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083A - 개선된 건축 구조물 - Google Patents

개선된 건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083A
KR20130082083A KR1020127032037A KR20127032037A KR20130082083A KR 20130082083 A KR20130082083 A KR 20130082083A KR 1020127032037 A KR1020127032037 A KR 1020127032037A KR 20127032037 A KR20127032037 A KR 20127032037A KR 20130082083 A KR20130082083 A KR 20130082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receiving
wale
beams
wal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9883B1 (ko
Inventor
마크 에이. 보벳
미쉘 트렘블레이
Original Assignee
3088-7418 퀘벡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3088-7418 퀘벡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3088-7418 퀘벡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8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7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09Hooks, dovetails or other interlocking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39Adjustable connections, e.g. using elongated slots or threaded adjustm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4Connections between open and closed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7Beam to beam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63Connections to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66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69Profile with an array of connection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66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72Elongated load-supporting part formed from a number of parallel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1Details of wal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4Details of floor panels or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96Shear bracing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10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metal beams or girders, e.g. with steel lattice gi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multiple interengag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s, e.g. hooks, c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제1 형상으로부터 분해 가능하고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 가능한 건축 구조물이 제공된다. 건축 구조물은 구조물, 기둥 앵커를 위한 시스템 및 키트, 바닥 구조물을 위한 키트, 바닥 구조물을 조립하는 방법, 벽 및 천장 지지 시스템, 배전함 지지대, 및 틀 조립품 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건축 구조물{Evolving building structure improvement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건설작업 분야에 관련되고, 더 상세하게는 개선된 건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많은 종류의 건축 구조물 키트가 있는데 이러한 건축 구조물들은 보통 건물 부지에서 함께 조립될 수 있는 키트의 형태를 취한다. 하지만, 이 키트들은 일반적으로 오직 제한된 갯수의 부품만을 가지기 때문에 단지 몇몇 간단한 설계도에 따른 건물을 조립하기 위해 제공된다. 게다가, 현존하는 많은 키트들은 제한된 구조적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이런 키트를 사용하여 조립된 건축물들은 보통 오두막과 같이 비교적 단순한 건물이다.
건물을 조립하기 위해 키트가 사용되는 경우, 건축업자들은 키트 구성요소를 조립하기 위해 관련된 모든 실수의 위험, 및 측량 과정에 따른 지연을 가지는 전통적인 측량기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존해야 한다.
게다가, 키트가 건물의 조립에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키트들은 건축을 완전히 끝내기 위해 추가적인 부분을 보충하여야 한다. 따라서, 키트가 가져오는 이익은 일부 전통적인 건설기술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의해서 경감된다. 이러한 건설기술은 종종 건설부지에서 목재의 조각 또는 다른 재료의 조각의 절단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모든 실수의 위험과 관련있는 측정을 할 필요가 있게되고, 종종 버려지는 비교적 작은 재료의 불필요한 잔존조각을 남기는 재료의 절단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통적인 건설기법은 상당히 큰 양의 폐기물을 발생시키고 상당한 시간을 소모한다.
또한, 키트를 사용하여 조립된 현재의 모듈형 건물들에 있어, 건물이 일반적으로 조립되면, 원래의 키트의 일부 구성요소가 분해과정 동안 파괴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구조물을 분해하고 원래의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할 가능성이 없다.
게다가, 키트를 이용하여 조립되었든 전통적 건설기술을 이용하여 조립되었든 현존하는 건물은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많은 열교(thermal bridge)가 있다. 이러한 열교들은 건물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일반적으로 단열재가 삽입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내벽과 외벽은 일반적으로 스터드(stud)로 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스터드가 있는 장소에는 단열이 되지 않으며, 열은 이러한 스터드를 통해 건물의 외부와 내부 사이로 전달된다. 열교는 겨울동안에는 일반적으로 상당히 큰 열 손실을 야기하며 여름동안에는 건물의 안으로 열의 유입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새롭고 향상된 건축 구조물에 대한 필요성이 산업계에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건축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선된" 이란 용어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미리 제작된 조각들의 조립으로 건설되는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을 의미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개선된 건축 구조물은 그것의 발전을 통한 가족의 필요 또는 새로운 주인을 위해 적합하도록 쉽게 변경될 수 있다. 창문, 문 및 다른 것들 사이의 내벽은 건축 구조물의 주위로 이동될 수 있다. 극단적인 시나리오에 있어서, 모든 개선된 건축 구조물는 분해되고, 이동되어 다른 곳에서 같거나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된 건축 구조물은 개선된 건축 구조물의 건설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듈을 건설하기 위해 그러한 미리 제작된 조각들로부터 미리 조립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건축 구조물을 건축하기 위한 무측량 시스템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부착구 수용부에 맞물리는 복수의 제거가능한 부착구를 가지는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부착구 수용부를 가지는 복수의 기둥 및 들보, 복수의 기둥 및 들보와 분해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착구를 포함하는 미리 제작된 복수의 건물 구성요소를 제1 형상의 건물구조에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부착구 수용부의 규칙적인 배치는 측정이 필요없는 조립을 제공하며 상기 건축 구조물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해체가능하고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들보는 들보 빔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되기 위한 적어호 하나의 연장된 들보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들보는 들보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두개의 연장된 들보 접합부와 결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둥 및 들보 각각은 배관, 배선, 난방, 환기, 냉방(HVAC)용 도관, 및/또는 중앙집중식 진공 도관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開口)를 더 포함하는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건축 구조물을 가지는 건물을 위한 키트(kit)를 개시하며, 상기 키트는:
제1 외벽패널 부착구 및 제2 외벽패널 부착구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내부 및 외부 경계를 정하는 외벽패널;
각 기둥이 제1 및 제2 벽 패널 부착구가 부차구 수용부에 의해 수용되는 경우, 벽 패널이 패널과 각 기둥 사이의 간격을 정의하는 적어도 두개의 기둥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외벽패널 부착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구 수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충분히 연장된 기둥; 및
각 기둥과 인접한 벽 패널 사이에 맞물리도록 변형된 단열재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간격은 건물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교효과를 상당히 감소시키며 상기 건축 구조물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해체될 수 있으며 제 1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될 수 있다.
단열재는 단열패널, 단열섬유, 단열폼, 스프레이드(sprayed) 단열폼, 미네랄 울(mineral wool), 셀룰로스(cellulose)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단열패널은 각 기둥을 가로질러 돌출되는 립(li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벽 패널 부착구 각각은 단열패널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텅(tongue)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분해 가능한 외벽 패널 부착구는:
호환되는 부착 수용부에게 수용되기 위한 분해 가능한 제1 부착부재;
호환되는 외벽패널을 수용하기 위한 분해 가능한 제2 부착부재; 및
제1 및 제2 부착부재를 연결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스페이서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텅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3차원 축을 따라 조정가능한 기둥 앵커는:
제1축을 따라 조정가능한 장착부재를 그 안에 가지고 건물기초에 부착되기 위한 기초부재; 및
장착부재 상에 장착가능하고 제2축을 따라 조정가능한 시트, 및 제3축을 따라 조정가능하고 기둥을 수용하기 위한 크라운을 가지는 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기둥 앵커는 거기에 부착된 기둥의 높이를 맞추고 기초에 기둥 앵커를 정확하게 정렬시키기위해 3차원 축을 따라 조정된다.
장착부재는 제1 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정부재는 제1축을 따라 시트(seat)의 조정을 허용할 수 있다.
장착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골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는 2개의 나사골로 구성될 수 있다.
장착부재는 장착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는 장착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조인트는 도보테일 조인트(dovetail joint)일 수 있다.
제1 조정부재는 상기 나사로드(threaded rod)상에 장착된 나사너트(threaded nut)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는 제2 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정부재는 제2축을 따라 상기 시트의 조정을 허용할 수 있다.
제2 조정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정부재는 2개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 난형, 타원형 및 직사각형일 수 있다.
제2 조정부재는 고정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크라운은 제3 조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조정부재는 제3축을 따라 상기 크라운의 조정을 허용될 수 있다.
제3 조정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 난형, 타원형 및 직사각형 개구일 수 있다.
제3 조정부재는 상기 크라운을 상기 시트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는 나사볼트 및 나사너트일 수 있다.
상기 크라운은 기둥수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수용부재는 파스너(fastener) 수용부일 수 있다.
기둥수용부재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 앵커는 상기 건물기초(34)에 기계식 앵커링 및/또는 접착식 앵커링에 의해 박히는 것에 의해 상기 건물기초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분해 가능한 바닥 앵커 시스템을 위한 키트는:
각 들보가 들보를 따라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들보; 및
상기 브릿지부에 수용되기 위한 러그(lug)를 각 말단에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들보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들보가 적어도 두개의 들보 각각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 들보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들보와 거의 수직이고, 바닥면을 수용하기 위한 평면을 형성하며,
분해 가능한 바닥 앵커 시스템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처음의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될 수 있다.
들보는 두개의 브릿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두개의 브릿지부는 고정된 일정한 간격에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러그는 파스너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들보는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들보는 복수의 파스너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들보는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파스너 수용부는 고정된 일정한 간격에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들보는 상기 들보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연장된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들보는 상기 들보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들보 접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빔(beam)은 배관, 배선, 난방, 환기, 냉방(HVAC) 도관, 및/또는 중앙집중식 진공 도관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바닥 구조물의 조립방법은:
a) 복수의 들보를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분해가능한 바닥구조에 복수의 들보, 및 제 34항 내지 제 45항 중 한 항에서 정의된 복수의 제2 들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미리 제작된 바닥 구성요소를 조립하고, 제공된 제2 들보의 각 끝에서 각 표면단장 브릿지부에 러그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들보 및 제2 들보는 서로 거의 수직이고 바닥면을 수용하기 위해 평탄면을 형성하고 바닥구조는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가능하고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 가능하다.
방법은 a) 단계 이후에
b) 복수의 제2 들보를 복수의 들보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b) 단계 이후에
c) 분해가능한 바닥 구조물 위에 바닥면을 씌우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분해 가능한 바닥 조립방법은:
복수의 들보, 및 제 34항 내지 제 45항 중 한 항에서 정의된 복수의 제2 들보 및 복수의 바닥타일을 포함하는 미리 제작된 바닥 구성요소들을 복수의 들보들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분해가능한 바닥 구조물에 조립하고 제공된 제2 들보의 각 끝에서 각 표면단장 브릿지부에 러그를 삽입하는 단계; 및
복수의 바닥타일을 분해가능한 바닥 구조물 위에 씌우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들보 및 제2 들보는 서로 거의 수직이고 바닥타일을 수용하기 위해 평면을 형성하고 바닥 구조물은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가능하고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 가능하다.
방법은 b) 단계 이후에
ⅰ) 바닥 타일을 씌우는 것 이전 또는 이후에 복수의 들보에 복수의 제2 들보를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분해 가능한 띠장 지지대는:
띠장을 고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후크부재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띠장 파지부재 및 호환되는 부착구를 수용하기 위해 일정하게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부착구 수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평탄부재;를 포함한다.
띠장 지지대는 일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벽 지지 시스템을 위한 키트는:
외부와 내부를 정의하는 벽 패널,
적어도 하나의 띠장,
제 59항 또는 제 60항 중 하나의 항에 정의된 적어도 두개의 띠장 지지대; 및
적어도 하나의 띠장이 적어도 두개의 띠장 지지대에 의해 수용되는 경우, 벽 패널이 패널과 각각의 상당히 연장된 기둥들 사이의 공간의 경계를 정하는 적어도 두개의 상당히 연장된 기둥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각 기둥이 띠장 지지대를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부착구 수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상당히 확장된 기둥; 및
상기 간격은 분해가능한 벽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교효과를 상당히 감소시키며 상기 벽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될 수 있다.
키트는 벽 패널에 인접한 각 기둥들 사이에 맞물려지기 위해 변형된 단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패널, 단열섬유, 및 단열폼일 수 있다.
띠장은 방음소재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분해 가능한 띠장 지지대는:
띠장을 고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후크부재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띠장 파지부재; 및
호환되는 부착구를 수용하기 위해 일정하게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부착구 수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평탄부재;를 포함한다.
분해 가능한 띠장 지지대는 스페이서부재에 의해 연결된 두개의 연장된 평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해가능한 띠장 지지대는 ∪ 형상일 수 있다.
띠장 지지대는 일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벽 지지 시스템을 위한 키트는:
적어도 하나의 띠장; 및
상기 기술된 적어도 두개의 띠장 지지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벽을 위한 키트는:
외부와 내부를 정의하는 벽 패널,
적어도 하나의 띠장,
상기 기술된 적어도 두개의 띠장 지지대,
각 기둥은 적어도 하나의 띠장이 적어도 두개의 띠장 지지대에 의해 수용되도록 분해가능한 띠장 지지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구 수용부, 패널과 상당히 연장된 각 기둥들 사이의 간격을 정의하는 적어도 두개의 상당히 연장된 기둥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벽 패널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상당히 연장된 기둥; 및
여기에서 상기 간격은 분해 가능한 벽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교효과를 상당히 감소시키며 상기 벽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될 수 있다.
키트는 벽 패널과 인접한 각 기둥 사이에 맞물려지기 위해 변형된 단열부를 더 포함한다.
단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패널, 단열섬유, 및 단열폼일 수 있다.
띠장은 방음소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분해 가능한 배전함 지지대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와 연결하기 위한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분해가능한 띠장 파지부재; 및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배전함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분해가능한 띠장 파지부재에 연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분해 가능한 배전함 지지대는 일체일 수 있다.
분해 가능한 배전함 지지대는 그 안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틀을 위한 키트는:
상당히 평행한 제1 및 제2 기둥 각각에 틀 조립품을 고정하기 위해 내면과 마주하는 적어도 두개의 틀 조립품, 상기 틀 조립품 부착구를 수용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따로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부착구 수용부를 가지는 기둥을 포함하는 내면 및 외면을 가진 틀 조립품;
적어도 하나의 띠장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띠장 파지부재, 틀 조립품 주변의 경계를 형성하기 위해 상당히 평행한 제1 및 제2 기둥과 거의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변형된 띠장 수용바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띠장 수용바;를 포함한다.
띠장 파지부재는 띠장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후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띠장 수용바는 두개의 띠장을 수용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
틀 조립품은 창문 조립품 또는 문 조립품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주제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선택된 실시예의 하기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명확해질 것이다. 실현될 수 있는 것으로, 개시되고 청구된 주제는 청구항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모든 다양한 측면에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 및 설명은 발명 본질의 제한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주제의 완전한 범위는 청구항에서 시작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분히 연장된 기둥의 뒷 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분히 연장된 기둥의 앞 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보(joist) 또는 빔(beam)의 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보 또는 빔의 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보 또는 빔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분히 연장된 기둥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보 또는 빔의 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 구조물의 측면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 구조물의 측면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 구조물의 측면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가능한 벽 패널 부착구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앵커(post anchor)의 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앵커의 투시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 앵커의 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가능한 바닥 앵커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가능한 바닥 앵커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가능한 바닥 앵커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가능한 바닥 앵커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가능한 바닥 앵커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 패널 지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 패널 지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지지대의 투시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지지대의 투시도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1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지지대의 투시도이다.
도 1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13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지지대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13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지지대의 배면 투시도이다.
도 13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지지대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13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지지대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13j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함 지지대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띠장 수용부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띠장 수용부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 1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띠장 수용부의 평면도이다.
도 1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띠장 수용부의 측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 조립품의 투시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 조립품의 투시도이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 조립품의 투시도이다.
도 1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틀 조립품의 투시도이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부착구 수용부에 맞물리는 복수의 제거가능한 부착구를 가지는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부착구 수용부를 가지는 미리 제작된 복수의 건물 구성요소를 제1 형상의 건축 구조물에 조립하는 것에 의해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건축 구조물을 건축하기 위한 무측량이 시스템을 개시하며, 상기 부착구는 미리 제작된 복수의 건물 구성요소와 분해 가능하게 결합한다.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부착구 수용구의 규칙적인 배치는 측량이 필요없는 조립을 가능하게 하며 건축 구조물물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가능하고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 가능하다.
키트(kit)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부착되는 다른 구성요소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규격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키트 이용하여 건축 구조물물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일부를 자르거나, 측정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사용되기 전에 잘려질 필요가 있는 일부 구성요소를 가지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키트와 유사한 키트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독자는 완전한 건축 구조물를 가지는 건물을 위한 키트가 본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어지는 것에 반해, 다른 건물 또는 대체적인 집의 조립품을 위한 키트의 오직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상기 키트는, 예를 들어, 오두막, 광, 그리고 더 큰 건물, 또는 그들의 일부와 같은 다른 건축 구조물조를 조립하기 위해 어느부분을 조립하는데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상기 언급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자세한 건축 구조물가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만,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독자는 덜 복잡한 집이 건축될 수 있도록 구성요소의 오직 일부만을 포함하는 키트를 가지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비슷하게, 앞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키트를 가지는 것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2 및 3을 참조하면, 기둥(10) 및 들보(20)와 같은 복수의 미리 제작된 기둥, 및 들보를 제1 형상의 건축 구조물에 조립하는 것에 의해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건축 구조물를 건축하기 위한 무측량 시스템을 개시한다.
도 1a 및 b에 도시된 것처럼 기둥(10) 및 들보(20)는 도 2의 기둥상에 있는 구성요소(12, 14)와 도 3a에 도시된 들보상에 있는 구성요소(22 및 24)와 같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부착구 수용부를 가진다.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 볼트, 로드(rod) 및 호환가능한 너트의 조합들과 같은 복수의 제거가능한 부착구는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부착구 수용부(12, 14, 22 및 24)에 맞물려지고 상기 부착구는 복수의 기둥(10) 및 들보(20)에 분해가능하게 결합된다.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부착구 수용부(12, 14, 22 및 24)의 규칙적인 배치는 측량이 필요없는 조립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건축 구조물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가능하고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 가능하다.
기둥(10) 및 들보(20)는 전기 배선, 광섬유 케이블, 또는 건물에 사용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는 많은 개구(開口, 도 4의 18 및 도 1의 26)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개구들은 난방, 환기, 및 냉방용(HVAC) 도관, 중앙집중식 진공청소기를 위한 도관 또는 건물에 삽입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는 다른 어떤 구성요소들에 역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b 및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들보 접합부(20A 및/또는 20B)로 형성되는 들보(20)를 포함한다. 양 구조물상에 있는 부착구 수용부에 파스너(fastener)의 삽입에 의해 연장된 들보 접합부와 연결될 수 있는 고정부재(28)에 의해 그들의 끝에서 결합되어진다. 더 짧게 연장된 접합부에서 조립된 들보(20)의 사용은 무거운 리프트 장비의 필요없이 한명 또는 소수의 노동자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접합부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같이 특별한 이점이 있다. 이것은 긴 들보의 조립을 위해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기계장치를 위한 길을 만들기 위해 나무들이 잘려질 필요가 없어, 산림지대에서 하우징 구조물를 조립하는 경우 매우 유리하다. 게다가, 들보의 접합부의 운송은 접합부가 보통의 트럭 적재량 내에 잘 맞을 수 있어 길고 무거운 기계장치를 요구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는 구조물의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정하는 벽 패널(32)을 가지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벽 패널 구조물(30)를 가지는 건물을 위한 키트 또한 포함한다. 기둥(10)에 벽 패널(32)을 연결하기 위해, 벽 패널 부착구(40)와 같은 부착구가 사용된다. 충분히 연장된 기둥(10)들 각각은 벽 패널 부착구(40)를 수용하기 위해 많은 부착구 수용부를 가진다. 벽 패널 부착구(40)가 부착구 수용부(14)에 의해 수용되는 경우, 벽 패널(32)은 공간이 벽 패널(32) 및 각 기둥(10)들 사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도록 기둥(10)으로부터 공간을 두고 배치된다. 벽 패널(32) 및 기둥(10) 사이의 상기 공간은 구조물의 외부 및 내부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떤 열교효과(thermal bridge effect)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벽 구조물(30)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가능하며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될 수 있다.
벽 구조물(30)을 더욱 단열하기 위해, 단열패널(36)이 벽 패널(32) 및 기둥(1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네랄 울(mineral wool), 폴리우레탄, 셀룰로스와 같은 스프레이드(sprayed) 단열폼(form) 또는 단열재의 어떤 다른 형태와 같은 다른 형태의 단열재 역시 고려될 수 있다. 단열패널(36)은 벽 패널(32)과 인접한 각 기둥(10)들 사이에 마찰에 의해 맞물려질 수 있다. 단열패널(36)은 어떤 열교효과를 감소시키고 그로인해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각 기둥(10)을 가로질러 돌출되는 립(lip)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패널(36)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벽 패널 부착구(40)가 고정부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고정부는, 벽 패널 부착구의 일 실시예에 나타난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지는 예를 들어, 쐐기 또는 짧게 연장된 피스(piece)와 같은 어떤 적당한 파스너(fastener)일 수 있다. 고정부는, 예를 들어 벽 패널(32)과 마주하는 단열패널(36)의 표면 위로 접어 포개어지는 벽 패널 부착구(40)의 부분처럼 벽 패널 부착구(40)와 일체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그로인해 단열패널(36)이 벽 패널(32)을 향해 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부는 벽 패널 부착구(40)에서 단열패널(36) 위로 접어 포개질 수 있는 텅(tungue, 48)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해 가능한 벽 패널 부착구(40)는 기둥(10)에 있는 부착구 수용부(14)와 같은 호환 가능한 부착구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분해 가능한 제1 부착부재(42)를 포함한다. 그것은 역시 벽 패널(32)을 수용할 수 있는 분해 가능한 제2 부착부재(44); 및 부착부재(42 및 44)를 함께 연결하는 스페서(46)를 포함한다. 분해 가능한 벽 패널 부착구(40)는 도 7에0 도시된 텅(48)과 같은 고정부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는 콘크리트 기초 같은 기초 위에 건설되는 것에 대해 적합합다. 기둥(10)을 고정하기 위해, 기둥 앵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둥 앵커(50)는 건물기초(F)에 고정될 수 있는 기초부재(52)를 포함한다. 기초부재(52)의 앵커링(anchoring)은 기초가 처음 부어질 때 기초에 기초부재를 박아 넣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앵커링은 접착식 앵커일 수 있다. 접착식 앵커는 예를 들어 보통 석재 및 콘트리트인 수지 기반의 접착식 시스템에 사용하는 기질에 접합되는 스틸 스터드(steel stud), 볼트, 앵커리지(anchorage)를 포함하는 수지 앵커이다. 고 하중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대해 이상적으로 적합한, 접착결과가 기초물질 그 자체보다 더 강한 모든 경우와 시스템이 화학적 접착기반인 경우는 확장형 앵커와 가지는 것처럼 기초물질에 하중 스트레스를 부가하지 않으며 따라서 감소된 중앙 및 그룹 앵커링, 가장자리 고정부에 접근하는 것이 이상적이고 낮은 압축강도 또는 미확인 품질의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기계적인 앵커가 전통적인 수단에 의해 기초(예를 들어 천공된 구멍으로)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앵커링 역시 기계적인 앵커링일 수 있다.
기초부재(52)는 그 위에 장착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장착부재는 적합한 장착조인트(예를 들어 도보테일 조인트(dovetail joint)), 또는 나사산을 가지는 로드(rod) 또는 그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유지부재(60)는 기초부재(52) 위에 배치되고, 장착부재에 장착가능한 시트(seat)를 포함하고, 기둥(10)을 수용할 수 있는 크라운(crown)은 제3축을 따라 조정가능하다.
앵커(50)의 장착부재는 제1축을 따라 조정되게 하기 위한 제1 조정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많은 나사로드(threaded rod, 54)가 기초부재(52)상에 배치되며, 나사로드(54)를 포함하는 장착부재상에 시트(62)가 장착되는 경우, 장착부재상의 시트(62)의 위치는 나사로드(54)상에 나사너트의 적당한 조립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조정되어질 수 있다.
시트(62)는 제2축을 따라 시트의 조정을 허용하는 제2 조정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트는 장착부재(예를 들어 나사로드(54)와 같은)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66)는 선택된 선호하는 장착부재의 형상을 수용하기 위해 거의 원형, 난형, 타원형 및 직사각형으로 적절히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정부재는 그 안에 장착부재를 수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장착부재 주변에 공간을 남겨두어 시트(62)가 기둥 앵커(50)와 전체 건축 구조물의 다른 기둥 앵커(50)의 정렬을 위해 요구될 수 있는 시트(62)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제2축을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앞뒤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기둥 앵커(50)의 크라운(64) 또한 제3축을 따라 크라운의 조정을 허용하는 제3 조정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크라운(64)은 고정부재(예를 들어 너트에 의해 고정된 나사볼트(70))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66)는 선택된 선호하는 고정부재의 형상을 수용하기 위해 거의 원형, 난형, 타원형 및 직사각형으로 적절히 형성될 수 있다. 제3 조정부재는 그 안에 고정부재를 수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고정부재 주변에 공간을 남겨두어 크라운(64)이 기둥 앵커(50)와 모든 전체 건축 구조물의 다른 기둥 앵커(50)의 정렬을 위해 요구될 수 있는 크라운(64)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제3축을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앞뒤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3 조정부재는 3차원 축을 따른 기둥 앵커(50)의 조정을 허용하여 거기에 부착된 기둥(10)을 평준화한다.
포스트 앵커(50) 위에 기둥(10)들을 연결하기 위해, 크라운(64)은 기둥 수용부재(80)를 포함한다. 기둥 수용부재는 기둥 앵커(50)의 크라운(64) 위에 기둥(10)을 고정하기 위해 적당한 부착구가 그 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기둥의 부착구 수용부(12)와 정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파스너 수용부(82)를 가진다. 도 8에 예시된 것처럼, 기둥 수용부는 ∪-형상의 브라켓을 포함하나, 어떤한 적당한 형상의 브라켓도 기둥 수용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9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는 분해 가능한 바닥 앵커 시스템을 포함한다. 바닥 앵커 시스템은 들보(20)를 따라 정해진 위치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들보를 가진다. 브릿지부는 고정된 일정한 간격에 따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들보(20)는 들보(20)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들보 접합부(20A/20B)를 포함할 수 있다. 들보 접합부는 양 구조물 모두에 존재하고 있는 부착구 수용부에 파스너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그들의 단부에서 서로 결합되어질 수 있다. 더 짧게 연장된 접합부에서 조립된 들보(20)의 사용은 무거운 리프트 장비의 필요없이 한명 또는 소수의 노동자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접합부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같이 특별한 이점이 있다. 이것은 긴 빔의 조립을 위해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기계장치를 위한 길을 만들기 위해 나무들이 잘려질 필요가 없어, 산림지대에서 하우징 구조물를 조립하는 경우 매우 유리하다. 게다가, 들보의 접합부의 운송은 접합부가 보통의 트럭 적재량 내에 잘 맞을 수 있어 길고 무거운 기계장치를 요구하지 않는다. 게다가, 이것은 예를 들어 배관, 배선, 환기, 냉방(HVAC)용 도관, 및/또는 중앙집중식 진공 도관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는 다기능 들보 접합부의 결합을 허용한다.
또한 바닥 앵커 시스템은 브릿지부(92)에 수용될 수 있는 러그(lug, 120)를 그들 각각의 단부에 포함하는 제2 들보(100)를 포함한다. 제2 들보(100)는 들보와 거의 수직으로 들보(20)에 삽입되어,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닥 타일(T) 또는 다른 적당한 바닥 패널인 바닥면을 수용할 수 있는 평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닥 앵커 시스템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 가능하고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 가능할 수 있다. 바닥면이 공사의 단계를 완성하기 위해 주어진 바닥 또는 건축 구조물의 층 위에 필요한 경우 유용하며, 공사의 단계가 완성되자마자, 바닥은, 예를 들어, 추가의 건물재료 또는 기계장치를 위해 건물의 내부로 진입지점을 만들기 위해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
바닥 앵커 시스템을 더 강하게 하기 위해, 들보(20) 및 제2 들보(100)는 함께 거꾸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들보(100) 위에 존재하는 러그(102)는 들보(20) 위에 존재하는 파스너 수용부(94)와 정열하는 파스너 수용부(104)를 포함한다. 적절한 파스너가 들보(200)에 제2 들보(100)를 거꾸로 결합하기 위해 그 안에 삽입될 수 있다(도 9 참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들보(100)는 들보(20) 위에 존재하는 파스너 수용부(96)와 정열하는 하나 이상의 파스너 수용부(106)를 각 단부에 포함한다. 적절한 파스너가 들보(20)에 제2 들보(100)를 거꾸로 결합하기 위해 그 안에 삽입될 수 있다(도 5 및 11 참조).
본 발명의 바닥 앵커 시스템 상에 배치된 바닥면을 더 강화하기 위해, 들보(20) 및 제2 들보(100)는 정해진 위치 배치되거나, 및/또는 고정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파스너 수용부(98 또는 108)를 포함한다.
사용에 있어서,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바닥 구조물는 복수의 제1 들보(20) 및 복수의 제2 들보(100)를 포함하는 미리 제작된 복수의 바닥 구성요소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만들어진다. 복수의 들보(2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 들보(100)의 러그(102)는 마주하는 각 브릿지부(92)에 삽입된다. 조립 후, 들보(20) 및 제2 들보(100)는 서로 거의 수직이며 바닥면(예를 들어 바닥 타일(T))을 수용할 수 있는 평면을 형성한다. 바닥 구조물는 들보(100)에서 러그(102)를 잡아당겨 빼는 것에 의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 가능하고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 가능하다.
바닥 구조물는 복수의 들보(20)에 복수의 제2 들보(100)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단단하게 될 것이며, 사용하기 편리한 바닥은 분해 가능한 바닥 구조물 위에 바닥면을 덮어 씌우는 것에 의해 만들어 질 것이다. 복수의 들보(20)에 복수의 제2 들보(100)를 고정하는 것은 바닥면이 평면위에 배치되거 전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5a 내지 15b를 참조하면, 바닥을 완성한 뒤에 천장 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이것은 천장의 띠장 수용부(110)와 다수의 들보(20)를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천장 띠장 수용부(110)는 들보(20)에 배치된 수용부(112)에,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된다. 천장 띠장 수용부(110)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수용부(112)에 삽입된 단부가 그것들을 수용부(112)에 고정하기 위해서 구부러질 수 있을 것이다. 띠장(130)은 그 후 천장 띠장 수용부(110)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고 천장 띠장 수용부(110)의 길이에 의해 분해되는 마주보는 후크 부재(118)를 가지는 띠장 파지부재(116)에 삽입된다. 천장 패널은 천장을 구성하기 위해 띠장(130)에 부착될 수 있다. 천장패널은 예를 들어, 나무, 건식벽체 등과 같은 벽 패널의 어떤 종류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벽을 위한 키트 역시 개시된다. 이 키트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24)를 포함하는 분해 가능한 띠장 파지부재(122)를 가지는 분해 가능한 띠장 지지대(120, 도 12a에 도시), 및 스페이서(124)의 반대쪽 끝에 연결된 후크부재(126)를 포함한다. 분해 가능한 띠장 지지대(120) 또한 분해 가능한 띠장 파지부재(122)에 연결된 분해 가능한 부착구부재(128)를 가지고 있다. 분해 가능한 부착구부재(128)는 기둥(10)의 구성요소(14)와 같은, 호환 되는 부착구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분해 가능한 띠장 지지대(120)는 하나의 완전한 부분으로 제작될 것이다. 띠장 지지대(120)의 재료는 만약 필요하다면 추가적 방음 단계를 가진 조립된 벽을 공급하기 위해 방음 재료일 수 있다. 벽 패널은, 예를 들어, 나무나 건식벽체 등과 같은 벽 패널의 어떤 종류일 수 있다.
키트는 또한 제1 및 제2 후크(124)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띠장 파지부재(214)를 포함하는 연장된 평면부재(212)를 포함하는 분해 가능한 띠장 지지대(210)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한다. 복수의 띠장 파지부재는 몇몇 띠장(130)을 수용하기 위하여 연장된 평면부재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연장된 평면부재는 띠장 지지대(210)를 기둥(10)에 붙이기 위하여 그 안에 호환 가능한 부속품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부착구 수용부를 포함한다. 분해 가능한 띠장 지지대(210)는 스페이서 부재에 의하여 서로 상당히 유사한 두개의 연장된 평면 부재로 이루어 질 것이다. 예를 들어, 분해 가능한 띠장 지지대(210)는 U- 형상의 내장된 구조물일 수 있다.
사용시,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벽면 지지대 시스템은 띠장(130) 및 2 이상의 띠장 지지대(120 또는 210)를 포함한다. 띠장(130)은 띠장 지지대(120 또는 210)에 의해 삽입 및 지지되고, 그리고 조립체는 충분히 연장된 기둥(10)상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분해 가능하고 재조립이 가능한 벽을 위한 키트는 하나 이상의 띠장(130), 2 이상의 띠장 지지대(120 또는 210), 내부와 외부 경계를 정하는 하나 이상의 벽 패널(140)을 포함한다. 벽 패널(140)은, 예를 들어 나무, 건식벽체 등과 같은 벽 패널의 어떤 종류일 수 있다. 사용에 있어서, 띠장(130)은 띠장 지지대(120 또는 210)에 의해 수용되며, 2 이상의 충분히 연장된 기둥(10)의 부착구 수용부(예를 들어 구성요소(14))에 장착된다. 벽 패널(140)은 띠장(130) 및 띠장 지지대(120 또는 210)가 결합되기 전 또는 후에 띠장(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단 조립되고 충분히 연장된 기둥(10)에 탑재되면, 벽 패널(140)은 벽 패널(140) 및 충분히 연장된 각 기둥(10) 사이의 경계를 정하는 공간과 같은 방식으로 충분히 연장된 기둥(10)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 안의 규정된 상기 공간은 분해 가능한 벽 시스템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교효과(thermal bridge effect)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벽의 단열을 보완하기 위해 단열소자가 추가되고, 벽 패널(140)에 인접한 충분히 연장된 각 기둥(10) 사이에 들어갈 수 있다. 단열소자는 단열패널, 단열섬유, 단열폼, 스프레이드(sprayed) 단열폼(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 미네랄 울(mineral wool), 셀룰로오스 또는 어떤 다른 종류의 단열재료나 또는 그들의 결합일 수 있다.
도 13a 내지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64)를 가지는 분해 가능한 띠장 파지부재(162), 및 스페이서(164)에 연결된 후크부재(166)를 포함하는 분해 가능한 배전함 지지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해 가능한 띠장 파지부재(162)가 스페이서(164, 도 13a 내지 12j)의 반대쪽 끝부분에 연결된 두개의 후크부재(16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68)은 분해 가능한 띠장 파지부재(162)에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168)은 적어도 하나의 하나의 배전함(B, 도 13a 및 13b)를 수용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68)은 2 이상의 배전함(B) 또는 도 13d 내지 f, h 및 j에 도시된 두개의 슬롯을 가진 하나의 큰 배전함(B)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해 가능한 전기접속상자 지지대(160)는 재료의 한 조각으로부터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미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전기 상자 B가 준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해 가능한 띠장 파지부재(162)는 직각 또는 직각과는 다른 각도로 스페이서(164)에 연결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해 가능한 띠장 파지부재(162)는, 예를 들어 약 100˚에서 약 120˚, 또는 약 100˚에서 약 110˚, 바람직하게는 110˚인 둔각(도 13c)으로 스페이서(164)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에 있어서, 배전함(B)는 띠장에 배치하기 전에, 분해 가능한 전기접속상자 지지대(160)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배전함(B)은 분해 가능한 전기접속상자 지지대(160)가 띠장(130)에 배치된 후에 삽입될 수도 있다. 배전함(B)는 하우징(168) 및/또는 스페이서(164)에서 미리 만들어진 적당한 고정부를 통하여 분해 가능한 배전함 지지대(16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는 나사와 같은 전통적인 파스너(fastener)를 수용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진 구멍일 수 있으나,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수단 역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보적 클립과 홈들, 또는 마찰 결합 수단들이 적당할 것이다. 분해 가능한 배전함 지지대(160)는 손으로 눌러서 띠장의 테두리가 후크 부재(166)에 삽입되도록 띠장(130)상에 장착된다. 분해 가능한 배전함 지지대(160)는 수직빔의 위치에 관계없이 띠장(130)상의 어떤 위치에 배전함(B)을 배치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틀(1400)을 위한 키트 역시 포함한다. 틀(1400)은 내부 및 외부 면을 가지고 있는 창문 조립품이나 문 조립품과 같은 틀 조립품(1410)으로 구성되어 있다. 틀 조립품의 내부는 내부 면을 향하고 있는 적어도 두개의 틀 조립품 부착구(1430)를 가진다. 틀 조립품 부착구(1430)는 틀 조립품(1400)을 거의 평행한 제1 및 제2 기둥(10) 각각에 고정시킬 수 있다. 기둥(10)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부착구 수용부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파스너의 삽입에 의해 틀 조립품 부착구(1430)를 수용할 수 있다. 그 대신에, 틀 조립품 부착구(1430)는 부착구 수용부에 직접 삽입되고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틀(1400)은 적어도 하나의 띠장(130)을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띠장 파지부재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띠장 수용바(receiving bar)를 포함할 수 있다. 띠장 수용바(1420)는 틀 조립품(1400) 주변의 경계를 형성하기 위해 거의 수직인 각 기둥들과 거의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띠장 파지부재(1440)는 띠장을 그 안에 고정하기 위하여 반대쪽과 맞은편에 제1 및 제2 후크부재를 포함한다. 띠장 수용바(1420)는 2 이상의 띠장(130)을 수용할 수 있다.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틀(140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물에 있어서 쉽게 창문을 설치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창문은 일반적으로 이를 위해 준비된 공간에 건물의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것은 1층에 설치될 때에는 창문에 대해 특별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나, 1층 이상에 설치될 때에는 일하는 사람들은 창문 틀을 리프트 장치 및/또는 비계를 사용하여 적당한 위치까지 올려야 한다. 이러한 방식의 일들은 언제나 일하는 사람들이 장치나 비계에서 떨어질 수도 있는 정도의 위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틀의 경우, 창문 틀은 오히려 간단하게 건축 구조물의 안으로 옮겨지며, 노동자는 기둥(10) 및 띠장 수용바(1420)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로 단지 그것들을 밀기만 하면 되고, 필요하다면 그것들을 고정한다. 모든 일들은 높은 높이에서 바닥으로 떨어뜨릴 위험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구조물의 내부에서 수행된다. 또한 창 틀(1400)은 원한다면 건축 구조물물의 외부로부터 설치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또한 개구(210)의 경계를 정하는 수직틀 구성요소와 수평틀 구성요소, 및 적어도 두개의 틀 조립품 부착구(250)를 포함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틀 조립품(200)을 위한 키트를 포함한다. 틀(200)은 내부와 외부 면을 가지는 창문 조립품(215)이나 문 조립품의 틀로 사용될 수 있다. 틀 조립품 부착구(250)는 틀 조립품(200)을 거의 평행한 제1 및 제2 기둥(10) 각각에 고정시킨다. 기둥(10)은 예를 들어, 파스너의 삽입에 의해 틀 조립품 부착구(250)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다수의 부착구 수용부를 가진다. 그 대신에, 틀 조립품 부착구(250)는 부착수용부에 직접 삽입 및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틀 조립품 부착구(250)는 수직틀 구성요소(220)와 평행하고 인접한 기둥의 표면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부착구 수용부를 연결할 수 있다.(도 16c 및 16d 처럼).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틀 조립품 부착구(250)는 수직틀 구성요소와 수직인 기둥(10)의 표면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부착구 수용부를 연결하기 위해 형성 및/또는 배치될 수 있다. 수직 및 수평 틀 구성요소(220, 230)는 일원화된 구성요소로서 생산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부착구 수용부에 파스너의 삽입하는 것에 의해 기둥(10)에 고정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수직틀 구성요소(221, 222), 및 제1 및 제2 수평틀 구성요소(231, 232)와 같이 몇몇의 구성요소로 생산될 수도 있다. 단열재 역시 창문 조립품의 삽입전에 추가될 수 있는 것처럼, 틀 조립품(200)은 창문 조립품(215)의 삽입 이전에 조립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PVC가 창문 조립품들을 만드는 것처럼, 스프레이드 단열재의 확장에 의해 야기된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물질로부터 창문 조립품이 만들어지는 경우 편리하다. 만약 원한다면 창 틀(200)은 건축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역시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 및 명세서에 나타난 예들은 청구된 주제의 일반적 본질을 표현하며 제한적이지 않다. 개시된 청구 주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방법 및 다양한 응용을 위해 어떻게 실시예가 쉽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는지는 기술분야에서 상당한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 주제의 등가물 및 모든 대체적인 실시예를 제한 없이 포함하기 위해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문장, 단어, 및 용어들은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법률에 의해 허용되는 곳에서,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참조들은 전부 참조에 의해 결합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른 실시예의 어떤 측면은 가능한 대체적 실시예, 및 대체적 특징의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특징의 조합들의 모두는 청구된 주제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91)

  1.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부착구 수용부와 여기에 맞물리는 복수의 제거가능한 부착구를 가지는 복수의 기둥 및 들보를 포함하는 미리 제작된 복수의 건물 구성요소를 제1 형상의 건축 구조물에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상기 부착구는 복수의 기둥 및 들보와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부착구 수용부의 일정한 배치는 측정이 필요없는 조립을 제공하며 상기 건축물 구조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가능하고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건축 구조물을 건축하기 위한 무측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들보는 들보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들보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들보는 들보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두개의 연장된 들보 접합부와 결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및 들보 각각은 배관, 배선, 난방, 환기, 냉방(HVAC)용 도관, 및/또는 중앙집중식 진공 도관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開口)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건축 구조물의 건물을 위한 키트(kit)에 있어서,
    제1 외벽패널 부착구 및 제2 외벽패널 부착구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내부 및 외부 경계를 정하는 외벽패널;
    각 기둥이 제1 및 제2 벽 패널 부착구가 부차구 수용부에 의해 수용되는 경우, 벽 패널이 패널과 각 기둥 사이의 경계를 정하는 적어도 두개의 기둥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외벽패널 부착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구 수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충분히 연장된 기둥; 및
    각 기둥과 인접한 벽 패널 사이에 맞물리도록 변형된 단열재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간격은 건물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교효과를 상당히 감소시키며 상기 건축 구조물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제 1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건축 구조물을 가지는 건물을 위한 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단열패널, 단열섬유, 단열폼, 스프레이드(sprayed) 단열폼, 미네랄 울(mineral wool), 셀룰로스(cellulose)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널은 각 기둥을 가로질러 돌출되는 립(li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8. 제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벽 패널 부착구 각각은 단열패널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텅(tongu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0. 호환되는 부착 수용부에게 수용되기 위한 분해 가능한 제1 부착부재;
    호환되는 외벽패널을 수용하기 위한 분해 가능한 제2 부착부재; 및
    제1 및 제2 부착부재를 연결하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한 외벽 패널 부착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한 외벽 패널 부착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한 외벽 패널 부착구.
  13. 제1축을 따라 조정가능한 장착부재를 그 안에 가지고 건물기초에 부착되기 위한 기초부재; 및
    장착부재 상에 장착가능하고 제2축을 따라 조정가능한 시트, 및 제3축을 따라 조정가능하고 기둥을 수용하기 위한 크라운을 가지는 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기둥 앵커는 거기에 부착된 기둥의 높이를 맞추고 기초에 기둥 앵커를 정확하게 정렬시키기위해 3차원 축을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축을 따라 조정가능한 기둥 앵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제1 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정부재는 제1축을 따라 시트(seat)의 조정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2개의 나사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17.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장착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조인트는 도보테일 조인트(dovetail joi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19.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정부재는 상기 나사로드(threaded rod)상에 장착된 나사너트(threaded nu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20. 제 13항 내지 제 1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제2 조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정부재는 제2축을 따라 상기 시트의 조정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재는 2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 난형, 타원형 및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24. 제 20항 내지 제 2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재는 고정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변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25. 제 13항 내지 제 2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은 제3 조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조정부재는 제3축을 따라 상기 크라운의 조정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정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 난형, 타원형 및 직사각형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28. 제 25항 내지 제 2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정부재는 상기 크라운을 상기 시트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29. 제 2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는 나사볼트 및 나사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30. 제 13항 내지 제 2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은 기둥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수용부재는 파스너(fastener) 수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32. 제 30항 또는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수용부재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33. 제 13항 내지 제3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앵커는 상기 건물기초(34)에 기계식 앵커링(anchoring) 및/또는 접착식 앵커링에 의해 박히는 것에 의해 상기 건물기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앵커.
  34. 각 들보가 들보를 따라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들보; 및
    상기 브릿지부에 수용되기 위한 러그(lug)를 각 말단에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들보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들보가 적어도 두개의 들보 각각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 들보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들보와 거의 수직이고, 바닥면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을 형성하며,
    분해 가능한 바닥 앵커 시스템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가능한 바닥 앵커 시스템을 위한 키트.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들보는 두개의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36. 제 35항에 있어서,
    두개의 브릿지부는 고정된 일정한 간격에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37. 제 34항 내지 제3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는 파스너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38. 제 34항 내지 제 3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들보는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39. 제 34항 내지 제 3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들보는 복수의 파스너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40. 제 34항 내지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들보는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41. 제 34항 내지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들보는 복수의 파스너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42. 제 39항 또는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수용부는 고정된 일정한 간격에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43. 제 34항 내지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들보는 상기 들보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연장된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들보는 상기 들보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들보 접합부와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45. 제 34항 내지 제 4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beam)은 배관, 배선, 난방, 환기, 냉방(HVAC)용 도관, 및/또는 중앙집중식 진공 도관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6. a) 복수의 들보를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분해가능한 바닥구조물에 복수의 들보, 및 제 34항 내지 제 45항 중 한 항에서 정의된 복수의 제2 들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미리 제작된 바닥 구성요소를 조립하고, 제공된 제2 들보의 각 끝에서 각 표면단장 브릿지부에 러그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들보 및 제2 들보는 서로 거의 수직이고 바닥면을 수용하기 위해 평면을 형성하고 바닥구조물물은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가능하고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바닥 구조물의 조립방법.
  47. 제 46항에 있어서, a) 단계 이후에
    b) 복수의 제2 들보를 복수의 들보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 46항 또는 제 47항에 있어서, b) 단계 이후에
    c) 분해가능한 바닥 구조물 위에 바닥면을 씌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복수의 들보, 및 제 34항 내지 제 45항 중 한 항에서 정의된 복수의 제2 들보 및 복수의 바닥타일을 포함하는 미리 제작된 바닥 구성요소들을 복수의 들보들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분해가능한 바닥 구조물에 조립하고 제공된 제2 들보의 각 끝에서 각 표면단장 브릿지부에 러그를 삽입하는 단계; 및
    복수의 바닥타일을 분해가능한 바닥 구조물 위에 씌우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들보 및 제2 들보는 서로 거의 수직이고 바닥타일을 수용하기 위해 하나의을 형성하고 바닥 구조물은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가능하고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가능한 바닥 조립방법.
  50. 제 49항에 있어서, b) 단계 이후에
    ⅰ) 바닥 타일을 씌우는 것 이전 또는 이후에 복수의 들보에 복수의 제2 들보를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상기 각 들보가 천장 띠장 수용부를 수용하기 위해 들보를 따라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들보; 및
    적어도 하나의 띠장이 수용되기 위해 변형된 적어도 하나의 천장 띠장 수용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띠장이 상기 천장 띠장 수용부에 삽입된 경우 천장면을 수용하기 위한 평면을 형성하고, 분해가능한 천장 앵커 시스템은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한 천장 앵커 시스템을 위한 키트.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들보는 고정된 일정한 간격에서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3. 제 51항 또는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띠장 수용부는 각각의 끝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4.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들보에 상기 천장 띠장 수용부를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5.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들보에 상기 천장 띠장 수용부를 고정하기 위해 구부러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6. 제 51항 내지 제 5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띠장 수용부는 띠장을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띠장 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7. 제 51항 내지 제 5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띠장 수용부는 띠장을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띠장 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8. 복수의 들보, 및 제 51항 내지 제57항 중 한 항에서 정의된 복수의 천장 띠장 수용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미리 제작된 실링 구성요소를 복수의 띠장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천장 띠장 수용부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들보, 상기 천장 띠장 수용부 및 상기 띠장은 천장면을 수용하기 위한 평면을 형성하고,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가능하고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천장구조 조립방법.
  59.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의 끝단에서 연결된 제1 및 제2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분해가능한 띠장 파지부재; 및
    분해가능한 띠장 파지부재에 연결되고 호환되는 부착구 수용부에 수용되기 위한 분해가능한 부착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가능한 띠장 지지대.
  60.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 지지대는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한 띠장 지지대.
  61. 적어도 하나의 띠장; 및
    제 59항 또는 제 60항 중 하나의 항에 정의된 적어도 두개의 띠장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벽 지지 시스템을 위한 키트.
  62. 외부와 내부를 경계를 정하는 벽 패널,
    적어도 하나의 띠장,
    제 59항 또는 제 60항 중 하나의 항에 정의된 적어도 두개의 띠장 지지대; 및
    적어도 하나의 띠장이 적어도 두개의 띠장 지지대에 의해 수용되는 경우, 벽 패널이 패널과 각각의 상당히 연장된 기둥들 사이의 공간의 경계를 정하는 적어도 두개의 상당히 연장된 기둥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 기둥이 띠장 지지대를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부착구 수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상당히 확장된 기둥; 및
    상기 간격은 분해 가능한 벽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교효과를 상당히 감소시키며 상기 벽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벽 지지 시스템을 위한 키트.
  63. 제 62항에 있어서,
    벽 패널에 인접한 각 기둥들 사이에 맞물려지기 위해 변형되는 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패널, 단열섬유, 및 단열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65. 제 61항 내지 제6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은 방음소재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66. 띠장을 고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후크부재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띠장 파지부재 및 호환되는 부착구를 수용하기 위해 일정하게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부착구 수용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평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가능한 띠장 지지대.
  67. 제 66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부재에 의해 연결된 두개의 연장된 평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가능한 띠장 지지대.
  68.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가능한 띠장 지지대는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한 띠장 지지대.
  69. 제 66항 내지 제 6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 지지대는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가능한 띠장 지지대.
  70. 적어도 하나의 띠장; 및
    제 66항 내지 제 6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적어도 두개의 띠장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벽 지지대 시스템을 위한 키트.
  71. 외부와 내부의 경계를 정하는 벽 패널,
    적어도 하나의 띠장,
    제 66항 내지 제 6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적어도 두개의 띠장 지지대,
    각 기둥은 적어도 하나의 띠장이 적어도 두개의 띠장 지지대에 의해 수용되도록 분해가능한 띠장 지지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구 수용부, 패널과 상당히 연장된 각 기둥들 사이의 공간의 경계를 정하는 적어도 두개의 상당히 연장된 기둥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벽 패널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상당히 연장된 기둥; 및
    여기에서 상기 간격은 분해가능한 벽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교효과를 상당히 감소시키며 상기 벽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분해될 수 있으며 제1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재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벽을 위한 키트.
  72. 제 62항에 있어서,
    벽 패널에 인접한 각 기둥들 사이에 맞물려지기 위해 변형된 단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73.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패널, 단열섬유, 및 단열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74. 제 61항 내지 제6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은 방음소재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75.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와 연결하기 위한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분해가능한 띠장 파지부재; 및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배전함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분해가능한 띠장 파지부재에 연결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가능한 배전함 지지대.
  76. 제 7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와 저어도 하나의 배전함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가능한 배전함 지지대.
  77.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는 파스너 수용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가능한 배전함 지지대.
  78.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함 지지대는 스페이서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한 배전함 지지대.
  79. 제 75항 내지 제 7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가능한 배전함 지지대는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가능한 배전함 지지대.
  80. 제 75항 내지 제 7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그 안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가능한 배전함 지지대.
  81. 상당히 평행한 제1 및 제2 기둥 각각에 틀 조립품을 고정하기 위해 내면과 마주하는 적어도 두개의 틀 조립품, 상기 틀 조립품 부착구를 수용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따로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부착구 수용부를 가지는 기둥을 포함하는 내면 및 외면을 가진 틀 조립품;
    적어도 하나의 띠장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띠장 파지부재, 틀 조립품 주변의 경계를 형성하기 위해 상당히 평행한 제1 및 제2 기둥과 거의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변형된 띠장 수용바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띠장 수용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틀을 위한 키트.
  82. 제 81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 파지부재는 띠장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83. 제 81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 수용바는 두개의 띠장을 수용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84. 제 81항에 있어서,
    상기 틀 조립품은 창문 조립품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85. 제 81항에 있어서,
    상기 틀 조립품은 문 조립품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86. 개구의 경계를 정하는, 서로가 거의 평행한 적어도 두개의 수평 틀부와 서로가 거의 평행한 적어도 두개의 수직 틀부를 가지는 틀 조립품; 및
    거의 평행한 제1 및 제2 기둥 각각에 틀 조립품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두개의 틀 조립품 부착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기둥은 틀 조립품 부착구를 고정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된 부착구 수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및 재조립 가능한 틀을 위한 키트.
  87. 제 8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틀부 또는 상기 수직 틀부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88. 제 8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틀부는 제1 및 제2 수평 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89. 제 8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틀부는 제1 및 제2 수직 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0. 제 86항에 있어서,
    상기 틀 조립품은 창문 조립품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91. 제 86항에 있어서,
    상기 틀 조립품은 문 조립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KR1020127032037A 2010-05-06 2011-05-06 개선된 건축 구조물 KR101959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189710P 2010-05-06 2010-05-06
US61/331,897 2010-05-06
PCT/CA2011/000532 WO2011137525A1 (en) 2010-05-06 2011-05-06 Evolving building structures improv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083A true KR20130082083A (ko) 2013-07-18
KR101959883B1 KR101959883B1 (ko) 2019-03-19

Family

ID=4490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037A KR101959883B1 (ko) 2010-05-06 2011-05-06 개선된 건축 구조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30180190A1 (ko)
EP (1) EP2567035B1 (ko)
JP (1) JP6158079B2 (ko)
KR (1) KR101959883B1 (ko)
CN (1) CN103154393B (ko)
AU (1) AU2011250600B2 (ko)
CA (1) CA2798468C (ko)
CL (1) CL2012003092A1 (ko)
DK (1) DK2567035T3 (ko)
ES (1) ES2587996T3 (ko)
PT (1) PT2567035T (ko)
WO (1) WO2011137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4937B2 (ja) * 2008-12-25 2012-06-06 株式会社大気社 建屋組立構造、及び、その組立構造を用いた建屋組立方法
US8769908B1 (en) * 2011-08-31 2014-07-08 Patrick J. Santini Modular building panel
FR2995672B1 (fr) * 2012-09-19 2014-10-03 Air Liquide Echangeur de chaleur et procede d'installation d'une unite de separation de gaz comprenant de tels echangeurs de chaleur
US10498123B2 (en) 2015-03-19 2019-12-03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Support bracket for mounting octagonal boxes on furring channels
LT6370B (lt) * 2015-06-10 2017-03-10 Uab Aldrea Sijos komponentai, skirti techniniam konstravimui, konstravimo rinkinys ir sijos komponentų sujungimo būdas
DE102016221111A1 (de) * 2016-10-26 2018-04-26 Airbus Operations Gmbh Kabinenmonument für ein Luftfahrzeug
JP6594932B2 (ja) * 2017-07-20 2019-10-23 株式会社飯田産業 柱固定金具
CN118208468A (zh) * 2017-12-20 2024-06-18 东莞市鑫峰建筑机械有限公司 电梯伸缩轿厢及其底盖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67Y1 (ko) * 2004-04-01 2004-06-24 한국스틸산업 주식회사 천정패널 고정장치용 채널부재
WO2006096997A1 (en) * 2005-03-18 2006-09-21 3088-7418 Quebec Inc. Modular building structure
KR200437801Y1 (ko) * 2007-02-27 2007-12-28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천장재용 받침틀
JP4446266B2 (ja) * 2002-05-14 2010-04-07 未来工業株式会社 軽量間仕切り壁用配線ボックス及び軽量間仕切り壁用配線ボック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280A (en) * 1893-11-07 Beam or girder support
US1097934A (en) * 1912-07-11 1914-05-26 American Car & Foundry Co Pressed-steel sill-pocket.
US1540542A (en) * 1923-07-27 1925-06-02 Stephen J Carhart Building frame
US2309451A (en) * 1939-10-24 1943-01-26 Prebilt Housing Corp Metallic housing construction
US3685234A (en) * 1970-11-05 1972-08-22 Nels Nelsson Bracket standard and partition member retainer
US3759001A (en) * 1971-09-23 1973-09-18 Eastern Prod Corp Demountable wall construction
US3894369A (en) * 1974-02-08 1975-07-15 Robert F Schmitt Building structures
CA1041267A (en) * 1976-07-15 1978-10-31 Thomas E. Judkins Concealed fasteners for wall panels
FR2424986A1 (fr) * 1978-05-03 1979-11-30 Sirugue Pierre Element modulaire pour ossature de batiment et ossature realisee avec cet element
US4281494A (en) * 1978-09-29 1981-08-04 Weinar Roger N Concealable wallboard fasteners and walls assembled therewith
US4471593A (en) * 1979-03-15 1984-09-18 Douglas Ragland Fastening clip for panel
US4364215A (en) * 1980-06-18 1982-12-21 Alcan Aluminum Corporation Suspended ceiling assembly and stabilizer bar therefor
US4338759A (en) * 1980-07-28 1982-07-13 Universal Component Systems, Inc. Method of building construction using concrete reinforced wall modules
US4464074A (en) * 1981-12-28 1984-08-07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Connector and web stiffener
US4531338A (en) * 1983-06-15 1985-07-30 Olympian Stone Company Building wall panel
CA1243181A (en) * 1985-01-08 1988-10-18 Michael Slapsys Linear panel ceilings and the like
US5060426A (en) * 1986-04-18 1991-10-29 Hypertat Corporation Building structure
US4827687A (en) * 1986-06-20 1989-05-09 Michael Frawley Ceiling mounting system
US4757663A (en) * 1987-05-11 1988-07-19 Usg Interiors, Inc. Drywall furring strip system
US4984400A (en) * 1989-11-13 1991-01-15 Bockmiller Douglas F Clean room channel wall system
GB2273824A (en) * 1992-12-23 1994-06-29 Davis Group Ltd Cable Ladder
FR2726592B1 (fr) * 1994-11-08 1997-01-10 Placoplatre Sa Structure porteuse pour plafond demontable et suspente mise en oeuvre dans une telle structure porteuse
JPH11504405A (ja) * 1995-05-04 1999-04-20 シュマウザー,ガーハード モジュール建築枠組
US5881516A (en) * 1996-06-26 1999-03-16 Elr Building Technologies, Llc Bearing wall construction system wherein axial loads of walls do no pass through the floor construction
KR100189216B1 (ko) * 1996-11-14 1999-06-01 소광민 조립식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축공법
US6910306B2 (en) * 1996-12-24 2005-06-28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Knock-down portable partition system
US5956916A (en) * 1997-10-30 1999-09-28 Steel Floors, Llc Shear tab method and apparatus
CN2337226Y (zh) * 1998-09-21 1999-09-08 蔡向荣 多功能之组合墙结构
US6301854B1 (en) * 1998-11-25 2001-10-16 Dietrich Industries, Inc. Floor joist and support system therefor
DE20016088U1 (de) * 1999-09-15 2001-02-08 Bernecker, Klaus-Dieter, 58256 Ennepetal Halterung zum Befestigen bzw. zur Aufnahme von Bauteilen
NL1028935C2 (nl) * 2005-05-02 2006-11-03 Attema Kunststoffenind Bevestigingsstelsel voor het bevestigen van een doos aan een ladderbaan.
NL1029552C2 (nl) * 2005-07-18 2007-01-29 Attema Kunststoffenind Bevestigingselement voor bevestiging van een doos aan een draadgoot.
US8631620B2 (en) * 2006-01-20 2014-01-21 Centria Advanced building envelope delivery system and method
JP2009097146A (ja) * 2007-10-12 2009-05-07 Kawamoku Construction Co Ltd 鉄骨建材およびこの建材を用いた建築構造物
ES2338192B1 (es) * 2007-12-13 2011-03-28 Eclad Limited Sistema de anclaje de fachadas ventiladas.
WO2009073914A1 (en) * 2007-12-13 2009-06-18 Aydin Ongan A structure and components therefor
CN101285324A (zh) * 2008-05-09 2008-10-15 李乃华 一种新型的框架式建筑体及其建造方法
US8161699B2 (en) * 2008-09-08 2012-04-24 Leblang Dennis William Building construction using structural insulating co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6266B2 (ja) * 2002-05-14 2010-04-07 未来工業株式会社 軽量間仕切り壁用配線ボックス及び軽量間仕切り壁用配線ボックス装置
KR200354367Y1 (ko) * 2004-04-01 2004-06-24 한국스틸산업 주식회사 천정패널 고정장치용 채널부재
WO2006096997A1 (en) * 2005-03-18 2006-09-21 3088-7418 Quebec Inc. Modular building structure
KR200437801Y1 (ko) * 2007-02-27 2007-12-28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천장재용 받침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67035A4 (en) 2014-07-16
CN103154393A (zh) 2013-06-12
CN103154393B (zh) 2016-01-06
PT2567035T (pt) 2016-10-04
ES2587996T3 (es) 2016-10-28
WO2011137525A1 (en) 2011-11-10
CA2798468C (en) 2019-02-12
CA2798468A1 (en) 2011-11-10
US20130180190A1 (en) 2013-07-18
EP2567035A1 (en) 2013-03-13
JP2013525648A (ja) 2013-06-20
KR101959883B1 (ko) 2019-03-19
EP2567035B1 (en) 2016-06-22
DK2567035T3 (en) 2016-08-29
CL2012003092A1 (es) 2013-12-06
AU2011250600B2 (en) 2016-05-12
JP6158079B2 (ja) 2017-07-05
AU2011250600A1 (en)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883B1 (ko) 개선된 건축 구조물
US9834940B2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s improvements
US10724228B2 (en) Building assembli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pre-assembled floor-ceiling panels and walls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CN110088412B (zh) 具有干墙复合柱的墙施工系统和墙施工方法
MX2013014089A (es) Sistema de muro reforzado.
DK178478B1 (da) System til konstruktion af en bygning
JP2013525648A5 (ko)
KR101393215B1 (ko) 횡벽 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EP2679739A2 (en) Partition system
KR101733262B1 (ko) 구조적 골조식 빌딩을 위한 모듈러 인테리어 파티션
KR20120107365A (ko) 에이엘씨 패널을 종방향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하는 방법
KR101242833B1 (ko) 대리석 판넬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JP3759142B2 (ja) 組立式型枠ユニット
JPS6253660B2 (ko)
JP2002097730A (ja) 区画壁の固定構造
JP7465051B2 (ja) パネル取付方法、及びパネル支持具
KR0183525B1 (ko) 철골조 구조물의 벽체 및 바닥체의 시공방법
KR101398435B1 (ko) 건축물의 복합보 공법 및 그에 의한 구조
KR100570101B1 (ko) 커튼월 구조
US20220349188A1 (en) Reinforced pedestal and reticular structure that supports superposed surfac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01627B1 (ko) 하프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JP3657449B2 (ja) 小屋裏の界壁部における界壁スタッドフレームの梁用取付金具
JP2011127298A (ja) 多目的に利用できる仮設足場用ブラケット
JP2010018972A (ja) 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