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979B1 - 내진 천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진 천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979B1
KR102481979B1 KR1020200137117A KR20200137117A KR102481979B1 KR 102481979 B1 KR102481979 B1 KR 102481979B1 KR 1020200137117 A KR1020200137117 A KR 1020200137117A KR 20200137117 A KR20200137117 A KR 20200137117A KR 102481979 B1 KR102481979 B1 KR 102481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olding
longitudinal direction
end fixing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112A (ko
Inventor
조봉호
이재섭
이동섭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7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9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내진 천장 시스템이 개시되며, 상기 내진 천장 시스템은, 벽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몰딩,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 각각의 단부를 상기 몰딩에 고정하는 단부 고정 유닛 복수개를 포함하되, 상기 단부 고정 유닛은, 상기 천장 격자 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몰딩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 천장 시스템{EARTHQUAKE-RESISTANT CEILING SYSTEM}
본원은 내진 천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의 실내 천장에서는 전기배선, 배관 등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외관을 미려하게 시공하기 위하여 천장을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경주지진과 포항지진을 통하여 건축물 내진성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게 되었고, 천장과 같은 비구조 요소의 내진설계 또한 이슈가 되고 있다.
종래의 천장은 구조물에 매달려 있는 구조이며, 패널 또한 석고, 텍스뿐만 아니라 금속마감도 사용하며, 지진 발생 시 천장과 벽체가 충돌하여 이러한 금속패널이 탈락하거나 천장 자체가 붕괴하여 내실자의 인명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관해 설명하자면, T-bar 천장시스템의 경우 마감패널은 격자의 T-bar에 기계적 접합되지 않아 약간의 변위에도 패널이 뒤틀리며 탈락할 수 있다. 이에 국내에서는 종래의 기술 “변위 흡수형 천장 몰딩구조”(등록번호 10-1951711)나 천장 몰딩장치(등록번호 10-1828368) 등을 통하여 변위를 제어하는 기술이 존재한다.
하지만, 국내 종래의 기술은 몰딩의 너비가 과도하게 커져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과 시공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해외 종래의 기술은 그리드를 구성하는 T-bar에만 적용 가능한 단부클립이다. 또한, 국내의 T-bar 시스템은 대부분 캐링채널을 통한 간접현수로 시공되며, 캐링채널에 대한 단부클립이 따로 필요하다. 또한 단부클립 자체를 벽체에 일일이 앵커고정 해서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은 시공성을 가지고 지진 발생시 작용하는 횡하중에 대하여 천장이 구조물과 같이 거동하여 천장 마감 패널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진 천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은, 벽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몰딩;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 각각의 단부를 상기 몰딩에 고정하는 단부 고정 유닛 복수개를 포함하되, 상기 단부 고정 유닛은, 상기 천장 격자 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몰딩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몰딩은, 벽면 상에 위치하는 후면판; 상하 방향으로 상호 제1 간격을 가지고 각각이 상기 후면판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면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연장부 각각으로부터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되 상호 제2 간격을 갖는 한 쌍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크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 간격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간격보다 크며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관 형태이며, 일측면의 상기 체결부의 길이 방향 일측부 및 상기 길이 방향 타측부 각각에 상기 길이 방향 타측 및 상기 길이 방향 일측으로 함몰되는 함몰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함몰구와 대응되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부 고정 유닛은, 상기 체결부의 길이 방향이 상기 후면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삽입 가능 상태 또는 상기 체결부의 길이 방향이 상기 후면판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체결 상태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 가능 상태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날개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체결 상태를 가지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몰딩에 체결 가능하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 가능한 상태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삽입 가능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체결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체결부의 회전시의 회전 직경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몰딩에 대한 체결시, 상기 함몰구 및 상기 관통구에 상기 날개가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전면의 상기 길이 방향 일측부 및 상기 길이 방향 타측부 각각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 상태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위치될 때, 상기 한 쌍의 날개 각각과 대향하고, 상기 체결부의 전면의 상기 길이 방향 일측부 및 상기 길이 방향 타측부 각각에는 상기 한 쌍의 날개 각각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체결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몸체판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판에는 상기 천장 격자 부재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용 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 중 하나는 캐링 채널이고, 상기 복수의 단부 고정 유닛 중 하나는 캐링 채널 단부 고정 유닛이며, 상기 캐링 채널 단부 고정 유닛의 몸체부는, 상기 몸체판의 폭 방향 일단 및 타단 각각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 중 하나는 티바이고, 상기 복수의 단부 고정 유닛 중 하나는 티바 단부 고정 유닛이며, 상기 티바 단부 고정 유닛의 몸체부는 상기 몸체판의 폭 방향 일단 및 타단 각각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몸체판의 폭방향 타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몸체판의 면 방향과 평행하는 면 방향을 갖는 제2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캐링 채널 단부 고정 유닛은 캐링 채널을 캐링 채널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방지되도록) 제1 몰딩에 고정할 수 있고, 티바 단부 고정 유닛은 티바를 티바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방지되도록) 제2몰딩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진발생시에도 천장 격자 부재(캐링 채널 또는 티바)가 그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아, 천장 격자 부재가 몰딩 또는 벽체와 충돌하여 손상, 탈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천장 격자 부재와 구조체(몰딩 또는 벽체(벽))의 거동이 일체화될 수 있는 내진 천장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부 고정 유닛은 단순히 몰딩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만으로도 몰딩에 체결되어 천장 격자 부재와 몰딩을 결합시킬 수 있기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또한, 스크류 부재에 의한 결합이 수행되지 않아도 단부 고정 유닛에 의해 천장 격자 부재와 몰딩이 결합될 수 있기에, 스크류 부재로 고정했을 때 발생하던 천장 뒤틀림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의 몰딩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의 캐링 채널 단부 고정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의 티바 단부 고정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의 단부 고정 유닛의 체결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의 단부 고정 유닛의 체결부가 몰딩의 한 쌍의 연장부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의 단부 고정 유닛의 체결부가 몰딩에 대하여 체결 상태를 갖도록 삽입 가능 상태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하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내진 천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천장 시스템(이하 '본 내진 천장 시스템'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내진 천장 시스템은, 벽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몰딩(1)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몰딩(1) 중 하나인 제1 몰딩(1a)은 제1 벽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몰딩(1) 중 다른 하나인 제2 몰딩(1b)은 제1 벽과 수직하는 제2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몰딩(1a)과 제2 몰딩(1b)은 각각의 길이 방향이 서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몰딩(1)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몰딩(1)은 벽면 상에 위치하는 후면판(11), 상하 방향으로 상호 제1 간격(t1)을 가지고 각각이 후면판(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후면판(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12) 및 한 쌍의 연장부(12) 각각으로부터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되, 끝단 사이에 제2 간격(t2)이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간격(t2)은 제1 간격(t1)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연장부(12)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본원의 도면에는 연장부(12)가 두 개의 쌍으로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내진 천장 시스템은,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2)를 포함한다.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2) 중 하나는 캐링 채널(2a)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2) 중 하나는 티바(T-bar)(2b)일 수 있다. 캐링채널(2a)은 본판(21) 및 본판(21)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캐링 채널(2a)은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티바(2b)는 본판(21) 및 본판(21)의 폭방향 일단에 본판(21)과 수직하게 구비되는 연직판(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티바(2b)는 본판(21)의 폭방향 타단에 구비되는 폐도형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캐링 채널(2a) 및 티바(2b)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내진 천장 시스템은,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2) 각각의 단부를 몰딩(1)에 고정하는 단부 고정 유닛(3)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 고정 유닛(3)은 천장 격자 부재(2)의 단부에 체결되는 몸체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부 고정 유닛(3)은 몸체부(31)의 일측에 형성되어 몰딩(1)에 체결되는 체결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32)는 관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관 형태라 함은 단면이 다각형(이를 테면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중공부가 형성된 관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 형태인 체결부(32)는 제2 간격(t2)보다 크며 제1 간격(t1)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고, 제2 간격(t2)보다 작은 폭(b)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32)는 일측면의 체결부(32)의 길이 방향 일측부 및 길이 방향 타측부 각각에 길이 방향 타측 및 길이 방향 일측으로 함몰되는 함몰구(321)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함몰구(321)와 대응되는 관통구(324)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324)는 적어도 일부가 함몰구(321)와 대향함으로써 함몰구(321)와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구(324)는 함몰구(321)와 같은 형태로 타측면에 함몰구(321)와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대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관통구(324)는 상하 방향으로 체결부(32)의 타측면을 절개하며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관통구(324)의 상부 및 하부 각각은 일측면의 함몰구(321)와 대향함으로써 함몰구(321)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32)에 함몰구(321), 관통구(324)가 형성됨을 고려하면, 전술한 체결부(32)가 관 형태라는 것은, 중공부와 외부를 통공하는 개구부(함몰구(321), 관통구(324))가 형성된 관 형태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31)는 몸체판(311)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판(311)은 후술하는 체결부(32)의 타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몸체판(311)에는 천장 격자 부재(2)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용 홀(3111, 3112)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용 홀(3111, 3112)을 통해 천장 격자 부재(2)와 몸체판(311)이 체결 유닛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몸체부(31)와 천장 격자 부재(2)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용 홀(3111, 3112) 중 적어도 하나는 일반홀(3111)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는 장공(3112)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용 홀(3111, 3112)에 의하면 천장 격자 부재(2)의 수평 시공 오차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천장 격자 부재(2)는 일측부가 단부 고정 유닛(3)과 결합되어 몰딩(1)에 체결되고, 타측부가 다른 단부 고정 유닛(3)과 결합되어 상기 몰딩(1)의 반대편에서 상기 몰딩(1)과 대향하는 다른 몰딩(1)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천장 격자 부재(2)의 일측부는 단부 고정 유닛(3)의 일반홀(3111)과 체결될 수 있고, 천장 격자 부재(2)의 타측부는 다른 단부 고정 유닛(3)의 장공(3112)과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천장 격자 부재(2)의 수평 시공 오차(이를 테면, 천장 격자 부재(2)의 길이 방향(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시공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천장 격자 부재(2)의 타측부가 다른 단부 고정 유닛(3)의 장공(3112) 중 시공 오차를 조절할 수 있는 부분에 체결될 수 있기 때문에, 수평 시공 오차가 조정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단부 고정 유닛(3)은 체결부(32)의 길이 방향이 몰딩(1)의 후면판(1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삽입 가능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단부 고정 유닛(3)은 체결부(32)의 길이 방향이 몰딩(1)의 후면판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체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을 참조하면, 체결부(32)는 체결부(32)의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연장부(12)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 가능한 상태를 가지고 몰딩(1)의 한 쌍의 날개(13)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체결부(32)는 삽입 가능한 상태로 연장부(12)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2)는 삽입 가능한 상태로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연장부(12) 사이에 위치할 때, 삽입 가능한 상태에서 회전되어 체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부(12) 사이의 제1 간격은 체결부(32)의 회전시 체결부(32)의 회전 영역(원을 그릴 수 있음)의 직경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 의하면, 체결부(32)의 회전시 연장부(12)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체결부(32)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부(32)는 체결 상태를 가지고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연장부(12) 사이에 위치되어 몰딩에 체결 가능하다. 또한, 체결부(32)는 몰딩(1)에 대한 체결시, 함몰구(321) 및 관통구(324)에 몰딩(1)의 날개(13)가 위치하도록 체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체결부(32)가 체결 상태를 가지고, 한 쌍의 날개(13) 중 상측에 위치하는 날개(13)는 하나의 함몰구(321)(체결부(32)의 길이 방향 일측의 함몰구(321)) 및 관통(324) 내에 위치하고, 한 쌍의 날개(13) 중 하측에 위치하는 날개(13)는 다른 함몰구(321)(체결부(32)의 길이 방향 타측의 함몰구(321))와 관통구(324) 내에 위치하므로, 체결부(32)의 연장부(12) 사이 공간으로부터의 탈거가 방지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부(32)는 연장부(12)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32)에 의하면 단부 고정 유닛(3)이 몰딩(1)에 끼워저 회전됨으로써 몰딩(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단부 고정 유닛(3)은 몰딩(1)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나 격자부재(1)가 설치된 방향(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또한, 단부 고정 유닛(3)의 체결부(32)는 몰딩(1)과 체결 유닛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체결 유닛은 스크류(이를 테면, 스크류 볼트)일 수 있다. 참고로, 체결 유닛에 의한 단부 고정 유닛(3)의 체결부(32)와 몰딩(1)의 결합은 필요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선택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 유닛에 의한 체결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32)의 전면의 체결부(32)의 길이 방향 일측부 및 길이 방향 타측부 각각은, 상기 체결부(32)가 상기 체결 상태로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연장부(12) 사이에 위치될 때, 한 쌍의 날개(13) 각각과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2)의 전면의 길이 방향 일측부 및 길이 방향 타측부 각각에는 한 쌍의 날개(13) 각각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용 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32)가 상기 체결 상태로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연장부(12) 사이에 위치될 때, 체결부(32)의 전면의 체결부(32)의 길이 방향 일측부는 그에 형성된 체결용 홀(322)에 의해 한 쌍의 날개(13) 중 하나와 체결 유닛으로 체결될 수 있고, 체결부(32)의 전면의 체결부(32)의 길이 방향 타측부는 그에 형성된 체결용 홀(322)에 의해 한 쌍의 날개(13) 중 다른 하나와 체결 유닛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 유닛은 스크류(이를 테면, 스크류 볼트)일 수 있는데, 스크류에 의한 체결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체결부(32)가 체결 유닛에 의해 몰딩(1)에 체결되면, 체결부(32)의 몰딩(1)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 또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2) 중 하나는 캐링 채널(2a)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복수의 단부 고정 유닛(3) 중 하나는 캐링 채널 단부 고정 유닛(3a)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캐링 채널 단부 고정 유닛(3a)의 몸체부(31)는 몸체판(311)의 폭 방향 일단 및 타단 각각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링 채널 단부 고정 유닛(3a)는 몸채부(31)가 캐링 채널(2a)과 맞물리는 형태를 가지고 캐링 채널(2a)에 결합될 수 있어,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2) 중 하나는 티바(2b)일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복수의 단부 고정 유닛(3) 중 하나는 티바 단부 고정 유닛(3b)일 수 있으며, 티바 단부 고정 유닛(3b)의 몸체부(31)는 몸체판(311)의 폭 방향 일단 및 타단 각각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1 절곡부(313) 및 제1 절곡부(313)로부터 절곡되어 몸체판(311)의 면 방향과 평행하는 면 방향을 갖는 제2 절곡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티바 단부 고정 유닛(3b)의 폭방향 일단부는 제1 절곡부(313)가 형성되는 ㄱ자 형상일 수 있고, 티바 단부 고정 유닛(3b)의 폭방향 타단부는 제1 절곡부(313) 및 제2 절곡부(314)가 형성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 때, 티바 단부 고정 유닛(3b)의 폭방향 타단부의 제2 절곡부(314)는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티바 채널 단부 고정 구조체(3b)는 몸채부(31)가 티바(2b)와 맞물리는 형태를 가지고 티바(2b)에 결합될 수 있어,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내진 천장 시스템은, 캐링 채널(3a) 및 티바(3b) 각각에 맞춤형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31) 및 몰딩(1)에 삽입되어 회전됨으로써 몰딩(1)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다 몰딩(1)의 두께 방향(천장 격자 부재(2)의 길이 방향,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하게 몰딩(1)에 체결되는 체결부(32)를 포함하는 단부 고정 구조체(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내진 천장 시스템은, 단부 고정 구조체(3)의 체결부(32)가 삽입 후 회전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몰딩(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내진 천장 시스템에 의하면, 캐링 채널 단부 고정 유닛(3a)은 캐링 채널(2a)을 캐링 채널(2a)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방지되도록) 제1 몰딩(1a)에 고정할 수 있다(이 때, 캐링 채널 단부 고정 유닛(3a) 및 이에 결합된 캐링 채널(2a)은 제1 몰딩(1a)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될 수 있음). 또한, 캐링 채널 단부 고정 유닛(3a)이 체결 유닛에 의해 제1 몰딩(2a)에 결합됨으로써, 캐링 채널(2a)은 그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 및 제1 몰딩(1a)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제1 몰딩(1a)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티바 단부 고정 유닛(3b)은 티바(2b)를 티바(2b)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방지되도록) 제2몰딩(1b)에 고정할 수 있다(이 때, 티바 단부 고정 유닛(3b) 및 이에 결합된 티바(2b)는 제2 몰딩(1b)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될 수 있음). 또한, 티바 단부 고정 유닛(3b)이 체결 유닛에 의해 제2 몰딩(2b)에 결합됨으로써, 티바(2b)는 그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 및 제2 몰딩(1b)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제2 몰딩(1b)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진발생시에도 천장 격자 부재(2)(캐링 채널(2a) 또는 티바(2b))가 유동하지 않아, 천장 격자 부재(2)가 몰딩(1) 또는 벽체와 충돌하여 손상, 탈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천장 격자 부재(2)와 구조체(몰딩(1) 또는 벽체(벽))의 거동이 일체화될 수 있는 내진 천장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내진 천장 시스템에 의하면, 단부 고정 유닛(3)이 단순히 몰딩(1)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만으로도 천장 격자 부재(2)를 그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되지 않게 몰딩(1)에 결합시킬 수 있기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또한, 만약, 몰딩(1)에 종래의 주변지지클립을 스크류로 고정하게 되면, 시공성이 좋지않고, 조그만한 시공오차에도 천장이 뒤틀릴 수 있으나, 본 내진 천장 시스템에 의하면, 단순히 단부 고정 유닛(3)이 돌려 끼우는 것만으로도 몰딩에 접합(결합)될 수 있기에, 향상된 시공성이 확보될 수 있고, 천장 뒤틀림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내진 천장 시스템에 의하면, 체결부(32)는 몸체판(311)으로부터 연장되는 판 부분이 전술한 관 형태로 감아짐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부 고정 유닛(3)은, 하나의 플레이트의 일측부가 감아짐으로써, 일측에 체결부(32)가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몸체부(31)로 형성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부 고정 유닛(3)은 간명한 제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몰딩
1a: 제1 몰딩
1b: 제2 몰딩
11: 후면판
12: 연장부
13: 날개
2: 천장 격자 부재
2a: 캐링 채널
2b: 티바
3: 단부 고정 유닛
3a: 캐링 채널 단부 고정 유닛
3b: 티바 단부 고정 유닛
31: 몸체부
311: 몸체판
3111: 일반 홀
3112: 장공
312: 절곡부
313: 제1 절곡부
314: 제2 절곡부
32: 체결부
321: 함몰구
324: 관통구

Claims (9)

  1. 내진 천장 시스템에 있어서,
    벽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몰딩;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 각각의 단부를 상기 몰딩에 고정하는 단부 고정 유닛 복수개를 포함하되,
    상기 단부 고정 유닛은,
    상기 천장 격자 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몰딩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몰딩은,
    벽면 상에 위치하는 후면판;
    상하 방향으로 상호 제1 간격을 가지고 각각이 상기 후면판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면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연장부 각각으로부터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되 상호 제2 간격을 갖는 한 쌍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 간격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간격보다 크며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관 형태이며, 일측면의 상기 체결부의 길이 방향 일측부 및 상기 길이 방향 타측부 각각에 상기 길이 방향 타측 및 상기 길이 방향 일측으로 함몰되는 함몰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함몰구와 대응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단부 고정 유닛은,
    상기 체결부의 길이 방향이 상기 후면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삽입 가능 상태 또는 상기 체결부의 길이 방향이 상기 후면판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체결 상태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 가능 상태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날개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체결 상태를 가지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몰딩에 체결 가능하며,
    상기 체결부의 전면의 상기 길이 방향 일측부 및 상기 길이 방향 타측부 각각에는 상기 한 쌍의 날개 각각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의 전면의 상기 길이 방향 일측부 및 상기 길이 방향 타측부 각각에 형성된 상기 체결용 홀 각각과 상기 한 쌍의 날개 각각을 통과하는 체결 유닛에 의해 상기 몰딩에 체결되는 것인, 내진 천장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삽입 가능한 상태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삽입 가능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체결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체결부의 회전시의 회전 직경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인, 내진 천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몰딩에 대한 체결시, 상기 함몰구 및 상기 관통구에 상기 날개가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 상태를 갖는 것인, 내진 천장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체결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몸체판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판에는 상기 천장 격자 부재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용 홀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인, 내진 천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 중 하나는 캐링 채널이고,
    상기 복수의 단부 고정 유닛 중 하나는 캐링 채널 단부 고정 유닛이며,
    상기 캐링 채널 단부 고정 유닛의 몸체부는,
    상기 몸체판의 폭 방향 일단 및 타단 각각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내진 천장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천장 격자 부재 중 하나는 티바이고,
    상기 복수의 단부 고정 유닛 중 하나는 티바 단부 고정 유닛이며,
    상기 티바 단부 고정 유닛의 몸체부는
    상기 몸체판의 폭 방향 일단 및 타단 각각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1 절곡부 및 상기 몸체판의 폭방향 타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몸체판의 면 방향과 평행하는 면 방향을 갖는 제2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내진 천장 시스템.
KR1020200137117A 2020-10-21 2020-10-21 내진 천장 시스템 KR102481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117A KR102481979B1 (ko) 2020-10-21 2020-10-21 내진 천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117A KR102481979B1 (ko) 2020-10-21 2020-10-21 내진 천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12A KR20220053112A (ko) 2022-04-29
KR102481979B1 true KR102481979B1 (ko) 2022-12-27

Family

ID=8142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117A KR102481979B1 (ko) 2020-10-21 2020-10-21 내진 천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97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4074A (en) * 1981-12-28 1984-08-07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Connector and web stiffener
US8813457B2 (en) * 2012-06-29 2014-08-26 Usg Interiors, Llc Grid runner to perimeter trim clip
KR102200232B1 (ko) * 2018-12-17 2021-01-07 주식회사 포스코 천장연결철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12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2447B2 (en) Ventilation fan housing and mounting system
KR101161112B1 (ko) 패널조립구조체
US6148585A (en) Architectural column cover and wall panel assembly
KR102417604B1 (ko)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KR102337992B1 (ko) 건축물용 내진패널
JP6412664B2 (ja) 天井下地構造
KR102481979B1 (ko) 내진 천장 시스템
KR102200978B1 (ko) 건식 조적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건식 조적 구조
KR102571476B1 (ko) 건축용 외장재 지지 구조
KR102342704B1 (ko) 건축용 외장패널 행거 및 외장패널 구조체
KR200465511Y1 (ko)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KR102257481B1 (ko) 육각형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JP6457691B1 (ja) 壁パネルの接続構造
KR20070050121A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판넬의 시공구조
JP4740772B2 (ja) 耐火間仕切装置
KR102587786B1 (ko) 면내강성 보강재를 활용한 대공간 천장의 가새시스템
JP2019065688A (ja) ランナー固定部品
KR102246527B1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200492672Y1 (ko) 건물 외장용 어셈블리
JP6125925B2 (ja) 天井構造及びブレース下部取付具
KR101711556B1 (ko) 칸막이 판넬과 도어 설치용 고정 프레임
KR20180028596A (ko) 패널 받침용 프레임, 프레임 받침대 및 이들을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와 이의 시공 방법
JP6857037B2 (ja) 構造体
JP3580157B2 (ja) 収納棚の防震装置
KR102659326B1 (ko) 내진 및 내풍압용 금속 천장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