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707B1 -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707B1
KR100949707B1 KR1020090096663A KR20090096663A KR100949707B1 KR 100949707 B1 KR100949707 B1 KR 100949707B1 KR 1020090096663 A KR1020090096663 A KR 1020090096663A KR 20090096663 A KR20090096663 A KR 20090096663A KR 100949707 B1 KR100949707 B1 KR 10094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panel
exterior
panel mounting
wall
buil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조경
Original Assignee
김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조경 filed Critical 김조경
Priority to KR1020090096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707B1/ko
Priority to PCT/KR2010/006776 priority patent/WO2011046312A2/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 설치된 앵커 볼트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에 수직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브래킷과; 전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브래킷 중 적어도 2개 이상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기 제 1 브래킷들의 설치 봉 고정편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사각 봉 형상을 갖는 복수의 외장 패널 설치 봉과; 헤드의 단축 방향 폭이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의 단축 폭보다 작고 장축 방향 폭은 상기 장방형 볼트 결합공의 단축 폭보다 커서 상기 장방형 볼트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 1 볼트 및 이에 체결되는 제 1 너트를 통해 외장 패널 설치 봉의 전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밀착 고정되는 복수의 제 2 브래킷과; 외측 단부에 외장 패널의 상,하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된 고정공에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 핀을 구비하고 내단부가 제 2 볼트 및 제 2 너트를 통해 상기 제 2 브래킷의 수평 받침편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외장 패널을 받쳐주는 상태에서 외장 패널 설치 봉에 일체로 고정시켜 주는 외장 패널 고정편;을 포함하되, 외장 패널 설치 봉들 중 건축물의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에는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도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더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 세로빔을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로 설치되던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가로빔의 사용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어 외장 패널을 통한 외벽 시공 비용을 자체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건축물 벽과 외장 패널 사이의 간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작업에 대한 안정성도 대폭 높일 수 있고, 시공기간 역시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외장 패널 설치 봉 자체가 사각봉의 형상을 갖게 되므로 외장 패널 등의 자중에 의해 외장 패널 설치 봉 자체가 뒤틀리지 않게 되어 시공된 외장 패널의 안정성 및 미려함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고, 건축물의 모서리부분에서 별도의 지지물이나 수직 빔 등의 사용 없이 하나의 외장 패널 설치 봉을 이용하여 양측으로 외장 패널들을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외장 패널들을 보다 간편하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성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건축물, 외벽, 외장 패널, 외장 패널 설치 봉

Description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Constructing method for exterior panel in outer wall of structures}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 슬래브 또는 벽면이 완성된 건축물의 외벽을 석재 등의 판 구조물(이하 "외장 패널"이라 칭함)로 시공하고자 할 때 별도의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가로 빔을 사용하지 않고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이 일면 또는 두 면에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사각봉 형상의 외장 패널 설치 봉을 앵커 볼트와 브래킷 등을 이용하여 외벽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직접 고정 설치한 다음 이에 외장 패널 고정용 브래킷을 원하는 간격 및 높이를 두고 직접 고정시킨 후 상기 외장 패널 고정용 브래킷과 외장 패널 사이에 외장 패널 고정편 및 핀 등을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외벽에 대한 외장 패널의 시공을 완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외장 패널을 통한 외벽 시공 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특히 건축물의 모서리부분에서 별도의 지지물이나 수직 빔 등의 사용 없이 하나의 외장 패널 설치 봉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외장 패널들을 보다 간편하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성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은 건축물의 외부로 노출되는 바깥쪽 벽면을 지칭하는 것으로, 종래 대부분의 건축물에서는 외벽에 주로 페인트를 칠하거나 벽돌 등으로 치장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건축물의 외벽을 보다 미려하게 장식하려는 소비자의 욕구 맞춰 또는 건축물의 시공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건축물의 벽면 바깥쪽으로 석재 또는 금속재 등과 같은 판 구조물 즉, 외장 패널을 고정시켜 주는 시공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외장 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해 주는 방법으로는 크게 습식방법과 건식방법이 있는데, 이 중 습식방법은 벽면의 바깥쪽에 외장 패널의 배면 배치한 후 그 사이로 시멘트 등을 타설해서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양생을 포함한 시공기간이 길고 작업성과 시공성이 떨어져 현재에 이와 같은 습식방법의 사용은 배재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반하여 건식방법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고정구를 포함하여 수개의 수평 및 수직 빔 등을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수직 빔 및 수평 빔에 다시 브래킷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수평 및 수직 지지바 등을 설치하고 수개의 브래킷과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벽면의 바깥쪽에 외장 패널을 고정 설치하는 방식으로, 습식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공성과 작업성이 뛰어나다.
그러나, 석재 또는 금속재의 판 구조물인 외장 패널은 자체 하중이 무거워 취급이 까다롭고, 벽면이 완성된 건축물의 바깥쪽에서 시공해야 하므로 고층 빌딩 의 경우에는 장시간의 고공작업을 수반하며, 더욱이 건축물의 벽면에 외장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한 수개의 수평 및 수직 빔 등을 벽면의 앵커 볼트에 먼저 고정한 후, 브래킷과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외장 패널을 상기 수평 및 수직 빔이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벽면과 외장 패널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까다롭고, 한번 시공된 후에는 외벽 전체를 들어내지 않는 한 부분적인 수선 및 교체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는 외벽시공과 수선에는 많은 노력이 소요되고, 고공작업 등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소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축물의 외벽시공장치가 개발되어 국내 특허공보 10-0852218호에 개재된 바 있는데, 이는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 패널을 이용하여 층 간 슬래브 또는 벽면이 갖추어진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의 외벽시공장치로서,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에 삽입된 앵커 볼트를 통해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을 따라 수평 열 별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 1 브래킷과; 상기 복수의 제 1 브래킷과 일대 일로 용접 고정되어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외향 돌출되는 복수의 보강플레트와; 상기 복수의 보강플레이트 중 수평 열을 이루는 적어도 둘에 용접 고정되어 수평하게 배열되는 직선 또는 곡선의 복수의 가로빔과; 길이방향을 향한 중공 및 외면 길이방향을 향한 슬릿 형상의 개구부가 마련된 상태로 상기 복수의 가로빔 외측에 용접 고정되되 이웃하는 둘과 각각 제 1 간격(a) 및 제 2 간격(b, 단 b<a)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세로빔과; 헤드의 단축 방향 길이가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작고 장축 방향 길이가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커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 1 볼트 및 이와 체결되는 제 1 너트를 통해 상기 각 세로빔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단 및 이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상기 각 세로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단으로 이루어진 엘보 형상의 복수의 제 2 브래킷을 포함하여, 상기 외장 패널은 상기 복수의 제 2 브래킷의 지지단에 상하의 적어도 4개소가 지지되어 상기 건축물의 외벽을 이루도록 수직 배열된 구성을 갖는다.
또, 상기 세로빔은 상기 개구부를 이루는 양측의 리브가 상기 중공 내부로 경사지게 만입되고, 상기 외장 패널은 상기 제 1 간격(a)을 이루는 한 쌍의 세로빔을 덮으며, 또한 상기 세로빔은 상기 개구부를 이루는 양측 리브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중공 내부로 절곡 연장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단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길이방향을 향한 중공 및 외면 길이방향을 향한 슬릿 형상의 개구부가 마련된 상태로 상기 복수의 가로빔 외측에 용접 고정되되 이웃하는 둘과 각각 제 1 간격(a) 및 제 2 간격(b, 단 b<a)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배열됨은 물론 상기 개구부를 이루는 양측의 리브가 상기 중공 내부로 경사지게 만입되고, 상기 개구부를 이루는 양측 리브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중공 내부로 절곡 연장되어 마주보는 한쌍의 가이드단을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갖는 세로빔의 전면 전체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슬롯 형상의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기구적으로 매우 약한 형태를 갖게 되어 이들 자체를 보강플레이트와 제 1 브래킷을 통해 직접 벽면에 고정 설치하지 못하고 별도의 사각봉 형상을 갖는 수개의 가로빔을 보강플레이트와 제 1 브래킷을 통해 벽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가로빔들의 전면부에 상기한 세로빔들을 일일이 용접 설치해야만 하므로 인건비를 포함하여 불필요한 재료비가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벽체와 외장 패널 사이의 간격이 불필요하게 설치되는 보강플레이트와 가로빔에 의해 지나치게 넓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세로빔을 제작할 때 기 제작된 사각봉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철판을 일정 폭과 길이로 일일이 절단한 다음 양측의 리브가 중공 내부로 경사지게 만입되게 절곡함과 동시에 전면 중심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는 개구부가 전체에 걸쳐 형성되게 일일이 프레스를 이용하여 절곡 형성시켜 주어야만 하므로 세로빔 자체의 제작비 및 시간이 많이 들게 되고, 또한 세로빔의 전면부에는 슬롯 형상의 개구부가 길이방향에 대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로빔의 고정되는 외장 패널 등의 중량이 일측으로 치우쳐 가해질 때 세로빔 자체가 뒤틀릴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모서리부분(예를 들어 전면과 일측면 또는 일측면과 후면이 이어지는 부위 등)에서는 각 면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세로빔을 설치해 주어야만 연속적인 외장 패널의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비가 그만큼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외장 패널들을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다 보면 외장 패널의 자중이 너무 많이 나가거나 건축물 벽체 형상 등에 따라 외장 패널의 양측 면뿐만 아니라 상,하면도 고정시켜 주어야 할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 경우 상기한 세로빔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가로빔을 별도로 더 설치하여 사용해야만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로빔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가로빔의 전면부에 형성된 개구부가 전면의 중심선 전체에 형성되어 있어 이에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핀을 구비한 제 2 브래킷을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외장 패널의 상,하면을 고정할 경우 외장 패널들의 자중 등에 의해 가로빔의 개구부가 벌어지거나 가로빔 자체가 뒤틀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층간 슬래브 또는 벽면이 완성된 후 건축물의 외벽에 석재나 금속재 등과 같은 외장 패널을 시공하고자 할 때 별도의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가로 빔을 사용하지 않고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이 일면 또는 두 면에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사각봉 형상의 외장 패널 설치 봉을 앵커 볼트를 통해 벽면에 고정된 브래킷을 이용하여 벽면에 직접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고정 설치한 다음 이에 외장 패널 고정용 브래킷을 원하는 간격 및 높이를 두고 직접 고정시킨 후 상기 외장 패널 고정용 브래킷과 외장 패널 사이에 외장 패널 고정편 및 핀 등을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외벽에 대한 외장 패널의 시공을 완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세로빔을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로 설치되던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가로빔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외장 패널을 통한 외벽 시공 비용을 자체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건축물 벽과 외장 패널 사이의 간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작업에 대한 안정성도 대폭 높일 수 있고, 시공기간 역시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외장 패널 설치 봉 자체가 사각봉의 형상을 갖게 되므로 외장 패널 등의 자중에 의해 외장 패널 설치 봉 자체가 뒤틀리지 않게 되어 시공된 외장 패널의 안정성 및 미려함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고, 특히 건축물의 모서리부분에서 별도의 지지물이나 수직 빔 등의 사용 없이 하나의 외장 패널 설치 봉을 이용하여 양측으로 외장 패널들을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외장 패널들을 보다 간편하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성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 패널을 이용하여 층 간 슬래브 또는 벽면이 갖추어진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벽면 고정편과 설치 봉 고정편이 구비되도록 평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게 절곡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 설치된 앵커 볼트를 통해 벽면 고정편 자체가 고정되어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에 수직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브래킷과; 전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브래킷 중 적어도 2개 이상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기 제 1 브래킷의 설치 봉 고정편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사각 봉 형상을 갖는 복수의 외장 패널 설치 봉과; 수직 고정편과 수평 받침편이 구비되도록 측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게 절곡 형성된 구성을 갖고 헤드의 단축 방향 폭이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의 단축 폭보다 작고 장축 방향 폭은 상기 장방형 볼트 결합공의 단축 폭보다 커서 상기 장방형 볼트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 1 볼트 및 이에 체결되는 제 1 너트를 통해 수직 고정편이 외장 패널 설치 봉의 전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밀착 고정되는 복수의 제 2 브래킷과; 외측 단부에 외장 패널의 상,하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된 고정공에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 핀을 구비하고 내단부가 제 2 볼트 및 제 2 너트를 통해 상기 제 2 브래킷의 수평 받침편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외장 패널을 받쳐주는 상태에서 외장 패널 설치 봉에 일체로 고정시켜 주는 외장 패널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은 수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열된 수개의 외장 패널 설치 봉 중 서로 인접된 외장 패널 설치 봉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더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의 전면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의 전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에도 제 1 볼트 및 제 1 너트를 통해 복수의 제 2 브래킷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제 2 브래킷의 수평 받침편 단부에는 외장 패널들의 양측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된 고정공에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 핀을 구비한 외장 패널 고정편을 제 2 볼트 및 제 2 너트를 통해 더 고정 설치하여 서로 인접한 외장 패널의 양측면도 수평 외장 패널 설치 봉에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전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층간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들 중 건축물의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에는,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도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더 천공하여, 건축물의 전면 및 측면 또는 측면 및 배면의 모서리부에서 서로 90도의 각도를 갖고 설치되는 외장 패널들의 접촉부를 건축물의 모서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하나의 외장 패널 설치 봉에 일체로 고정 설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의 전면을 포함하여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천공되는 장방형 볼트 결합공들의 길이(L)는 50-250㎜이고, 장방형 볼트 결합공들 사이의 간격(S)은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층간 슬래브 또는 벽면이 완성된 후 건축물의 외벽에 석재나 금속재 등과 같은 외장 패널을 설치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을 사각 봉의 형태로 성형하되, 일면 또는 두 면에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을 천공하고, 종래에 사용되던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가로빔 자체의 설치를 배제함으로써 첫째 외장 패널을 통한 외벽 시공 비용을 자체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둘째 건축물 벽과 외장 패널 사이의 간격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셋째 작업에 대한 안정성도 대폭 높일 수 있고, 넷째 시공기간 역시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다섯째 외장 패널 설치 봉 자체가 사각봉의 형상을 갖게 되므로 외장 패널 등의 자중에 의해 외장 패널 설치 봉 자체가 뒤틀리지 않게 되어 시공된 외장 패널의 안정성 및 미려함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고, 여섯째 건축물의 모서리부분에서 별도의 지지물이나 수직 빔 등의 사용 없이 하나의 외장 패 널 설치 봉을 이용하여 양측으로 외장 패널들을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외장 패널들을 보다 간편하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성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부 확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 패널(1)을 이용하여 층 간 슬래브 또는 벽면(2)이 갖추어진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벽면 고정편(41)과 설치 봉 고정편(42)이 구비되도록 평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게 절곡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 설치된 앵커 볼트(3)를 통해 벽면 고정편(41) 자체가 고정되어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2)에 수직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브래킷(4)과;
전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브래킷(4) 중 적어도 2개 이상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기 제 1 브래킷(4)들의 설치 봉 고정편(42)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사각 봉 형상을 갖는 복수의 외장 패널 설치 봉(6)과;
수직 고정편(71)과 수평 받침편(72)이 구비되도록 측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게 절곡 형성된 구성을 갖고 헤드(81)의 단축 방향 폭이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6)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의 단축 폭보다 작고 장축 방향 폭은 상기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의 단축 폭보다 커서 상기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 1 볼트(8) 및 이에 체결되는 제 1 너트(9)를 통해 수직 고정편(71)이 외장 패널 설치 봉(6)의 전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밀착 고정되는 복수의 제 2 브래킷(7)과;
외측 단부에 외장 패널(1)의 상,하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된 고정공(1a)에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 핀(10)을 구비하고 내단부가 제 2 볼트(12) 및 제 2 너트(13)를 통해 상기 제 2 브래킷(7)의 수평 받침편(72)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외장 패널(1)을 받쳐주는 상태에서 외장 패널 설치 봉(6)에 일체로 고정시켜 주는 외장 패널 고정편(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6)은 수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열된 수개의 외장 패널 설치 봉(6) 중 서로 인접된 외장 패널 설치 봉(6)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더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6)의 전면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6)의 전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6)에도 제 1 볼트(8) 및 제 1 너트(9)를 통해 복수의 제 2 브래킷(7)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제 2 브래킷(7)의 수평 받침편(72) 단부에는 외장 패널(1)들의 양측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된 고정공(1a)에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 핀(10)을 구비한 외장 패널 고정편(11)을 제 2 볼트(12) 및 제 2 너트(13)를 통해 더 고정 설치하여, 서로 인접한 외장 패널(1)의 양측면도 수평 외장 패널 설치 봉(6)에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전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층간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2)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6)들 중 건축물의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6)에는,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도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더 천공하여, 건축물의 전면 및 측면 또는 측면 및 배면의 모서리부에서 서로 90도의 각도를 갖고 설치되는 외장 패널(1)들의 접촉부를 건축물의 모서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하나의 외장 패널 설치 봉(6)에 일체로 고정 설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6)의 전면을 포함하여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천공되는 장방형 볼트 결합공(61)들의 길이(L)는 50-250㎜이고, 장방형 볼트 결합공들 사이의 간격(S)은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의 일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브래킷(4)과 복수의 외장 패널 설치 봉(6), 제 1 볼트(8) 및 제 1 너트(9), 복수의 제 2 브래킷(7), 제 2 볼트(12), 제 2 너트(13), 외장 패널 고정편(11) 및 외장 패널(1)을 포함하는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브래킷(4)들은 벽면 고정편(41)과 설치 봉 고정편(42)이 구비되도록 평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게 절곡 형성한 공지된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복수의 제 1 브래킷(4)은 건축물의 슬래브 측면 또는 벽면(2)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 설치한 앵커 볼트(3)를 통해 벽면 고정편(41) 자체를 고정 설치하여,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2)에서 수직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복수의 외장 패널 설치 봉(6)은 종래의 수직빔의 형상과 전혀 다르게 사각 봉의 형태를 갖게 성형함과 동시에 그 자체를 종래와 같이 제 1 브래킷(4)에 보강플레이트와 수평빔을 설치하고 상기 수평빔의 전면부에 고정 설치하는 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앵커 볼트(3)에 의해 건축물의 슬래브 측면 또는 벽면(2)에 직접 고정 설치된 제 1 브래킷(4)의 설치 봉 고정편(42)에 면 접촉된 상태에서 직접 용접 을 통해 고정 설치한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복수의 외장 패널 설치 봉(6)은 사각 봉의 전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한 것을 기본적인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전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6)들은 상기 복수의 제 1 브래킷(4)들 중 적어도 2개 이상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기 제 1 브래킷(4)의 설치 봉 고정편(42)들 단부에 각각 직접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외벽시공장치에서 세로빔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6)을 성형할 때 철판으로 절곡 형성하지 않고 금속재 사각 봉의 형태로 성형하고, 제 1 볼트(8)의 헤드(81) 부분을 걸기 위한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을 천공함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이 전면 전체에 걸쳐 슬롯 형상으로 길게 형성하지 않고 일정한 길이 및 간격을 두고 장방형으로 천공해 줌은 물론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6)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래킷(4)의 설치 봉 고정편(42)들과 면 접촉시킨 상태에서 각각 용접을 통해 직접 고정시켜 줌으로써 종래 세로빔을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로 설치하던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가로빔의 사용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어 외장 패널(1)의 외벽 시공 비용 자체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건축물 벽면(2)과 외장 패널(1) 사이의 간격을 적어도 본 발명에서 배제시킨 보강플레이트의 길이 및 수평빔의 두께만큼은 줄일 수 있거나 또는 외장 패널 설치 봉(6)을 벽면에 밀착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기간 역시 대폭 단축시킬 수 있 고, 또 외장 패널 설치 봉(6) 자체가 금속재 사각 봉의 형상을 갖게 되므로 외장 패널(1)의 자중 등에 의해 외장 패널 설치 봉(6) 자체가 뒤틀리거나 장방형 볼트 결합공(61) 부분이 벌어지지 않게 되므로 시공된 외장 패널의 안정성과 미려함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외장 패널 설치 봉(6)에 천공되는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의 길이(L) 및 간격(S)은 외장 패널(1)의 상,하 및 좌,우 폭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 위치를 변경시켜 주어야 하는 제 1 브래킷(4)의 설치 위치를 하나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61) 내에서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하고, 또 외장 패널 설치 봉(6)의 구조적 휨 강도 및 뒤틀림 강도 등이 크게 변화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결정하면 되는데, 시험에 따르면 가로 세로 폭이 50mm인 사각 봉형 외장 패널 설치 봉(6)의 경우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의 길이(L)는 50-250mm 사이에서 어느 한 치수로 설정하고, 서로 인접한 장방형 볼트 결합공(61) 사이의 간격(S)은 5-20mm 사이에서 어느 한 치수로 설정하여 천공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브래킷(7)은 상기 제 1 브래킷(4)들과 마찬가지로 수직 고정편(71)과 수평 받침편(72)이 구비되도록 측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게 절곡 형성한 공지의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복수의 제 2 브래킷(7)은 제 1 볼트(8)와 제 1 너트(9)를 통해 상기 수직 고정편(71)이 외장 패널 설치 봉(6)의 전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밀착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 1 볼트(8)는 헤드(81)의 단축 방향 폭이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6)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의 단축 폭보다 작고 장축 방향 폭은 상기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의 단축 폭보다 커서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6)에 천공된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에 제 1 볼트(8)를 결합할 때 헤드(81)의 단축 방향이 끼워지도록 한 다음 제 1 볼트(8)를 90도 회전시켜 헤드(81)의 장축 방향이 장방형 볼트 결합공(61)과 "+"자 형태로 위치되어 걸려지도록 한 후 제 2 브래킷(7)의 수직 고정편(71)을 결합한 다음 제 1 너트(9)를 제 1 볼트(8)에 체결하여 상기 제 2 브래킷(7)의 수직 고정편(71)이 외장 패널 설치 봉(6)의 전면에 밀착 고정되게 하면 된다.
또, 상기 외장 패널 고정편(11)은 일반적인 볼트 및 너트 형상을 갖는 제 2 볼트(12)와 제 2 너트(13)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브래킷(7)의 수평 받침편(72) 단부에 내측을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외장 패널 고정편(11)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 핀(10)을 관통하도록 설치한 후, 이 고정 핀(10)의 상,하부가 각각 외장 패널(1)의 상,하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된 고정공(1a)에 끼워져 걸려지도록 외장 패널(1)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외장 패널 고정편(11)의 상,하부로 설치되는 외장 패널(1)이 상기 고정 핀(10)의 걸림 작동과 외장 패널 고정편(11)의 받침 및 지지 작용에 의해 외장 패널 설치 봉(6)에 일체로 고정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한편, 건축물의 외벽에 석재 또는 금속재 등의 외장 패널(1)을 시공하다 보면 외장 패널(1)의 한 개당 크기나 중량 등에 따라서는 층 간 슬래브 또는 벽면(2)이 대해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외장 패널 설치 봉(6)만으로 구조적인 강도가 약할 수도 있고, 또 외장 패널(1)의 고정상태 역시 불안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상태가 발생될 경우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6)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또 다른 외장 패널 설치 봉(6)들을 도 4 및 도 5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더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6)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또 다른 외장 패널 설치 봉(6)들을 필요에 따라서는 수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열된 수개의 외장 패널 설치 봉(6)들 중 서로 인접된 외장 패널 설치 봉(6)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더 고정 설치하여 줌으로써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외장 패널 설치 봉(6)들의 구조적 강도를 더욱 강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더 설치한 외장 패널 설치 봉(6)을 이용하여서도 서로 인접한 외장 패널(1)들의 양측 면을 상호 일체로 고정시켜 줄 수 있어 비교적 그 중량이 많이 나가는 외장 패널(1)들이라 하더라도 완벽한 고정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6)의 전면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6)의 전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설치하여 줌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외장 패널 설치 봉(6)들의 전면부에 외장 패널(1)들을 고정 설치할 때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외장 패널 설치 봉(6)이 외장 패널(1)의 설치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들에 고정 설치되는 제 2 브래킷(7) 및 외장 패널 고정편(11)들의 돌출 높이도 동일 높이로 원활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6)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볼트(8) 및 제 1 너트(9)를 통해 복수의 제 2 브래킷(7)을 수평방향에 대해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고, 상기 제 2 브래킷(7)의 수평 받침편(72) 단부에는 외장 패널(1)들의 양측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된 고정공(1a)에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 핀(10)을 구비한 외장 패널 고정편(11)을 제 2 볼트(12) 및 제 2 너트(13)를 통해 더 고정 설치한 다음 도 4 및 도 5와 같이 서로 인접한 외장 패널(1)의 양측면도 수평 외장 패널 설치 봉(6)에 일체로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당 크기나 중량이 크고 많이 나가는 외장 패널(1)이라 하더라도 완벽한 고정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의 설명은 전면에만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형태를 갖는 외장 패널 설치 봉(6)들을 이용하여 층간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2)에 외장 패널(1)들을 설치하는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는데, 건축물의 모서리부분에서 상기한 구성을 갖는 외장 패널 설치 봉(6)만을 이용하여 외장 패널(1)을 설치해야만 할 경우 건축물 모서리부분에서 양면에 서로 다른 외장 패널 설치 봉(6)을 각각 설치한 후 이들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벽면에 외장 패널을 설치해야만 되어 불필요한 시공비가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 역시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의 전면 및 측면 또는 측면 및 배면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6)의 경우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도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더 천공하여 주어, 건축물의 전면 및 측면 또는 측면 및 배면의 모서리부에서 서로 90도 의 각도를 갖고 설치되는 외장 패널(1)들의 접촉부를 건축물의 모서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하나의 외장 패널 설치 봉(6)에 도 6 및 도 7과 같이 일체로 고정 설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층간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2)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6)들 중 건축물의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6)에는,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도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61)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더 천공하여 줌으로써 건축물의 전면 및 측면 또는 측면 및 배면의 모서리부에서는 하나의 외장 패널 설치 봉(6)을 이용하여 서로 90도를 이루며 설치되는 외장 패널(1)들의 접촉부를 일체로 고정 설치시킬 수 있어, 외장 패널들을 보다 간편하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성 자체가 대폭 향상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 평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외장 패널 1a : 고정공
2 : 슬래브 측면 또는 벽면
3 : 앵커 볼트
4 : 제 1 브래킷 41 : 벽면 고정편
42 : 설치 봉 고정편
6 : 외장 패널 설치 봉 61 : 장방형 볼트 결합공
7 : 제 2 브래킷 71 : 수직 고정편
72 : 수평 받침편
8, 12 : 제 1 및 제 2 볼트 81 : 헤드
9, 13 : 제 1 및 제 2 너트
10 : 고정 핀
11 : 외장 패널 고정편

Claims (6)

  1. 석재 또는 금속재의 외장 패널을 이용하여 층 간 슬래브 또는 벽면이 갖추어진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 설치된 앵커 볼트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에 수직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브래킷과;
    전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브래킷 중 적어도 2개 이상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기 제 1 브래킷들의 설치 봉 고정편에 면 접촉 상태로 각각 고정 설치되는 사각 봉 형상을 갖는 복수의 외장 패널 설치 봉과;
    헤드의 단축 방향 폭이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의 단축 폭보다 작고 장축 방향 폭은 상기 장방형 볼트 결합공의 단축 폭보다 커서 상기 장방형 볼트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리는 제 1 볼트 및 이에 체결되는 제 1 너트를 통해 외장 패널 설치 봉의 전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밀착 고정되는 복수의 제 2 브래킷과;
    외측 단부에 외장 패널의 상,하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된 고정공에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 핀을 구비하고 내단부가 제 2 볼트 및 제 2 너트를 통해 상기 제 2 브래킷의 수평 받침편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외장 패널을 받쳐주는 상태에서 외장 패널 설치 봉에 일체로 고정시켜 주는 외장 패널 고정편;을 포함하되,
    층간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들 중 건축물의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에는,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도 중심선을 따라 수개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더 천공하여, 건축물의 전면 및 측면 또는 측면 및 배면의 모서리부에서 서로 90도의 각도를 갖고 설치되는 외장 패널들의 접촉부를 건축물의 모서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하나의 외장 패널 설치 봉에 일체로 고정 설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은 수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열된 수개의 외장 패널 설치 봉 중 서로 인접된 외장 패널 설치 봉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더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의 전면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의 전면과 동일한 면을 갖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에도 제 1 볼트 및 제 1 너트를 통해 복수의 제 2 브래킷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제 2 브래킷의 수평 받침편 단부에는 외장 패널들의 양측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천공된 고정공에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 핀을 구비한 외장 패널 고정편을 제 2 볼트 및 제 2 너트를 통해 더 고정 설치하여 서로 인접한 외장 패널의 양측면도 수평 외장 패널 설치 봉에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장 패널 설치 봉의 전면을 포함하여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천공되는 장방형 볼트 결합공들의 길이(L)는 50-250㎜이고, 장방형 볼트 결합공들 사이의 간격(S)은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20090096663A 2009-10-12 2009-10-12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4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663A KR100949707B1 (ko) 2009-10-12 2009-10-12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PCT/KR2010/006776 WO2011046312A2 (ko) 2009-10-12 2010-10-05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663A KR100949707B1 (ko) 2009-10-12 2009-10-12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707B1 true KR100949707B1 (ko) 2010-03-31

Family

ID=4218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6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9707B1 (ko) 2009-10-12 2009-10-12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49707B1 (ko)
WO (1) WO2011046312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354B1 (ko) * 2010-05-27 2010-12-17 주식회사 이지석재트러스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1369962B1 (ko) * 2013-02-25 2014-03-04 정 기 김 패널 설치구조 및 패널 설치방법
KR101570363B1 (ko) * 2013-12-16 2015-11-27 서울메트로 세라믹 타일 벽체판넬 설치구조
KR20200048507A (ko) * 2018-10-30 2020-05-08 황인창 건축물 외장 패널 고정장치
KR20200123345A (ko) 2019-04-19 2020-10-29 주식회사 좋은외장 외벽마감용 불연외장패널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G66739B1 (bg) * 2012-05-22 2018-09-28 "Стоа" Оод Строителен профил, строителен набор, строителен комплект и закрепваща система за вентилируеми фасади
JP5647720B1 (ja) * 2013-10-01 2015-01-07 菊川工業株式会社 壁パネル固定構造
WO2016192803A1 (en) * 2015-06-04 2016-12-08 Scimonelli Giacomo Façade framework
CN112095970B (zh) * 2020-09-15 2022-02-01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建筑装饰板安装用固定调节结构
CN113187190A (zh) * 2021-02-09 2021-07-30 马肃领 用于建筑外墙的石材安装装置和石材安装方法
CN113338569A (zh) * 2021-06-17 2021-09-03 李欢欢 一种建筑外墙的自动修复系统
CN113309316A (zh) * 2021-07-09 2021-08-27 吉林省鼎恒建材有限公司 一种具有加热功能的保温装饰一体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557Y1 (ko) 2003-01-06 2003-03-28 장성덕 건축용 석재 고정구
KR200438982Y1 (ko) * 2006-12-15 2008-03-14 (주)석철 건물의 내외장형 석재 고정 트러스 구조물
KR100852218B1 (ko) 2007-08-22 2008-08-13 백종균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KR100916568B1 (ko) 2008-07-18 2009-09-11 김광현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벽체 패널 설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180Y1 (ko) * 2004-08-16 2004-11-17 유상훈 석재판넬 시공용 브라켓트
KR20070010797A (ko) * 2005-07-20 2007-01-24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건축물의 외장벽 조립체 및 그 시공구조
KR200445266Y1 (ko) * 2009-03-30 2009-07-14 이대화 조립식 건물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557Y1 (ko) 2003-01-06 2003-03-28 장성덕 건축용 석재 고정구
KR200438982Y1 (ko) * 2006-12-15 2008-03-14 (주)석철 건물의 내외장형 석재 고정 트러스 구조물
KR100852218B1 (ko) 2007-08-22 2008-08-13 백종균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KR100916568B1 (ko) 2008-07-18 2009-09-11 김광현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벽체 패널 설치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354B1 (ko) * 2010-05-27 2010-12-17 주식회사 이지석재트러스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1369962B1 (ko) * 2013-02-25 2014-03-04 정 기 김 패널 설치구조 및 패널 설치방법
KR101570363B1 (ko) * 2013-12-16 2015-11-27 서울메트로 세라믹 타일 벽체판넬 설치구조
KR20200048507A (ko) * 2018-10-30 2020-05-08 황인창 건축물 외장 패널 고정장치
KR102157487B1 (ko) 2018-10-30 2020-09-21 황인창 건축물 외장 패널 고정장치
KR20200123345A (ko) 2019-04-19 2020-10-29 주식회사 좋은외장 외벽마감용 불연외장패널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6312A2 (ko) 2011-04-21
WO2011046312A3 (ko)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707B1 (ko)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0949709B1 (ko) 현장용접이 필요없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0852218B1 (ko)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KR101088417B1 (ko) 내,외장패널 구조보강용 지지 바
KR100916568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벽체 패널 설치 방법
KR100878791B1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KR100850862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KR101030320B1 (ko)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US8359797B2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200452381Y1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20130045711A (ko) 실내장식용 커튼월 시공장치
KR101002354B1 (ko)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20180010685A (ko)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30139663A (ko) 내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조립체
KR100774553B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101753700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101712848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63059Y1 (ko) 거푸집용 보강파이프 고정구
KR20150073443A (ko)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100128473A (ko)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KR102602175B1 (ko) 기구물 부착을 위한 건식 벽체용 보강대
KR20120128455A (ko) 알루미늄폼용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7128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61500Y1 (ko) 방수턱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