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073A -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073A
KR20100104073A KR1020090022226A KR20090022226A KR20100104073A KR 20100104073 A KR20100104073 A KR 20100104073A KR 1020090022226 A KR1020090022226 A KR 1020090022226A KR 20090022226 A KR20090022226 A KR 20090022226A KR 20100104073 A KR20100104073 A KR 20100104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all
fixed
exterior
anch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운
김철현
Original Assignee
(주)대동석재공업
김철현
전동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동석재공업, 김철현, 전동운 filed Critical (주)대동석재공업
Priority to KR102009002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4073A/ko
Publication of KR2010010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07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W)과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에 각각 부분적으로 인서트(insert)되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앵커(spring anchor, 101,102); 상기 건축물의 외벽(W)에 부분적으로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하나의 인서트 앵커(insert anchor, 103); 일단부(110a)는 상기 제1 스프링 앵커(101)에 고정되고 타단부(110b)는 상기 인서트 앵커(103)에 고정되되 상기 제2 외장패널(P2)을 향한 면에 요철홈(111)이 형성되는 앵글(angle, 110); 및 일단부(120a)는 상기 제2 스프링 앵커(102)에 고정되고 타단부(120b)는 상기 앵글(110)의 요철홈(111)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는 클립(clip, 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과 외장패널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부품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어 건축물의 외벽과 외장패널 사이의 간격을 더욱 더 좁혀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부품수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 문제, 조립 시간의 증가 문제,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 등을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고정앵글, 외장패널, 건축, 외장공사, 외장재.

Description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A FIXING DEVICE FOR A OUT SIDE PANEL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과 외장패널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부품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어 건축물의 외벽과 외장패널 사이의 간격을 더욱 더 좁혀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부품수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 문제, 조립 시간의 증가 문제,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 등을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장 공사 시에 외장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 설치하는 마감처리 공법에는 습식 공법과 건식 공법이 있으며, 습식 공법은 건물벽과 외장패널 사이에 시멘트 몰탈을 접착용재로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으로써, 시멘트의 양생시간이 길고 작업 및 시공상의 문제점으로 비경제적이고 비생산적인 단점이 있다.
상기에서 건식 공법(DRY WALL FIXING)은 건축물과 외장패널 사이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개재하여 외장패널을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 고정하 도록 한 것으로, 시공 시간이 짧고 작업의 편의성 및 시공상의 장점이 많아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습식 공법과 건식 공법 중 근래에 널리 이용되는 건식 공법에 사용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를 개선하여 안출한 것이다.
근자에 널리 사용되는 종래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5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W)에 앵커볼트(51)로 고정된 고정받침앵글(52)과; 상기 고정받침앵글(52)에 일단이 볼트(53)로 체결되며 종단에는 상부로 연장 형성된 결합편(54)이 마련되어 외장패널(P1,P2)의 하단에 형성된 요홈(55)에 삽입 고정되고 하부로 외장패널(P1,P2)의 상부일측부위에 마련된 앵커너트(56)와 볼트(57)로 체결되는 고정공(58)이 형성된 고정편(59)이 연장 형성된 고정앵글(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외장패널(P1,P2)은 상기한 결합편(54)이 삽입되는 요홈(55)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L1)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앵글(60)의 결합편(54)은 상측에 위치하는 외장패널(P2)의 하단을 받히고 상기 고정편(59)은 하측에 위치하는 외장패널(P1)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는 외장패널(P1,P2)들을 서로 견고히 연결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외장패널을 고정하는 것은 상기한 고정앵글의 결합편이 삽입 고정되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요홈을 외장패널의 하단에 형성하여야하기 때문에 외장패널의 두께가 일정한 폭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그 두께를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장패널이 단순히 상하로 획일적으로 조립됨으로써 건축물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시공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지난번 출원을 통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다만, 상기한 출원 기술은, 건축물의 외벽(W)과 외장패널(P1,P2)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부품이 3개이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벽(W)과 외장패널(P1,P2)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 문제, 조립 시간의 증가 문제,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 등이 야기되므로 새로운 보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외벽과 외장패널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부품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어 건축물의 외벽과 외장패널 사이의 간격을 더욱 더 좁혀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부품수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 문제, 조립 시간의 증가 문제,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 등을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건축물의 외벽(W)과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에 각각 부분적으로 인서트(insert)되어 고 정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앵커(spring anchor, 101,102);
상기 건축물의 외벽(W)에 부분적으로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하나의 인서트 앵커(insert anchor, 103);
일단부(110a)는 상기 제1 스프링 앵커(101)에 고정되고 타단부(110b)는 상기 인서트 앵커(103)에 고정되되 상기 제2 외장패널(P2)을 향한 면에 요철홈(111)이 형성되는 앵글(angle, 110); 및
일단부(120a)는 상기 제2 스프링 앵커(102)에 고정되고 타단부(120b)는 상기 앵글(110)의 요철홈(111)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는 클립(clip, 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앵글(110)은, 상기 요철홈(111)에서부터 상기 타단부(110b)까지의 거리(H1,H2)가 가변 가능하다.
상기 건축물의 외벽(W)과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 사이에는 패드(미도시)가 삽입 가능하며,
상기 건축물의 외벽(W)과 상기 앵글(110)의 타단부(110b) 사이에는 개스킷(gasket, 115)이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건축물의 외벽(W)에 상기 인서트 앵커(103)가 결합될 때 상기 인서트 앵커(103)의 머리부와 상기 건축물의 외벽(W) 사이에는, 슬라이딩 와셔(130)와, 상기 슬라이딩 와셔(130)와 접면하되 판면에 서로 다른 위치의 다수의 홀(140a)이 형성되는 더미 와셔(140)가 더 개재되며, 상기 더미 와셔(140)의 다수의 홀(140a)에 의해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외벽과 외장패널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부품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어 건축물의 외벽과 외장패널 사이의 간격을 더욱 더 좁혀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부품수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 문제, 조립 시간의 증가 문제,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 등을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이며, 도 4는 제1 스프링 앵커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5는 와셔 영역의 상세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는, 건축물의 외벽(W)과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에 각각 부분적으로 인서트(insert)되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앵커(spring anchor, 101,102)와, 상기 건축물의 외벽(W)에 부분적으로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하나의 인서트 앵커(insert anchor, 103)와, 일단부(110a)는 상기 제1 스프링 앵커(101)에 고정되고 타단부(110b)는 상기 인서트 앵커(103)에 고정되되 상 기 제2 외장패널(P2)을 향한 면에 요철홈(111)이 형성되는 앵글(angle, 110)과, 일단부(120a)는 상기 제2 스프링 앵커(102)에 고정되고 타단부(120b)는 상기 앵글(110)의 요철홈(111)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는 클립(clip, 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에 각각 부분적으로 인서트(insert)되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앵커(101,102)와, 상기 건축물의 외벽(W)에 부분적으로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하나의 인서트 앵커(103)는 종래기술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구성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기술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크게 2개의 부품, 즉 상기 앵글(110)과 상기 클립(120)이라는 2개의 부품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외벽(W)과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벽(W)과 외장패널(P1,P2)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부품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어 건축물의 외벽(W)과 외장패널(P1,P2) 사이의 간격을 더욱 더 좁혀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부품수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 문제, 조립 시간의 증가 문제,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 등을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앵글(110)의 경우, 상기 요철홈(111)에서부터 상기 타단부(110b)까지의 거리(H1,H2)가 가변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의 경우에는 그 거리(H1)가 짧고 도 3의 경우에는 그 거리(H2)가 길게 마련된다. 물론, 도 2와 같이, 그 거리(H1)를 짧게 유지시킴으로써 건축물의 외벽(W)과 외장패널(P1,P2) 사이의 간격을 더욱 더 좁혀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도 3과 같은 형태의 시공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는 상기 앵글(110)의 구조만을 약간 변경하면 되기 때문에 아주 간단하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기 건축물의 외벽(W)과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 사이에는 패드(미도시)가 삽입 가능하다. 패드는 수분 흡수용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의 외벽(W)과 상기 앵글(110)의 타단부(110b) 사이에는 개스킷(gasket, 115)이 개재될 수 있다. 개스킷(115)은 PVC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에 각각 부분적으로 인서트(insert)되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앵커(101,102)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및 제2 스프링 앵커(101,102)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1 스프링 앵커(101)에 대해서만 도 4에 확대하여 도시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스프링 앵커(101)는, 제1 외장패널(P1)에 미리 뚫려 가공된 홀(hole)에 삽입되는 앵커너트(101a)와, 앵커너트(101a)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납작한 형태의 스프링(101b)과, 와셔(101c)와, 볼트(101d)로 이루어진다. 물론, 와셔(101c)의 내측으로 원형 스프링(미도시)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우선 납작한 형태의 스프링(101b)을 앵커너트(101a)에 끼워 제1 외장패널(P1)에 삽입시킨 후, 와셔(101c)를 통해 볼트(101d)를 삽입하여 앵커너트(101a)에 체결하는데, 이때, 와셔(101c) 사이에 상기 앵글(110)의 일단부(110a)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앵글(110)은 제1 스프링 앵커(101)의 작용으로 제 1 외장패널(P1)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 즉 제1 스프링 앵커(101)의 구조에 의하면, 스프링(101b)이 가는 봉으로 이루어진 코일을 납작하게 압착하여 납작해진 코일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여 링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형성된 형상을 갖기 때문에, 볼트(101d)를 조이는 힘에 의해 앵커너트(101a)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가는 봉으로 이루어지는 납작한 형태의 스프링(101b)"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제1 외장패널(P1)에 아주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보다 강한 결착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지진 등)과 같은 외부의 충격을 자체적으로 흡수제거하여 제1 외장패널(P1)의 위치를 견고하고 강한 인발력이 요구되는 장소에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제1 및 제2 스프링 앵커(101,102)를 각각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에 고정하면서 앵글(110)과 클립(120)의 일단부(110a,120a)를 고정한다. 이어 앵글(110)의 요철홈(111)에 클립(120)의 타단부(120b)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앵글(110)의 타단부(110b)는 건축물의 외벽(W)에 인서트 앵커(103)로써 고정함으로써 간단하게 시공이 마무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즉 상기 건축물의 외벽(W)에 상기 인서트 앵커(103)가 결합될 때 상기 인서트 앵커(103)의 머리부와 상기 건축물의 외벽(W) 사이에 단순한 와셔 등이 마련되어 있다면 시공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상기 인서트 앵커(103)의 머리부와 상기 건축물의 외벽(W) 사이에 슬라이딩 와셔(130)와, 상기 슬라이딩 와셔(130)와 접면하되 판면에 서로 다른 위치의 다수의 홀(140a)이 형성되는 더미 와셔(140)가 더 개재하고 있다. 특히 상기 더미 와셔(140)에는 다수의 홀(140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다수의 홀(140a) 중에서 위치에 맞는 것을 사용하여 시공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수월해진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외벽(W)과 외장패널(P1,P2)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부품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어 건축물의 외벽(W)과 외장패널(P1,P2) 사이의 간격을 더욱 더 좁혀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도 5 참조) 종래와 같이 부품수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 문제, 조립 시간의 증가 문제,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 등을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도 4는 제1 스프링 앵커 영역의 확대도,
도 5는 와셔 영역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 건축물의 외벽 P1,P2 : 제1 및 제2 외장패널
101,102 : 제1 및 제2 스프링 앵커 103 : 인서트 앵커
110 : 앵글 115 : 개스킷
120 : 클립

Claims (3)

  1. 건축물의 외벽(W)과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에 각각 부분적으로 인서트(insert)되어 고정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앵커(spring anchor, 101,102);
    상기 건축물의 외벽(W)에 부분적으로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하나의 인서트 앵 커(insert anchor, 103);
    일단부(110a)는 상기 제1 스프링 앵커(101)에 고정되고 타단부(110b)는 상기 인서트 앵커(103)에 고정되되 상기 제2 외장패널(P2)을 향한 면에 요철홈(111)이 형성되는 앵글(angle, 110); 및
    일단부(120a)는 상기 제2 스프링 앵커(102)에 고정되고 타단부(120b)는 상기 앵글(110)의 요철홈(111)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는 클립(clip, 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110)은, 상기 요철홈(111)에서부터 상기 타단부(110b)까지의 거리(H1,H2)가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외벽(W)과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P2) 사이에는 패드(미도시)가 삽입 가능하며,
    상기 건축물의 외벽(W)과 상기 앵글(110)의 타단부(110b) 사이에는 개스킷(gasket, 115)이 개재되며,
    상기 건축물의 외벽(W)에 상기 인서트 앵커(103)가 결합될 때 상기 인서트 앵커(103)의 머리부와 상기 건축물의 외벽(W) 사이에는, 슬라이딩 와셔(130)와, 상기 슬라이딩 와셔(130)와 접면하되 판면에 서로 다른 위치의 다수의 홀(140a)이 형 성되는 더미 와셔(140)가 더 개재되며, 상기 더미 와셔(140)의 다수의 홀(140a)에 의해 조립이 용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0090022226A 2009-03-16 2009-03-16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eased KR20100104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226A KR20100104073A (ko) 2009-03-16 2009-03-16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226A KR20100104073A (ko) 2009-03-16 2009-03-16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073A true KR20100104073A (ko) 2010-09-29

Family

ID=43008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226A Ceased KR20100104073A (ko) 2009-03-16 2009-03-16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4073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780B1 (ko) 2015-04-16 2016-10-05 (주)젠타스코리아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60123666A (ko) 2015-04-16 2016-10-26 (주)젠타스코리아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60136944A (ko) 2015-05-21 2016-11-30 조민지 외장패널의 사선방향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60136945A (ko) 2015-05-21 2016-11-30 조민지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N111485691A (zh) * 2020-03-30 2020-08-04 成都劲启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墙面装饰板组件
CN113356497A (zh) * 2021-06-21 2021-09-07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板的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13374207A (zh) * 2021-06-21 2021-09-10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装饰板安装组件及其制作方法、装饰板结构及其装配方法
CN113431286A (zh) * 2021-06-21 2021-09-24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板的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13431289A (zh) * 2021-06-21 2021-09-24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线管的装饰板安装组件、装饰板结构及安装方法
CN113482267A (zh) * 2021-06-21 2021-10-08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装饰板的弹性插接组件、装饰板结构及加工方法
CN114370140A (zh) * 2021-12-10 2022-04-19 浙江红石装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装饰板装配系统及装配方法
KR20240153012A (ko) * 2023-04-14 2024-10-22 주식회사 성원하이테크 건물용 벽면 마감재
KR20250034683A (ko) 2023-09-04 2025-03-11 올스톤산업 주식회사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780B1 (ko) 2015-04-16 2016-10-05 (주)젠타스코리아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60123666A (ko) 2015-04-16 2016-10-26 (주)젠타스코리아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60136944A (ko) 2015-05-21 2016-11-30 조민지 외장패널의 사선방향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60136945A (ko) 2015-05-21 2016-11-30 조민지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N111485691A (zh) * 2020-03-30 2020-08-04 成都劲启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墙面装饰板组件
CN113356497A (zh) * 2021-06-21 2021-09-07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板的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13374207A (zh) * 2021-06-21 2021-09-10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装饰板安装组件及其制作方法、装饰板结构及其装配方法
CN113431286A (zh) * 2021-06-21 2021-09-24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装饰板的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13431289A (zh) * 2021-06-21 2021-09-24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线管的装饰板安装组件、装饰板结构及安装方法
CN113482267A (zh) * 2021-06-21 2021-10-08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装饰板的弹性插接组件、装饰板结构及加工方法
CN113431289B (zh) * 2021-06-21 2022-03-25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线管的装饰板安装组件、装饰板结构及安装方法
CN114370140A (zh) * 2021-12-10 2022-04-19 浙江红石装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装饰板装配系统及装配方法
CN114370140B (zh) * 2021-12-10 2024-05-24 浙江红石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陶瓷装饰板装配系统及装配方法
KR20240153012A (ko) * 2023-04-14 2024-10-22 주식회사 성원하이테크 건물용 벽면 마감재
KR20250034683A (ko) 2023-09-04 2025-03-11 올스톤산업 주식회사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4073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921557B1 (ko) 건축용 외장패널 내진장치
KR101303196B1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1527199B1 (ko) 단열재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앵커볼트 지지부재 및 그 시공방법
US20160032957A1 (en) Insert bolt having anti-turn function
KR101326756B1 (ko)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20120053453A (ko) 띠장 고정 부재 및 이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KR101735044B1 (ko) 석재 연결용 벽체 고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0018430A1 (en) Specialized connection devices and method of use
KR20160026508A (ko) 외장용 패널 고정장치
KR20120094458A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KR20110086311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962314B1 (ko) 단열재용 체결구
KR20080071847A (ko) 건축용 패널
KR20200079831A (ko) 건축물의 열교차단파스너를 이용한 외부단열 시공구조
KR20110067665A (ko)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30379Y1 (ko) 건축용 단열패널 고정구
KR101016632B1 (ko) 트러스 바 체결구
KR20110086316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697286B1 (ko) 외벽 고정용 앵커 조립체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101263484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결합클립
KR20210006589A (ko) 조적벽돌 결합구조
KR20041407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396935B1 (ko) 외벽 패널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5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