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801Y1 - 천장재용 받침틀 - Google Patents

천장재용 받침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801Y1
KR200437801Y1 KR2020070003347U KR20070003347U KR200437801Y1 KR 200437801 Y1 KR200437801 Y1 KR 200437801Y1 KR 2020070003347 U KR2020070003347 U KR 2020070003347U KR 20070003347 U KR20070003347 U KR 20070003347U KR 200437801 Y1 KR200437801 Y1 KR 200437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ast steel
auxiliary
support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균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Priority to KR2020070003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8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7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being discontinuous and abutting against the other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1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단에는 천장 슬라브의 하단에 매설된 행거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중단에는 양측면에 ㄴ'자로 절곡된 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하단에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주받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주형강과; 상기 주형강의 체결부에 빈틈없이 끼워지는 끼움부가 양쪽 말단에 구비되고, 하단에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보조받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조형강;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형강과 보조형강이 결합시 주받침부와 보조받침부는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천장재용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받침틀은 비교적 장소의 제약없이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추후 장착되는 마감패널이 들뜸현상 없이 받침부분과 완전히 밀착되어 틈새가 형성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할 뿐만 아니라 주형강이 마감패널을 양쪽에서 견고히 고정시켜 외부환경에 의한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천장재, 마감패널, 받침틀, 주형강, 보조형강

Description

천장재용 받침틀{A frame for ceiling panel}
도 1은 종래 천장재용 받침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천장재용 받침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주형강
11 : 결합부 12 : 체결부
12a : 체결홈 13 : 주받침부
14 : 고정받침부
20 : 보조형강
21 : 끼움부 22 : 보조받침부
30 : 마감패널
본 고안은 천장재용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마감패널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들뜸현상 없이 받침부분과 완전히 밀착되어 외관상 미려하고, 마감패널이 외부환경에 의한 휨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천장재용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시 최종 마무리 단계로 실내의 천장 슬라브 하부에 시공되는 전기배선이나 공조배관 등과 같은 마감 시설물들이 시계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실내를 미려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천장재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천장재의 마감처리는 먼저 천장 슬라브의 하단에 매설된 행거에 받침틀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받침틀은 행거에 결합되는 주형강과 상기 주형강의 측면에 끼워지는 보조형강으로 구성되어 서로 격자형의 골조를 이루며 결합된다. 상기한 받침틀은 건설자재 기준에 해당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내력을 갖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받침틀의 상단에 그 격자 크기에 맞춰 마감패널을 장착함으로써 마감처리가 완료되는데, 이러한 마감패널은 주로 석고패널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불연재, 친환경재 등과 다양화 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마감패널은 공시된 건축자재 규격에 맞는 제품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 천장재용 받침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천장재용 받침틀은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공(101)이 배열형성되어 있는 주형강(100)과; 상기 주형강(100)의 결합공(10)에 끼워지는 체결돌기(201)를 양 말단에 구비하고 있는 보조형강(20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받침틀을 구성하는 주형강(100)과 보조형강(200)은 모두 좌. 우 양쪽 하단에 ㅗ'자로 형성된 받침부분을 갖고 있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분에 마감패널의 네모서리 부분이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천장재의 마감처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받침틀은 도 2와 같이 주형강(100)과 보조형강(200)을 결합하게 되면 보조형강(200)의 받침부분에 형성된 절곡부(200a)가 주형강(100)의 받침부분 상단에 얹혀져 서로 겹치는 부위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겹침부위는 다른 받침부위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갖기 때문에, 그 상단에 마감패널을 안착시키게 되면 겹침부위에 안착되는 모서리 부분이 들뜨게 되고 이에 전체적으로 틈새가 벌어져 미관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받침틀은 마감패널을 단순히 얹혀 놓는 것만으로 그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 욕실 등과 같이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발생되는 천장재의 휨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지 못하며, 이로 인하여 마감패널을 비롯한 받침틀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마감패널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들뜸현상 없이 받침부분과 완전히 밀착되어 외관상 미려하고, 외부환경에 의한 휨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천장재용 받침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천장재를 마감처리하기 위한 받침틀에 있어서,
상단에는 천장 슬라브의 하단에 매설된 행거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중단에는 양측면에 ㄴ'자로 절곡된 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하단에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주받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주형강과;
상기 주형강의 체결부에 빈틈없이 끼워지는 끼움부가 양쪽 말단에 구비되고, 하단에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보조받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조형강;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형강과 보조형강이 결합시 주받침부와 보조받침부는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재용 받침틀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도 3은 본 고안의 천장재용 받침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천장 슬라브의 하단에 매설된 행거와 결합되어 소정의 지지력을 갖는 주형강(10)과; 상기 주형강(10)의 측면에 끼워지는 보조형강(20)으로 ㅇ구성된다.
먼저 주형강(10)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단에는 천장 슬라브의 행거와 결합되는 결합부(11)가 구비되고, 중단에는 양측면에 'ㄴ'자로 절곡된 체결부(1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하단에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주받침부(13)가 역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형강(10)의 결합부(11)는 천장 슬라브에 매설된 행거와 결합되어, 주형강(10)이 소정의 지지력을 갖도록 하여 골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러한 결합부(11)의 형태는 결합되는 행거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행거가 앵커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것이라면 본 고안의 결합부는 단순히 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적용이 가능하다.
체결부(12)는 주형강(10)의 중단 양측면에 'ㄴ'자로 절곡된 형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체결부(12)는 보조형강(20)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주받침부(13)는 주형강(10)의 하단에 소정의 넓이를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추후 마감패널의 모서리 일면이 안착된다.
보조형강(20)은 주형강(10)의 체결부(12)에 빈틈없이 끼워지는 끼움부(21)가 양쪽 말단에 구비되고, 하단에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보조받침부(2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보조형강(20)의 끼움부(21)는 주형강(10)에 'ㄴ'자로 절곡된 체결부(12)에 끼워져 서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와 같이 끼워질 때 체결부(12)의 절곡된 내부에 끼움부(21)가 빈틈없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부(21)는 양쪽에서 주형강(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양쪽 말단에 모두 형성되어 있다.
보조받침부(22)는 보조형강(20)의 하단에 소정의 넓이를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역시 추후에 마감패널의 모서리 일면이 안착된다.
이와 같이 설명된 주형강(10)과 보조형강(20)은 서로 결합시 하단의 주받침부(13)와 보조받침부(22)는 맞닿게 되었을 때 서로 겹치는 부분없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따라서 추후 장착되는 마감패널은 들뜸현상 없이 안착되도록 한다.
한편, 벽면과 밀착되는 곳에는 상술한 주형강(10)과 보조형강(20)과 조금 다른 형태의 마감형강이 사용되기는 하나, 이러한 마감형강은 일면에만 본 고안의 구성이 구비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주형강(10)의 체결부(12)에는 보조형강(20)의 끼움부(21)가 끼워지는 위치에 체결홈(12a)이 형성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체결홈(12a)은 체결부(12)로부터 단턱을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12a)에 끼워진 보조형강(20)의 끼움부(21)가 유동되거나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한다.
아울러, 주형강(20)에는 주받침부(13)의 상단으로 동일한 모양의 고정받침부(14)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정받침부(14)와 주받침부(13)의 간격은 추후 장착되고자 하는 마감패널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조금 더 크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마감패널은 공시된 규격에 의해 제작된 것이므로 그 규격에 맞춰 고정받침부(14)와 주받침부(13)의 간격을 확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받침부(14)와 주받침부(13) 사이에 마감패널을 끼워 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마감패널을 양쪽에서 잡아주도록 함으로써, 추후 수분이나 빛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 마감패널의 휨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받침틀에 대한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형강(10)을 천장 슬라브에 매설된 행거와 결합하고, 체결부(12)의 체결홈(12a)에 맞춰 보조형강(20)의 끼움부(21)를 끼워 서로 결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천장 전체에 격자형의 받침틀이 형성되도록 조립한 다음, 상기 주형강(10)의 주받침부(13)와 보조형강(20)의 보조받침부(22)의 상단에 마감패널(30)을 안착시킴으로써 천장재의 마감처리를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감패널(30)을 안착시 주형강(10)에 안착되는 마감패널(30)은 주받침부(13)와 고정받침부(14)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양측에 위치 되는 두 주형강(10) 사이의 길이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마감패널(30)의 길이는 보다 조금 크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고안의 받침틀에 마감패널을 설치하는 방법은 주형강(10)과 보조형강(20)이 하나의 격자를 이루기 전에 개별적으로 미리 마감패널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그 설치방법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받침틀에 사용되는 마감패널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천장재는 모두 사용가능하며, 이에 주로 사용되는 석고판넬을 비롯하여 불연성을 갖는 내장재, 친환경소재가 함유된 내장재 등 다양한 판넬이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천장재의 마감처리가 가능한 본 고안의 받침틀은 주형강과 보조형강의 결합이 종래 측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상하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나 벽면과 밀착되는 곳에 마감처리시 비교적 공간의 제약없이 설치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마감패널이 주받침부와 보조받침부의 일부분에만 안착되도록 하여 마감패널을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켜 받침틀로부터 용이하게 조립과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수를 목적으로 한 마감패널의 교체가 손쉽게 가능해진다.
또한, 받침틀을 구성하는 주형강과 보조형강의 받침부는 서로 겹치는 부위 없이 동일선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그 상단에 안착되는 마감패널은 들뜸현상없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착된 마감패널은 주받침부와 보조받침부에 의해 양쪽에서 잡아주기 때문에 외부환경에 의한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천장재용 받침틀은 비교적 장소의 제약없이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추후 장착되는 마감패널이 들뜸현상 없이 받침부분과 완전히 밀착되어 틈새가 형성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할 뿐만 아니라 주형강이 마감패널을 양쪽에서 잡아주기 때문에 외부환경에 의한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3)

  1. 천장재를 마감처리하기 위한 받침틀에 있어서,
    상단에는 천장 슬라브의 하단에 매설된 행거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중단에는 양측면에 ㄴ'자로 절곡된 체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하단에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주받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주형강과;
    상기 주형강의 체결부에 빈틈없이 끼워지는 끼움부가 양쪽 말단에 구비되고, 하단에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보조받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조형강;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형강과 보조형강이 결합시 주받침부와 보조받침부는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재용 받침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형강의 체결부에는 보조형강의 끼움부가 끼워지는 위치에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재용 받침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형강은 주받침부의 상단으로 고정받침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재용 받침틀.
KR2020070003347U 2007-02-27 2007-02-27 천장재용 받침틀 KR200437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347U KR200437801Y1 (ko) 2007-02-27 2007-02-27 천장재용 받침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347U KR200437801Y1 (ko) 2007-02-27 2007-02-27 천장재용 받침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801Y1 true KR200437801Y1 (ko) 2007-12-28

Family

ID=4162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347U KR200437801Y1 (ko) 2007-02-27 2007-02-27 천장재용 받침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8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191B1 (ko) 2010-07-12 2011-01-03 조권제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KR20130082083A (ko) * 2010-05-06 2013-07-18 3088-7418 퀘벡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건축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083A (ko) * 2010-05-06 2013-07-18 3088-7418 퀘벡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건축 구조물
KR101959883B1 (ko) * 2010-05-06 2019-03-19 3088-7418 퀘벡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건축 구조물
KR101005191B1 (ko) 2010-07-12 2011-01-03 조권제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CN105102092A (zh) 一种墙体及其施工方法
KR20140049413A (ko) 벽체 외장설비
KR200437801Y1 (ko) 천장재용 받침틀
KR20110043113A (ko) 벽체마감패널과 고정설치브래킷 및 상기 고정설치브래킷을 이용한 벽체마감패널의 설치방법
KR20060108481A (ko) 건축물의 장식패널 시공장치
KR100623965B1 (ko) 지붕 조립용 샌드위치 판넬
KR101901240B1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101059957B1 (ko) 커튼월 고정구
CN101824880A (zh) 紧固件以及利用轻型石材面板的墙体结构
KR200373828Y1 (ko) 욕실용 천장패널 이음부 장식몰딩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100470679B1 (ko) 욕실용 천장 패널과 그 시공방법
KR20160098834A (ko) 화장실용 칸막이패널
KR200363245Y1 (ko) 조립식 천정패널 고정장치
JPH0316325Y2 (ko)
CN111877579B (zh) 防火构造的钢梁的装配方法
KR200366580Y1 (ko) 천정 마감패널 설치용 채널바
KR200372505Y1 (ko) 시공이 간편한 건축용 판넬
JP2012077574A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KR101023543B1 (ko) 철골과 외벽패널의 체결 구조
KR20100002171U (ko) 욕실용 천장패널
KR200273484Y1 (ko)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KR101754933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조립체 상부 마감 유니트
KR200247542Y1 (ko) 천정 마감용 천정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