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649B1 -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649B1
KR100880649B1 KR1020070061680A KR20070061680A KR100880649B1 KR 100880649 B1 KR100880649 B1 KR 100880649B1 KR 1020070061680 A KR1020070061680 A KR 1020070061680A KR 20070061680 A KR20070061680 A KR 20070061680A KR 100880649 B1 KR100880649 B1 KR 100880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support member
building
horizontal portion
gea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2787A (ko
Inventor
임동혁
Original Assignee
(주)해주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주석재 filed Critical (주)해주석재
Priority to KR1020070061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649B1/ko
Publication of KR20080112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발명은 건축물 외벽에 앵커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구비하는 브라켓과, 그 브라켓의 수평부에 연결되어 석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의 자유 단부측에 장착되어 석판의 상하 단부면에 형성되는 슬로트에 끼워져 석판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구비한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평부(102)는 카트리지 형태로서 개구부(112)와 내부 공간(1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03)는 판상의 부재로서 개구부(112)를 통해 수평부의 내부 공간(113)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수평부(102)의 내부 공간(113)에 수용되는 부분에는 장공(120)이 형성되고 그 장공의 일측벽에 톱니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103)의 장공(120)의 톱니부(121)와 맞물려 지지부재(10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 작업자가 노브를 회전시켜 석판 지지부재의 정확한 위치설정이 가능하므로 건축물 외벽에 석판 조립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기에 설정된 위치에서 안정되게 유지되어 석판을 안정되게 지지하며, 건축물 외장용 석판의 보수유지를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자재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석판, 고정장치

Description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EXTERIOR STONE PLATE OF BUILDING}
도 1은 종래 건축물 외장 석판 고정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래 건축물 외장 석판 고정구를 사용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 석판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석판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석판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보여주는 석판 고정장치의 조립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석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건축물 외장 석판을 고정하기 위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 발명에 따른 석판 고정장치
101 : 수직부 102 : 수평부
103 : 지지부재 112 : 개구부
삭제
113 : 내부 공간 114 : 홀
115 : 돌출부 116 : 톱니부
120 : 장공 121 : 톱니부
122 : 홀 123 : 고정핀
삭제
124 : 축 130 : 기어부재
133 : 플랜지 136 : 제1 기어부
137 : 제2 기어부 138 : 관통홀
139 : 턱부분 140 : 지지판
141 : 홀 142 : 지지편
150 : 전동기어부재 151 : 톱니
155 : 관통홀 158 : 톱니
160 : 물림돌기 170 : 노브
171 : 축부 172 : 하단부
175 : 물림돌기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장 석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패널(석재, 석판, 타일)을 앵커로 고정시켜 설치하기 위한 석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장은 타일을 사용하는 경우에 시멘트 몰탈로 건축물 외벽에 부착 고정시키고 있으나, 석판이나 대형 타일과 같이 중량이 너무 큰 경우에는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더라도 양생기간동안 석판을 제위치에 고정시킬 수 없고 작업효율이 좋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는 소위 건식 공법으로서 건축물 외벽에 앵커를 박고 그 앵커에 브라켓을 장착하여 브라켓으로 석판을 지지 및 고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건식 공법으로서 건축물 외장 석판을 고정구로 건축물 외벽에 고정하는 예가 도 1과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판(1)들은 건축물 외벽에 홀을 형성하고 그 홀에 앵커(2)를 고착시키고, 강판을 절곡하여 수평부(3)와 수직부(4)로 이루어진 브라켓(5)을 앵커(2)에 볼트(6)로 고정한 고정구(7)를 상하 각각 2개씩 소정거리로 이격시켜 설치하여 석판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 수직부에는 위치 수정을 위하여 수직방향의 장공(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의 수평부(3)에도 장공(9)이 형성되고 석판(1)을 지지하기 위한 판상의 지지부재(10)를 볼트(11)로 장공(9)의 소정의 위치에 체결고정하고, 그 지지부재(10)의 선단부에는 홀(12)이 형성되고 고정핀(13)이 상하로 돌출되게 끼워져 조립된다.
판상으로 가공된 석판(1)은 지지부재(10)의 선단부에서 지지되며, 이때 지지부재의 단부에 장착되는 고정핀(13)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부(14)가 석판의 하측 단부면에 가공된 슬로트(15)에 삽입되고, 석판(1)의 상측 단부면에도 마찬가지로 슬로트(15)가 형성되며 상측 고정구(7)의 브라켓(5)에 고정된 지지부재(10)에 제공되는 고정핀(13)의 하부(16)를 삽입함으로써, 석판이 측방향, 즉 건축물 외벽에 대하여 평행하게 유지되고, 지지부재(9)에 의해 석판의 하중이 지지되어 건축물 외벽에 이격하여 석판이 설치된다. 이때, 석판들 사이의 틈새는 실리콘과 같은 시일재(17)로 채워져 빗물이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석판 고정구(7)에 있어서 석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9)를 브라켓의 수평부(3)에 조립하기 위하여 볼트(11)를 장공(9)의 정확한 위치에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해야 하므로 정확한 위치 설정의 어려움 및 공구를 사용한 볼트 체결작업으로 인하여 석판 조립작업의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볼트 체결에 의해 지지부재를 브라켓에 고정하는 종래 고정구에서, 석판 조립후 장기간이 경과하는 동안 건축물 주변을 지나는 차량등의 이동시 진동이 발생되어 건축물로 전달되며, 이러한 미세한 진동이 건축물에 계속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지지부재(10)를 브라켓(5)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체결이 점차적으로 풀려질 수 있고, 석판에 대하여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부재(10)가 브라켓(5)의 수 평부에 볼트 체결된 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하로 돌출되게 지지부재에 장착된 고정핀(13)들의 상하부(14,16)에 의해 상하측 석판들이 함께 고정되어 있어서, 석판들을 조립하여 건축물 외장을 형성한 다음에는 어느 한 석판이 모서리가 깨지는 경우와 같이 손상되더라도 그 손상된 석판만을 교체할 수 없어서 손상된 석판을 깨트리고 교체되는 석판을 끼워 고정시키기 위해 기존 고정핀의 상하부를 제거해야 하거나, 석판의 상하 단면부의 슬로트에 끼워진 상측 고정핀(13)의 하부와 하측 고정핀의 상부를 석판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절단기로 절단하여야만 손상된 석판을 제거해야 하므로 석판 보수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손상된 석판 제거시 상하측 고정핀(13)의 상하부를 제거하였기 때문에 교체되는 석판은 고정핀에 의해 고정할 수 없고 단지 접착제를 사용하여 지지부재와 인접한 석판들에 대하여 고정시키게 됨에 따라 교체되는 석판의 고정유지가 불안정하게 되고 따라서 장기간 사용시 교체된 석판이 탈락될 수 있고 이 경우 그 아래를 지나는 사람들을 다치게 하거나 물건을 손상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석판 고정구는 브라켓(5)의 수직부(4)에 대하여 직각으로 수평부(3)가 형성되고 그 수평부에 지지부재(10)의 일단부가 볼트 체결된 상태에서 지지부재(10)의 타단부, 즉 자유단부측에 석판의 중량이 작용하게 되므로 브라켓의 수평부(3)와 지지부재(10)가 하방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볼트(11)의 체결 위치 또한 변화되어 석판 지지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부와 지지부재의 두께를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것은 자재비 의 상승을 초래하고, 석판들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조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구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외부에 영향에 의해 지지부재와 브라켓의 체결 위치가 변화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개선된 체결구조를 갖는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된 석판들에 있어서 손상이 있는 경우 그 손상된 석판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교체되는 석판을 안정되게 재설치할 수 있는 석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는 건축물 외벽에 앵커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구비하는 브라켓과, 그 브라켓의 수평부에 연결되어 석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의 자유 단부측에 장착되어 석판의 상하 단부면에 형성되는 슬로트에 끼워져 석판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구비한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카트리지 형태로서 개구부와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판상의 부재로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평부의 내부 공간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수평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부분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그 장공의 일측벽에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장공의 톱니부와 맞물려 지지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브라켓 수평부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지지부재의 장공의 일측벽에 형성된 톱니부와 맞물리게 배치된 기어부재와, 상기 기어부재와 맞물려 회전시키도록 수평부의 내부 공간에 제공된 전동기어부재 및 상기 전동기어부재를 회전시키도록 기어물림된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어부재는 수평부의 바닥에 형성된 요홈부에 배치되는 원판 형태의 플랜지 위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재의 장공에 형성된 톱니부와 맞물리는 원형의 제 1 기어부와, 그 제 1 기어부 위쪽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동기어부재와 기어물림된 제 2 기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기어부재는 하측 외주면에 톱니들이 형성되어 수평부의 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톱니부와 맞물리며,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의 내측면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제 1 기어부와 맞물려 있고, 상면에는 상방으로 나사산과 같은 형상으로 돌출된 물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축부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는 직경이 확대되어 기어부재의 홀을 관통하여 홀 하단부의 모서리부분 외측에 맞물리며, 노브의 저면에는 노브 회전시 기어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전동기어부재가 회전되게 축부 주변으로 전동기어부재의 물림돌기와 맞물리는 물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석판을 고정하도록 지지부재에 제공되는 고정핀은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측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제공되며, 석판의 상하 단부면에 형성되는 슬로트에 끼워져 석판을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석판의 슬로트로부터 벗어나 수평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라 석판을 건축물 외벽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기 위한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석판 고정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기존의 앵커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하여 건축물 외장용 석판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석판 고정장치(100)는 건축물 외벽에 접촉되어 앵커로 고정되는 수직부(101)와 카트리지 형태의 수평부(102)로 구성되는 브라켓(도면부호 미부여)과, 그 브라켓의 수평부(102)속에서 수평방향으로, 즉 건축물 외벽에 대하여 근접되거나 멀어지게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석판을 지지하는 판상의 지지부재(103), 상기 지지부재(103)를 수평부(102)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101)에는 장공(11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브라켓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앵커로 건축물의 외벽에 요구되는 높이에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브라켓의 수평부(102)는 카트리지 형태로서 전방에 형성된 장방형의 개구부(112)에 의해 전방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석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03)는 개구부(112)를 통해 삽입하여 내부 공간(113)에 배치된다.
상기한 브라켓의 카트리지 형태의 수평부(102)의 전방에 형성된 장방형의 개구부(112)를 통하여 지지부재(10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한 구동부가 상기한 내부 공간(113)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한 수평부(102)의 상면에는 내부 공간(113)과 연통되는 홀(114)이 형성되고, 그 홀(114)의 모서리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환형의 돌출부(115)가 형성되며, 환형의 돌출부(115) 내측에는 톱니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지지부재(103)는 판상의 부재로서 브라켓의 수평부(102)의 내부 공간(113)에 수용되는 부분에는 장공(120)이 형성되고 그 장공의 일측벽, 도면에서는 하측 벽에만 톱니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103)의 자유 단부쪽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홀(1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홀(122)에는 고정핀(123)이 축(12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축(124)은 고정핀(123)을 압입에 의해 관통하여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124)의 자유단부에는 십자형의 홈을 형성하여 드라이버로 축(124)을 회전시킴으로써 고정핀(123)을 직립된 석판 고정위치와 석판에서 벗어난 수평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도면부호 미부여)는 브라켓의 수평부(102)의 내부 공간(113)에서 지지부재(10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기어부재(130)와, 그 기어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기어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부재(130)는 수평부(102)의 바닥에 형성된 요홈부(도면부호 미부여)에 배치되는 원판 형태의 플랜지(133) 위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재(103)의 장공(120)에 형성된 톱니부(121)와 맞물리는 원형의 제 1 기어부(136)와, 그 제 1 기어부(136) 위쪽에 일체로, 그러나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제 2 기어부(137)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기어부재(130)에는 관통홀(138)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138)의 하단부는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노브(170)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축부(171)가 관통홀(138)을 통해 배치되어 축부(171)의 하단부(172)가 관통홀(138)의 모서리부분과 맞물려 노브(170)가 관통홀(138)에서 빠지지 않게 유지된다.
상기 기어부재(130)의 제 1 기어부(136)의 상측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 2 기어부(137)가 형성됨에 따라 제 1 기어부(136)의 상면에는 턱부분(139)이 형성되고, 그 턱부분(139)에는 상기 제 2 기어부(137)가 관통하여 배치되게 홀(141)이 형성된 지지판(140)이 배치되며, 상기 홀(141)의 외측에 대향된 위치에서 지지판(140)을 절취하여 상방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두개의 탄성 지지편(14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40)의 지지편(142) 위에는 환형의 전동기어부재(150)가 배치된다. 상기 전동기어부재(150)는 하측 외주면에 톱니(151)들이 형성되어 수평부(102)의 홀(114)의 내측면에 형성된 톱니부(116)와 맞물린 상태로 됨으로써 노브(170)가 회전되지 못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전동기어부재(150)에는 또한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55)의 내측면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톱니(156)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재(130)를 회전시키도록 제 1 기어부(136)와 맞물려 있고, 상면에는 상방으로 나사산과 같은 형상으로 돌출된 물림돌기(160)가 형성되어 있다.
노브(170)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축부(171)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172)는 직경이 확대되어 기어부재(130)의 관통홀(138)을 압입관통하여 관통홀 (138)의 하단부의 모서리부분 외측에 걸려서 축부(171)의 하단부(172)가 빠지지 않게 노브(170)와 결합유지된다.
또한, 노브(170)의 저면에는 축부(171) 주변으로 전동기어부재(150)의 물림돌기(160)와 같은 형상의 물림돌기(175)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브(170)를 회전시키면 물림돌기(175)의 경사면들과 맞물려 접촉된 전동기어부재(150)의 물림돌기(160)에서 경사면에 작용하는 수직의 분력에 의해 전동기어부재(150)가 지지편(142)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탄성편이 눌려짐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그 외주면의 톱니(151)가 홀(114) 내측면의 톱니부(116)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기어부재(130)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회전하는 기어부재(130)의 하측의 제1 기어부(136)와 맞물려 톱니(121)가 이동함에 따라 지지부재(103)가 수평이동하게 된다. 예를들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브(17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기어부(136)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기어부(136)와 맞물려 톱니부(121)가 형성된 지지부재(103)가 도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이동하여 수평부(102)에서 외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노브(17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103)는 반대로 수평부(102)의 내부 공간(113) 속으로 삽입된다. 상기 기어부재(130)의 제 1 기어부(136)와 지지부재(103)의 톱니부(121)의 피치가 작을수록 지지부재의 이동이 미세하게 되므로, 요구되는 정밀도에 따라 피치를 설정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석판 고정장치(100)는 전술한 바와같이,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3)와 기어부재(130) 및 전동기어부재(150)들의 기어 물림 구조로 이루어져 별도의 공구 없이 작업자가 노브(17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부재(103)의 정확한 위치설정이 가능하므로, 건축물 외벽(190)에 대한 석판(180)의 조립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브(170)를 회전시켜 전동기어부재(150)와 기어부재(130)를 통해 지지부재(103)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는 한, 지지부재(103)에 대한 외부의 어떠한 영향, 예를 들어 진동, 석판의 하중, 충격 등에 의해 지지부재(103)가 전혀 이동하지 않고 초기에 설정된 위치에서 안정되게 유지되어 석판(180)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103)의 자유 단부쪽에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한 홀(122)에 고정핀(123)이 수평으로 배치된 위치와, 석판(180)을 고정하기 위하여 석판(180)의 상하 단부면에 형성되는 슬로트(181)에 삽입되는 직립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예를 들어 석판(180)이 손상되어 교체하고자 할 때 석판(180)들 사이에 제공된 시일재(도면부호 미부여)를 제거하고 고정핀(123)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124)을 회전시키거나, 지지부재(103)와 석판(18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예를 들어 얇은 나이프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핀(123)을 수평 상태의 물림 해제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어서 석판(180)을 개별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고 교체되는 석판(180)을 다시 고정핀(123)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 외장용 석판의 보수유지를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자재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건축물 외벽에 앵커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구비하는 브라켓과, 그 브라켓의 수평부에 연결되어 석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의 자유 단부측에 장착되어 석판의 상하 단부면에 형성되는 슬로트에 끼워져 석판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구비한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02)는 카트리지 형태로서 개구부(112)와 내부 공간(1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03)는 판상의 부재로서 상기 개구부(112)를 통해 수평부의 내부 공간(113)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수평부(102)의 내부 공간(113)에 수용되는 부분에는 장공(120)이 형성되고 그 장공의 일측벽에 톱니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103)의 장공(120)의 톱니부(121)와 맞물려 지지부재(10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브라켓의 수평부(102)의 내부 공간(113)에서 지지부재(10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지지부재(103)의 장공(120)의 일측벽에 형성된 톱니부(121)와 맞물리게 배치된 기어부재(130)와, 상기 기어부재와 맞물려 회전시키도록 수평부(102)의 내부 공간에 제공된 전동기어부재(150) 및 상기 전동기어부재(150)를 회전시키도록 기어물림된 노브(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130)는 수평부(102)의 바닥에 형성된 요홈부에 배치되는 원판 형태의 플랜지(133) 위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재(103)의 장공(120)에 형성된 톱니부(121)와 맞물리는 원형의 제 1 기어부(136)와, 그 제 1 기어부(136) 위쪽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동기어부재(150)와 기어물림된 제 2 기어부(13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어부재(150)는 하측 외주면에 톱니(151)들이 형성되어 수평부(102)의 홀(114)의 내측면에 형성된 톱니부(116)와 맞물리며,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55)의 내측면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톱니(156)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재(130)를 회전시키도록 제 1 기어부(136)와 맞물려 있고, 상면에는 상방으로 나사산과 같은 형상으로 돌출된 물림돌기(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170)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축부(171)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172)는 직경이 확대되어 기어부재(130)의 홀(138)을 관통하여 홀 하단부의 모서리부분 외측에 맞물리며, 상기 노브(170)의 저면에는 노브(170) 회전시 기어부재(130)를 회전시키도록 전동기어부재(150)가 회전되게 축부(171) 주변으로 전동기어부재(150)의 물림돌기(160)와 맞물리는 물림돌기(17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123)은 지지부재(103)의 자유단부측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홀(122)에 제공되며 축(124)에 의해 석판(180)의 상하 단부면에 형성되는 슬로트(181)에 끼워져 석판(180)을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석판(180)의 슬로트(181)로부터 벗어나 수평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KR1020070061680A 2007-06-22 2007-06-22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KR100880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680A KR100880649B1 (ko) 2007-06-22 2007-06-22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680A KR100880649B1 (ko) 2007-06-22 2007-06-22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787A KR20080112787A (ko) 2008-12-26
KR100880649B1 true KR100880649B1 (ko) 2009-02-02

Family

ID=4037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680A KR100880649B1 (ko) 2007-06-22 2007-06-22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64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981B1 (ko) * 2012-09-18 2013-03-18 박재민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WO2014030795A1 (ko) * 2012-08-24 2014-02-27 Kim Do-Yun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60033388A (ko) * 2014-09-18 2016-03-28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의 긴결장치를 이용한 석재패널 시공방법
KR20160033389A (ko) * 2014-09-18 2016-03-28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 긴결장치
KR101694682B1 (ko) * 2016-08-22 2017-01-10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타일 위치조절 장치
KR101713659B1 (ko) * 2016-12-12 2017-03-09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공동주택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20190123580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 이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1022A (zh) * 2012-05-17 2012-09-12 曲金丽 一种建筑外墙装饰保温一体板的固定安装方法及使用的固定支撑连接座
CN104358377B (zh) * 2014-11-10 2016-07-06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可以独立拆装石材饰面板的推入式定位挂件
KR101523363B1 (ko) * 2015-01-29 2015-05-29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CN107217812A (zh) * 2017-06-07 2017-09-29 宜兴市雅鑫图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可调节装饰板连接构件及其安装方法
CN107090960B (zh) * 2017-06-14 2022-11-08 安徽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墙砖干挂的支撑限位装置及墙砖装配式干挂施工方法
CN108149880B (zh) * 2018-01-17 2019-12-03 上海光敏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室内墙面装饰板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KR102304038B1 (ko) * 2019-09-06 2021-09-17 김성열 배기장치 지지용 지그
CN112554489A (zh) * 2020-12-11 2021-03-26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自由调平的墙板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25U (ko) * 1998-09-23 1998-12-05 박홍민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
KR200293493Y1 (ko) 2002-08-09 2002-10-30 주식회사 정원금속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200421884Y1 (ko) 2006-05-04 2006-07-19 지영화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70037737A (ko) * 2007-03-19 2007-04-06 김종성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25U (ko) * 1998-09-23 1998-12-05 박홍민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
KR200293493Y1 (ko) 2002-08-09 2002-10-30 주식회사 정원금속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200421884Y1 (ko) 2006-05-04 2006-07-19 지영화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70037737A (ko) * 2007-03-19 2007-04-06 김종성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795A1 (ko) * 2012-08-24 2014-02-27 Kim Do-Yun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244981B1 (ko) * 2012-09-18 2013-03-18 박재민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WO2014046496A2 (ko) * 2012-09-18 2014-03-27 Park Jae Min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WO2014046496A3 (ko) * 2012-09-18 2014-05-22 Park Jae Min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KR20160033388A (ko) * 2014-09-18 2016-03-28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의 긴결장치를 이용한 석재패널 시공방법
KR20160033389A (ko) * 2014-09-18 2016-03-28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 긴결장치
KR101663372B1 (ko) * 2014-09-18 2016-10-06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의 긴결장치를 이용한 석재패널 시공방법
KR101663373B1 (ko) * 2014-09-18 2016-10-06 (주)세기경영기술연구원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 긴결장치
KR101694682B1 (ko) * 2016-08-22 2017-01-10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타일 위치조절 장치
KR101713659B1 (ko) * 2016-12-12 2017-03-09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공동주택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20190123580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 이격 장치
KR102058926B1 (ko) * 2018-04-24 2019-12-24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 이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787A (ko) 200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649B1 (ko)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KR100858525B1 (ko) 수평 탈부착이 가능한 방음벽 구조체
US20170101784A1 (en) Locking and regulation device for panels and slabs
KR100880648B1 (ko) 건축물 외장 석판 고정장치
KR100515187B1 (ko) 타일 시공 결합체
KR101028425B1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KR20100010115A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0941963B1 (ko) 자립형 칸막이 구동장치
KR200449074Y1 (ko) 수평조절 장치가 부착된 드롭인 앙카
JP6334227B2 (ja) ナット締着具及び座金付きナットの締着方法
JP2009281590A (ja) 固定素子
CN115507130A (zh) 采煤机用离合机构、采煤机和离合机构使用方法
KR100901261B1 (ko)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상인방벽돌 조적 방법
KR20090017101A (ko) 바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05090201A (ja) 建物躯体へのパネル部材の取付構造
JP5062713B2 (ja) 垂直スリット材の支持構造
KR101377209B1 (ko) 건축 내외장재 교체용 상부 고정브래킷
KR101486849B1 (ko) 건축물 벽면장식용 석재 시공방법 및 브라켓트 구조
KR101109643B1 (ko) 힌지축 지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오토 힌지 도어 시스템
CN111068844A (zh) 一种建筑垃圾破碎处理机器
JP5513882B2 (ja) コンクリート製溝の溝上部構造の改修工法とコンクリート製溝の溝蓋設置方法
CN217840854U (zh) 一种铝合金模板单边支撑装置
KR100986284B1 (ko) 건축 마감재 설치용 앵커 볼트 체결구
JP3140659U (ja) 可塑性型枠
JP2005240286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位置決め治具および位置決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