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476B1 -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1476B1 KR102571476B1 KR1020200120458A KR20200120458A KR102571476B1 KR 102571476 B1 KR102571476 B1 KR 102571476B1 KR 1020200120458 A KR1020200120458 A KR 1020200120458A KR 20200120458 A KR20200120458 A KR 20200120458A KR 102571476 B1 KR102571476 B1 KR 1025714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part
- bracket
- wall
- exterior material
- support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9—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situated at the corners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의 일 양태는, 건축용 외장재를 건물의 외벽에 지지하기 위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외벽에 고정되는 외벽 고정부, 및 상기 외벽 고정부의 하단에서상기 외벽 고정부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연장되는 브라켓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1브라켓; 상기 브라켓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외장재가 지지된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외벽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벽 고정부에 대한 상기 브라켓 고정부의 상대 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 유지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외장재는, 건축물의 외관을 마감하는 것으로, 모르타르 등에 의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직접 부착되거나 별도의 구조에 의하여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외장재를 외벽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외벽에 고정된 제1브라켓에 외장재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제1브라켓은, 직교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고정부가 외벽에 면접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제2고정부가 외벽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고정부에 제2브라켓이 고정된다. 한편, 최근에는, 건축물의 미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석재나 테라코타 등과 같은 중량물의 외장재가 빈번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의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의 경우에는, 외장재의 자중에 의하여 제1브라켓, 실질적으로 제1고정부에 대하여 제2고정부가 휘어짐으로써, 설계된 위치에서 외장재가 지지되지 못하게 될 우려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정확하게 외장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의 일 양태는, 건축용 외장재를 건물의 외벽에 지지하기 위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외벽에 고정되는 외벽 고정부, 및 상기 외벽 고정부의 하단에서상기 외벽 고정부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연장되는 브라켓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1브라켓; 상기 브라켓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외장재가 지지된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외벽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벽 고정부에 대한 상기 브라켓 고정부의 상대 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 유지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각도 유지부는, 상기 브라켓 고정부의 일부가 절개된 후 상기 브라켓 고정부의 나머지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밴딩되어 형성되고, 그 선단이 상기 외벽에 지지되는 지지 리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지지 리브의 선단이 상기 외벽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고정부는 상기 외벽 고정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각도 유지부는, 상기 외벽에 고정되고, 상기 외장재의 자중에 의한 상기 지지 리브의 선단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리브의 선단에 걸리는 다수개의 걸림 돌기가 구비되는 걸림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걸림 부재의 일면에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외장재의 자중에 따라서 상기 걸림 돌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외장재에 자중이 증가될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는 그 직상방에 위치되는 다른 걸림 돌기에 비하여 상기 걸림 부재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지지 리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 고정부의 일부가 절개 및 밴딩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을 상기 브라켓 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고정용 체결구가 관통하는 제1장공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 리브가 외벽에 지지됨으로써, 외벽에 고정되는 외벽 고정부에 대한 제2브라켓이 고정되는 브라켓 고정부의 상대 각도가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 리브가 외벽에 지지된 상태에서, 브라켓 고정부가 외장재의 자중이 외력으로 작용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 즉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브라켓이 외장재를 지지한 상태에서도 외벽 고정부 및 브라켓 고정부의 상대 각도가 유지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외장재가 설계된 위치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 리브가 외장재의 자중에 따라서 다수개의 지지 돌기에 선택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장재의 자중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하게 외장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여 외장재가 지지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외장재 고정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여 외장재가 지지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외장재 고정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외장재 고정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고정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여 외장재가 지지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건축용 외장재(M)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및 제2브라켓(100)(2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브라켓(100)은, 외벽(W)에 고정되고, 상기 제2브라켓(200)은, 상기 제1브라켓(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M)를 지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브라켓(100)은, 외벽 고정부(110) 및 브라켓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외벽 고정부(110)는, 상기 외벽(W)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에는, 상기 제2브라켓(200)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가 상기 외벽 고정부(110)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연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외벽 고정부(110) 및 브라켓 고정부(120)가 각각 기설정된 면적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가 상기 외벽 고정부(110)의 하단에서 상기 외벽 고정부(110)에 대하여 직교되게 연장, 즉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벽 고정부(110) 및 브라켓 고정부(120)에는, 각각 외벽 고정용 장공(110H) 및 제1장공(120H)이 형성된다. 상기 외벽 고정용 장공(110H)은, 상기 외벽 고정부(110)를 상기 외벽(W)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장공(120H)은, 상기 제2브라켓(200)을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외벽 고정용 장공(110H)에는, 외벽 고정용 체결구(F1)가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1장공(120H)에는 브라켓 고정용 체결구(F2)가 관통하여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벽 고정용 장공(110H)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장공(120H)은, 상기 외벽(W)에 직교되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벽 고정용 장공(110H) 및 제1장공(120H)의 길이만큼, 상기 외벽(W)에 대한 상기 제1브라켓(100)의 상대 위치 및 상기 제1브라켓(100)에 대한 상기 제2브라켓(20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200)은,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M)를 지지한다. 상기 제2브라켓(200)에는, 제2장공(200H)이 형성된다. 상기 제2장공(200H)은, 상기 제1장공(120H)과 직교되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브라켓 고정용 체결구(F2)는, 상기 제1 및 제2장공(120H)(200H)의 교차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브라켓(200)은, 상기 제1 및 제2장공(120H)(200H)의 길이만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브라켓(100)에 대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브라켓(200)은, 기설정된 면적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200)의 선단에는 걸림편(2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210)은, 상기 외장재(M)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브라켓(200)의 선단에서 상기 제2브라켓(200)에 대하여 직교되게 연장, 즉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외장재(M)가 지지된 상기 제2브라켓(200)이 상기 외벽 고정부(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벽 고정부(110)에 대한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의 상대 각도를 유지시키는 각도 유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도 유지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외장재(M)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가 상기 외벽 고정부(110)에 대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외벽 고정부(110) 및 브라켓 고정부(120)의 상대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도 유지부는, 지지 리브(120R)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리브(120R)는, 그 선단이 상기 외벽(W)에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의 일부가 절개된 후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의 나머지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장공(120H)을 형성하기 위하여 절개된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의 일부가 밴딩되어 상기 지지 리브(120R)가 정의된다. 즉,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의 일부가 상기 외벽(W)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후 상기 외벽(W)에 인접하는 일단을 중심으로 도 2에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밴딩됨으로써, 상기 지지 리브(120R)가 정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리브(120R)의 선단이 상기 외벽(W)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가 상기 외벽 고정부(110)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지지 리브(120R)의 선단이 상기 외벽(W)에 지지되면,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는, 상기 외장재(M)의 자중이 외력으로 작용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이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 리브(120R)에 의하여 상기 외벽 고정부(110) 및 브라켓 고정부(120)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항하는 대항력이 미리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 리브(120R)가 상기 외벽(W)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외장재(M)가 상기 제2브라켓(200)에 지지되어 상기 외장재(M)의 자중만큼의 외력이 상기 제1브라켓(100)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외벽 고정부(110) 및 브라켓 고정부(120)가 기설정된 각도, 즉 직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리브(120R)가 상기 외벽(W)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M)의 자중에 의한 외력에 대한 대항력이 작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자중의 상기 외장재(M)가 지지되는 경우에도, 상기 외벽 고정부(110) 및 브라켓 고정부(120)의 상대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외장재 고정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각도 유지부가 외벽(W)에 고정되는 걸림 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 부재(300)에는 다수개의 걸림 돌기(31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 돌기(310)는, 상기 지지 리브(120R)의 선단에 걸리는 곳으로, 상기 지지 리브(120R)의 선단이 상기 걸림 돌기(310)에 걸림으로써, 상기 외장재(M)의 자중에 의한 상기 지지 리브(120R)의 선단이 제한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 돌기(310)는, 상기 걸림 부재(300)의 일면에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리브(120R)는, 상기 외장재(M)의 자중에 따라서 상기 걸림 돌기(31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린다.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 리브(120R)는, 상기 외장재(M)에 자중이 증가될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상기 걸림 돌기(310)에 걸린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장재(M)의 자중, 즉 제1브라켓(100)에 작용하는 외력이 증가될수록 외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 돌기(310)가 그 높이에 반비례하여 상기 걸림 부재(300)로부터 돌출된다. 즉, 상기 걸림 돌기(310)는 그 직상방에 위치되는 다른 걸림 돌기(310)에 비하여 상기 외벽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다. 이는, 브라켓 고정부(120)에 대한 상기 지지 리브(120R)의 선단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걸림 돌기(310)가 상기 걸림 돌기(310)에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림 돌기(310)는,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의 일부가 절개 및 밴딩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가 외벽 고정부(110)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지지 리브(120R)의 선단의 높이가 감소될수록 상기 외벽(W)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높이에 따른 상기 외벽(W)으로부터의 상기 지지 리브(120R)의 선단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걸림 돌기(310)가 돌출되는 거리가 설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브라켓 110: 외벽 고정부
110H: 외벽 고정용 장공 120: 브라켓 고정부
120H: 제1장공 120R: 지지 리브
200: 제2브라켓 200H: 제2장공
210: 걸림편 300: 걸림 부재
310: 걸림 돌기 W: 외력
M: 외장재 F: 체결구
110H: 외벽 고정용 장공 120: 브라켓 고정부
120H: 제1장공 120R: 지지 리브
200: 제2브라켓 200H: 제2장공
210: 걸림편 300: 걸림 부재
310: 걸림 돌기 W: 외력
M: 외장재 F: 체결구
Claims (8)
- 건축용 외장재(M)를 건물의 외벽(W)에 지지하기 위한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외벽(W)에 고정되는 외벽 고정부(110), 및 상기 외벽 고정부(110)의 하단에서상기 외벽 고정부(110)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연장되는 브라켓 고정부(120)를 포함하는 제1브라켓(100);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장재(M)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200); 및
상기 외장재(M)가 지지된 상기 제2브라켓(200)이 상기 외벽 고정부(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벽 고정부(110)에 대한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의 상대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그 선단이 상기 외벽(W)에 지지되는 지지 리브(120R);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리브(120R)는,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의 일부가 절개된 후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의 나머지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절개 및 밴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리브(120R)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의 일부가 절개 및 밴딩됨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200)을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고정용 체결구(F2)가 관통하는 제1장공(120H)이 정의되는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120R)의 선단이 상기 외벽(W)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고정부(120)는 상기 외벽 고정부(110)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W)에 고정되고, 상기 외장재(M)의 자중에 의한 상기 지지 리브(120R)의 선단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리브(120R)의 선단에 걸리는 다수개의 걸림 돌기(310)가 구비되는 걸림 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310)는, 상기 걸림 부재(300)의 일면에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리브(120R)는, 상기 외장재(M)의 자중에 따라서 상기 걸림 돌기(31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120R)는, 상기 외장재(M)에 자중이 증가될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상기 걸림 돌기(310)에 걸리는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310)는 그 직상방에 위치되는 다른 걸림 돌기(310)에 비하여 상기 걸림 부재(300)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는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0458A KR102571476B1 (ko) | 2020-09-18 | 2020-09-18 |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0458A KR102571476B1 (ko) | 2020-09-18 | 2020-09-18 |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7689A KR20220037689A (ko) | 2022-03-25 |
KR102571476B1 true KR102571476B1 (ko) | 2023-08-28 |
Family
ID=8093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0458A KR102571476B1 (ko) | 2020-09-18 | 2020-09-18 |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147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6825B1 (ko) | 2022-06-18 | 2024-08-20 | 썬파크 주식회사 | 단열재 일체형 유닛을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
KR20240002013A (ko) | 2022-06-28 | 2024-01-04 | 썬파크 주식회사 |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8585Y1 (ko) * | 2004-05-17 | 2004-08-09 | 오태훈 |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5137B1 (ko) | 2016-03-11 | 2020-12-24 |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
KR102100751B1 (ko) | 2018-12-27 | 2020-04-14 | 심금용 | 건축물 상에 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한 막대형 외장재 고정 장치 |
-
2020
- 2020-09-18 KR KR1020200120458A patent/KR1025714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8585Y1 (ko) * | 2004-05-17 | 2004-08-09 | 오태훈 |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7689A (ko) | 2022-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21868B2 (en) |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 |
KR102571476B1 (ko) |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 |
US20060032157A1 (en) | Seismic wall system | |
KR101137960B1 (ko) | 트러스 조립체 | |
KR101312955B1 (ko) | 목재 체결용 티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 |
KR20200071904A (ko) |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 |
KR102474425B1 (ko) | 건축물 천장용 마감재 | |
JP7411066B2 (ja) | 建築物の周囲システム | |
JP2019065543A (ja) | 取付具及び建物の壁構造 | |
KR101336668B1 (ko) | 트러스 조립체 | |
KR101770393B1 (ko) | 내장재 고정용 클립 | |
KR102277613B1 (ko) | 벽돌을 이용한 천장 마감 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JP7023658B2 (ja) | ボード取付金物およびボード取付構造 | |
KR102291868B1 (ko) | 내진 외단열 앵커 | |
KR101276181B1 (ko) | 커튼월용 조립식 프레임 | |
JP6473433B2 (ja) | 外壁の構造 | |
JP5486200B2 (ja) | 浴室用吊り架台 | |
KR100894676B1 (ko) | 창틀고정용 브래키트의 연결부재 | |
KR101922216B1 (ko) |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 |
KR101943014B1 (ko) |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 |
KR102590550B1 (ko) | 칸막이벽 내진 보강용 전도방지구 | |
KR102481979B1 (ko) | 내진 천장 시스템 | |
JP6067453B2 (ja) | 開口フレームの取付構造 | |
KR102616862B1 (ko) | 천장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시스템 | |
KR102584071B1 (ko) |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