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6381A -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6381A
KR20070076381A KR1020060095211A KR20060095211A KR20070076381A KR 20070076381 A KR20070076381 A KR 20070076381A KR 1020060095211 A KR1020060095211 A KR 1020060095211A KR 20060095211 A KR20060095211 A KR 20060095211A KR 20070076381 A KR20070076381 A KR 20070076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panel
horizontal portion
building
pane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안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톤앵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톤앵카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톤앵카산업
Priority to KR1020060095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6381A/ko
Publication of KR20070076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패널(석재, 석판, 타일)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로서, 고정받침앵글과 패널받침대로 이루어진 외장패널고정구와, 수직부로 부터 절곡된 상측수평부와 그 하측에 상측수평부와 평행하게 절곡된 하측수평부가 일체로 되고, 상기 수직부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측수평부와 하측수평부에는 상부 중앙에 볼트구멍이 일치되게 형성된 고정받침앵글과; 상기 수직부의 장공에 결합되어 외벽에 고정시키는 앵커체결수단과; 길이방향 양측이 굽힘부를 이루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체결장공과 타측에 핀구멍이 형성된 패널받침대와; 상기 고정받침앵글의 상측수평부와 하측수평부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패널받침대를 일측이 위치되어 고정받침앵글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볼트구멍과 체결장공을 통하여 체결수단으로 고정하고, 타측에 형성된 핀구멍을 통해 핀부재를 외장패널의 설치홈에 삽입하여 외장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장패널, 외벽, 외장패널고정구, 고정받침앵글, 패널받침대.

Description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BUILDING OF OUT SIDE PANEL FIXING DEVICE}
도 1은 건식 공법을 이용한 외장패널의 설치 예시도.
도 2은 종래의 건축물 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평판형 고정구의 사시도.
도 3는 도 2의 평판형 고정구를 이용한 외장패널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분리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를 이용하여 외장패널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분리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외장패널고정구 10:고정받침앵글
11:수직부 12:상측수평부
13:하측수평부 14:장공
15:볼트구멍 16:공간부
17:보강부 18:앵커볼트
19:앵커슬리브 20:너트
21,23:와셔 24:고정볼트
71:핀부재 120,130:패널받침대
120a:굽힘부 120b:평탄부
121:체결장공 122,131:핀구멍
100:외벽 200:외장패널
202:설치홈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패널(석재, 석판, 타일)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장 공사시에 외장패널의 마감처리 공법은 습식 공법과 건식 공법이 있다.
습식 공법은, 건물벽과 외장패널에 시멘트 몰탈을 부어 시공하는 것으로, 이는 시멘트의 양생시간이 길고 작업성 및 시공성이 나빠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건식 공법(DRY WALL FIXING)은, 상기와 같은 시멘트 몰탈을 이용하지 않고 금속으로 된 고정장치를 매개로 외장패널을 건물벽에 설치하는 것으로, 작업성 및 시공성이 매우 좋아 현재 외장패널의 시공은 거의 건식 공법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건식 공법을 이용한 외장패널의 설치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제조된 외장패널(200)이 금속으로 된 고정구(50)를 매개로 건물벽(100)에 설치된다.
종래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50)는 외장패널(200)의 1장당 2개가 설치되어 외장패널(200)의 무게하중을 지지하게 되며, 외장패널(200)의 크기 및 무게하중에 따라 고정구(50)가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평판형 고정구(50)는 평판 재료로서, 수직 부(61)와 수평부(62)가 앵글 형태로 굽힘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61)에 체결장공(61a)이 형성되어 건물벽 (100)에 앵커체결수단을 매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받침앵글(60)과; 평판 재료로서,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체결장공(70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받침앵글(60)의 체결장공(62a)이 형성된 수평부(62)에 위치되어 고정받침앵글(60)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수단으로 고정받침앵글(60)에 고정되고, 일단에 형성된 핀구멍(70b)을 통해 설치된 핀부재(71)가 외장패널(200)의 설치홈(202)에 삽입되어 외장패널(200)을 지지하는 패널받침편(70)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앵커체결수단은 통상의 앵커볼트(63)와, 상기 앵커볼트(63)에 삽입되는 쐐기관(64)과, 상기 앵커볼트(63)에 체결되는 와셔(65) 및 너트(6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은 통상의 볼트(72)와 와셔(73) 및 너트(7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평판형 고정구(5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벽(100)에 쐐기관(64)의 직경 정도에 해당하는 앵커구멍(102)을 형성한 다음 앵커볼트(63)가 삽입된 쐐기관(64)을 앵커구멍(102)에 삽입시키고 앵커볼트(63)에 고정받침앵글(60)을 체결장공(61a)을 통해 위치시킨 다음 이 고정받침앵글(60)의 높이를 조절하고 와셔(65)와 너트(66)를 앵커볼트(63)에 체결하여 조임에 따라 앵커볼트(63)에 형성된 경사 쐐기부가 쐐기관(64)을 확관시킴으로서 고정되어 고정받침앵글(60)이 건물벽(100)에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에 패널받침편(70)을 고정받침앵글(60)의 수평부(62)에 위치시키고 체결장공(62a)(70a)을 통해 수평부(62)에서 길이를 조절한 다음 볼트(72)와 와셔(73) 및 너트(74)로 고정시켜 평판형 고정구(50)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장패널(200)의 설치홈(202)에 핀부재(71)가 끼워짐으로서 외장패널(200)이 평판형 고정구(50)를 매개로 건물벽(100)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건물벽(100)에 설치된 외장패널(200)의 틈새를 실리콘(204)으로 마감하여 방수를 이루게 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평판형 고정구(50)는 외장패널(200) 1장당 2개가 설치되며, 외장패널(200)의 크기 및 무게 하중에 따라 고정구(50)의 설치수량은 2개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평판형 고정구(50)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건물벽(100)에 평판형 고정구(50)를 매개로 설치된 외장패널(200)에 있어, 외장패널(200)의 무게하중에 의하여 평판형 고정구(50)를 구성하는 고정받침앵글(60)의 직각 굽힘부를 통해 수평부(62)에서 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평판형 고정구(50)는, 단순히 외장패널(200)의 무게하중에 견디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받침앵글(60) 및 패널받침편(70)의 전체 두께를 두껍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정받침앵글(60) 및 패널받침편(70)은 5mm의 두께를 갖는 스테인리스강판을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평판형 고정구(50)의 전체 무게가 무거워질 뿐만 아니라, 재료비의 부담이 가중되고 생산단가를 높이게 되어 결국 제품경쟁력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정구에 대한 기술이 많은 발명가들에 의하여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공보 제89-6173호(1989.09.18.)(명칭: 판상 석재 괘착구)의 선행 기술에 의하면, 괘착구 본체(앞서 설명한 고정받침앵글과 동일한 기능임)의 경사 연결부 저면에 L형 보강편을 용접으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L형의 보강편이 괘착구 본체에 용접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장패널의 무게하중에 따른 처짐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나, 상기 L형 보강편을 별도로 제작하여 괘착구 본체에 용접으로 부착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괘착구의 전체 무게를 증가시키며, 상기 L형 보강편의 용접불량 등의 문제로 인하여 균일한 품질 보장이 어려워 시공에 따른 하자발생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공보 제95-9896호(1995.11.23.)(명칭: 벽면외부 장식용 석재판 지지앙카)의 선행기술에 의하면, 벽면부착용지지구(앞서 설명한 고정받침앵글과 동일한 기능임)의 직각부에 3개의 브래킷을 용접으로 설치하여 벽 면부착용 지지구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벽면부착용 지지구의 직각부에 3개의 브래킷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장패널의 무게하중에 따른 처짐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나, 상기 브래킷을 별도로 제작하여 벽면부착용 지지구에 용접으로 부착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지지구의 전체 무게를 증가시키며, 상기 브래킷의 용접불량 등의 문제로 인하여 품질보장이 어려워 시공에 따른 하자발생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8-56048호(1998.10.07.)(명칭: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의 선행 기술에 의하면, 고정판(앞서 설명한 고정받침앵글과 동일한 기능임)의 내측 절곡부에 한 개 이상의 보강돌기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의 내측 절곡부에 한 개 이상의 보강돌기를 형성함으로서 외장패널의 무게하중에 따른 처짐 강도를 어느 정도 보강할 수 있다 하겠으나, 상기와 같은 보강돌기는 내측 절곡부에 볼록한 형태의 단순 돌기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보강돌기에 의한 보강강도의 증대효과는 극비 미비하다.
한편 종래의 또 다른 선행 기술로서, 본원 발명자가 개발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 2001-105722호(2001.11.29.)(명칭: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는 요철형 고정구를 구성하는 고정받침앵글과 패널받침편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요철을 주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철 형태의 고정받침앵글과 패널받침편의 경우, 전체 단면적의 증가로 단면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길이방향에 대하여 굽힘응력에 저항하는 힘이 커지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는 고정받침앵글과 패널받침편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요철 형태와 절곡된 양측에 보강리브를 형성하므로 제작에 따른 많은 공정과 제작 비용이 많이 들며, 무게하중에 따른 처짐 강도를 어느 정도 보강할 수 있으나 여전히 처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패널을 외장패널고정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장패널의 앵커너트와 외벽에 설치된 앵커너트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고 어떠한 편심이 나도 외장패널고정구로 용이하게 외장패널을 외벽에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패널을 설치시 외장패널고정구의 처짐 현상을 적게 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로서, 고정받침앵글과 패널받침대로 이루어진 외장패널고정구와, 수직부로 부 터 절곡된 상측수평부와 그 하측에 상측수평부와 평행하게 절곡된 하측수평부가 일체로 되고, 상기 수직부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측수평부와 하측수평부에는 상부 중앙에 볼트구멍이 일치되게 형성된 고정받침앵글과; 상기 수직부의 장공에 결합되어 외벽에 고정시키는 앵커체결수단과; 길이방향 양측이 굽힘부를 이루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체결장공과 타측에 핀구멍이 형성된 패널받침대와; 상기 고정받침앵글의 상측수평부와 하측수평부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패널받침대를 일측이 위치되어 고정받침앵글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볼트구멍과 체결장공을 통하여 체결수단으로 고정하고, 타측에 형성된 핀구멍을 통해 핀부재가 외장패널의 설치홈에 삽입되어 외장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로서, 고정받침앵글과 패널받침대로 이루어진 외장패널고정구와, 수직부로 부터 절곡된 상측수평부와 그 하측에 상측수평부와 평행하게 절곡된 하측수평부가 일체로 되고, 상기 수직부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측수평부와 하측수평부에는 상부 중앙에 볼트구멍이 일치되게 형성된 고정받침앵글과; 상기 수직부의 장공에 결합되어 외벽에 고정시키는 앵커체결수단과; 유자형(U)으로된 굽은 부분 중앙에 핀구멍이 형성된 패널받침대와; 상기 고정받침앵글의 상측수평부와 하측수평부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패널받침대의 양 단부측을 끼워 고정받침앵글로 부터 길이 조절을 하고, 상기 상측수평부의 볼트구멍과 하측수평부의 볼트구멍 통하여 체결수단으로 고정하고, 패널받침대에 형성된 핀구멍을 통해 핀부재가 외장패널의 설치홈에 삽입되어 외장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도면중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분리된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를 이용하여 외장패널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패널(석재, 석판, 타일)을 고정되게 설치하기 위한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받침앵글(10)과 패널받침대(120)로 외장패널고정구(1)를 이룬다. 상기 고정받침앵글(10)은 수직부(11)로 부터 절곡된 상측수평부(12)와 그 하측에 상측수평부(12)와 평행하게 절곡된 하측수평부(13)가 일체로 되고, 상기 수직부(12)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장공(14)을 형성하고, 상기 상측수평부(12)와 하측수평부(13)에는 상부 중앙에 볼트구멍(15)이 일치되게 형성한다. 상기 수직부(11)의 장공(14)에는 외벽에 고정시키는 앵커체결수단과 결합한다. 상기 패널받침대(120)는 길이방향 양측이 굽힘부(120a)를 상부에 평탄부(120b)이루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체결장공(121)과 타측에 핀구멍(122)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받침앵글(10)의 상측수평부(12)와 하측수평부(13) 사이의 공간부(16)에 상기 패널받침대(20)를 일측이 위치되어 고정받침앵글(10)로부터 길이 조절을 이 가능하게 상기 볼트구멍(15)과 체결장공(121)을 통하여 체결수단으로 고정하고, 타측에 형성된 핀구멍(122)을 통해 핀부재(71)를 외장패널(200)의 설치홈(202)에 삽입하여 외장패널(200)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받침앵글(10)의 수직부(11)와 하측평면부(13)가 연결된 하측 모서리부분에는 하측평면부(13)가 무게하중에 견디고 처지지 않도록 하측으로 돌출되게 보강부(17)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앵커체결수단은 통상의 앵커볼트(18)와, 상기 앵커볼트(18)에 삽입되는 앵커슬리브(19)와, 상기 앵커볼트(18)에 체결되는 와셔(21)와 너트(20)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통상의 고정볼트(24)와 와셔(23)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받침앵글(10)의 상측평면부(12)와 하측평면부(13)사이의 공간부(16)의 높이는 제작시 다양한 크기로 가져갈 수 있고, 상기 패널받침대(120)의 길이도 제작시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장패널고정구(1)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는 재료의 특성상 부식에 강하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패널받침대(120)의 굽힘부(120a)는 굽힘 강성이 크게 증대되어 재료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굽힘 강성을 확보함으로서 제품의 경량화와 함께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하고 제품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를 보증하기 위하여 본 발명 외장패널고정구와 종래기술의 요철형고정구에 대하여 압축하중시 변위량을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신뢰성평가센터에서 시험을 한 시험 성적표를 보면 하기와 같다.
시험방법은 만능재료시험기(INSTRON 6027)로 시험속도는 5mm/min 지지간 거리 140mm로 할때, 시험항목으로 785N 압축하중시 변위량은 종래의 요철형고정구는 50×6T일때 변위량이 12.6mm이고, 본 발명의 외장패널고정구는 50×8T일때 변위량이 5.5mm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험속도는 5mm/min 지지간 거리 180mm로 할때 시험항목으로 785N 압축하중시 변위량은 종래의 요철형고정구는 60×6T일때 변위량이 16.9mm이며, 본 발명의 외장패널고정구는 60×8T일때 변위량이 11.3mm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고정구를 50×6T를 사용할 때 보다 본 발명의 고정구를 50×6T를 사용할 때 외장패널고정구의 길이가 크더라도 변위량이 적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를 이용하여 외벽에 외장패널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건물물의 외벽(100)에 앵커슬리브(19)의 직경 정도에 해당하는 앵커구멍을 형성한 다음 앵커볼트(18)가 삽입된 앵커슬리브(19)을 앵커구멍에 삽입시키 고정시키고, 앵커볼트(18)에 고정받침앵글(10)을 장공(14)을 통해 위치시킨 다음 이 고정받침앵글(10)의 높이를 조절하고 와셔(21)와 너트(20)를 앵커볼트(18)에 체결하여 조임에 따라 앵커볼트(18)에 형성된 경사 쐐기부가 앵커슬리브(19)을 확관시킴 으로서 고정되어 고정받침앵글(10)이 외벽(100)에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후, 패널받침대(120)을 고정받침앵글(10)의 상측수평부(12)와 하측수평부(13) 사이의 공간부(16)에 위치된 상태에서 길이조절을 한 다음 볼트구멍(15)을 통해 고정볼트(24)에 와셔(23)를 끼워 고정시켜 고정받침앵글(10)에 패널받침대(120)를 고정한 외장패널고정구(1)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장패널(200)의 설치홈(202)에 패널받침대(120)의 핀구멍(122)을 통하여 핀부재(71)가 끼워짐으로서 외장패널(200)이 외장패널고정구(1)를 매개로 건축물의 외벽(100)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벽(100)에 설치된 외장패널(200)의 틈새를 실리콘으로 마감하여 방수를 이루게 한다.
상기에서 핀부재(71)를 축 형태의 핀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장패널(200)에 형성된 설치홈(202)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패널(200)의 설치홈(202)의 직사각 형태를 이루면 이에 부응하여 핀부재(71)도 직사각형 핀이 제공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외장패널고정구(1)에 따르면, 고정받침앵글(10)의 상측평면부(12)와 하측평면부(13)의 하측모서리부에 돌출되게 보강된 보강부(17)는 굽힘 강성이 크게 향상되어 외벽(100)에 외장패널고정구(1)를 매개로 설치된 외장패널(200)이 무게하중에 의한 처짐이 방지되어 시공성을 양호하게 한다.
상기 패널받침대(120)의 굽힘부(120a)는 무게하중에 견디고 처지지 않도록 보강한 것이다. 상기 고정받침앵글(10)과 패널받침대(120)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게 되어 재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분리된 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벽에 외장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로서, 고정받침앵글(10)과 패널받침대(130)로 외장패널고정구(1)를 이룬다. 상기 고정받침앵글(10)은 수직부(11)로 부터 절곡된 상측수평부(12)와 그 하측에 상측수평부(12)와 평행하게 절곡된 하측수평부(13)가 일체로 되고, 상기 수직부(12)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장공(14)을 형성하고, 상기 상측수평부(12)와 하측수평부(13)에는 상부 중앙에 볼트구멍(15)이 일치되게 형성한다. 상기 수직부(11)의 장공(14)에는 외벽에 고정시키는 앵커체결수단과 결합한다. 상기 패널받침대(130)은 유자형(U)으로된 굽은 부분 중앙에 핀구멍(131)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받침앵글(10)의 상측수평부(12)와 하측수평부(13) 사이의 공간부(16)에 상기 패널받침대(20)의 양 단부측을 끼워 고정받침앵글(10)로부터 길이 조절을 하고, 상기 상측수평부(12)의 볼트구멍(15)와 하측수평부(13)의 볼트구멍(15) 통하여 체결수단으로 고정하고, 상기패널받침대(130)에 형성된 핀구멍(131) 을 통해 핀부재(71)를 외장패널(200)의 설치홈(202)에 삽입하여 외장패널(200)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받침앵글(10)의 수직부(11)와 하측평면부(13)가 연결된 하측 모서리부분에는 하측평면부(13)가 무게하중에 견디고 처지지 않도록 하측으로 돌출되게 보강부(17)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앵커체결수단은 통상의 앵커볼트(18)와, 상기 앵커볼트(18)에 삽입되는 앵커슬리브(19)와, 상기 앵커볼트(18)에 체결되는 와셔(21)와 너트(20)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통상의 고정볼트(24)와 와셔(23)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외장패널고정구는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벽에 외장패널을 사이에 설치하는 방식은 동일한 것이다.
외벽(100)에 외장패널고정구(1)를 매개로 설치된 외장패널(200)이 무게하중에 의한 처짐이 방지되어 시공성을 양호하게 한다.
상기 고정받침앵글(10)과 패널받침대(130)는 무게하중에 견디고 처지지 않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재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추가의 이점 및 변형은, 이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패널을 외장패널고정구를 이용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외장패널의 앵커너트와 외벽에 설치된 앵커너트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고 어떠한 편심이 나도 외장패널고정구로 용이하게 외장패널을 외벽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패널받침대의 굽힘부는 굽힘 강성이 크게 증대되어 재료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굽힘 강성을 확보함으로서 제품의 경량화와 함께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하고 제품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받침앵글의 수직부와 하측평면부가 연결된 하측 모서리부분에는 하측평면부가 무게하중에 견디고 처지지 않도록 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패널을 설치시 외장패널고정구의 처짐 현상을 적게 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7)

  1.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고정받침앵글과 패널받침대로 이루어진 외장패널고정구와, 수직부로 부터 절곡된 상측수평부와 그 하측에 상측수평부와 평행하게 절곡된 하측수평부가 일체로 되고, 상기 수직부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측수평부와 하측수평부에는 상부 중앙에 볼트구멍이 일치되게 형성된 고정받침앵글과; 상기 수직부의 장공에 결합되어 외벽에 고정시키는 앵커체결수단과; 길이방향 양측이 굽힘부를 이루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체결장공과 타측에 핀구멍이 형성된 패널받침대와; 상기 고정받침앵글의 상측수평부와 하측수평부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패널받침대를 일측이 위치되어 고정받침앵글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볼트구멍과 체결장공을 통하여 체결수단으로 고정하고, 타측에 형성된 핀구멍을 통해 핀부재를 외장패널의 설치홈에 삽입하여 외장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앵글의 수직부와 하측평면부가 연결된 하측 모서리부분에는 하측평면부가 무게하중에 견디고 처지지 않도록 하측으로 돌출되게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체결수단은 통상의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에 삽입되는 앵커슬리브와,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와셔와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통상의 고정볼트와 와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장패널고정구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5.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고정받침앵글과 패널받침대로 이루어진 외장패널고정구와, 수직부로 부터 절곡된 상측수평부와 그 하측에 상측수평부와 평행하게 절곡된 하측수평부가 일체로 되고, 상기 수직부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측수평부와 하측수평부에는 상부 중앙에 볼트구멍이 일치되게 형성된 고정받침앵글과; 상기 수직부의 장공에 결합되어 외벽에 고정시키는 앵커체결수단과; 유자형(U)으로된 굽은 부분 중앙에 핀구멍이 형성된 패널받침대와; 상기 고정받침앵글의 상측수평부와 하 측수평부 사이의 공간부에 상기 패널받침대의 양 단부측을 끼워 고정받침앵글로 부터 길이 조절을 하고, 상기 상측수평부의 볼트구멍과 하측수평부의 볼트구멍 통하여 체결수단으로 고정하고, 상기 패널받침대에 형성된 핀구멍을 통해 핀부재를 외장패널의 설치홈에 삽입하여 외장패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앵글의 수직부와 하측평면부가 연결된 하측 모서리부분에는 하측평면부가 무게하중에 견디고 처지지 않도록 하측으로 돌출되게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앵커체결수단은 통상의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에 삽입되는 앵커슬리브와,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와셔와 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통상의 고정볼트와 와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0060095211A 2006-09-29 2006-09-29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70076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211A KR20070076381A (ko) 2006-09-29 2006-09-29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211A KR20070076381A (ko) 2006-09-29 2006-09-29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181U Division KR200414076Y1 (ko) 2006-01-14 2006-01-14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381A true KR20070076381A (ko) 2007-07-24

Family

ID=3850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211A KR20070076381A (ko) 2006-09-29 2006-09-29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63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7472A (zh) * 2017-01-11 2017-05-17 浙江金泽节能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墙面装饰面板扣件
CN106906973A (zh) * 2017-04-25 2017-06-30 覃毅 一种真石材保温装饰一体板以及真石材保温装饰墙体
KR102491454B1 (ko) * 2022-04-20 2023-01-26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7472A (zh) * 2017-01-11 2017-05-17 浙江金泽节能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墙面装饰面板扣件
CN106906973A (zh) * 2017-04-25 2017-06-30 覃毅 一种真石材保温装饰一体板以及真石材保温装饰墙体
KR102491454B1 (ko) * 2022-04-20 2023-01-26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외장재 고정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114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100949707B1 (ko)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1323638B1 (ko) 조적식 외부벽돌벽
KR200400163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70076381A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20004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1407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706564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연결구조
KR100771962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1078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960398B1 (ko) 건식 쌓기형 외부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378284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378283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768683B1 (ko) 건축용 외장재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시공방법
KR20100128579A (ko) 건축마감재 설치용 고정장치
KR200388922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770393B1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KR200216780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200378378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2247640B1 (ko)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내진보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마감구조체
KR102094074B1 (ko) 건물 천장용 판넬 설치장치
KR101569242B1 (ko) 단열재 부착용 보조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KR200389550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37801Y1 (ko) 천장재용 받침틀
JP7363863B2 (ja) 布基礎用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