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137B1 -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 Google Patents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137B1
KR102195137B1 KR1020160029844A KR20160029844A KR102195137B1 KR 102195137 B1 KR102195137 B1 KR 102195137B1 KR 1020160029844 A KR1020160029844 A KR 1020160029844A KR 20160029844 A KR20160029844 A KR 20160029844A KR 102195137 B1 KR102195137 B1 KR 102195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base plate
vertic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112A (ko
Inventor
장용재
Original Assignee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filed Critical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Priority to KR102016002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13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홀더 프로파일을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에 연결체결함에 있어 종래 점(點)고정에 의한 체결볼트와는 달리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와 그 하부지지부가 이루는 삽입공간을 형성하여 그 삽입공간에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수평부를 삽입ㆍ체결되게 한 구성함으로써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이 하부지지부의 면(面)과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의 면(面)밀착에 의해 면(面)고정되어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삽입 공간(s)의 선단부에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보다 돌출된 가이드부(112a)가 형성됨으로써 외장부재 중량체(W)의 거치ㆍ지지점으로서의 역할과 동시에 삽입 공간(s)으로의 유도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며, 단열함에 있어 제작상 불가피한 면 열교(面 熱交)에서 제한적 점 열교(點 熱交)로 전환함으로써 패시브 하우스의 외벽두께를 더욱 얇게 하면서도 중량의 외피를 다양하게 채택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Baseplate fixing the horizontal/vertical profile of panel module on an outer wall}
본 발명은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수평 홀더 프로파일을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에 연결체결함에 있어 종래 점(點)고정에 의한 체결볼트와는 달리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와 그 하부지지부가 이루는 삽입공간을 형성하여 그 삽입공간에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수평부를 삽입ㆍ체결되게 한 구성함으로써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이 하부지지부의 면(面)과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의 면(面)밀착에 의해 면(面)고정되어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뿐 아니라 삽입 공간(s)의 선단부에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보다 돌출된 가이드부(112a)가 형성됨으로써 외장부재 중량체(W)의 거치ㆍ지지점으로서의 역할과 동시에 삽입 공간(s)으로의 유도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고, 단열함에 있어 제작상 불가피한 면 열교(面 熱交)에서 제한적 점 열교(點 熱交)로 전환함으로써 패시브 하우스의 외벽두께를 더욱 얇게 하면서도 중량의 외피를 다양하게 채택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또한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수평부의 하면과 하부지지부의 상면에 밀착ㆍ면(面)고정된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유격이 극소화되게 함으로써 회전모멘트가 가장 크게 걸리는 캔틸레버 구조의 끝단에 위치한 외장부재의 중량체 W와, 그리고 태풍이나 지진 등으로 인한 상하진동이 가세된다하더라도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면(面)밀착ㆍ면(面)고정에 의하여 캔틸레버의 처짐이 발생되지 않고 시공선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한 것이다.
요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일환으로 태양열, 조력 발전, 풍력발전 등의 신재생 에너지의 기술개발이 전 세계적 관심이 되고 있다.
건축분야에서도 건축물의 냉난방 에너지의 소비 총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열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외벽과의 단열효과가 뛰어난 장점을 지닌 오픈조인트(OPEN JOINT)공법을 거의 대부분 적용하고 있다. 단열효과뿐만 아니라 결로가 없어 깨끗한 외벽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오픈 조인트(Open Joint; Curtain Wall)공법은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등급을 높이고자 유럽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외장재 시공법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오픈 조인트공법은 건축물의 외벽(옹벽)이 외기온도 및 태양열, 직사광선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건축물의 외벽(옹벽)과 외장 판넬과 사이를 이격시켜 이격 공간, 즉, 공기 흐름층(Air flow)을 형성하고, 외장 판넬사이의 줄눈을 오픈시켜 외장 판넬의 외부(대기)와 내부(이격 공간)로 공기가 유통되게 하여 내ㆍ외부압력이 등압상태를 이루도록 한 등압원리에 기초한 공법이다.
줄눈의 틈새 간격은 통상 3~5mm이다. 석재 판넬의 경우 석재의 두께(t)는 20~30mm가 통상적이다.
등압상태에서는 줄눈의 틈새를 통하여 에너지의 흐름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빗물의 유입도 방지된다.
오픈조인트(OPEN-JOINT)공법의 반대 개념이 클로즈드 조인트(CLOSED JOINT)공법이다.
클로즈드 조인트(CLOSED JOINT)공법은 이격 공간, 즉 공기층을 두면서도 외장 마감재사이의 모든 줄눈을 실란트(Sealant; 실리콘 코킹)로 완전히 막아서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공기가 전혀 유입되지 않도록 한 공법이다. 이때 이격공간은 공기단열층으로서 역할을 한다.
오픈조인트(OPEN-JOINT)공법과 클로즈드 조인트(CLOSED JOINT)공법의 단열효과에 대한 차이점을 살펴본다.
외장 판넬이 여름철 직사광선을 받게 되면 외장 판넬이 석재판재인 경우 그 표면온도가 70~80℃까지, AL 판재인 경우에는 그 표면온도가 100℃까지 상승하게 된다.이때 외장 판넬을 통해 전달된 이격공간(대략 100~200㎜)내부의 온도는 석재판재인 경우40~50℃까지, AL 판재인 경우 70~80℃까지 상승된다.
삭제
이격공간(대략 100~200㎜)내부의 온도가 이와 같이 상승된 경우 클로즈드 조인트(CLOSED JOINT)공법에서는 상승된 이격공간의 높은 온도의 열에너지가 건물 내부로 전달되게 된다. 열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클로즈드 조인트공법의 밀폐된 이격 공간 내부온도는, 여름철의 경우 외부온도보다도 높아 건물내부로 열이 전달되어 더워진다. 이와 반대로 겨울철 낮의 경우 외부온도 보다 낮아 건물내부의 열을 빼앗으므로 추워진다.
이에 대하여 오픈조인트공법은 줄눈이 밀폐된 클로즈드 조인트공법과는 달리 오픈된 구조이므로 AL 외장판넬이 여름철 직사광선에 의해 그 표면온도가 100℃까지 상승된다하더라도 이격 공간(S)의 온도는 외부(대기)온도와 같아지려고 끊임없이 공기순환이 이루지기 때문에 외부(대기) 온도와 거의 같은 온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보고 되어있다.
이와 같이 오픈조인트공법의 오픈된 이격공간내부온도는, 클로즈드 조인트공법과는 정반대 현상이다. 즉, 여름철의 경우 외부의 온도와 거의 같고, 겨울철 낮의 경우 외부온도보다 높다. 오픈조인트공법이 단열효과가 우수하다.
오픈조인트공법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본원 출원인이 고안한 등록특허 10-1037905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가 있다. 본 발명은 등록특허 10-1037905호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한 것이다.
삭제
종래기술의 구조는 도1a에서 보는바와 같이 단열 외장부재(S)와 수평/수직 홀더 프로파일(20)(30)와 그리고 수평부(44)를 갖는 종래베이스플레이트(4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단열 외장부재(S)는 석판, 세라믹 판넬, 고밀도 목재 판넬, Aluminum 복합판넬 등과 같은 외장재(12)와, 그리고 그 배면에 두께(T)가 두꺼운 정형(定型)의 단열재(14)를 일체로 접착시킨 것이다. 외장재(12)의 두께(t)는 5~15mm이고, 정형의 단열재(14)두께(T)는 5~8배이다(도1b 참조). 이때 길이 6m의 단열 외장부재(S)는 그 중량이 10kg이 넘는다.
외장재(12)와, 정형(定型)의 단열재(14)가 일체로 된 단열 외장부재(S)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 및 수직 홀더 프로파일(30)에 받쳐진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20) 및 수직 홀더 프로파일(30)은 종래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평부(44)에 지지된다. 종래베이스플레이트(40)은 앵카볼트(60)에 의해 건물외벽(70)에 고정된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20) 및 수직 홀더 프로파일(30)는 정형의 단열재(14)의 수평변 및 수직변에 조립되는 구조이다.
정형의 단열재(14) 4변 중 수평 변 상ㆍ하부에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상ㆍ하향 수직 고정날개부(222)(224) 삽입홈(142)(144)이, 그리고 정형의 단열
재(14) 4변 중 수직변 양측에는 수직 홀더 프로파일(30)의 단열재 삽입 수직 날개부(34a)(34b) 삽입홈(145a)(145b)이 형성된다.
도1c에서보는 바와 같이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은 정형의 단열재(14)를 지지하면서 다시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평부(44)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은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평부(44) 위에 놓인 상태에서 체결볼트(50)에 의해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수평연결지지부(26)가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평부(44)위에 단순히 놓여있고, 이를 체결볼트(50)로 고정한 것이다.
외장재(12)와, 정형(定型)의 단열재(14)가 일체로 된 단열 외장부재(S)의 중량체는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단열 외장부재(S)를 지지하는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는 구조상 전혀 문제가 없다. 수평부(44) 및 수직부(42)를 갖는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는 단열 외장부재(S)의 중량체가 지지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1c에 의하면,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는 캔틸레버구조이다. 캔틸레버구조의 고정단은
앵카볼트(60)에 의해 건물외벽(70)애 고정된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직부(42)와 수평부(44)가 만나는 직각부(F)가 된다. 단열 외장부재의 중량(W)은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평부(44)에 실리게 된다. 수평부(44)에 실린 단열 외장부재의 중량(W)은 직각부(F)가 지지하는 구조이다. 캔틸레버구조의 직각부(F)는 수평부(44)에 실린 단열 외장부재의 중량(W)에 대하여 수직반력(Rv)과 회전모멘트(M)로 지지하는 구조형태이다.
도1c는 직각부(F)는 그 지지기능[수직반력(Rv)과 회전모멘트(M)]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평부(44)가 수평 홀더 프로파일(20)만큼 연장 확대되어있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평부(44)의 폭이 좁아 단열 외장부재의 넓은 두께가 그 위에 놓일 수 없기 때문에 체결볼트(50)의 고정에 의해 수평 홀더 프로파일(20)만큼 그 폭을 연장한 것이다.
캔틸레버구조의 직각부(F)의 지지는 같은 중량을 지지하더라도 수직반력(Rv)은 거리와 관계가 없지만 회전모멘트(M)는 거리에 비례해서 커진다. 회전모멘트(M)는 힘(중량)과 거리의 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제, 한편, 도1c를 참조하여, 수평 홀더 프로파일(20)과, 그리고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이 이루고 있는 캔틸레버구조형태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외장부재의 중량체 W는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평부(44) 너머 최전방에 위치된다. 중량체 W와 고정단인 직각부(F)사이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있기 때문에 직각부(F)에 하향회전모멘트(M)가 크게 걸리게 된다. 하향회전모멘트(M)에 의하여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직각부(F)가 설계된다. 이때 이를 설계구조값이라고 하면,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직각부(F)는 설계구조값을 만족한다.
그리고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시점인 가로줄눈커버(22a)에서 종점인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직각부(F)까지의 수평 길이를 X라 하면, 수평 길이X의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에는 단열 외장부재의 중량(W)이 설치되므로 직각부(F)에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수평부의 길이만큼 하향회전모멘트(M)가 더 걸리게 된다.
수평 길이X는 체결볼트(50)에 의해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수평부와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평부가 서로 고정된 길이다. 체결볼트(50)에 의한 고정은 점(點)고정이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직각부(F)가 설계구조값을 만족한다 해서 수평 길이X상의 체결볼트(50)에 의한 점(點)고정의 유격의 문제까지 만족시키는 것은 아니다.
직각부(F)는 소위 캔틸레버구조의 고정단이다. 캔틸레버구조의 고정단은 수직반력(Rv)과 회전모멘트(M)에 의해 직각부(F)의 직각이 변형되지 않고 항상 직각이 유지되는 구조형태를 말한다. 이에 따라 직각부(F)의 설계구조값이란, 수직반력(Rv)과 회전모멘트(M)를 지지하면서 직각부(F)의 직각이 유지되는 값을 말한다. 이를 캔틸레버구조계라 부른다.
이에 대하여 체결볼트(50)의 점(點)고정은 수직반력(Rv)과 회전모멘트(M)를 지지할 수 있는 직각유지의 고정단이 없다. 고정단이 없으므로 캔틸레버구조계가 아니다.
따라서 체결볼트(50)의 점(點)고정은 단순히 2개의 수평부재를 고정하는 것에 불과하다.
체결볼트(50)의 고정은 단순히 점(點)고정일 뿐이므로 캔틸레버구조계의 직각부(F)와는 달리 지지구조가 취약하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에 의한 상하방향의 회전모멘트(M)가 체결볼트(50)의 점(點)고정에 걸리게 되면 취약한 구조의 체결볼트(50)에서의 유격은 불가피하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시점인 가로줄눈커버(22a)에서 종점인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직각부(F)까지의 수평 길이를 X라 하면, 체결볼트(50)의 점(點)고정은 수평 길이 X의 중간부분에 위치된다.
도1c에서와 같이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평부(44)위에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이 설치된 상태에서 체결볼트(50)가 체결된다. 외장부재의 중량체 W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맨 끝 가로줄눈커버(22a)쪽에 위치된다.
외장부재의 중량체 W에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으로 인하여 상하진동이 반복적으로 지속되게 되면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에 의해 체결볼트(50)의 점(點)고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의 회전모멘트(M)가 교번된다. 상하방향의 회전모멘트(M)에 의하여 점(點)고정의 체결볼트(50)가 점차로 느슨하게 된다.
외장부재의 중량체(W)가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맨 끝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진동의 진폭이 클수록 유격이 크게 발생되고, 또 상방향 진동에 대하여 하방향 바람이 가세되면서 다시 이들 합력이 외장부재의 중량체(W)에 가해질 때 체결볼트(50)의 유격이 더한층 가중된다. 체결볼트(50)의 유격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지속되면서 더 크게 성장된다.
여기에다 시공품질의 불량, 시공부재의 내후성부족 등도 유격발생의 원인이 겹치게 되면 그 성장은 더욱 커진다.
외장재(12)는 석판, 세라믹 판넬, 고밀도 목재 판넬, Aluminum 복합판넬 등으로 이루어지고, 기준규격이 (B) x (L) x (t) = 600mm x 1500mm x (7.5~10mm)로 된 중량체이므로 그 중량은 보통 10kg을 넘는다(도1b 참조).
이와 같이 체결볼트(50)의 유격발생으로 인한 문제점으로는 첫째,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가로줄눈커버(22a)쪽 끝단에서 처짐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둘째, 처짐으로 인하여 단열 외장부재의 시공선이 틀어져 시공선의 불규칙하게 되는 문제점과, 셋째, 시공선의 불규칙으로 인하여 건축외관이 조악해짐은 물론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의 거치 내구성과 구조적인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 본 발명은 수평 홀더 프로파일을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에 연결체결함에 있어 종래 점(點)고정에 의한 체결볼트와는 달리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와 그 하부지지부가 이루는 삽입공간을 형성하여 그 삽입공간에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수평부를 삽입ㆍ체결되게 함으로써 수평 홀더 프로파일이 하부지지부의 면(面)과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의 면(面)밀착에 의해 면(面)고정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의 하면과 하부지지부의 상면이 이루는 삽입공간의 높이를 고정볼트에 의해 조정되게 함으로써 수평 홀더 프로파일 수평부의 삽입 시에는 고정볼트를 풀어 삽입공간의 높이를 크게 벌려 그 삽입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평 홀더 프로파일 수평부의 고정 시에는 고정볼트를 죄어 수평 홀더 프로파일 수평부를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의 하면과 하부지지부의 상면에 밀착되게 하여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유격이 더한층 극소화되게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삽입 공간(s)의 선단부에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보다 앞으로 돌출된 가이드부(112a)를 하부지지부의 연장선상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삽입 공간(s)으로의 삽입을 위한 외장부재 중량체(W)의 거치ㆍ지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거치ㆍ지지점으로 인해 작업을 위한 외장부재의 중량이 경감된 상태에서 삽입 공간(s)으로의 유도 삽입작업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고,
⒟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수평부가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의 하면과 하부지지부의 상면에 밀착ㆍ면(面)고정되게 하여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유격이 극소화되게 함으로써 캔틸레버 구조에서 회전모멘트가 가장 크게 걸리는 끝단에 위치한 외장부재의 중량체 W와, 그리고 여기에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 등이 가세된다하더라도 이로 인한 회전모멘트가 면(面)으로 밀착ㆍ면(面)고정되어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수평부 처짐이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시공선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의 거치 내구성과 구조적인 안정성역시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그뿐 아니라 단열함에 있어 제작상 불가피한 면 열교(面 熱交)에서 제한적 점 열교(點 熱交)로 전환함으로써 패시브 하우스의 외벽두께를 더욱 얇게 하면서도 중량의 외피(즉, 세라믹 타일, 석재, FC패널, 고밀도 목재 등)를 다양하게 채택할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20)(30)과, 종래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평부(44)와, 그리고 앵카볼트(60)에 의해 건물외벽(70)에 고정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 수직부(42)와의 연결 구조형태는 캔틸레버구조를 이루면서 외장재(12)의 배면에 정형(定型)의 단열재(14)가 일체로 결합된 외장부재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위에 놓이고, 그 외장재(12)의 중량(W)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직부(42)와, 수평부(44)가 만나는 직각부(F)에 의해 지지되도록 된 일련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수직부(102)와 수평부(104)로 이루어진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 하면에는 면(面)지지구조(110)를 설치ㆍ고정하되 면(面)지지구조(110)는 하부지지부(112)와 체결구멍(114a)을 갖는 고정몸체부(114)로 이루어지고, 면(面)지지구조(110)의 조립은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의 체결구멍(104a)과 고정몸채부(114)의 체결구멍(114a)에 삽입되는 고정볼트(116)에 의해 조립되면서 수평부(104)와 하부지지부(112)사이에 높이 h인 삽입공간(s)이 형성되며, 이때 느슨한 상태의 삽입 공간(s)내에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이 삽입되고, 그 조임·고정은 고정볼트(116)에 의해 견고히 체결되어 삽입 공간(s)내의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이 면(面)밀착·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이다.
여기에다,
하부지지부(112)의 선단에는 가이드부(112a)가 하부지지부(112)와 일체로 형성되어있으면서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보다 앞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이다.
본 발명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는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와 동일한 구조이고, 앵카볼트(60)에 의해 건물외벽(70)애 고정됨과 동시에 외장부재의 중량체(W)를 지지하는 수평/수직 홀더 프로파일(20)(30)과 연결되어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직부(42)와 수평부(44)가 만나는 직각부(F)에 의해 지지되는 캔틸레버구조형태역시 동일할 뿐 아니라 그 지지하는 기능과 역할도 동일하다.
또한 외장재(12)와, 정형(定型)의 단열재(14)가 일체로 된 외장부재가 본 발명에서 동일하게 사용될 뿐만 아니라 수평/수직 홀더 프로파일(20)(30)역시 본 발명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와 관련하여 동일하게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는 종래의 체결볼트(50)에 의한 점(點)고정과는 달리 면(面)고정으로 개선한 구성이고, 또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가 하부받침지지구(120)에 의해 지지되면서 면(面)지지되도록 한 구성이며, 그리고 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상면 및 건물외벽(70)에 접면되는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에 단열재를 부착한 구성이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와 크게 다른 점이다.
또한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하면에는 면(面)지지구조(110)가 설치ㆍ고정된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의 체결구멍(104a)과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의 체결구멍(114a)을 일치시키고 고정볼트(116)를 삽입시켜 2부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고정볼트(116)의 두부는 6각형 체결홈이 바람직하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에 밀착된 고정몸체부(114)는 상기 수평부(104)선단 쪽으로의 밀착면적이 클수록 견고하다. 이 상태에서 면(面)지지구조(110)의 하부지지부(112)와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사이에는 높이 h를 갖는 삽입공간(s)이 형성된다. 하부지지부(112)는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보다 가이드부(112a)만큼 길다. 가이드부(112a)는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보다 앞으로 튀어나온 상태다. 가이드부(112a)의 돌출길이는 15mm정도가 바람직하다.
삽입 공간(s)과 가이드부(112a)와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삽입 공간(s)의 기능과 그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면(面)지지구조(110)의 하부지지부(112)와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가 이루는 삽입 공간(s)으로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수평부가 삽입된다. 삽입된 후에는 삽입 공간(s)의 상면과 하면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이다. 종래의 체결볼트(50)에 의한 고정과는 달리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 없다. 삽입 공간(s) 내의 상하면에 의해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이 고정되기 때문이다. 외장부재의 중량체(W)가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위에 실린 캔틸레버구조에서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이 외장부재의 중량체(W)에 상하수직방향으로 강한 충격으로 인하여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이 상하로 진동된다하더라도 삽입 공간(s) 내에서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다. 삽입 공간(s) 내의 상하밀착이 면(面)밀착일 뿐 아니라 면(面)밀착에 의한 면(面)고정이기 때문이다. 캔틸레버구조이면서 삽입 공간(s)의 고정이 면(面)고정에 의하여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시공선이 그대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캔틸레버구조가 그대로 유지되어 내구성이 큰 이점을 지니게 된다. 태풍뿐만 아니라 지진 등도 여기에 속한다.
그뿐 아니라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수평부가 삽입 공간(s)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려면 면(面)밀착으로 인한 오차가 없어야한다. 오차가 없는 상태에서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수평부를 삽입 공간(s)에 삽입할 수가 없다.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를 고정볼트(116)에 의해 고정한 것이다. 삽입 시에는 고정볼트(116)를 풀어 삽입 공간(s)을 넓힌 다음, 면(面)밀착ㆍ고정을 위해 고정볼트(116)를 조이는 방식이다. 이때 고정볼트(116)는 삽입 공간(s)조정볼트로서 역할을 한다. 삽입 공간(s)의 높이h를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수평부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예컨대, 0.5mm 이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볼트(116)에 의해 고정된 고정몸체부(114)에는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밀접된 고정몸체부(114)는 그 밀접면적이 크기 때문에 고정볼트(116)에 상하방향의 큰 힘이 전달된다하더라도 종래 체결볼트(50)와는 달리 고정볼트(116)에 전달된 힘이 밀접면적이 큰 고정몸체부(114)로 분산되므로 실제 고정볼트(116)에는 훨씬 작은 힘이 작용될 뿐이다. 이에 반하여 종래 체결볼트(50)구조는 상하방향의 큰 힘이 체결볼트(50)에 집중되고, 결국 체결볼트(50)가 이 집중된 힘을 부담하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가이드부(112a)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수평부가 삽입 공간(s)으로 삽입된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에는 외장부재의 중량체(W)가 조립ㆍ설치된다. 캔틸레버구조에서 보면 회전모멘트가 가장 크게 걸리는 맨 선단부에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외장부재의 중량체(W)가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에 조립된 상태에서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수평부가 삽입 공간(s)으로 삽입하게 된다. 이때 삽입 공간(s)으로의 삽입작업은 아무 지지수단 없이 작업자가 고공에서 수행하는 작업이다. 그런데 밀착을 높이기 위해 삽입 공간(s)의 높이를 작게 형성할 경우 중량체(W)의 외장부재가 조립된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을 한두 사람의 작업자에 의해 삽입한다는 것은 삽입작업이 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위험성도 너무 크다.
또한 가이드부(112a)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에 조립된 외장부재 중량체(W)를 삽입 공간(s)에 삽입되기 직전에 그 중량을 거치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112a)가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보다 약간 앞으로 튀어나왔기 때문에 외장부재 중량체(W)가 조립된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을 그 위에 거치하기가 용이할 뿐 아니라 가이드부(112a)에 의해 외장부재 중량체(W)가 지지된 상태로 삽입 공간(s)으로의 유도가 용이하게 된다.
삽입 공간(s)의 높이h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수평부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예컨대, 0.05mm 이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볼트(116)의 조임에 의해 면(面)밀착ㆍ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다.
고정볼트(116)를 약간 풀어 삽입 공간(s)을 넓힌 다음,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을 삽입 공간(s)으로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삽입하게 되면 그 삽입이 용이해진다.
외장부재의 중량체(W)가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위에 실린 캔틸레버구조에서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이 외장부재의 중량체(W)에 상하수직방향으로 강한 충격으로 인하여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이 상하로 진동된다하더라도 삽입 공간(s) 내에서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다. 삽입 공간(s) 내의 상하밀착이 면(面)밀착일 뿐 아니라 면(面)밀착에 의한 면(面)고정이기 때문이다. 캔틸레버구조이면서 삽입 공간(s)의 고정이 면(面)고정에 의하여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시공선이 그대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캔틸레버구조가 그대로 유지되어 내구성이 큰 이점을 지니게 된다.
한편,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와 단열재(130)의 외측면이 일직선이 되게 설치ㆍ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 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이다.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와 단열재(130)의 외측면이 일직선이 되게 설치ㆍ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몸체부(114)의 단부수직면이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직각부(F)에 근접될수록 구조적으로 유리하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직각부(F)는 캔틸레버구조의 고정단이기 때문이다.
또한 수직지지부(122)와 수평지지부(124)가 직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된 하부받침지지구(120)를 면(面)지지구조(110)의 하면에 설치ㆍ고정하되 하부받침지지구(120)의 고정은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고정몸체부(114)와 그리고 하부받침지지구(120)가 하나의 고정볼트(116)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와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가 서로 밀접된 상태이면서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직지지부(122)의 단부 수직면이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의 단부수직면과 일직선이 되게 설치ㆍ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이다.
시공선은 본 발명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유지된다.
건물의 내구연한이 통상 50년 이상이다. 이 내구연한을 넘어서까지 시공선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 또는 면(面)지지구조(110)를 하부지지부(112)로 지지해주는 것도 한 방편이다. 지속적인 상하진동의 영향을 처음부터 극소화시키기 위해서다.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직지지부(122)의 단부 수직면이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의 단부수직면과 일직선이 되게 설치ㆍ고정하는 것이 구조역학적으로 유리하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고정몸체부(114)와, 그리고 하부받침지지구(120)가 하나의 고정볼트(116)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를 고정볼트(116)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하부받침지지구(120)는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하면에 의해 고정된다.
또 건물외벽(70)과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 사이, 그리고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 하부면과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 상부면사이에 단열재(130)를 부착하되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직지지부(122)의 외측단부 수직면이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의 외측단부수직면과 일직선이 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의 외측단부수직면은 (상기)건물외벽(70)과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사이에 부착된 단열재(130)의 외측면과 일직선이 되게 하면서 상기 수평지지부(124)가 단열재(130)를 받치고 있는 상태로 설치ㆍ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이다.
건물내외부로부터의 열이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의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통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130)를 부착한다. 단열재(130)의 부착위치는 건물외벽(70)과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사이와, 그리고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와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사이이다.
또한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를 고정볼트(116)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에는 단열재(130)는 건물외벽(70)과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 사이, 그리고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사이에 부착된다.
단열재(130)가 부착되지 않은 곳은, 고정볼트(116)뿐이다. 열교(熱交)현상은 단열재(130)가 부착되지 않은 고정볼트(116)에서 일어난다. 고정볼트(116)에 의한 열교(熱交)현상은 제작상 불가피한 면 열교(面 熱交)현상을 제한적 점 열교(點 熱交)현상으로 전환한 것이다. 이는 건축물 단열에 있어 획기적인 개선인 것이다. 패시브 하우스의 경우 외벽두께를 더욱 얇게 하면서도 중량의 외피(즉, 세라믹 타일, 석재, FC패널, 고밀도 목재 등)를 다양하게 채택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또한, 수평 홀더 프로파일(20)과, 종래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평부(44)와, 그리고 앵카볼트(60)에 의해 건물외벽(70)에 고정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 수직부(42)와의 연결 구조형태는 캔틸레버구조를 이루면서 외장재(12)의 배면에 정형(定型)의 단열재(14)가 일체로 결합된 외장부재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위에 놓이고, 그 외장재(12)의 중량(W)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직부(42)와, 수평부(44)가 만나는 직각부(F)에 의해 지지되도록 된 일련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수직지지부(122)와 수평지지부(124)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받침지지구(120)를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하면에 설치하되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직지지부(122)는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쪽에 위치되면서 단열재(130)는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의 배면에, 그리고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와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사이에 부착되고, 이 상태에서 수직지지부(122)의 외측면은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에 부착된 단열재(130)의 외측면과 일직선이며, 하부받침지지구(120)의 고정은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가 고정볼트(116)에 의해 체결·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이다.
⒜ 본 발명은 수평 홀더 프로파일을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에 연결체결함에 있어 종래 점(點)고정에 의한 체결볼트와는 달리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와 그 하부지지부가 이루는 삽입공간을 형성하여 그 삽입공간에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수평부를 삽입ㆍ체결되게 한 구성이므로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이 하부지지부의 면(面)과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의 면(面)밀착에 의해 면(面)고정되어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고,
⒝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의 하면과 하부지지부의 상면이 이루는 삽입공간의 높이를 고정볼트에 의해 조정되게 한 구성이므로 수평 홀더 프로파일 수평부의 삽입 시에는 고정볼트를 풀어 삽입공간의 높이를 크게 벌려 그 삽입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평 홀더 프로파일 수평부의 고정 시에는 고정볼트를 죄어 수평 홀더 프로파일 수평부를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 수평부의 하면과 하부지지부의 상면에 밀착되게 하여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유격이 더한층 극소화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 삽입 공간(s)의 선단부에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보다 앞으로 돌출된 가이드부(112a)를 하부지지부의 연장선상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므로 삽입 공간(s)으로의 삽입을 위한 외장부재 중량체(W)의 거치ㆍ지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거치ㆍ지지점으로 인해 외장부재의 작업 중량이 경감된 상태에서 삽입 공간(s)으로의 유도 삽입작업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수평부가 개선베이스플레이트의수평부의 하면과 하부지지부의 상면에 밀착ㆍ면(面)고정되어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유격이 극소화되는 구성이므로 캔틸레버 구조에서 회전모멘트가 가장 크게 걸리는 끝단에 위치한 외장부재의 중량체 W와, 그리고 여기에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 등이 가세된다하더라도 이로 인한 회전모멘트가 면(面)으로 밀착ㆍ면(面)고정되어 수평 홀더 프로파일의 수평부 처짐이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시공선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의 거치 내구성과 구조적인 안정성역시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 단열함에 있어 제작상 불가피한 면 열교(面 熱交)에서 제한적 점 열교(點 熱交)로 전환함으로써 패시브 하우스의 외벽두께를 더욱 얇게 하면서도 중량의 외피(즉, 세라믹 타일, 석재, FC패널, 고밀도 목재 등)를 다양하게 채택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a] 종래기술에서 단열 외장부재와, 수평/수직 홀더 프로파일과, 그리고 개선베이스플레이트(40)으로 이루어진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1b] 종래기술에서 외장재와 정형의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1c] 종래기술에서 개선베이스플레이트와 수평 홀더 프로파일이 캔틸레버구조형태로 점(點)연결ㆍ고정된 상태를 보인 측면 단면도
[도2a] 본 발명의 개선베이스플레이트와 수평 홀더 프로파일이 캔틸레버구조형태로 면(面)밀착연결ㆍ고정된 상태를 보인 측면 단면도
[도2b] 도2a의 개선베이스플레이트를 하부받침지지구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측면 단면도
[도3a] 면(面)지지구조에 의해 삽입 공간(s)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된 본 발명의 개선베이스플레이트 사시도
[도3b] 도3a의 단면도
[도3c] 도3b의 분해도
[도4a] 도3a의 개선베이스플레이트를 하부받침지지구에 의해 지지되면서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4b] 도4a의 단면도
[도5a] 본 발명의 개선베이스플레이트를 하부받침지지구에 의해 지지되면서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5b] 도5a의 단면도
본 발명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1의 수직부(102)는 앵카볼트(60)에 의해 건물외벽(70)애 먼저 고정된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1의 수평부(104)와 수평 및 수직 홀더 프로파일(20)(30)을 고정볼트(116)에 의해 연결ㆍ고정된다. 이때 수평 및 수직 홀더 프로파일(20)(30)위에는 중량(W)의 단열 외장부재가 조립된 상태, 즉 중량(W)이 걸린 상태에서 수평 및 수직 홀더 프로파일(20)(30)과 연결ㆍ고정된다.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수평부는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하부지지부(112)사이의 높이 h인 삽입 공간(s)에 삽입됨으로써 상하면에 의한 면(面)밀착 고정이다. 상하면에 의한 면(面)밀착으로 고정되면서 외부상하진동으로 인해서도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려면 삽입 공간(s)내로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수평부를 삽입할 수가 없다.
이때 삽입 공간(s)내로 그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위해서 삽입 시의 삽입 공간(s)의 높이를 크게 조정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116)로 조립한 구성이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를 고정볼트(116)에 의해 높이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이 바로 그것이다. 삽입을 용이하게 한 다음 삽입이 완료되면 다시 고정볼트(116)를 조여 원상의 삽입 공간(s)의 높이h가 되게 한다. 삽입 공간(s)의 높이h가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의 수평부의 두께보다 예컨대, 0.01mm보다 작게 형성하고, 고정볼트(116)에 의해 고정몸체부(114)가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에 밀착되게 고정하게 되면 외부상하진동으로 인한 상하 면(面)밀착에 의해 유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볼트(116)의 두부는 6각형 체결홈이 바람직하다. 고정볼트(116)의 고정은 통상적인 고정으로서 예컨대 너트와 함께 고정된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에 밀착된 고정몸체부(114)의 밀착면적이 클수록 지지력이 크다.
또한 삽입 공간(s)의 선단부에는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보다 앞으로 돌출된 가이드부(112a)가 면(面)지지구조(110)의 하부지지부(112)의 연장선상에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가이드부(112a)의 돌출길이는 15mm정도가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12a)는 외장부재 중량체(W)의 지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외장부재 중량체(W)가 가이드부(112a)에 지지되므로 고공에서 작업자가 취급하는 외장부재 중량체(W)의 무게가 경감된다. 작업 중량이 경감된 상태에서 삽입 공간(s)으로의 유도 작업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단열은 오픈 조인트시스템(open joint system)이나 클로즈드 조인트시스템(closed joint system)모두에 적용된다. 특히 패시브 하우스의 경우는 열교(熱交)의 완벽한 차단을 전제한 것이므로 단열에 신중하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는 높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단열재(130)의 부착위치는, 건물외벽(70)과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사이와,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와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사이와, 그리고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사이이다.
단열재(130)가 부착되지 않은 곳은, 고정볼트(116)뿐이다. 열교(熱交)현상은 단열재(130)가 부착되지 않은 고정볼트(116)에서 일어난다. 고정볼트(116)에 의한 열교(熱交)현상은 제작상 불가피한 면 열교(面 熱交)현상을 제한적 점 열교(點 熱交)현상으로 전환한 것이다. 이러한 전환은 건축물 단열에 있어 획기적이다.
시공선은 본 발명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에 의해 유지된다..
건물의 내구연한을 넘어 시공선이 유지되는 것은 건물의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태풍으로 인한 풍압과 지진 등의 상하진동이 캔틸레버구조의 시공선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준다. 캔틸레버의 길이가 길수록, 외장부재의 중량체(W)가 고정단에서 위치해 있을수록 상하진동에 대한 진폭이 커지기 때문이다. 통상 건물의 내구연한은 50년 이상이다.
상하진동에 대한 진폭의 영향을 극소화시키기 위해서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를 하부받침지지구(120)로 지지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가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 또는 면(面)지지구조(110)를 지지하는 형태이다.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위에 가해지는 하중은 고정볼트(116)와 직각부에 의해 지지된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그리고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를 일체로 고정하고 있는 것이 바로 고정볼트(116)이기 때문이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나 하부받침지지구(120)는 강도가 큰 금속재질이다.
중량체를 지지하는 부재이기 때문이다. 금속재질은 열전도성이 크다.
금속재질의 열전도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건물외벽(70)과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 사이, 그리고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사이에 단열재(130)를 부착한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는 통상 건물외벽(70)에 고정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직철골이나 수평철골 상에 고정하기도 한다.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 및 수평부(104)에 형성된 볼트구멍(106) 및 장공(108)은 수직철골이나 수평철골 상에 고정하기위한 것이다.
또한 삽입 공간(s)에 삽입된 고정은 면(面)밀착ㆍ고정이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용접 등)이 필요 없는 것이 특징이다.
면(面)밀착에 의한 면(面)고정은 유격이 없는 고정이다. 고정볼트(116)에 의한 해 삽입공간의 높이조정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태풍이나 지진등과 같은 상하진동에도 면(面)고정에는 유격이 발생이 방지되지 않아 시공선이 그대로 유지된다. 처짐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수평 수직홀더 프로파일(20)(30)의 지지구조가 안정적이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내구성이 유지되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100;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
102; 수직부(102), 104; 수평부(104), 104a; 체결구멍(104a)
106; 볼트구멍(106), 108; 장공(108)
110; 면(面)지지구조(110),
112; 하부지지부(112), 112a; 가이드부(112a), 114; 고정몸체부(114),
114a; 체결구멍(114a), 116; 고정볼트(116),
s; 삽입공간(s),
120; 하부받침지지구(120)
122; 수직지지부(122), 124; 수평지지부(124),
130; 단열재(130),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수평 홀더 프로파일(20)과, 종래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평부(44)와, 그리고 앵카볼트(60)에 의해 건물외벽(70)에 고정된 상기 종래베이스플레이트(40)의 수직부(42)와의 연결 구조형태는 캔틸레버구조를 이루면서 외장재(12)의 배면에 정형(定型)의 단열재(14)가 일체로 결합된 외장부재는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위에 놓이고, 그 위에 놓인 외장재(12)의 중량(W)을 수직부(42)와, 수평부(44)가 만나는 직각부(F)에 의해 지지되는 종래 베이스플레이트(40)에 있어서
    수직부(102)와 수평부(104)로 이루어진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 하면에는 면(面)지지구조(110)를 설치·고정하되 면(面)지지구조(110)는 하부지지부(112)와 체결구멍(114a)을 갖는 고정몸체부(114)로 이루어지고, 면(面)지지구조(110)의 조립은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의 체결구멍(104a)과 고정몸체부(114)의 체결구멍(114a)에 삽입되는 고정볼트(116)에 의해 조립되면서 수평부(104)와 하부지지부(112)사이에 삽입공간(s)이 형성되고, 이때 느슨한 상태의 삽입 공간(s)내에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이 삽입되고, 그 조임·고정은 고정볼트(116)에 의해 견고히 체결되어 삽입 공간(s)내의 수평 홀더 프로파일(20)이 면(面)밀착·고정되는 한편, 수직지지부(122)와 수평지지부(124)가 직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된 하부받침지지구(120)를 면(面)지지구조(110)의 하면에 설치·고정하되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평부(104)와, 고정몸체부(114)와, 그리고 하부받침지지구(120)의 고정은 서로 일치된 체결구멍에 삽입된 하나의 고정볼트(116)에 의해 고정되고, 이때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와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가 서로 밀접된 상태이면서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직지지부(122)의 외측단부 수직면이,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의 외측단부수직면과 그리고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에 부착된 단열재(130)의 외측면에 일직선이 되게 설치·고정되며, 또 건물외벽(70)과 개선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 사이, 그리고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 하부면과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평지지부(124) 상부면사이에 단열재(130)를 부착하되 하부받침지지구(120)의 수직지지부(122)의 외측단부 수직면이,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의 외측단부수직면과 일직선이 되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면(面)지지구조(110)의 고정몸체부(114)의 외측단부수직면은 상기 건물외벽(70)과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사이에 부착된 단열재(130)의 외측면과 일직선이 되게 하면서 상기 수평지지부(124)가 단열재(130)를 받치고 있는 상태로 설치·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 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6. 삭제
KR1020160029844A 2016-03-11 2016-03-11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KR102195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844A KR102195137B1 (ko) 2016-03-11 2016-03-11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844A KR102195137B1 (ko) 2016-03-11 2016-03-11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305A Division KR102229539B1 (ko) 2019-03-26 2019-03-26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KR1020190074081A Division KR102145689B1 (ko) 2019-06-21 2019-06-21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112A KR20170106112A (ko) 2017-09-20
KR102195137B1 true KR102195137B1 (ko) 2020-12-24

Family

ID=6003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844A KR102195137B1 (ko) 2016-03-11 2016-03-11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864B1 (ko) 2022-04-21 2022-11-01 중동건설(주) 외장패널용 조정식 연결철물 및 이를 이용한 외장패널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76B1 (ko) 2020-09-18 2023-08-28 썬파크 주식회사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KR102491454B1 (ko) * 2022-04-20 2023-01-26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905B1 (ko) * 2010-09-29 2011-05-30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58804B1 (ko) * 2009-10-20 2012-06-26 김완찬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재
KR101244981B1 (ko) * 2012-09-18 2013-03-18 박재민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971B1 (ko) * 2000-03-06 2003-03-15 주식회사 영화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석공사용 패스너
KR20090050778A (ko) * 2007-11-16 2009-05-20 박정진 철골부재 무용접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804B1 (ko) * 2009-10-20 2012-06-26 김완찬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재
KR101037905B1 (ko) * 2010-09-29 2011-05-30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44981B1 (ko) * 2012-09-18 2013-03-18 박재민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864B1 (ko) 2022-04-21 2022-11-01 중동건설(주) 외장패널용 조정식 연결철물 및 이를 이용한 외장패널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112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137B1 (ko)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KR101037905B1 (ko)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85026B1 (ko) 스틸 알루미늄 조합형 유닛 타입 커튼월
CA2683279A1 (en) A support system for mounting building facade elements to a framework
KR101785279B1 (ko) 충진단열재를 이용한 외장 단열패널 설치구조
US2011016774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trofitting glass or insulated glass units of existing curtain wall systems for improved thermal performance
KR101281884B1 (ko) 장식판 단열패널을 이용한 커튼월시스템
KR101137228B1 (ko) 건물 외벽용 유리 보강장치
KR101120478B1 (ko) 조립식 지붕의 태양광모듈 지지구
KR102145689B1 (ko)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CN104221109A (zh) 一种整合杂化太阳能电池的玻璃砖以及一种由干砌玻璃砖制成的用于构件半透明建筑围护的预应力板
KR102229539B1 (ko)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KR101278227B1 (ko)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모듈의 체결공법
RU54056U1 (ru) Навесной вентилируемый фасад здания
KR20200079831A (ko) 건축물의 열교차단파스너를 이용한 외부단열 시공구조
CN213087281U (zh) 一种金属面板的单元式保温装饰一体化板外墙系统
CN109441025B (zh) 一种装配式屋面檐口支撑杆组件、支撑单元及安装方法
CN208981540U (zh) 一种保温型装饰墙面
KR100689068B1 (ko) 단열 판넬과 태양전지 판넬이 결합된 복합 구조물
CN213653919U (zh) 一种建筑工程用幕墙结构
CN104294975A (zh) 一种铝板幕墙连接装置
CN210767952U (zh) 一种用于旧房改造的外墙保温结构
CN110499882B (zh) 一种建筑保温装饰一体化系统
CN209413151U (zh) 一种装配式屋面檐口支撑杆组件和支撑单元
JP5878867B2 (ja) ファサードを断熱するための補助的断熱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0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621

Effective date: 20200428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