓(20)에 고정시키되, 상기 소켓(70)에 표시된 체크 라인(B)과 상기 기준 라인(A)이 일치할 때까지 상기 소켓(70)을 회전시켜 시공면으로부터 상기 캐리어(30)의 수직 방향 위치가 일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의 시공면이 어느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여도 동일한 소켓(70)을 사용하여 캐리어(3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면 소케(70)의 위치에 따라 조정되는 캐리어(30)의 위치 역시 동일하므로, 이러한 소켓(70)의 체크 라인(B)을 기설정된 기준 라인(A)과 일치시켜 모든 캐리어(30)가 동일한 수직 방향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는 결속조정너트의 너트 움직임만으로 캐리어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며, 벽체 구조의 시공 과정에 있어서도 기설정된 기준 라인(A)과 전동공구의 소켓(70)에 표시된 체크 라인(B)이 일치되도록 각각의 너트를 회전 및 조정시켜 벽체 구조 전체의 수직 방향 위치가 일치되므로 시공성은 물론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마직막으로,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는 조정이 완료된 상기 캐리어(30)에 벽체패널(50)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S400)를 수행하여, 본 발명의 벽체 구조를 마감한다.
이 과정(S400)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서 일 예로 제시된 고정클립(60)과 벽체패널(50)을 적용할 수 있는 바, 그 구조 및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벽체 20 : 결속브라켓
30 : 캐리어 40 : 결속조정너트
50 : 벽체패널 60 : 고정클립
200 : 플레이트 210 : 결속볼트
220 : 고정부재 300 : 체결홀
310 : 체결면 320 : 측면
330 : 걸림돌기 340 :개구부위
400 : 몸체부 401 : 중공
402 : 제 1나사산 410 : 너트부
420 : 체결부 421 : 제 2나사산
430 : 회전부

Claims (12)

  1. 벽체의 시공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벽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결속볼트가 구비되는 결속브라켓;
    상기 결속브라켓의 결속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공면을 따라 상기 결속브라켓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체결홀을 관통하는 결속볼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체결홀의 일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브라켓과 캐리어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시공면으로부터 상기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결속조정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결속조정너트는,
    상기 결속볼트가 삽입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의 체결홀을 관통한 결속브라켓의 결속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의 외주연으로부터 단면이 확장되는 너트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 폭과 대응하는 피치를 갖는 제 2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홀에 나사 결합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너트부와 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에 나사 결합되어 제 2나사산이 형성된 범위를 지나가 되면, 상기 회전부가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에 대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캐리어의 결속과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확보되고, 자유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에 따라 상기 너트부를 회전시켜 상기 결속볼트에 체결된 몸체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속 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캐리어가 함께 이동하게 되어 벽체의 시공면으로부터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해지며,
    상기 체결홀은 상기 캐리어의 길이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속볼트가 관통된 상태에서 캐리어의 수직방향과 더불어 수평방향 위치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체결홀이 구성되는 체결면과 상기 체결면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 및 각 측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체결면을 향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가 구비되어 개구부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개구부위를 통해 인입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클립; 및
    복수열로 배치되는 상기 캐리어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고정클립을 통해 캐리어에 고정 설치되는 벽체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패널은 둘 이상 상기 캐리어에 나란히 결합되며 상호 인접하는 벽체패널 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 영역이 형성되도록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제 1적층턱 및 제 2적층턱이 구성되며, 상기 적층 영역에는 단면이 'T' 형상을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적층턱과 제 2적층턱 중 외부에 노출되는 제 1적층턱이 다른 하나의 제 2적층턱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대면하는 제 1적층턱과 제 2적층턱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적층턱이 구성된 벽체패널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격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적층턱보다 ?은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제 1적층턱에 대면하는 제 3적층턱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개구부위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넥부재와, 상기 개구부위로 인입되고 상기 개구부위의 노출된 단면 폭만큼 상기 넥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양측으로 각각 폭이 확장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내면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걸림몸체; 및
    상기 넥부재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2적층턱과 제 3적층턱의 상부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양측에 하나 이상의 날개클립이 구비되어 'T'자 형상을 갖는 클립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9. a) 벽체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결속볼트가 구비된 결속브라켓을 상기 벽체의 시공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결속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는 캐리어를 상기 시공면을 따라 상기 결속브라켓의 배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시공면에 배치된 상기 캐리어를 고정시키면서 시공면으로부터 수직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d) 조정이 완료된 상기 캐리어에 벽체패널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결속볼트가 삽입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나사산이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의 외주연으로부터 단면이 확장되는 너트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 폭과 대응하는 피치를 갖는 제 2나사산이 구비되는 체결부 및 상기 너트부와 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결속조정너트가 상기 캐리어의 체결홀을 통과한 결속볼트에 나사 결합을 통해 체결되면서 상기 체결홀의 일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결속브라켓으로부터 캐리어를 결속시키게 되고,
    상기 결속조정너트의 제 2나사산이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에 나사 결합되면서 체결홀의 노출된 단면이 상기 회전부에 위치하여 상기 캐리어의 결속과 회전 가능한 상태가 확보된 이후, 상기 너트부를 자유 회전시켜 결속볼트에 체결된 몸체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부에 의해 결속 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캐리어가 함께 수직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의 시공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시공면을 따라 이격된 전방에 기준 라인을 설정하는 단계;
    c-2) 상기 너트부에 대응하고 상기 시공면과 기준 라인 간 이격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며 후방의 어느 일 지점에 체크 라인이 표시되는 소켓을 준비하는 단계; 및
    c-3) 상기 시공면에 배치된 캐리어를 관통한 각 결속볼트에 상기 소켓을 회전시켜 결속조정너트를 체결하면서 상기 캐리어를 결속브라켓에 고정시키되, 상기 소켓에 표시된 체크 라인과 상기 기준 라인이 일치할 때까지 상기 소켓을 회전시켜 시공면으로부터 상기 캐리어의 수직 방향 위치가 일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90081199A 2019-07-05 2019-07-05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14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199A KR102114047B1 (ko) 2019-07-05 2019-07-05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CT/KR2019/010835 WO2021006417A1 (ko) 2019-07-05 2019-08-26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199A KR102114047B1 (ko) 2019-07-05 2019-07-05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047B1 true KR102114047B1 (ko) 2020-05-25

Family

ID=7091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199A KR102114047B1 (ko) 2019-07-05 2019-07-05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4047B1 (ko)
WO (1) WO202100641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386A (ja) * 1997-07-08 2002-04-19 Toto Ltd 建材の取付方法
KR101066302B1 (ko) 2009-02-09 2011-09-20 주식회사 동성사 가변형 경량벽체
KR101450476B1 (ko) * 2013-11-08 2014-10-13 박경문 합성목재 패널 고정장치
KR20170050657A (ko) * 2015-10-30 2017-05-11 이봉찬 M-Bar 보조클립 및 이를 사용한 경량벽체틀
JP3211482U (ja) * 2014-03-26 2017-07-20 ウムゼン エルティーディー. 建築構造物に物体を固定するためのナット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7013B2 (en) * 2002-10-08 2005-01-04 Joel Foderberg Lightweight precast concrete wall panel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386A (ja) * 1997-07-08 2002-04-19 Toto Ltd 建材の取付方法
KR101066302B1 (ko) 2009-02-09 2011-09-20 주식회사 동성사 가변형 경량벽체
KR101450476B1 (ko) * 2013-11-08 2014-10-13 박경문 합성목재 패널 고정장치
JP3211482U (ja) * 2014-03-26 2017-07-20 ウムゼン エルティーディー. 建築構造物に物体を固定するためのナットと方法
KR20170050657A (ko) * 2015-10-30 2017-05-11 이봉찬 M-Bar 보조클립 및 이를 사용한 경량벽체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6417A1 (ko)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040B2 (en) Low profile mounting of electronic devices
JP5813009B2 (ja) ファサード断熱材
EP3933136A1 (en) Architectural bracket, building wall structure, and board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CA2333830A1 (en) A fixture for building boards, a building board having the fixture fixed thereto, and the method of fastening the building boards
CA27162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cladding to structures
TWI768065B (zh) 建築物的壁結構、安裝裝置以及板材的施工方法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2114047B1 (ko)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EP3901408B1 (en) Tile panel support structure
KR102055650B1 (ko) 캐리어의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벽체틀
KR101966138B1 (ko)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KR200485666Y1 (ko)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EP3775441A1 (en) Fence post with attaching means and a modular fencing system
KR102175399B1 (ko) 이중너트 구조를 이용한 수직방향 위치 조정형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RU2771308C2 (ru) Подвесная система
EP2920378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chitectural wall
CN109914728B (zh) 一种墙板与层板的挂装结构
KR20050104117A (ko) 건축물의 장식판넬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50657A (ko) M-Bar 보조클립 및 이를 사용한 경량벽체틀
KR20070097682A (ko) 경량철골 마감재 설치용 구조
KR101691580B1 (ko) 외장패널의 사선방향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648595B1 (ko) 건물 공간 구획 패널 설치용 행거 브라켓 구조
KR101804943B1 (ko) 건축물용 외장패널 고정구
KR20100066959A (ko) 내/외장 패널 설치용 어셈블리
JP3637401B2 (ja) 重量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