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454B1 -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454B1
KR102491454B1 KR1020220048862A KR20220048862A KR102491454B1 KR 102491454 B1 KR102491454 B1 KR 102491454B1 KR 1020220048862 A KR1020220048862 A KR 1020220048862A KR 20220048862 A KR20220048862 A KR 20220048862A KR 102491454 B1 KR102491454 B1 KR 102491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exterior material
connec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영
Original Assignee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04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재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전면 중심 부위에 볼트가 결합되는 장형의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으로, 돌출되는 전면 중심 부위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을 관통하는 고정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고정판과 지지판의 연결 부위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하단부와 인접한 전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밀착판으로 구성된 설치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 가능한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과 인접한 상, 하면에는 외장재가 결합되는 한 쌍의 외장재고정핀이 돌출 구비되며 양 측부에는 마주보게 한 쌍의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판과, 상면에 밀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판으로 구성된 외장재고정판과, 상기 밀착판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상단에서 전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연결되는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브라켓과 외장재고정판 간 결합 시, 상기 연결판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면이 밀착 설치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THE BRACKET FOR FIXING, EXTERIOR PANEL}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재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벽에는 건축물의 미려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리, 석재, 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진 외장재가 부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외장재는 설명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건축물의 외벽에 일정한 문양이나, 글씨, 각종 형상 등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건축물의 외벽을 꾸미고자 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문양과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재를 고정 시키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재를 부착하는 다양한 방법 등이 있으나, 대개는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고정용 브라켓을 이용하여 외벽과 외장재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부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일반 적이다.
이는,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재를 부착하기보다는 외장재를 고정 시킬 수 있는 고정용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외장재를 설치함으로써, 외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공사과정을 원활히 이루기 위함이며,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외장재가 손상되거나, 교체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편리한 교체와 설치를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에 석재로 이루어진 외장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외장재 고정장치는 건축물의 외벽에 석재판으로 이루어진 외장재를 고정 시킬 수 있으나, 외장재의 무게로 인하여 고정장치가 흔들리거나 외장재가 설치된 외부 환경으로 인하여 외장재에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외장재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정장치에 설치되는 외장재의 크기가 변화를 이루는 경우에는 외장재의 하부가 밀착되는 석재지지판의 길이를 조절하며 사용하기는 어렵고, 외장재의 크기 변화에 따라 용이하게 대응하며 설치를 이루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46842호(2018.04.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재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외장재의 길이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설치와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재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외장재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브라켓의 구성을 통하여 외벽에 설치된 외장재가 외부 환경에 의하여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결합, 분리가 용이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지지브라켓, 고정고리, 연결고리, 탄성와이어, 끼움공, 고정핀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브라켓과 외장재고정판의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외장재고정판에 연결된 외장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 중심 부위에 볼트가 결합되는 장형의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으로, 돌출되는 전면 중심 부위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을 관통하는 고정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고정판과 지지판의 연결 부위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하단부와 인접한 전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밀착판으로 구성된 설치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 가능한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과 인접한 상, 하면에는 외장재가 결합되는 한 쌍의 외장재고정핀이 돌출 구비되며 양 측부에는 마주보게 한 쌍의 연결홈이 형성된 연결판과, 상면에 밀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판으로 구성된 외장재고정판과, 상기 밀착판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상단에서 전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연결되는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브라켓과 외장재고정판 간 결합 시, 상기 연결판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면이 밀착 설치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고정고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연결고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고리와 연결고리는 탄성와이어를 통하여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끼움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결합되는 연결판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끼움공에 끼움 결합되는 쐐기 형상의 고정핀이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재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외장재의 길이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설치와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셋째,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재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외장재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브라켓의 구성을 통하여 외벽에 설치된 외장재가 외부 환경에 의하여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넷째, 결합, 분리가 용이한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유지할 수 있다.
다섯째, 지지브라켓, 고정고리, 연결고리, 탄성와이어, 끼움공, 고정핀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브라켓과 외장재고정판의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외장재고정판에 연결된 외장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다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설치브라켓의 슬라이딩홈에 결합된 외장재고정판의 연결판과 지지판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에 외장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설치브라켓의 방향에서 외장재고정판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전면이라 하고, 상기 외장재고정판에서 설치브라켓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후면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면 중심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장형의 결합공(11a)이 형성된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의 하단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으로, 돌출되는 전면 중심 부위에는 슬라이딩홈(12a)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홈(12a)을 관통하는 고정공(12b)이 형성된 지지판(12)과, 상기 고정판(11)과 지지판(12)의 연결 부위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하단부와 인접한 정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3a)이 형성된 밀착판(13)으로 구성된 설치브라켓(10)과, 상기 슬라이딩홈(12a)에 삽입 가능한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고정공(12b)과 대응되는 연결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21a)과 인접한 상, 하면에는 외장재(1)가 결합되는 한 쌍의 외장재고정핀(21b)이 돌출 구비되며 양 측부에는 마주보게 한 쌍의 연결홈(21c)이 형성된 연결판(21)과, 상면에 밀착부재(22a)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홈(21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판(22)으로 구성된 외장재고정판(20)과, 상기 밀착판(13)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13a)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공(31a)이 형성된 연결판(31)과, 상기 연결판(31)의 상단에서 전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바(32)와, 상기 연결바(32)의 단부에 연결되는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지지부재(33a)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브라켓(10)과 외장재고정판(20) 간 결합 시, 상기 연결판(2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면이 밀착 설치되는 지지판(33)으로 구성된 지지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브라켓(10)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재(1)를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판(11), 지지판(12), 밀착판(1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1), 지지판(12), 밀착판(13)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판(11)은 전면 중심 부위에 형성되는 결합공(11a)에 결합되는 볼트(P)를 통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판(12)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1)의 하단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2)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외장재고정판(2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지지판(12)의 돌출되는 전면 중심 부위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2a)으로 외장재고정판(20)을 이루는 연결판(21)이 슬라이딩 결합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12)은 상기 슬라이딩홈(12a)을 관통하는 고정공(12b)이 상면에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판(21)이 슬라이딩홈(12a)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고정공(12b)에 결합되는 볼트(P)를 통하여 슬라이딩홈(12a)에 삽입된 연결판(21)의 설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ㅁ
또한, 상기 밀착판(13)은 상기 고정판(11)과 지지판(12)의 연결 부위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11)이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밀착판(13)의 후면이 벽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됨으로써, 건축물의 벽체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판(11)과 지지판(12)이 상기 밀착판(13)의 구성을 통하여 벽체의 전면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더욱 안정적인 설치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설치브라켓(10)을 이루는 고정판(11), 지지판(12), 밀착판(13)은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외장재고정판(20)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홈(12a)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판(21)과, 상기 연결판(21)의 양 측부에 결합 되는 위치가 변경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판(21)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홈(1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상기 고정공(12b)과 대응되는 연결공(21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12b)에 결합되는 볼트(P)가 상기 연결공(21a)에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홈(12a)에 결합되는 연결판(21)이 상기 고정공(12b)에 결합되는 볼트(P)를 통하여, 그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21)은 상기 연결공(21a)과 인전합 상, 하면으로 한 쌍의 외장재고정핀(21b)이 돌출 구비되게 구성되어,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21)의 상, 하부로 외장재(1)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외장재고정핀(21b)과 외장재(1)과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판(21)의 상, 하부로 외장재(1)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외장재고정핀(21b)의 구성은, 종래의 외장재 고정장치에 구성되는 외장재고정핀과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21)의 양 측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한 쌍의 연결홈(21c)이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외장재고정판(20)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판(22)이 상기 연결홈(21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홈(21c)으로 지지판(22)의 일단이 삽입되되, 그 설치 위치가 조절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연결판(21)에 설치되는 외장재(1)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연결홈(21c)에 결합을 이루는 지지판(22)의 설치 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외장재(1)의 하부를 상기 연결판(21)과 지지판(22)이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22)의 상부에는 밀착부재(22a)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판(21)에 설치되는 외장재(1)의 하부면에 상기 밀착부재(22a)가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밀착부재(22a)의 마찰력을 통하여 외장재(1)의 설치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유지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22a)는 마찰력을 갖는 고무, 플라스틱재, 섬유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30)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밀착판(13)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판(13)의 전면에 설치되는 연결판(31)과, 상기 연결판(31)의 전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바(32)와, 상기 연결바(32)의 단부에 구비되는 지지판(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판(31)은 상기 밀착판(13)의 체결공(13a)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삽입공(31a)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31a)에 결합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밀착판(13)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32)는 상기 연결판(31)과 지지판(33)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판(33)은 상기 설치브라켓(10)과 외장재고정판(20)이 결합을 이루는 경우, 상기 외장재고정판(20)을 이루는 연결판(21)의 하면에 상면이 밀착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밀착판(13)의 전면에 연결판(31)이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33)의 상면이 연결판(21)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연결판(21)에 외장재(1)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외장재(1)의 하중으로 인하여 연결판(21)이 흔들리거나, 건축물의 하부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33)의 상면에는 고무, 플라스틱재, 섬유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지지부재(33a)가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33a)의 마찰력을 통하여 지지판(33)의 상면에 위치되는 연결판(21)의 설치 위치가 흔들리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1)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고정고리(11b)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판(21)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연결고리(21d)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고정고리(11b)와 연결고리(21d)는 탄성와이어(40)를 통하여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21)에 외장재(1)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연결판(21)이 외장재(1)의 중량이나, 외부 환경에 의하여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12)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끼움공(12c)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끼움공(12c)에는 상기 슬라이딩홈(12a)에 결합되는 연결판(21)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끼움공(12c)에 끼움 결합되는 쐐기 형상의 고정핀(50)이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는, 상기 슬라이딩홈(12a)에 연결판(21)이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끼움공(12c)에 고정핀(50)이 끼움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고정핀(50)의 단부가 연결판(21)의 상면을 가압하여, 슬라이딩홈(12a)에 결합된 연결판(21)의 설치 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고정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설치브라켓 11: 고정판
11a: 결합공 11b: 고정고리
12: 지지판 12a: 슬라이딩홈
12b: 고정공 12c: 끼움공
13: 밀착판 13a: 체결공
20: 외장재고정판 21: 연결판
21a: 연결공 21b: 외장재고정핀
21c: 연결홈 21d: 연결고리
22: 지지판 22a: 밀착부재
30: 지지브라켓 31: 연결판
31a: 삽입공 32: 연결바
33: 지지판 33a: 지지부재
40: 탄성와이어 50: 고정핀
P: 볼트

Claims (3)

  1. 전면 중심 부위에 볼트(P)가 결합되는 장형의 결합공(11a)이 형성된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의 하단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으로, 돌출되는 전면 중심 부위에는 슬라이딩홈(12a)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홈(12a)을 관통하는 고정공(12b)이 형성된 지지판(12)과, 상기 고정판(11)과 지지판(12)의 연결 부위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하단부와 인접한 정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3a)이 형성된 밀착판(13)으로 구성된 설치브라켓(10)과,
    상기 슬라이딩홈(12a)에 삽입 가능한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상기 고정공(12b)과 대응되는 연결공(21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21a)과 인접한 상, 하면에는 외장재(1)가 결합되는 한 쌍의 외장재고정핀(21b)이 돌출 구비되며 양 측부에는 마주보게 한 쌍의 연결홈(21c)이 형성된 연결판(21)과, 상면에 밀착부재(22a)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홈(21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판(22)으로 구성된 외장재고정판(20)과,
    상기 밀착판(13)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13a)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삽입공(31a)이 형성된 연결판(31)과, 상기 연결판(31)의 상단에서 전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바(32)와, 상기 연결바(32)의 단부에 연결되는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지지부재(33a)가 구비되어 상기 설치브라켓(10)과 외장재고정판(20) 간 결합 시, 상기 연결판(2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면이 밀착 설치되는 지지판(33)으로 구성된 지지브라켓(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1)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고정고리(11b)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21)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연결고리(21d)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고리(11b)와 연결고리(21d)는 탄성와이어(40)를 통하여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2)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끼움공(12c)이 더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12c)에는 상기 슬라이딩홈(12a)에 결합되는 연결판(21)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끼움공(12c)에 끼움 결합되는 쐐기 형상의 고정핀(5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KR1020220048862A 2022-04-20 2022-04-20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KR102491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62A KR102491454B1 (ko) 2022-04-20 2022-04-20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862A KR102491454B1 (ko) 2022-04-20 2022-04-20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454B1 true KR102491454B1 (ko) 2023-01-26

Family

ID=8511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862A KR102491454B1 (ko) 2022-04-20 2022-04-20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516B1 (ko) * 2023-03-02 2023-09-19 (주)정안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381A (ko) * 2006-09-29 2007-07-24 주식회사 스톤앵카산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0763573B1 (ko) * 2006-05-30 2007-10-04 주식회사 대한볼트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20170106112A (ko) * 2016-03-11 2017-09-20 장용재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KR101846842B1 (ko) 2017-08-25 2018-04-09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573B1 (ko) * 2006-05-30 2007-10-04 주식회사 대한볼트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20070076381A (ko) * 2006-09-29 2007-07-24 주식회사 스톤앵카산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170106112A (ko) * 2016-03-11 2017-09-20 장용재 건축 외장 단열마감재 거치용 수평ㆍ수직프로파일을 외벽골조 및 철골에 고정하기위한 기능성 베이스플레이트
KR101846842B1 (ko) 2017-08-25 2018-04-09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516B1 (ko) * 2023-03-02 2023-09-19 (주)정안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105B1 (ko) 건축물의 외부 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US20110191990A1 (en) Snap mounting clip system
KR102491454B1 (ko)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US6053468A (en) Frame support system
CN211421550U (zh) 稳装型吊顶结构
WO2007100383A3 (en) Desktop organizer
KR102404333B1 (ko) 건축용 케이블 고정장치
EP3992385A1 (en) System wall for building interior
DE69820322D1 (de) Konsoleneinrichtung
KR101854558B1 (ko) 벽지 고정설치용 행거 조립체
KR102510130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20210088293A (ko) 금속패널부착용 클립
CN1691701B (zh) 允许各种桌面装置被成角度地调节并挂在墙壁上的机构
KR102221243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EP0255094A1 (en) Plate assembly system, especially for signposting purposes, and connecting element therefor
CN215888734U (zh) 一种用于装配式墙板的安装装置
KR102579516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JP3120067U (ja) 取り付け金具
GB2340384A (en) Fixing bracket
JPH087783Y2 (ja) ケーブル吊り具
KR102280894B1 (ko) 조명기구, 조명기구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 조립체
CN216743958U (zh) 一种具有灵活的安装结构的线条灯
KR102391637B1 (ko) 천정텍스 자가설치 및 낙하방지구조를 가진 경량형 면조명장치
CN210398608U (zh) 可调节安装高度的led教室灯
US20240107977A1 (en) Mounting base for cat furniture device and cat furnitu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