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838B1 -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838B1
KR102159838B1 KR1020190060885A KR20190060885A KR102159838B1 KR 102159838 B1 KR102159838 B1 KR 102159838B1 KR 1020190060885 A KR1020190060885 A KR 1020190060885A KR 20190060885 A KR20190060885 A KR 20190060885A KR 102159838 B1 KR102159838 B1 KR 102159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ipe
bracket
pipe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훈
Original Assignee
조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훈 filed Critical 조남훈
Priority to KR102019006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이 제공된다. 제공된 브라켓은 상, 하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가로파이프들과, 이 가로파이프를 고정매개체로 하여 외장패널의 폭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치되는 세로파이프들을 포함하는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에 있어서, 본체플레이트에서 연장되는 제1, 제2 가고정편에 의해 상기 가로파이프에 가고정(假固定)상태로 밀착설치되어 상기 가로파이프를 따라 좌, 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이동형 고정부; 및 상기 세로파이프를 상기 가로파이프들의 사이에 수직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형 고정부의 상,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BRACKET FOR SUPPORT FRAME}
본 발명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설치하기 위해 건물의 내, 외벽체에 시공되는 설치프레임에 적용되는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 외장 공사 또는 지하구조물의 이중벽 공사에는 외장패널을 건축물의 내, 외벽 또는 지하구조물의 내벽에 고정설치하는 내, 외벽체 마감처리공법, 예컨대 습식 공법과 건식 공법으로 분류되는 내, 외벽체 마감처리공법이 적용된다. 습식 공법은 건축물 내, 외벽 또는 지하구조물의 내벽과, 외장패널의 사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접착용재로 사용하여 내, 외벽체를 시공하는 것으로써, 시멘트 모르타르의 양생 시간이 길고, 작업 및 시공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비경제적이고 비생산적인 단점이 있다.
한편, 건식 공법(DRY WALL FIXING)은 건축물 내, 외벽 또는 지하구조물의 내벽과, 외장패널들 사이에 금속제로 된 설치 부재, 예컨대 금속파이프와 클립으로 구성되는 설치 부재를 설치하여 외벽체를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 시간이 짧고 작업의 편의성 및 시공상의 장점이 많아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지하구조물로는 지하 주차장, 지하 창고, 지하상가 등이 있는데, 이러한 지하구조물의 표면은 외부와 내부의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 현상(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이렇게 결로 현상으로 발생한 물은 지하 공간이라는 특성상 쉽게 제거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결로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예컨대 지하구조물 이중벽이 제안된 바 있다.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등록된 등록특허 제10-1732726호에서는 외장패널과, 모서리삽입부들의 중앙부에 돌출형성되어 각 모서리삽입부에 삽입고정되는 외장패널들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줄눈형성돌기가 구비된 클램프를 포함하는 줄눈환기형 외벽체를 제안한 바 있다. 이때, 상기의 등록특허 제10-1732726호는 클램프를 고정하기 위해 건축물의 내, 외벽 또는 지하구조물의 내벽에 가로, 세로파이프를 격자구조로 배치하여 설치프레임을 형성하는 작업, 즉 가로파이프를 상, 하 소정간격을 두고 벽면에 고정한 후, 이 가로파이프를 고정매개체로 하여 세로파이프를 배치고정함으로써 설치프레임을 형성하는 작업이 선행되는데, 이때의 세로파이프는 사각판상체로 된 외장패널의 크기(좌·우 폭)와 상호 대응하도록 배치해야 설치가 가능하므로 상기한 가로파이프보다 많은 갯수가 외장패널의 폭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치된다.
또한, 종래 설치프레임의 대표적인 일례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 제10-1391240호(2014년 5월 2일 공고)의 '줄눈노출형 지하 이중벽구조'를 통해 제안된 바 있는데, 도 18은 종래 설치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종래 설치프레임은 콘크리트벽(1)에 다수로 고정되는 고정편(121)에 연결부재(122 : 가로파이프에 해당함.)가 볼트나 나사 또는 용접이나 클립 등에 의해 수평설치되고, 고정부재(123 : 세로파이프에 해당함.)는 소정간격을 두고 연결부재(122 : 가로파이프에 해당함.)에 다수개가 수직설치된 상태에서 보드(130 : 외장패널에 해당함.)가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종래 설치프레임은 가로파이프의 전방면에 세로파이프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의 시공작업은 세로파이프를 외장패널의 폭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사고정방식 또는 용접방식으로 가로파이프에 고정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세로파이프 간의 간격이 외장패널의 폭과 대응하지 않은 상태로 가로파이프에 고정한 경우에는 외장패널의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가로파이프에 나사고정 또는 용접고정된 세로파이프를 가로파이프에서 분리한 후 정확한 위치로 재배열한 상태에서 재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그만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세로파이프의 길이가 길수록 증가하는데, 이는 세로파이프 자체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취급과정에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세로파이프를 외장패널의 폭과 대응하게 배치하는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른다.
또한, 종래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은 가로파이프의 전방면에 세로파이프를 맞대는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서, 가로, 세로파이프의 두께만큼 설치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공간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은 건물의 내, 외벽에 설치시 가로, 세로파이프의 두께만큼 튀어나오게 되므로 튀어나오는 두께만큼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공간활용도가 저하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의 시공작업시 발생하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로파이프를 가로파이프에 가고정(假固定)한 상태에서 세로파이프의 간격을 외장패널의 폭과 대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가로파이프의 상, 하 배치간격에 대응하게 세로파이프의 길이를 부여함으로써 세로파이프 자체의 길이를 짧게 설계할 수 있어서 기존과 같이 세로파이프 자체가 취급과정에서 휘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세로파이프를 외장패널의 폭과 대응하게 배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가로파이프와 가로파이프의 사이공간에 세로파이프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설치프레임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 하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가로파이프들과, 이 가로파이프를 고정매개체로 하여 외장패널의 폭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치되는 세로파이프들을 포함하는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에 있어서,
본체플레이트에서 연장되는 제1, 제2 가고정편에 의해 상기 가로파이프에 가고정(假固定)상태로 밀착설치되어 상기 가로파이프를 따라 좌, 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이동형 고정부; 및
상기 세로파이프를 상기 가로파이프들의 사이에 수직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형 고정부의 상,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를 포함하는 내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이동형 고정부는 상기 본체플레이트가 상기 가로파이프의 상, 하부면 및 전방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절곡구성되며,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은 상기 가로파이프의 후방면에 걸림고정되도록 끝단에 걸림고정편을 절곡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이동형 고정부는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이 상기 본체플레이트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은 상기 가로파이프의 전방면에 걸림고정되도록 끝단에 걸림고정편을 절곡형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과 상기 본체플레이트는 조립암수부재에 의해 장, 탈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은 상기 본체플레이트의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레이트에 각, 각 구비하여 한 조로써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는 상기 세로파이프의 양끝단이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개방홀과, 탄성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는 상기 세로파이프의 양끝단을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세로파이프의 내경과 대응하는 사각봉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는 상기 제1 세로파이프설치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은 이동형 고정부에 의해 세로파이프를 가로파이프에 가고정(假固定)한 상태에서 세로파이프의 간격을 외장패널의 폭과 대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시공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파이프의 상, 하 배치간격에 대응하게 세로파이프의 길이를 부여함으로써 세로파이프 자체의 길이를 짧게 설계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세로파이프 자체가 취급과정에서 휘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로파이프를 외장패널의 폭과 대응하게 배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로파이프들의 사이에 세로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어서, 설치프레임의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가로파이프의 두께만큼 한정)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의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프레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의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발췌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의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구성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에 있어,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에 있어,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에 있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에 세로파이프가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의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에 있어, 제1, 제2 가고정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에 있어, 제1, 제2 가고정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에 있어, 제1, 제2 가고정편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에 있어, 제1, 제2 가고정편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의 제1, 제2 가고정편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결합구성도이다.
도 18은 종래 설치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브라켓은 건축물의 외벽 또는 건축물의 내벽 및 지하구조물의 내벽에 시공되는 설치프레임에 외장패널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클램프는 건식공법으로 외장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는 외벽체 또는 건식 공법으로 외장패널을 건축물의 내벽 또는 지하구조물의 내벽에 설치하는 이중벽체에 적용되는 브라켓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브라켓이 사용되는 설치프레임은 외장패널을 건축물의 내, 외벽 또는 지하구조물의 내벽에 고정하기 위해 가로, 세로파이프를 격자구조로 배치하여 시공되는 설치프레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1)은 이동형 고정부(2)와,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브라켓(1)이 적용되는 설치프레임(10)은 건물의 내, 외벽체 및 지하이중벽에 외장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상, 하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가로파이프(11)와, 이 가로파이프(11)를 고정매개체로 하여 외장패널의 폭과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세로파이프(12)를 포함하여 시공된다. 이때, 상기 가로파이프(11)는 별도의 클램프, 예컨대 앵커볼트로 건물의 내, 외벽체의 벽면에 고정되는 클램프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 인해, 가로파이프(11)는 세로파이프(12)에 대하여 넓은 직경이 부여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가로, 세로파이프(11,12)는 사각파이프를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다.
상기한 본 발명의 브라켓(1)의 이동형 고정부(2)는 본체플레이트(21)와, 이 본체플레이트(21)에서 연장되는 제1, 제2 가고정편(22,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체플레이트(21)는 상기 가로파이프(11)의 외경, 예컨대 가로파이프(11)의 상, 하부면(11a,11b) 및 전방면(11c)을 내부로 수용할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22,23)은 상기 본체플레이트(21)의 일단과 타단에서 수평연장되는데, 이러한 제1, 제2 가고정편(22,23)은 가로파이프(11)의 상부면(11a)과 하부면(11b)을 수용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이격되며, 그 끝단에는 가로파이프(11)의 후방면(11d)에 걸림고정되도록 걸림고정편(24)이 절곡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고정부(2)는 상기 본체플레이트(21)에 가로파이프(11)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22,23)의 걸림고정편(24)을 가로파이프(11)의 후방면에 고정시킴으로써 가로파이프(11)에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형 고정부(2)는 상기 본체플레이트(21)가 상기 가로파이프(11)의 상, 하부면(11a, 11b) 및 전방면(11c)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22,23)이 상기 가로파이프(11)의 후방면(11d)에 걸림고정되도록 가고정(假固定)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로파이프(11)에서 좌, 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형 고정부(2)는 본체플레이트(21) 및 제1, 제2 가고정편(22,2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가로파이프(11) 간에 소정의 유격(틈새)이 발생하도록 상기 본체플레이트(21) 및 제1, 제2 가고정편(22,23)의 폭과 길이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플레이트(21)에 가로파이프(11)를 수용시키는 작업은 억지끼움방식으로 수행되는데, 이를 위해 걸림고정편(24)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22,23)의 내부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를 부여하되, 가로파이프(11)의 억지끼움시 탄성변형된 후 가로파이프(11)가 완전히 상기 본체플레이트(21)에 수용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로파이프(11)의 후방면(11d)에 걸림고정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3')는 상기 이동형 고정부(2)의 본체플레이트(21) 상,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3')는 삽입개방홀(31)이 형성되도록 일면이 개방되는 "ㄷ"자 형태로 절곡구성되며, 그 끝단에는 세로파이프(12)의 전방면(12c)에 걸림고정되도록 탄성고정편(32)을 절곡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3')는 세로파이프(12)의 전방면(11c)에 상기 탄성고정편(32)이 걸림고정되도록 상기 삽입개방홀(31)을 통해 상기 세로파이프(12)의 양끝단, 즉 제1 세로파이프설치부(3)에는 상부 세로파이프의 타단(하부끝단),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에는 하부 세로파이프(12)의 일단(상부끝단)을 억지끼움식으로 삽입수용시킴으로써 세로파이프(12)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고정편(32)은 상기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3')의 내부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를 부여하되, 세로파이프(12)의 억지끼움시 탄성변형된 후 세로파이프가 완전히 상기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3')에 수용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세로파이프(12)의 전방면(12c)에 걸림고정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은 도 2에서와 같이 평판을 소정 형태로 절개한 후 절곡(도 2의 1점쇄선부분을 절곡)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1)의 구성재질로는 금속제, 예컨대 철판 또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불연성 금속제를 구성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취급이 용이하도록 강도가 보장되는 범위 내에서 얇은 두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설치상태 및 이에 따른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은 상, 하로 위치하는 가로파이프(11)에 서로 대응하는 개수(설치할 외장패널(20)과 대응하는 개수)를 설치하되, 이때에는 이동형 고정부(2)에 의해 가고정(假固定)방식으로 가로파이프(11)에 설치한 상태에서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3')에 세로파이프(12)를 설치한다. 이후, 가로파이프(11)에 설치된 브라켓(1)은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이동형 고정부(2)를 가로파이프(11)의 좌, 우방향로 이동시켜서 각 브라켓(1)간의 간격을 외장패널(20)의 폭과 대응하게 배열한 이후, 별도의 고정수단, 예컨대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가고정(假固定)되어 있는 이동형 고정부(2)를 가로파이프(11)에 완전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3')에 세로파이프(12)를 설치하여 설치프레임(10)을 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설치프레임(10)의 시공작업은 상, 하로 위치하는 가로파이프(11)에 기준이 되는 브라켓(1)을 설치고정한 후 세로파이프(12)를 설치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나머지 브라켓(1)을 외장패널(20)의 폭과 대응하게 이동시켜서 배열하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은 세로파이프(12)를 가로파이프(11)에 가고정(假固定)한 상태에서 세로파이프(12)의 간격을 외장패널(20)의 폭과 대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시공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은 가로파이프(11)의 상, 하 배치간격에 대응하게 세로파이프(12)의 길이를 부여함으로써 세로파이프(12) 자체의 길이를 짧게 설계할 수 있어서 기존과 같이 세로파이프(12) 자체가 취급과정에서 휘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세로파이프(12)를 외장패널(20)의 폭과 대응하게 배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은 도 6에서와 같이 가로파이프들의 사이에 세로파이프가 설치됨에 따라 가로파이프와 세로파이프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함으로써, 내, 외벽에 설치시 설치프레임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가로파이프의 전방면에 맞대는 방식으로 세로파이프를 설치함에 따라 설치프레임이 가로, 세로파이프의 두께만큼 공간을 차지하는 것에 반해, 본 발명은 가로파이프들의 사이에 세로파이프가 설치되어 가로파이프의 두께만큼 한정되게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간활용도 향상은 특히 내벽체에 설치시 실내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은 상기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a,3b)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세로파이프(12)의 양끝단을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세로파이프의 내경과 대응하는 사각봉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b)는 상기 제1 세로파이프설치부(3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되,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b)의 길이는 상기 제1 세로파이프설치부(3a)의 길이에 대하여 2배의 길이가 부여된다. 이와 같이 길이를 달리하는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a,3b)를 포함하는 브라켓은 도 8b에서와 같이 평판, 예컨대 금속제, 예컨대 철판 또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불연성 금속제를 구성재질로 하는 평판을 소정 형태로 절개한 후 절곡(도 8b의 1점쇄선부분을 절곡)함으로써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a,3b)는 도 9에서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브라켓(1)의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b)에 세로파이프(12)를 일단을 최대한 삽입한 후, 하부에 위치하는 브라켓(1)의 제1 세로파이프설치부(3a)에 세로파이프(12)의 타단을 삽입함으로써 세로파이프(12)가 설치된다. 이후에는 별도의 고정수단(나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각 세로파이프설치부(3a,3b)에 세로파이프(12)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a,3b)는 각 세로파이프설치부(3a,3b)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세로파이프(12)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탈착작업(설치작업의 역순으로 진행) 또한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작업시간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은 상기 이동형 고정부의 제1, 제2 가고정편(22',23')이 상기 본체플레이트(21')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22',23')에는 상기 가로파이프(11)의 전방면(11c)에 걸림고정되도록 끝단에 걸림고정편(24')이 절곡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평판, 예컨대 금속제, 예컨대 철판 또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불연성 금속제를 구성재질로 하는 평판을 소정 형태로 절개한 후 절곡(1점쇄선부분을 절곡)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c)는 세로파이프의 일단과 타단이 삽입되도록 세로파이프의 내경과 대응하는 사각봉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c)의 하단부는 곡선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렇게 곡선형태로 구성할 경우에는 세로파이프(12)의 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유격에 따라 각 세로파이프설치부(3c)가 원활히 형태변경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은 상기 이동형 고정부(2)의 제1, 제2 가고정편(22',23')이 가로파이프(11)의 전방면(11c)에 걸림고정되도록 가고정(假固定)방식으로 설치되며,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3c)에는 세로파이프의 일단과 타단이 삽입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작용, 효과 즉, 세로파이프의 배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세로파이프 자체의 길이를 짧게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22',23')은 조립암수부재(25)에 의해 상기 본체플레이트(21')에 장, 탈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22',23')은 이동형 고정부(2)의 본체플레이트(21')에서 분리된 구조인 "ㄷ"자 형태로 구성하되, 조립암부재(5)를 구성하고, 이동형 고정부(2)의 본체플레이트(21')에는 조립수부재(5)를 구성하여 장. 탈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장, 탈착 방식으로 본체플레이트(21')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22',23')은 가로파이프(11)의 사이즈(size)에 따라 대응하도록 다양한 사이즈(size)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세로파이프(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가로파이프의 사이즈(size)에 따라 대응하는 사이즈(size)의 제1, 제2 가고정편(22',23')을 변경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5 내지 1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22',23')은 상기 본체플레이트(21')의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연장플레이트(26)에 각, 각 구비하여 한 조로써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한 조로써 구비되는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22',23')은 상기 연장플레이트(26)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로파이프(11)의 전방면(11c)에 걸림고정되도록 끝단에 걸림고정편(24')이 절곡형성된다. 이때, 제1, 제2 가고정편(22',23')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1')은 도 16에서와 같이 평판, 예컨대 금속제, 예컨대 철판 또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불연성 금속제를 구성재질로 하는 평판을 소정 형태로 절개한 후 절곡(1점쇄선부분을 절곡)함으로써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22',23')은 한 조로 구비되어 가로파이프(11)에 가고정(假固定)방식으로 설치할 경우, 단수개에 비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를 든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 예컨대 제1, 제2 가고정편의 구조와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의 구조는 서로 치환변형이나 치환변경이 가능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1' : 브라켓 2 : 이동형 고정부
3,3',3a,3b,3c :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
10 : 설치프레임 11 : 가로파이프
12 : 세로파이프 11a,11b,11c,11d : 상부면, 하부면, 전방면, 후방면
12c : 전방면 20 : 외장패널
21,21' : 본체플레이트 22,22' : 제1 가고정편
23,23' : 제2 가고정편 24,24' : 걸림고정편
25 : 조립암수부재 26 : 연장플레이트
31 : 삽입개방홀 32 : 탄성고정편

Claims (8)

  1. 상, 하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가로파이프들과, 이 가로파이프를 고정매개체로 하여 외장패널의 폭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설치되는 세로파이프들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파이프의 상, 하부면 및 전방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절곡구성되는 본체플레이트에서 연장되는 제1, 제2 가고정편과, 상기 세로파이프를 상기 가로파이프들의 사이에 수직설치할 수 있도록 이동형 고정부의 상,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로 구성되는 내,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고정부의 제1, 제2 가고정편은 상기 가로파이프의 후방면에 걸림고정되도록 끝단에 걸림고정편을 절곡형성하여 상기 이동형 고정부가 상기 가로파이프에 가고정(假固定)상태로 밀착설치되어 상기 가로파이프를 따라 좌, 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는 상기 세로파이프를 설치할 때 발생하는 유격에 따라 형태변경될 수 있도록 하단부가 곡선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고정부의 제1, 제2 가고정편은 상기 본체플레이트의 전방으로 연장하되, 상기 가로파이프의 전방면에 걸림고정되도록 끝단에 걸림고정편이 절곡형성하여 상기 이동형 고정부가 상기 가로파이프에 가고정(假固定)상태로 밀착설치되어 상기 가로파이프를 따라 좌, 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가고정편과 상기 본체플레이트는 조립암수부재에 의해 장, 탈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는 상기 세로파이프의 양끝단을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세로파이프의 내경과 대응하는 사각봉형태로 구성하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에 상기 세로파이프의 일단을 삽입한 이후,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세로파이프설치부에 상기 세로파이프의 타단을 삽입하는 구조로써 상기 세로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세로파이프설치부는 상기 제1 세로파이프설치부의 길이보다 2배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
  8. 삭제
KR1020190060885A 2019-05-23 2019-05-23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 KR102159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85A KR102159838B1 (ko) 2019-05-23 2019-05-23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85A KR102159838B1 (ko) 2019-05-23 2019-05-23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838B1 true KR102159838B1 (ko) 2020-09-25

Family

ID=7270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885A KR102159838B1 (ko) 2019-05-23 2019-05-23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8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163A (ko) * 2016-11-18 2018-05-28 상명엔프라(주) 천정 마감재 지지구조
KR101981008B1 (ko) * 2018-06-12 2019-05-21 (주)유창 하지틀 무용접 체결을 위한 브라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163A (ko) * 2016-11-18 2018-05-28 상명엔프라(주) 천정 마감재 지지구조
KR101981008B1 (ko) * 2018-06-12 2019-05-21 (주)유창 하지틀 무용접 체결을 위한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568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벽체 패널 설치 방법
US20220195735A1 (en) Architectural bracket, building wall structure, and plank member construction method
US11091906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2159838B1 (ko)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브라켓
KR20140052187A (ko) 모듈러 건축물의 벽체구조
KR101753700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102159837B1 (ko) 건축용 불연성 클램프
KR102328040B1 (ko) 내, 외벽체 설치프레임용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83030B1 (ko) 코너 벽 패널 조립체
KR102249451B1 (ko) 맞댐 체결형 스터드
KR102007937B1 (ko) 영구거푸집 패널이 구비된 선조립 철골조립체
KR101770393B1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KR20010106108A (ko) 지지 부재
KR200487832Y1 (ko) 건축자재 고정장치
US20190093358A1 (en) Brackets using trapezoidal metallic construction
KR20080057278A (ko) 지지 부재 조립체
US20190093335A1 (en) Composite floor joist
KR102515172B1 (ko) 논피스 방식 내진 보강 연결브라켓
JP2019210633A (ja) デッキプレートとそれに用いられるデッキプレート固定金具
CN214090317U (zh) 一种高强度型混凝土预制阳台
KR20120000062U (ko) 알루미늄 폼의 하단 지지브라켓
KR101063630B1 (ko)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JPH0455125Y2 (ko)
JP3534335B2 (ja) 間仕切り壁ランナー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