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071B1 -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 Google Patents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071B1
KR102584071B1 KR1020200135604A KR20200135604A KR102584071B1 KR 102584071 B1 KR102584071 B1 KR 102584071B1 KR 1020200135604 A KR1020200135604 A KR 1020200135604A KR 20200135604 A KR20200135604 A KR 20200135604A KR 102584071 B1 KR102584071 B1 KR 102584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racotta
fixing
wall
peripheral surface
exterio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915A (ko
Inventor
이윤규
Original Assignee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0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pierc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의 일 양태는, 양단이 개방되는 중공의 봉 형상의 테라코타 부재를 외벽에 지지하기 위한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벽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외벽 고정 유닛; 상기 외벽 고정 유닛의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테라코타 부재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테라코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EXTERIOR STRUCTURE FOR CONSTRUCTION USING TERACOTTA MEMBER}
본 발명은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외장재는, 건축물의 외부의 기능이나 미감의 향상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건축용 부재 중 테라코타 (terracotta) 재질로 성형되는 부재는, 상대적으로 증진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취성인 재질의 특성상 이를 지지 또는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종래에는, 취성인 테라코타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라코타 부재가 자중에 의하여 지지 부재 등에 걸어져서 지지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테라코타 부재 지지 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테라코타 부재가 그 자중에 의하여 걸어진 형태로 지지되므로, 용이한 지지를 위하여 테라코타 부재가 장방형의 패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테라코타 부재, 예를 들면, 소정의 부피를 가지도록 중공의 통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종래의 지지 구조에 의한 지지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테라코타 부재가 그 자중에 의하여 걸어지는 형태로 지지 부재에 지지되므로, 테라코타 부재가 외력, 예를 들면 지진이나 바람 등에 의하여 지지 부재에 대하여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테라코타 부재가 지지 부재와 접촉되어 손상되거나 지지 부재로부터 탈거될 우려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64359호(명칭: 건축용 테라코타 타일의 고정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34320호(명칭: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다양한 형상의 테라코타 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라코타 부재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내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의 일 양태는, 양단이 개방되는 중공의 봉 형상의 테라코타 부재를 외벽에 지지하기 위한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벽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외벽 고정 유닛; 상기 외벽 고정 유닛의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테라코타 부재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테라코타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외벽 고정 유닛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서 상기 외벽 고정 유닛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벽 고정 유닛의 측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서 상기 외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벽 고정 유닛의 측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1캡 부재; 상기 테라코타 부재의 내부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테라코타 부재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타면에 접촉되는 제2캡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캡 부재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시키는 체결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캡 부재에는, 그 일측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테라코타 부재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캡 부재의 일부가 상기 테라코타 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테라코타 부재의 일단을 차폐하는 차폐 플랜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차폐 플랜지는, 상기 테라코타 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제2캡 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테라코타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캡 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테라코타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제1완충 부재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캡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완충 부재가 안착되는 적어도 1개의 안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테라코타 부재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캡 부재와 함께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코어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코어 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테라코타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 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테라코타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제2완충 부재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코어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완충 부재가 안착되는 적어도 2개의 안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외벽 고정 유닛은, 상기 외벽에 고정되는 각 파이프; 및 상기 각 파이프의 전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 및 상기 제1고정편의 전면에서 상기 외벽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2개의 제2고정편을 포함하는 파이프 브라켓;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편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각 파이프의 측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2고정편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편의 선단을 차폐하는 차폐 리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제1고정편의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편 사이 및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연장되는 루버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테라코타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 유닛에 의하여 테라코타 부재가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형상의 테라코타 부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 유닛과 테라코타 부재와의 직접적인 접촉이나 테라코타 부재에의 직접적인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테라코타 부재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는, 양단이 개방되는 중공의 봉 형상의 테라코타 부재(T)를 외벽(W)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외벽 고정 유닛(100), 고정 브라켓(200), 지지 유닛(300) 및 루버 부재(4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는, 상기 테라코타 부재(T)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벽 고정 유닛(100)은, 상기 외벽(W)에 고정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외벽 고정 유닛(100)은,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것으로, 상기 외벽(W)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다. 실질적으로는, 2개 이상의 상기 외벽 고정 유닛(100)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외벽 고정 유닛(100)은, 각 파이프(110) 및 파이프 브라켓(120)을 포함한다.
상기 각 파이프(110)는, 실질적으로 상기 외벽(W)에 고정된다. 상기 각 파이프(110)로는, 예를 들면,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횡단면을 갖는 주지된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각 파이프(110)의 전면은 상기 외벽(W)에 평행하고, 상기 각 파이프(110)의 측면은 상기 외벽(W)에 직교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브라켓(120)은, 제1고정편(121) 및 2개의 제2고정편(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편(121)은, 상기 각 파이프(110)의 전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각 파이프(110)의 전면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판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편(123)은, 상기 제1고정편(121)의 전면에서 상기 제1고정편(121)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고정편(123)은, 후술할 고정부(210)가 고정되는 곳으로, 상기 제1고정편(121)의 전면 양단에서 고정부(210)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00)은, 상기 외벽 고정 유닛(100), 즉 상기 파이프 브라켓(120)의 측면에 고정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고정 브라켓(200)이 상기 제2고정편(123)의 측면에 고정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 브라켓(200)이, 고정부(210), 연장부(220) 및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제2고정편(123)의 측면에 고정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210)가, 상기 제2고정편(123)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각 파이프(110)의 측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고정부(210)의 선단에서 상기 각 파이프(1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각 파이프(110)의 측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2개의 상기 고정 브라켓(200)을 구성하는 상기 고정부(210)가 상기 제2고정편(123)의 측면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220)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것이다.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연장부(220)의 선단에서 상기 외벽(W)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각 파이프(110)의 측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210) 사이의 폭, 즉 상기 외벽 고정 유닛(100)의 폭에 비하여 상기 지지부(230) 사이의 폭이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이는, 상기 지지 유닛(300)을 상기 고정 브라켓(200)에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연장부(220)의 길이만큼 작업을 위한 공간이 증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 브라켓(200)은, 차폐 리브(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폐 리브(240)는, 상기 고정부(210)가 상기 제2고정편(123)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편(123)을 차폐한다. 이를 위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차폐 리브(240)는, 상기 고정부(210)가 상기 제2고정편(123)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편(123)의 선단에 접촉되거나 상기 제2고정편(123)의 선단에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 유닛(3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200)에 고정되어 상기 테라코타 부재(T)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유닛(300)이, 제1캡 부재(310), 제2캡 부재(320) 및 체결구(3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 유닛(300)은, 제1완충 부재(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캡 부재(310)는, 상기 지지부(230)의 일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캡 부재(320)는,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부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230)의 타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340)는, 상기 제1 및 제2캡 부재(310)(320)를 상기 지지부(230)에 고정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캡 부재(310)(320)는,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경 미만의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캡 부재(320)에는, 차폐 플랜지(321)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 플랜지(321)는, 상기 제2캡 부재(320)의 일측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 플랜지(321)는, 상기 제2캡 부재(320)의 일부가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일단을 차폐한다. 다만, 상기 차폐 플랜지(321)는, 상기 테라코타 부재(T)와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상기 제1캡 부재(310)에도, 상기 차폐 플랜지(321)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데코 플랜지(311)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데코 플랜지(311)는, 단순히 상기 제1 및 제2캡 부재(310)(320)의 외관의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지는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2캡 부재(32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1개의 안착홈(32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홈(323)은, 상기 제1완충 부재(351)가 안착되는 곳으로, 상기 제1캡 부재(310)의 외주면 일부가 함몰되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홈(323)이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2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안착홈(323)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 상기 제1완충 부재(351)를 중심으로 상기 제1캡 부재(310)가 유동하여 상기 테라코타 부재(T)와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완충 부재(351)는, 상기 제2캡 부재(320)의 외주면 및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의 접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완충 부재(351)는 상기 안착홈(323)에 각각 안착되고, 상기 제2캡 부재(320)의 외주면 및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주면은 상기 제1완충 부재(351)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게 위치된다.
본 실시예는, 루버 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루버 부재(400)는, 상기 제1고정편(121)의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편(123) 사이 및 인접하는 상기 지지부(230)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루버 부재(400)는, 상기 연장부(220)에 의하여 증가되는 공간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건축용 외장 구조의 전면, 특히, 상기 테라코타 부재(T)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제1고정편(121)의 전방에 해당하는 영역에 상기 루버 부재(400)가 배치됨으로써, 건축물의 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유닛(300)은, 코어 부재(330) 및 제2완충 부재(35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어 부재(330)는, 테라코타 부재(T)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완충 부재(352)는, 상기 코어 부재(330)의 외주면 및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어 부재(330)는, 실질적으로, 제2캡 부재(320)가 삽입되는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부 양단 일부를 제외한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부 나머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 부재(330)는, 체결구(34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캡 부재(310)(320)와 함께 상기 지지부(230)에 고정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완충 부재(351)와 유사하게, 상기 제2완충 부재(352)에 의하여 상기 코어 부재(330)의 외주면 및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주면이 상호 이격되게 위치된다. 상기 제2완충 부재(352)는, 상기 코어 부재(3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안착홈(351)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외벽 고정 유닛 110: 각 파이프
120: 파이프 브라켓 121: 제1고정편
123: 제2고정편 200: 고정 브라켓
210: 고정부 220: 연장부
230: 지지부 240: 차폐 리브
300: 지지 유닛 310: 제1캡 부재
311: 데코 플랜지 320: 제2캡 부재
321: 차폐 플랜지 323: 안착홈
330: 코어 부재 331: 안착홈
340: 체결구 351: 제1완충 부재
352: 제2완충 부재 400: 루버 부재

Claims (14)

  1. 양단이 개방되는 중공의 봉 형상의 테라코타 부재(T)를 외벽(W)에 지지하기 위한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벽(W)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외벽 고정 유닛(100);
    상기 외벽 고정 유닛(100)의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200);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200)에 고정되어 상기 테라코타 부재(T)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300);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유닛(300)은,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일면에 접촉되는 제1캡 부재(310);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부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200)의 타면에 접촉되는 제2캡 부재(320);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캡 부재(320)와 접촉되는 코어 부재(330); 및
    상기 제1 및 제2캡 부재(310)(320)와 상기 코어 부재(330)를 상기 고정 브라켓(200)에 고정시키는 체결구(340);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캡 부재(320) 및 코어 부재(330)는,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경 미만의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200)은,
    상기 외벽 고정 유닛(100)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10);
    상기 고정부(210)의 선단에서 상기 외벽 고정 유닛(10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벽 고정 유닛(100)의 측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0); 및
    상기 연장부(220)의 선단에서 상기 외벽(W)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외벽 고정 유닛(100)의 측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면에 상기 제1 및 제2캡 부재(310)(320)가 각각 접촉되는 지지부(230); 를 포함하는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캡 부재(320)에는, 그 일측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캡 부재(320)의 일부가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일단을 차폐하는 차폐 플랜지(321)가 구비되는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플랜지(321)는,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300)은,
    상기 제2캡 부재(320)의 외주면 및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완충 부재(351); 및
    상기 지지 유닛(300)은, 상기 코어 부재(330)의 외주면 및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 부재(352);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캡 부재(320)의 외주면 및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주면과, 상기 코어 부재(330)의 외주면 및 상기 테라코타 부재(T)의 내주면은, 상기 제1완충 부재(351)와 상기 제2완충 부재(352)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게 위치되는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 부재(3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완충 부재(351)가 안착되는 적어도 1개의 안착홈(323)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 부재(3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완충 부재(352)가 안착되는 적어도 2개의 안착홈(331)이 형성되는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고정 유닛(100)은,
    상기 외벽(W)에 고정되는 각 파이프(110); 및
    상기 각 파이프(110)의 전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121) 및 상기 제1고정편(121)의 전면에서 상기 외벽(W)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부(210)가 고정되는 2개의 제2고정편(123)을 포함하는 파이프 브라켓(120); 을 포함하는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제2고정편(123)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각 파이프(110)의 측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200)은, 상기 고정부(210)가 상기 제2고정편(123)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편(123)의 선단을 차폐하는 차폐 리브(240)를 더 포함하는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편(121)의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편(123) 사이 및 인접하는 지지부(230)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으로 연장되는 루버 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KR1020200135604A 2020-10-20 2020-10-20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KR102584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604A KR102584071B1 (ko) 2020-10-20 2020-10-20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604A KR102584071B1 (ko) 2020-10-20 2020-10-20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915A KR20220051915A (ko) 2022-04-27
KR102584071B1 true KR102584071B1 (ko) 2023-10-05

Family

ID=8139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604A KR102584071B1 (ko) 2020-10-20 2020-10-20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0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987Y1 (ko) * 2004-12-27 2005-03-24 정 수 박 방범창용 창살
JP2009243048A (ja) * 2008-03-28 2009-10-22 Riken Light Metal Ind Co Ltd 建築用外装ルーバー
KR101134167B1 (ko) * 2011-06-30 2012-04-09 전영달 네일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5090B2 (ja) * 1997-02-25 2007-01-10 株式会社Skb 棒状体の取付構造
KR101334320B1 (ko) 2013-05-03 2013-11-27 주식회사 유토플러스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KR101664359B1 (ko) 2014-06-27 2016-10-10 박수준 건축용 테라코타 타일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987Y1 (ko) * 2004-12-27 2005-03-24 정 수 박 방범창용 창살
JP2009243048A (ja) * 2008-03-28 2009-10-22 Riken Light Metal Ind Co Ltd 建築用外装ルーバー
KR101134167B1 (ko) * 2011-06-30 2012-04-09 전영달 네일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915A (ko)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830U (ko) 단열재 시공을 위한 간격유지구
KR102001840B1 (ko) 범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진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커튼월
KR101312955B1 (ko) 목재 체결용 티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1178175B1 (ko) 건축외장재용 트러스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내진 블럭
US20200063430A1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1897509B1 (ko) 비노출형 커튼월의 지지구조
KR102584071B1 (ko) 테라코타 부재를 사용한 건축용 외장 구조
JP2010261232A (ja) 層間耐火材支持金具
JP5178246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KR102420414B1 (ko) 커튼월 지지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JP6379133B2 (ja) 天井下地構造及び吊り部材
KR102240604B1 (ko) 커튼월 프레임의 접합 시스템 및 방법
KR101745934B1 (ko) 외장패널 고정 프레임
JP2981414B2 (ja) 壁体パネル取付金具
KR102220364B1 (ko) 개폐창의 내진 연결구조
KR101818444B1 (ko) 창문 프레임 결합 구조
JP2020056164A (ja) 架台用ブラケット
CN211646722U (zh) 一种大开间门式刚架系统
JP2014104171A (ja) 区画形成面体、及び、区画形成面体を有する防煙たれ壁
KR20190131909A (ko) 건축물에 사용되는 프레임에서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JP2019019589A (ja) 層間耐火材支持金具および層間耐火材支持方法
JP2018204405A (ja) 床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90090437A (ko) 경량철골틀의 내진장치
KR20120017780A (ko) 내진성능을 갖는 일체형 창호시스템
JP2018053523A (ja) 外壁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