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832Y1 - 건축자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자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832Y1
KR200487832Y1 KR2020170002378U KR20170002378U KR200487832Y1 KR 200487832 Y1 KR200487832 Y1 KR 200487832Y1 KR 2020170002378 U KR2020170002378 U KR 2020170002378U KR 20170002378 U KR20170002378 U KR 20170002378U KR 200487832 Y1 KR200487832 Y1 KR 200487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angle
building
building material
ang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톤
Priority to KR2020170002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8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자재 고정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건축물 외벽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앵글과, 수직앵글에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볼트부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지지브라켓 및 건축물 외벽 사이에는 단열재가 삽입된다.

Description

건축자재 고정장치{FIXING EQUIPMENT FOR BUILDING MATERIAL}
본 고안은 건축자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자재의 설치방향이나 위치에 따라 설치가 용이하고 편리하도록 구성된 건축자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장 공사에서 외장재를 시공하는 방법은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습식 공법은 건축물의 외벽에 시멘트 몰탈을 타설하여 외장재를 시공하는 방식이고, 건식공법은 고정장치에 의해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방식이다.
습식공법은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기 때문에 양생시간이 필요하고 그에 따라 시공기간이 증가하고 양생조건에 따라 하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현재에는 거의 건식공법에 의해 외장재를 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건식공법 중에 석재를 이용한 외장재 시공방법은 건축외벽과 석재 패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고, 해당 공간에 단열재를 시공하여 단열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외장재 시공 방법 및 부속장치들은 석재를 설치하는 과정이 복잡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갖기 때문에, 석재와 같은 건축자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고정장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3938호(2015.06.29. 자 등록)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석재와 같은 건축자재의 설치가 용이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의 건축자재 고정장치는 건축물 외부에 건축자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건축물 벽면에 설치되는 수직앵글; 건축물 벽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직앵글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및 상기 수직앵글에 설치위치가 조정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건축자재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지브라켓은 건축물 벽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수직앵글이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앵글과 건축물 벽면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직앵글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각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앵글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되는 삽입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롯과 연장되어 상기 수직앵글 내부에 상기 삽입슬롯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이동슬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직앵글은 상기 삽입슬롯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볼트부와, 상기 이동슬롯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볼트부재는 상기 헤드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슬롯 내부에서 상기 헤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축자재 고정장치는 수직앵글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앵글과 직교하도록 연결되는 수평앵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평앵글은 앵글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수직앵글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자재 고정장치에 의하면, 수직앵글 및 수평앵글을 따라 설치위치가 조절되는 고정브라켓 구조로 인해 건축자재의 설치위치 조정이 용이하고, 건축자재의 설치상태에 따라 수직앵글과 수평앵글의 조합으로 다양한 시공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자재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자재 고정장치의 수직앵글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자재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6의 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자재 고정장치의 수직앵글 및 수평앵글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자재 고정장치의 수직앵글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건축자재 고정장치의 수직앵글에 연결되는 볼트부재를 보인 종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볼트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자재 고정장치에 대한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 고정장치는 건축자재(1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경우에 적용되는 타입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건축물 벽면에 설치되는 수직앵글(100); 건축물 벽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직 앵글(100)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200);및 상기 수직앵글(100)에 연결되고, 건축자재(10)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30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건축자재(10)는 주로 석재와 같은 외장재로서 일정크기로 재단되는 형태일 수 있다. 건축자재(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300)은 수직앵글(100)에 결합되고, 수직앵글(100)은 지지브라켓(200)에 의해 건축물 벽면에 고정설치된다.
지지브라켓(200)은 건축자재(10)와 건축물 벽면 사이에 단열재(20)를 설치할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수직앵글(100)을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지지브라켓(200)의 일단은 고정앵커(30)에 의해 건축물 벽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앵글(100)에 고정된다.
지지브라켓(200)은 길게 형성된 철재 판재로 구성되고, 양단이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에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각각 고정앵커(30) 및 수직앵글(100)와 연결된다.
도 5 및 도 11에는 지지브라켓(200)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앵글(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앵글(100)은 각재와 같이 형성되는데 수직앵글(100)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되는 삽입슬롯(110)이 형성되고, 삽입슬롯(110)과 연장되어 수직앵글(100)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슬롯(120)이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에서 삽입슬롯(110)의 폭은 이동슬롯(12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헤드부가 큰 볼트부재(13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슬롯(110) 및 이동슬롯(120)에는 볼트부재(130)의 헤드부(131)가 삽입되는데, 볼트부재(130)는 T형 볼트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볼트부재(13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이동슬롯(1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131)와, 헤드부(131)로부터 연장되어 삽입슬롯(1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볼트부(132)를 포함한다.
볼트부재(130)를 수직앵글(100)에 결합할 경우에는 볼트부재(130)의 헤드부(131)의 길이방향을 수직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삽입슬롯(110)을 통과하도록 한 후에, 헤드부(131)의 길이방향을 수평방향으로 돌려서 헤드부(131)의 길이방향이 이동슬롯(120)의 길이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위치함으로써 볼트부재(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볼트부재(130)에는 별도의 와셔(W)와 너트(N)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와셔(W) 및 너트(N) 체결시 지지브라켓(200) 및 고정브라켓(300)이 같이 개제되도록 한 후에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지지브라켓(200)이 수직앵글(100)과 고정될 수 있으며, 수직앵글(100)이 고정브라켓(300)과 고정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300)은 “ㄱ”자형으로 절곡되는 지지 플레이트(31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에 연결되는 고정 플레이트(320)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310)와 고정 플레이트(320)는 별도의 볼트 및 너트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310)의 수직부(311)와 수평부(312)에는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는데, 수직부(311)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부재(130)의 볼트부(132)가 삽입되어 너트(N)에 의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320)의 선단에는 핀홀(H)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H)에 핀(P)이 삽입되어 건축자재(10)에 형성된 핀삽입공에 핀(P)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 플레이트(320)의 상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건축자재(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 고정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 고정장치는 건축자재(10)의 길이방향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제2 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 고정장치는 건축자재(1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경우에 적용되는 타입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건축물 벽면에 설치되는 수직앵글(100); 상기 수직앵글(100)과 직교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앵글(400); 건축물 벽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직 앵글(100)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200);및 상기 수직앵글(100)에 연결되고, 건축자재(10)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30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 고정장치는 지지 브라켓(200)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앵글(100)과, 앵글연결부재(500)에 의해 수직앵글(100)과 연결되는 수평앵글(400)을 포함한다.
수평앵글(400)도 수직앵글(100)과 동일하게 구성되나, 설치방향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앵글(100)과 연결된다. 수평앵글(400)과 수직앵글(100)은 앵글연결부재(500)에 의해 연결되는데, 앵글연결부재(500)는 다수개의 연결공(510)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부재로서 각 연결공(510)을 통해 수직앵글(100) 및 수평앵글(400)이 연결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연결공(510)이 3개로 구성되고, 양단에 형성된 연결공(510)에는 수평앵글(400)에 연결되는 볼트부재(130)가 삽입되어 와셔(N) 및 너트(N)에 의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수평앵글(400)의 양단이 수직앵글(100)과 연결되고, 수평앵글(400)에 다수개의 고정브라켓(300)이 볼트부재(13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건축자재(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는 볼트부재(130)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볼트부재(130)는 와셔(W)와 너트(N)에 의해 고정되기 이전에 수직앵글(100)의 삽입슬롯(110)에 삽입하여 이동슬롯(120)에 위치시키는데, 수직앵글(100)의 이동슬롯(120)에 거치되어 있는 볼트부재(130)가 자체 하중에 의해 설치위치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거나 슬립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시공자가 너트 작업을 하기 전까지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볼트부재(130)의 헤드부(131)의 일면에 탄성부재(133)를 설치하여 볼트부재(130)가 수직앵글(100)의 이동슬롯(120) 안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탄성부재(133)는 일종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볼트부재(130)의 헤드부(131)의 일면과 이동슬롯(120)의 내벽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볼트부재(130)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2에는 탄성부재(133)가 헤드부(131)의 후면, 즉 이동슬롯(120)의 후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탄성부재(133)가 헤드부(131)의 측면, 즉 이동슬롯(120)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탄성부재(133)에 의해 너트작업하는 동안 볼트부재(130)가 이동슬롯(120) 내부에서 슬립되지 않고 시공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수직앵글 110: 삽입슬롯
120: 이동슬롯 130: 볼트부재
200: 지지 브라켓 300: 고정브라켓
310: 지지 플레이트 320: 고정 플레이트
400: 수평앵글 500: 앵글연결부재

Claims (7)

  1. 건축물 외부에 건축자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건축물 벽면에 설치되는 수직앵글;
    건축물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직앵글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
    상기 수직앵글에 설치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건축자재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 및
    일측에 형성된 헤드부가 상기 수직앵글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에 형성된 볼트부가 상기 수직앵글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직앵글과 상기 고정 브라켓을 결합하며, 상기 헤드부의 양 측면 각각에서 상기 볼트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판의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이 외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형성된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수직앵글 내부 양 측면 각각을 탄성지지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앵글은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되고 상기 볼트부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삽입슬롯; 및
    상기 수직앵글 내부에서 상기 삽입슬롯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롯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상기 헤드부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이동되기 위한 이동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는 장방형의 형태로 상기 이동슬롯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폭으로 형성되며, 양측면에 상기 탄성부재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이동슬롯의 내부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건축자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건축물 벽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수직앵글이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앵글과 건축물 벽면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건축자재 고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앵글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앵글과 직교하도록 연결되는 수평앵글을 더 포함하는
    건축자재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앵글은
    앵글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수직앵글과 연결되는
    건축자재 고정장치.
KR2020170002378U 2017-05-15 2017-05-15 건축자재 고정장치 KR200487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78U KR200487832Y1 (ko) 2017-05-15 2017-05-15 건축자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378U KR200487832Y1 (ko) 2017-05-15 2017-05-15 건축자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832Y1 true KR200487832Y1 (ko) 2019-01-24

Family

ID=6526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378U KR200487832Y1 (ko) 2017-05-15 2017-05-15 건축자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8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842A (ko) * 2020-11-12 2022-05-19 백종균 목조주택용 석재 커튼월 마감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057B1 (ko) * 2010-06-15 2010-12-27 브릿지스톤(주) 건축용 트러스 조립체
KR101533938B1 (ko) 2014-11-10 2015-07-03 기세진 단열재 천공 앵글 받침대
KR20160003477A (ko) * 2014-07-01 2016-01-11 김한나 건축 외장재용 트러스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057B1 (ko) * 2010-06-15 2010-12-27 브릿지스톤(주) 건축용 트러스 조립체
KR20160003477A (ko) * 2014-07-01 2016-01-11 김한나 건축 외장재용 트러스 어셈블리
KR101533938B1 (ko) 2014-11-10 2015-07-03 기세진 단열재 천공 앵글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842A (ko) * 2020-11-12 2022-05-19 백종균 목조주택용 석재 커튼월 마감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06197B1 (ko) * 2020-11-12 2023-03-06 백종균 목조주택용 석재 커튼월 마감판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112B1 (ko) 패널조립구조체
KR101785279B1 (ko) 충진단열재를 이용한 외장 단열패널 설치구조
KR101307544B1 (ko) 천정마감장치
US11091906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1576230B1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KR101666118B1 (ko) 천장 마감 몰딩
KR20100104073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87832Y1 (ko) 건축자재 고정장치
FI3449067T3 (fi) Lamellijulkisivujärjestelmä ja sen käyttö
KR101864841B1 (ko)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60003477A (ko) 건축 외장재용 트러스 어셈블리
JP2007092290A (ja) 外断熱用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090852B1 (ko) 내/외장 패널 고정장치
KR102369808B1 (ko) 패널의 장착 시스템 및 이 장착 시스템의 클립
KR101173226B1 (ko) 단열패널 고정부재
RU114077U1 (ru) Регулируемое крепление для маячковых профилей
KR101758745B1 (ko) 건축물용 외장패널 고정구조
KR101399251B1 (ko) 건축용 앵커 장치 및 설치 방법
KR101320568B1 (ko) 천장구조물용 행거
KR101770393B1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RU2019129587A (ru) Установоч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зданий
KR200436794Y1 (ko) 천장용 패널
KR102060080B1 (ko) 건축물의 내ㆍ외장패널 고정구
KR102094074B1 (ko)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KR102159838B1 (ko)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