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363B1 -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363B1
KR101523363B1 KR1020150013913A KR20150013913A KR101523363B1 KR 101523363 B1 KR101523363 B1 KR 101523363B1 KR 1020150013913 A KR1020150013913 A KR 1020150013913A KR 20150013913 A KR20150013913 A KR 20150013913A KR 101523363 B1 KR101523363 B1 KR 101523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one
spacer
elastic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은호
Original Assignee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1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판의 상면과 조정판 사이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석재판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상측에 위치된 석재판의 하중이 하측의 석재판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상면끼움홈(22)을 핀구멍(21)이 위치된 조정판(20)의 상면에 형성하고, 상면끼움홈(22)의 양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측면연장홈(23)(24)을 조정판(20)의 좌우측면에 형성하며, 측면연장홈(23)(24)과 조정판(20)의 저면에 밀착되는 "L"자 모양의 절곡결합부(31a)(31b)(32a)(32b)를 상면끼움홈(22)에 삽입된 스페이서(30)의 좌우측 단부에 형성하고, 석재고정핀(25)의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걸리는 탄성걸림편(33a)(33b)을 스페이서(3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장방형의 관통구멍(34) 내측에서 상측을 향해 "V"자 모양으로 절곡하며, 탄성다리부(35)(36)를 스페이서(30)의 좌우측 단부 중앙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탄성다리부(35)(36)의 양단에 석재판(26)의 상면(26t)에 선접촉되는 광폭만곡부(35w)(36w)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Stone facing support apparatus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판의 상면과 조정판 사이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석재판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상측에 위치된 석재판의 하중이 하측의 석재판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감재인 석재판을 콘크리트벽에 설치하는 공법에는 습식법과 건식법이 있으며, 습식공법은 모르타르나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 콘크리트벽면에 석재판을 부착하는 것으로 모르타르나 에폭시 접착제의 경화에 시간이 필요하고 하중분산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소규모 마감에 적용되고 있으며, 건식공법은 석재판을 볼트, 너트 및 앵글과 같은 체결물에 의해 콘크리트벽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경화에 필요한 시간이 필요치 않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로방지에 효과적인 공법이다.
이중 건식공법에 의한 일반적인 마감석재 고정구조의 일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으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트앵커(10a)와 앵커너트(10b)에 의해 앵글(10)을 콘크리트벽(11)에 설치한 다음 석재판(12)의 상면(12a)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조정판(13)을 근각볼트(13a)와 플랜지너트(13b)를 이용해서 앵글(10)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앵글(10)에 형성된 수직장공(10c)을 통해 앵글(10)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석재판(12)의 높낮이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조정판(13)과 앵글(10)에 각각 형성된 제 1수평장공(13h)과 제 2수평장공(10h)에 의해 조정판(13)을 콘크리트벽(1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플랜지너트(13b)를 타이트하게 조여서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앵글(10)의 상하위치와 조정판(13)의 전후위치 조정을 마치고 나면, 석재고정핀(14)을 조정판(13)에 형성된 핀구멍(13p)으로 삽입한 다음 석재판(12)의 상면(12a)에 형성된 걸림홈(12g)에 석재고정핀(14)을 끼워서 석재판(12)이 조정판(13)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었다.
또, 조정판(13)과 석재판(12)의 상면(12a)이 이루는 간극(T)에는 평와셔(15a)(15b)를 끼운 다음 또 다른 석재판(12)을 조정판(13) 위에 올려서 지지한 후 석재판(12) 사이를 실리콘과 같은 연성의 줄눈재(12e)로 메우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마감석재 고정구조는 평와셔(15a)(15b)에 의해 조정판(13)과 석재판(12) 사이의 간극(T)을 타이트하게 메우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측에 위치된 석재판(12)의 하중이 평와셔(15a)(15b)를 통해 하측의 석재판(12)으로 전달되면서 전체가 마치 하나의 중량물로 되어 앵글(10)에 과하중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강풍이나 지진 발생시 전체 석재판(12)이 공진을 일으키면서 붕괴될 위험이 매우 높았다.
즉, 앵글(10)은 석재판(12)의 하중에 의해 탄성을 갖고 약간 밑으로 처지는 특성이 있는데, 앵글(10)의 탄성저항력과 석재판(12)의 하중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앵글(10)의 탄성변형이 멈추기도 전에 평와셔(15a)(15b)로 조정판(13)과 석재판(12) 사이의 간극(T)을 메워버리게 되면, 앵글(10)이 충분하게 밑으로 처지지 못해 다른 앵글(10)에 과도한 하중이 누적되는 위험이 있게 된다.
KR 10-0389114 B1 KR 10-056196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측에 위치된 석재판 간에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각각의 석재판이 독집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상면끼움홈을 핀구멍이 위치된 조정판의 상면에 형성하고, 상면끼움홈의 양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측면연장홈을 조정판의 좌우측면에 형성하며, 측면연장홈과 조정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L"자 모양의 절곡결합부를 상면끼움홈에 삽입된 스페이서의 좌우측 단부에 형성하고, 석재고정핀의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걸리는 탄성걸림편을 스페이서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장방형의 관통구멍 내측에서 상측을 향해 "V"자 모양으로 절곡하며, 탄성다리부를 스페이서의 좌우측 단부 중앙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탄성다리부의 양단에 석재판의 상면에 선접촉되는 광폭만곡부를 형성하여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탄성다리부에 의해 석재판이 아래쪽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석재판의 상면과 조정판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면서 상측 석재판의 하중이 아래쪽 석재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각각의 석재판들이 독립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하중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석재고정핀이 탄성걸림편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석재고정핀이 조정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탄성다리부의 끝부분에 형성된 광폭만곡부의 폭이 석재판에 형성된 상부걸림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폭만곡부가 상부걸림홈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광폭만곡부가 석재판의 상면에 선접촉하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다리부가 탄성변형되면서 석재판의 상면을 미끄러질 때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움직임을 좀 더 부드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조정판에 형성된 상면끼움홈과 측면연장홈에 스페이서와 절곡결합부가 끼워져서 걸려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와 조정판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마감석재 고정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마감석재 고정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마감석재 고정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해서 보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을 저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상면끼움홈(22)을 핀구멍(21)이 위치된 조정판(20)의 상면에 띠모양으로 형성하고, 상면끼움홈(22)의 양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측면연장홈(23)(24)을 조정판(20)의 좌우측면에 형성한다.
상기 측면연장홈(23)(24)과 조정판(20)의 저면에 밀착되는 "L"자 모양의 절곡결합부(31a)(31b)(32a)(32b)를 상면끼움홈(22)에 삽입된 스페이서(30)의 좌우측 단부에 형성하고, 석재고정핀(25)의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걸리는 탄성걸림편(33a)(33b)을 스페이서(3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장방형의 관통구멍(34) 내측에서 상측을 향해 "V"자 모양으로 절곡한다.
또, 조정판(20)에 형성된 상면끼움홈(22)에 스페이서(30)를 결합하기 전 절곡결합부(31a)(31b)(32a)(32b)는 첨부도면 도 8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며, 스페이서(30)와 절곡결합부(31a)(31b)(32a)(32b)를 상면끼움홈(22)과 측면연장홈(23)(24)에 끼운 상태에서 절곡결합부(31a)(31b)(32a)(32b)를 "L"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고정한다.
탄성다리부(35)(36)를 스페이서(30)의 좌우측 단부 중앙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탄성다리부(35)(36)의 양단에 석재판(26)의 상면(26t)에 선접촉되는 광폭만곡부(35w)(36w)를 형성한다.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폭만곡부(35w)(36w)의 폭(W2)은 석재판(26)의 상면(26t)에 가공된 상부걸림홈(26a)의 폭(W1)보다 크게 형성하여 광폭만곡부(35w)(36w)가 상부걸림홈(26a)에 빠지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걸림편(33a)(33b)의 폭은 석재판(26)에 형성된 하부걸림홈(26b)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하여 조정판(20) 위에 석재판(26)을 올려놓을 경우 탄성걸림편(33a)(33b)이 하부걸림홈(26b)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h는 조정판(20)에 형성된 수평장공을 나타낸 것이며, 27은 콘크리트벽을 나타낸 것이고, 28은 세트앵커를 나타낸 것이며, 42는 세트앵커(28)와 결합되는 앵커너트를 나타낸 것이고, 40은 조정판(20)과 연결되는 앵글을 나타낸 것이며, 41은 세트앵커(28) 설치를 위해 앵글(40)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장공을 나타낸 것이고, 44는 조정판(20)과 앵글(40)을 연결하기 위한 근각볼트를 나타낸 것이며, 46은 근각볼트(44)와 결합되는 플랜지너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벽(27)에 설치된 세트앵커(28)를 앵글(40)에 형성된 수직장공(41)으로 끼운 다음 세트앵커(28)에 앵커너트(42)를 결합하여 조이게 되면, 앵글(40)이 콘크리트벽(27)에 설치된다.
이후 석재고정핀(25)을 핀구멍(21)과 관통구멍(34)으로 삽입한 후 탄성걸림편(33a)(33b) 사이로 진입시켜서 상승시키게 되면, 탄성걸림편(33a)(33b)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석재고정핀(25)의 상승을 돕게 된다.
즉, 탄성걸림편(33a)(33b)이 석재고정핀(25)의 외주면을 향해 상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석재고정핀(25)이 상승될 때는 탄성걸림편(33a)(33b)이 서로 멀어지는 바깥쪽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석재고정핀(25)의 상승을 돕게 되며, 석재고정핀(25)이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는 탄성걸림편(33a)(33b)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인 안쪽으로 오므라들면서 석재고정핀(25)을 잡게 된다.
그 다음 조정판(20)을 석재판(26) 상면(26t)과 앵글(40) 위에 올려놓고, 석재고정핀(25)이 석재판(26)에 형성된 상부걸림홈(26a)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조정판(20)에 형성된 수평장공(20h)에 근각볼트(44)을 삽입하고 플랜지너트(46)를 근각볼트(44)에 결합하여 조이게 되면, 조정판(20)이 앵글(40)에 결합된다.
이때 첨부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의 좌우측에 형성된 탄성다리부(35)(36)의 광폭만곡부(35w)(36w)가 석재판(26)의 상면(26t)에 밀착되면서 탄성다리부(35)(36)가 도면 중 화살표방향인 상측으로 벌어지게 되며, 석재판(26)은 탄성다리부(35)(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힘을 받아 석재판(26)의 상면(26t)과 조정판(2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또,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다리부(35)(36)의 끝에 형성된 광폭만곡부(35w)(36w)의 폭(W2)이 상부걸림홈(26a)의 폭(W1)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기 때문에 광폭만곡부(35w)(36w)가 상부걸림홈(26a)에 빠지지 않게 된다.
또, 광폭만곡부(35w)(36w)가 곡선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석재판(26)의 상면(26t)에서 미끄러지듯이 선접촉되면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여 탄성다리부(35)(36)의 움직임에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조정판(20)에 형성된 상면끼움홈(22)과 측면연장홈(23)(24)에 스페이서(30)와 절곡결합부(31a)(31b)(32a)(32b)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30)가 조정판(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다리부(35)(36)에 의해 아래쪽으로 탄성력을 받는 석재판(26)의 상면(26t)과 조정판(20) 사이에 항상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측에 위치된 석재판(26)의 하중이 아래쪽 석재판(26)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각각의 석재판(26)들이 독립적으로 지지되므로 하중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진의 염려도 크게 덜 수 있게 된다.
20 : 조정판 20h : 수직장공
21 : 핀구멍 22 : 상면끼움홈
23,24 : 측면연장홈 25 : 석재고정핀
26 : 석재판 26a : 상부걸림홈
26b : 하부걸림홈 26t : 상면
27 : 콘크리트벽 28 : 세트앵커
30 : 스페이서 31a,31b,32a,32b : 절곡결합부
33a,33b : 탄성걸림편 34 : 관통구멍
35,36 : 탄성다리부 35w,36w : 광폭만곡부
40 : 앵글 41 : 수평장공
42 : 앵커너트 44 : 근각볼트
46 : 플랜지너트 W1,W2 : 폭

Claims (1)

  1.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상면끼움홈(22)을 핀구멍(21)이 위치된 조정판(20)의 상면에 형성하고, 상면끼움홈(22)의 양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측면연장홈(23)(24)을 조정판(20)의 좌우측면에 형성하며, 측면연장홈(23)(24)과 조정판(20)의 저면에 밀착되는 "L"자 모양의 절곡결합부(31a)(31b)(32a)(32b)를 상면끼움홈(22)에 삽입된 스페이서(30)의 좌우측 단부에 형성하고, 석재고정핀(25)의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걸리는 탄성걸림편(33a)(33b)을 스페이서(3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장방형의 관통구멍(34) 내측에서 상측을 향해 "V"자 모양으로 절곡하며, 탄성다리부(35)(36)를 스페이서(30)의 좌우측 단부 중앙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탄성다리부(35)(36)의 양단에 석재판(26)의 상면(26t)에 선접촉되는 광폭만곡부(35w)(36w)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1020150013913A 2015-01-29 2015-01-29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101523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913A KR101523363B1 (ko) 2015-01-29 2015-01-29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913A KR101523363B1 (ko) 2015-01-29 2015-01-29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363B1 true KR101523363B1 (ko) 2015-05-29

Family

ID=5339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913A KR101523363B1 (ko) 2015-01-29 2015-01-29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36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244B1 (ko) * 2015-06-17 2015-07-29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101592903B1 (ko) * 2015-11-19 2016-02-11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1592905B1 (ko) * 2015-10-30 2016-02-12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CN109930788A (zh) * 2019-04-18 2019-06-25 新疆京奥宏博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石材装饰线条
CN110725501A (zh) * 2019-11-03 2020-01-24 重庆市炙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节插入式挂件结构
KR20220003373A (ko) * 2020-07-01 2022-01-10 김성호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489A (ko) * 2000-02-15 2001-08-29 서주영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KR200236800Y1 (ko) * 2001-03-13 2001-10-08 박정균 석재 고정구의 과소 삽입 방지 고정핀
KR20080112787A (ko) * 2007-06-22 2008-12-26 (주)해주석재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KR20150003622A (ko) * 2013-07-01 2015-01-09 이대성 석재 오픈 조인트용 연결철물 및 이를 이용한 석재의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489A (ko) * 2000-02-15 2001-08-29 서주영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KR200236800Y1 (ko) * 2001-03-13 2001-10-08 박정균 석재 고정구의 과소 삽입 방지 고정핀
KR20080112787A (ko) * 2007-06-22 2008-12-26 (주)해주석재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
KR20150003622A (ko) * 2013-07-01 2015-01-09 이대성 석재 오픈 조인트용 연결철물 및 이를 이용한 석재의 고정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244B1 (ko) * 2015-06-17 2015-07-29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101592905B1 (ko) * 2015-10-30 2016-02-12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1592903B1 (ko) * 2015-11-19 2016-02-11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CN109930788A (zh) * 2019-04-18 2019-06-25 新疆京奥宏博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石材装饰线条
CN110725501A (zh) * 2019-11-03 2020-01-24 重庆市炙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节插入式挂件结构
KR20220003373A (ko) * 2020-07-01 2022-01-10 김성호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2451166B1 (ko) * 2020-07-01 2022-10-05 김성호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363B1 (ko)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101540244B1 (ko)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RU2516095C2 (ru) Балочная система
KR101416598B1 (ko)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KR101006837B1 (ko) 레벨링이 용이한 층간 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101200596B1 (ko) 기설치된 이중 마루의 내진 보강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576230B1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KR101810602B1 (ko) 건축물 외벽 마감재 고정용 앵커플레이트
KR101592903B1 (ko)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20180118987A (ko) 결로 방지를 위한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20090028340A (ko) 콘크리트 옹벽용 가변형 거푸집 지지장치
KR101509586B1 (ko) 이중 바닥 구조의 차음 난방장치
KR100842061B1 (ko) 잭 써포트
KR20170101038A (ko) 배선처리구조를 갖는 억세스 플로어
KR101090852B1 (ko) 내/외장 패널 고정장치
KR20130138602A (ko) 천정마감장치
KR101713659B1 (ko) 공동주택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1869695B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20040023022A (ko) 바닥슬라브 거푸집 지지서포트용 신축부재
KR101136794B1 (ko) 조적 벽체 공간 쌓기 용 연결 장치
KR102516970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1771558B1 (ko) 클립 고정형 패널 고정장치
RU114077U1 (ru) Регулируемое крепление для маячковых профилей
KR20130030508A (ko) 가변형 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 이를 이용한 가변형 벽체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687542B1 (ko) 상부수평철근용 철근스페이서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