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903B1 -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903B1
KR101592903B1 KR1020150162352A KR20150162352A KR101592903B1 KR 101592903 B1 KR101592903 B1 KR 101592903B1 KR 1020150162352 A KR1020150162352 A KR 1020150162352A KR 20150162352 A KR20150162352 A KR 20150162352A KR 101592903 B1 KR101592903 B1 KR 101592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one
bush
hol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6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9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situated at the corners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판의 상부와 조정판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석재판(20)에 형성된 상부걸림홈(22)에 구멍중심이 위치되도록 조정판(30)에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환형걸림턱(34)을 갖는 카운터보어홀(32); 조정판(30)의 상면에서 카운터보어홀(32)의 중심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록킹홈(36)(38); 카운터보어홀(32)로 삽입되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상부걸림홈(22)에 걸리는 석재고정핀(24)을 삽입하기 위한 중공홀(41)을 갖는 회전부시(40); 회전부시(40)의 상부에 형성되어 카운터보어홀(32)의 하부를 통해 상측으로 삽입되어 환형걸림턱(34)에 걸리는 탄성후크(42)(43); 회전부시(40)의 하부 외주면 양측에서 수평하게 형성되어 석재판(20)의 상면(26)과 조정판(30)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하거나, 회전부시(40)의 회전에 의해 상부걸림홈(22)으로 진입되는 스페이서(44)(45); 회전부시(40)의 하부 외주면 전후방에 형성되어 석재고정핀(24)의 외주면을 전후방을 향해 부분 노출시키는 커팅부(46)(47); 회전부시(4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홈(48)(49); 및 석재고정핀(24)에 결합되어 결합홈(48)(49)에 걸리는 걸림핀(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Stone Fastening Device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판의 상부와 조정판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정하고, 상부에 위치된 석재판으로부터 하중이 조정판을 통해 하부에 위치된 석재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감재인 석재판을 콘크리트로 된 내벽에 설치하는 공법에는 습식법과 건식법이 있으며, 습식공법은 모르타르나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 내벽에 석재판을 부착하는 것으로 모르타르나 에폭시 접착제의 경화에 시간이 필요하고 하중분산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소규모 마감에 적용되고 있으며, 건식공법은 석재판을 볼트, 너트 및 앵글과 같은 체결물에 의해 내벽에 설치하는 것으로 경화에 필요한 시간이 필요치 않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로방지에 효과적인 공법이다.
이중 건식공법에 의한 일반적인 석재 고정장치의 일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0a)와 앵커너트(10b)에 의해 앵글(10)을 내벽(11)에 설치한 다음 하부에 위치된 석재판(12)의 상면(12a)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조정판(13)을 근각볼트(13a)와 플랜지너트(13b)를 이용해서 앵글(10)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앵글(10)에 형성된 수직장공(10c)을 통해 앵글(10)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조정판(13)의 높낮이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조정판(13)과 앵글(10)에 각각 형성된 제 1수평장공(13h)과 제 2수평장공(10h)에 의해 조정판(13)을 내벽(1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플랜지너트(13b)를 타이트하게 조여서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앵글(10)의 상하위치와 조정판(13)의 전후위치 조정을 마치고 나면, 석재고정핀(14)을 조정판(13)에 형성된 핀구멍(13p)으로 삽입한 다음 하부에 위치된 석재판(12)의 상면(12a)에 형성된 상부걸림홈(12g)에 석재고정핀(14)을 끼워서 석재판(12)이 조정판(13)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었다.
또, 조정판(13)과 석재판(12)의 상면(12a)이 이루는 간극(T)에는 평와셔(15a)(15b)를 끼운 다음 또 다른 석재판(12)을 조정판(13) 위에 올려서 지지한 후 석재판(12) 사이를 실리콘과 같은 연성의 줄눈재(12e)로 메우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석재 고정장치는 조정판(13)과 하부에 위치된 석재판(12) 사이의 간격을 맞출 때 평와셔(15a)(15b)를 끼워서 맞추게 되는데, 간격을 맞춘 다음 평와셔(15a)(15b)를 그대로 두고 줄눈재(12e)로 메우는 경우, 조정판(13) 위에 올려진 석재판(12)으로부터 작용되는 하중이 조정판(13)과 평와셔(15a)(15b)를 통해 하부에 위치된 석재판(12)으로 전달되어 누적되면서 아래쪽의 앵글(10)로 향할수록 하중 부담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하측 석재판(12)에 의한 하중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와셔(15a)(15b)를 일자드라이버와 같은 것으로 밀어서 간극(T)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평와셔(15a)(15b)가 내벽(11)과 석재판(12) 사이로 떨어지면서 쌓이게 되는데, 이 경우 내벽(11)과 석재판(12)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결로 등에 의해 바생된 수분에 의해 평와셔(15a)(15b)가 부식되면서 녹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3891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5619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석재판의 상부와 조정판 간의 간격을 편리하게 맞출 수 있고, 상측에 위치된 석재판으로부터 작용되는 하중이 하측에 위치된 석재판으로 전달되어 누적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는 석재판에 형성된 상부걸림홈에 구멍중심이 위치되도록 조정판에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환형걸림턱을 갖는 카운터보어홀; 상기 조정판의 상면에서 상기 카운터보어홀의 중심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록킹홈; 상기 카운터보어홀로 삽입되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걸림홈에 걸리는 석재고정핀을 삽입하기 위한 중공홀을 갖는 회전부시; 상기 회전부시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카운터보어홀의 하부를 통해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환형걸림턱에 걸리는 탄성후크; 상기 회전부시의 하부 외주면 양측에서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석재판의 상면과 상기 조정판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하거나, 상기 회전부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걸림홈으로 진입되는 스페이서; 상기 회전부시의 하부 외주면 전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석재고정핀의 외주면을 전후방을 향해 부분 노출시키는 커팅부; 상기 회전부시의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석재고정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홈에 걸리는 걸림핀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석재판(20)의 상면(26)과 조정판(30) 사이에 위치되는 스페이서(44)(45)에 의해 석재판(20)과 조정판(30) 사이의 간격을 편리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석재판(20)과 조정판(3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 다음 걸림핀(50)에 의해 회전부시(40)와 스페이서(44)(45)를 회전시켜서 석재판(2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걸림홈(22)으로 스페이서(44)(45)를 진입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에 위치된 석재판(20)으로부터 작용되는 하중이 조정판(30)을 통해 하부에 위치된 석재판(2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석재판(20) 간에 하중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록킹홈(36)(38)과 결합홈(48)(49)으로 걸림핀(50)이 진입되어 조정판(30)의 상면과 일치되거나 낮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석재판(20)을 조정판(30) 위에 올릴 때 걸림핀(50)이 석재판(2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44)(45)가 상부걸림홈(22)으로 진입될 때 회전부시(40)의 상단부가 환형걸림턱(34)으로 하강되어 조정판(30)의 상면과 같거나 낮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석재판(20)을 조정판(30) 위에 올릴 때 회전부시(40)가 석재판(2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44)(45)가 상부걸림홈(22)으로 진입되었을 때 걸림핀(50)이 록킹홈(36)(38)과 결합홈(48)(49)에 동시에 걸려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44)(45)가 회전되어 상부걸림홈(22)으로부터 불일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부시(40)의 하부에 형성된 커팅부(46)(47)에 의해 석재고정핀(24)의 외주면을 커팅부(46)(47)를 통해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44)(45)의 폭을 상부걸림홈(22)의 폭에 근접하도록 보다 더 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걸림홈(22)에 석재고정핀(24)과 스페이서(44)(45)를 동시에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부걸림홈(22)과 직교하게 위치된 스페이서(44)(45)를 회전시킬 때 조정판(30)의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는 걸림핀(50)을 이용해서 회전시키게 되면, 편리하게 회전부시(40)와 스페이서(44)(45)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조정판(30)에 형성된 환형걸림턱(34)과 회전부시(40)에 형성된 탄성후크(42)(43)에 의해 회전부시(40)를 아래쪽으로 하강시킬 때 카운터보어홀(32)로부터 회전부시(40)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정판(30)의 상면에 형성된 록킹홈(36)(38)에 걸림핀(50)을 일치시킬 때 스페이서(44)(45)와 상부걸림홈(22)에 일치되기 때문에 회전부시(40)와 스페이서(44)(45)를 하강시켜서 스페이서(44)(45)를 상부걸림홈(22)으로 진입시키는 작업을 보다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석재고정핀(24)에 결합되어 있는 걸림핀(50)에 의해 회전부시(40)에 형성된 중공홀(41)로 삽입되는 석재고정핀(24)의 삽입깊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석재판(20)에 형성된 하부걸림홈(28)과 상부걸림홈(22)에 석재고정핀(24)의 상하단이 접촉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석재고정핀(24) 또는 걸림핀(50)을 통해 하측의 석재판(20)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석재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석재 고정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석재 고정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가 조정판과 석재판 사이에 위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핀이 록킹홈으로 삽입되면서 회전부시가 하강되고, 스페이서가 석재판에 형성된 상부걸림홈으로 진입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상태로부터 조정판의 상면에 다른 석재판이 올려진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시와 석재고정핀 및 주변 구성품을 조정판으로부터 분리해서 보인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시와 그 주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저면측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시와 탄성후크, 스페이서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B-B'선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C-C'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석재판(20)에 형성된 상부걸림홈(22)에 구멍중심이 위치되도록 조정판(30)에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환형걸림턱(34)을 갖는 카운터보어홀(32); 상기 조정판(30)의 상면에서 상기 카운터보어홀(32)의 중심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록킹홈(36)(38)을 포함한다.
상기 카운터보어홀(32)의 구멍중심은,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볼 때 석재판(20)의 상면(26)에 형성된 상부걸림홈(22)의 폭방향 중심과 허용되는 오차범위 내에서 서로 일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록킹홈(36)(38)은, 예를 들면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카운터보어홀(32)을 사이에 두고 조정판(30)의 상면 전후방에 각각 형성할 수 있으며, 엔드밀과 같은 절삭공구에 의해 상부가 개방되고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카운터보어홀(32)로 삽입되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걸림홈(22)에 걸리는 석재고정핀(24)을 삽입하기 위한 중공홀(41)을 갖는 회전부시(40); 상기 회전부시(4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카운터보어홀(32)의 하부를 통해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환형걸림턱(34)에 걸리는 탄성후크(42)(43)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후크(42)(43)는, 도 11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변형될 때 회전부시(40)와 탄성후크(42)(43)가 서로 간섭되지 못하도록 회전부시(40)의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깊이의 간섭방지홈(42g)(43g)을 회전부시(40)의 양쪽에 각각 형성하고, 이 간섭방지홈(42g)(43g)의 바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탄성기둥(42s)(43s)을 각각 형성한 다음, 탄성기둥(42s)(43s)의 상단 끝 부분에 상기 탄성후크(42)(43)를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탄성후크(42)(43)는, 예를 들면 직각삼각형의 단면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카운터보어홀(32)의 하단부 구멍모서리를 만났을 때 중심을 향해 밀려나면서 카운터보어홀(32)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상부에 경사면(부호생략)을 형성할 수 있으며, 환형걸림턱(34)을 만났을 때 걸리도록 경사면의 하부에 직각걸림턱(부호생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탄성후크(42)(43)에 형성된 경사면과 직각걸림턱이 회전부시(40)의 외주면 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시(40)의 하부 외주면 양측에서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석재판(20)의 상면(26)과 상기 조정판(30)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하거나, 상기 회전부시(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걸림홈(22)으로 진입되는 스페이서(44)(45)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44)(45)는, 도 8 및 도 9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그 대략적인 윤곽이 일정한 폭을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페이서(44)(45)의 폭을 상부걸림홈(2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해서 스페이서(44)(45)를 상부걸림홈(22)으로 진입시키는 것을 좀 더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44)(45)에는 도 11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중앙에 보강리브(44r)(45r)를 형성해서 두께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성형시 수축으로 인한 변형을 줄이는 동시에 성형재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시(40)의 하부 외주면 전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석재고정핀(24)의 외주면을 전후방을 향해 부분 노출시키는 커팅부(46)(47); 상기 회전부시(4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홈(48)(49); 상기 석재고정핀(24)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홈(48)(49)에 걸리는 걸림핀(50)을 포함한다.
상기 석재고정핀(24)과 걸림핀(50)의 결합은, 석재고정핀(24)에 축의 직각방향으로 핀구멍(25)을 형성하고, 이 핀구멍(25)으로 걸림핀(50)을 삽입해서 서로를 결합할 수 있으며, 걸림핀(50)이 핀구멍(25)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핀구멍(25)에 순간접착제 또는 혐기성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걸림핀(50)을 삽입하거나, 걸림핀(50)을 핀구멍(25)에 압입해서 서로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시(40)와 탄성후크(42)(43), 스페이서(44)(45)는 모두 동일한 재료로부터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특히 회전부시(40)는 카운터보어홀(32)에 맞게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중공홀(41)과 커팅부(46)(47), 결합홈(48)(49)도 회전부시(40)를 성형할 때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록킹홈(36)(38)과 결합홈(48)(49)의 깊이는 걸림핀(50)의 직경과 같은 깊이를 같거나 걸림핀(50)의 직경 보다 더 큰 깊이를 갖도록 형성해서 석재판(20)을 조정판(30) 위에 올릴 때 걸림핀(50)이 석재판(2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스페이서(44)(45)가 상부걸림홈(22)으로 진입될 때 회전부시(40)의 상단부와 조정판(30)의 상면이 일치되거나 회전부시(40)의 상단부가 조정판(30)의 상면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해서, 석재판(20)을 조정판(30) 위에 올릴 때 회전부시(40)의 상단이 석재판(2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9에서 조정판(30)을 사이에 두고 각각 상하측에 위치되는 석재판(20)은, 상하로 반복해서 설치되므로 상하구분이 모호하여 모두 동일 부호를 부여해서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에서 전방측과 후방측의 기준은 평면도인 도 5 또는 도 8을 기준으로 한다.
도 4 내지 도 9에서 도면 중 부호 29는 내벽을 나타낸 것이며, 23a는 내벽(29)에 설치되는 앵커볼트를 나타낸 것이고, 23b는 앵커볼트(23a)에 결합되는 앵커너트를 나타낸 것이며, 21은 앵커볼트(23a)와 앵커너트(23b)에 의해 내벽(29)에 설치되는 앵글을 나타낸 것이고, 21h는 앵글(21)에 형성되어 앵커볼트(23a)가 통과되는 수직장공을 나타낸 것이며, 27a는 앵글(21)과 조정판(30)을 결합하기 위한 근각볼트를 나타낸 것이고, 27b는 근각볼트(27a)에 결합되는 플랜지너트를 나타낸 것이며, 30h는 조정판(30)에 형성된 수평장공을 나타낸 것이며, 28은 석재판(2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걸림홈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판(20)의 상부를 조정판(30)에 연결하기 전에 조정판(30)에 형성된 카운터보어홀(32)의 하부를 통해 상측으로 회전부시(40)를 삽입하게 되면, 회전부시(40)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어 있던 탄성후크(42)(43)의 경사면이 카운터보어홀(32)의 하측 구멍모서리를 만나서 미끄러지게 된다.
이때 탄성후크(42)(43)를 지지하고 있던 탄성기둥(42s)(43s)이 구멍중심을 향해 휘면서 탄성후크(42)(43)가 간섭방지홈(42g)(43g)의 안쪽으로 밀려난 상태에서 회전부시(40)가 카운터보어홀(32)을 계속 통과하게 된다.
이후 탄성후크(42)(43)의 하부에 형성된 직각걸림턱이 환형걸림턱(34)을 만나게 되면, 탄성기둥(42s)(43s)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후크(42)(43)가 원래의 위치인 바깥쪽으로 복원되면서 환형걸림턱(34)에 걸리게 된다.
또, 회전부시(40)의 하부에 형성된 스페이서(44)(45)가 조정판(30)의 저면에 걸리기 때문에 회전부시(40)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되며, 탄성후크(42)(43)의 걸림을 해제하지 않는 이상 회전부시(40)와 스페이서(44)(45)는 조정판(30)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탄성후크(42)(43)와 스페이서(44)(45) 및 회전부시(40)를 조정판(30)에 조립하는 작업을 제조공장에서 수행한 다음 석재판(20)을 설치하는 현장으로 이동해서 사용하게 되면, 석재판(20) 설치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후 석재판(2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걸림홈(22)과 스페이서(44)(45)가 서로 직교하도록 스페이서(44)(45)와 회전부시(40)를 회전시킨 다음 앵글(21)과 조정판(30)을 하강시켜서 스페이서(44)(45)를 석재판(20)의 상면(26)에 밀착시키게 되면, 스페이서(44)(45)에 의해 석재판(20)의 상면(26)과 조정판(30)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회전부시(40)는 스페이서(44)(45)에 의해 상승되면서 회전부시(40)의 상단부가 조정판(30)의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로 돌출된다.
그 다음 조정판(30)을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움직여서 회전부시(40)에 형성된 중공홀(41)의 구멍중심이 상부걸림홈(22)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되도록 대략 조정한 다음 핀구멍(25)을 통해 석재고정핀(24)을 회전부시(40)에 형성된 중공홀(4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석재고정핀(24)이 중공홀(41)을 통과하여 석재판(2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걸림홈(22)으로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때 석재고정핀(24)을 중공홀(41)로 삽입하기 전에 걸림핀(50)을 석재고정핀(24)에 미리 조립해 한 상태에서 석재고정핀(24)을 중공홀(41)로 삽입한 다음 회전부시(4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48)(49)에 걸림핀(50)이 끼워지도록 하게 되면, 석재고정핀(24)의 삽입깊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근각볼트(27a)와 결합되어 있는 플랜지너트(27b)를 타이트하게 조이게 되면, 조정판(30)과 앵글(21)이 서로 밀착되며, 이 상태에서 조정판(30)을 아래쪽으로 약간 누르게 되면, 조정판(30)과 석재판(20)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스페이서(44)(45)에 의해 조정판(30)과 석재판(2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후 조정판(30)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앵커너트(23b)를 조여서 앵글(21)을 내벽(29)에 고정한 다음 걸림핀(50)을 도 4의 확대도에서 나타낸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걸림핀(50)에 걸려 있는 회전부시(40)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전부시(40)와 일체로 되어 있는 스페이서(44)(45)가 회전부시(40)와 함께 회전된다.
그 다음 걸림핀(50)이 조정판(30)의 상면에 형성된 록킹홈(36)(38)에 일치될 때 석재고정핀(24)을 도 7의 확대도에 나타낸 화살표방향인 아래쪽으로 누르게 되면, 걸림핀(50)은 록킹홈(36)(38)으로 진입되어 걸리게 되고, 회전부시(40)는 걸림핀(50)에 의해 하강되어 회전부시(40)의 하부에 형성된 스페이서(44)(45)가 상부걸림홈(22)으로 진입된다.
이때 회전부시(40)에 형성된 탄성후크(42)(43)가 환형걸림턱(34)에 걸리면서 회전부시(40)가 카운터보어홀(32)로부터 이탈되어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미 조정판(30)과 앵글(21)이 고정되어 있고, 앵글(21)이 내벽(29)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44)(45)가 조정판(30)으로부터 이격되더라도 조정판(30)과 석재판(20)의 상면(26)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석재판(2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걸림홈(28)을 석재고정핀(24)의 상단에 끼워서 맞추면서 동시에 조정판(30)의 상면에 올리게 되면, 회전부시(40)의 상단부와 걸림핀(50)이 조정판(30) 위에 올려진 석재판(20)의 저면에 걸리면서 상승할 수 없게 되므로, 회전부시(40) 및 석재고정핀(24)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부시(40)의 상단부와 탄성후크(42)(43)의 상단이 조정판(30)의 상면과 일치되거나 낮은 위치인 환형걸림턱(34)의 안쪽에 위치되어 있고, 걸림핀(50)도 조정판(30)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인 록킹홈(36)(38)과 결합홈(48)(49)으로 진입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판(30)의 상면에 다른 석재판(20)을 올릴 때 돌출부분에 의한 걸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조정판(30)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위치된 두 석재판(20)의 사이를 줄눈재(도시생략)로 메우게 되면, 석재판(20) 설치작업을 마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작업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반복해나가면 석재판(20)을 더 높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20 : 석재판 21 : 앵글
21h : 수직장공 22 : 상부걸림홈
23a : 앵커볼트 23b : 앵커너트
24 : 석재고정핀 25 : 핀구멍
26 : 상면 27a : 근각볼트
27b : 플랜지너트 28 : 하부걸림홈
29 : 내벽 30 : 조정판
30h : 수평장공 32 : 카운터보어홀
34 : 환형걸림턱 36,38 : 록킹홈
40 : 회전부시 41 : 중공홀
42,43 : 탄성후크 42s,43s : 탄성기둥
42g,43g : 간섭방지홈 44r,45r : 보강리브
44,45 : 스페이서 46,47 : 커팅부
48,49 : 결합홈 50 : 걸림핀

Claims (1)

  1. 석재판(20)에 형성된 상부걸림홈(22)에 구멍중심이 위치되도록 조정판(30)에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환형걸림턱(34)을 갖는 카운터보어홀(32);
    상기 조정판(30)의 상면에서 상기 카운터보어홀(32)의 중심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록킹홈(36)(38);
    상기 카운터보어홀(32)로 삽입되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걸림홈(22)에 걸리는 석재고정핀(24)을 삽입하기 위한 중공홀(41)을 갖는 회전부시(40);
    상기 회전부시(4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카운터보어홀(32)의 하부를 통해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환형걸림턱(34)에 걸리는 탄성후크(42)(43);
    상기 회전부시(40)의 하부 외주면 양측에서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석재판(20)의 상면(26)과 상기 조정판(30)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하거나, 상기 회전부시(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걸림홈(22)으로 진입되는 스페이서(44)(45);
    상기 회전부시(40)의 하부 외주면 전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석재고정핀(24)의 외주면을 전후방을 향해 부분 노출시키는 커팅부(46)(47);
    상기 회전부시(4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홈(48)(49); 및
    상기 석재고정핀(24)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홈(48)(49)에 걸리는 걸림핀(50);
    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20150162352A 2015-11-19 2015-11-19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1592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352A KR101592903B1 (ko) 2015-11-19 2015-11-19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352A KR101592903B1 (ko) 2015-11-19 2015-11-19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903B1 true KR101592903B1 (ko) 2016-02-11

Family

ID=5535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352A KR101592903B1 (ko) 2015-11-19 2015-11-19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9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682B1 (ko) * 2016-08-22 2017-01-10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타일 위치조절 장치
KR101713659B1 (ko) * 2016-12-12 2017-03-09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공동주택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CN107724547A (zh) * 2017-09-21 2018-02-23 浙江益能建材科技有限公司 外墙保温板安装结构
CN113513079A (zh) * 2021-05-25 2021-10-19 重庆新远晋钢结构有限公司 一种展开过程中可防止误折叠的折叠箱房
KR200497223Y1 (ko) * 2023-04-05 2023-08-31 정진홍 근각볼트로 연결되는 접지 케이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114B1 (ko) 2000-05-17 2003-06-27 김안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100561968B1 (ko) 2003-11-17 2006-03-27 이순호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JP2013108285A (ja) * 2011-11-21 2013-06-06 Panasonic Corp パネル間連結装置
KR101523363B1 (ko) * 2015-01-29 2015-05-29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101540244B1 (ko) * 2015-06-17 2015-07-29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JP5796225B2 (ja) * 2012-02-10 2015-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パネル間連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114B1 (ko) 2000-05-17 2003-06-27 김안수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100561968B1 (ko) 2003-11-17 2006-03-27 이순호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JP2013108285A (ja) * 2011-11-21 2013-06-06 Panasonic Corp パネル間連結装置
JP5796225B2 (ja) * 2012-02-10 2015-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パネル間連結装置
KR101523363B1 (ko) * 2015-01-29 2015-05-29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101540244B1 (ko) * 2015-06-17 2015-07-29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682B1 (ko) * 2016-08-22 2017-01-10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타일 위치조절 장치
KR101713659B1 (ko) * 2016-12-12 2017-03-09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공동주택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CN107724547A (zh) * 2017-09-21 2018-02-23 浙江益能建材科技有限公司 外墙保温板安装结构
CN113513079A (zh) * 2021-05-25 2021-10-19 重庆新远晋钢结构有限公司 一种展开过程中可防止误折叠的折叠箱房
KR200497223Y1 (ko) * 2023-04-05 2023-08-31 정진홍 근각볼트로 연결되는 접지 케이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903B1 (ko)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1540244B1 (ko)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101808144B1 (ko)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1666118B1 (ko) 천장 마감 몰딩
KR101751892B1 (ko)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1751888B1 (ko) 공동주택용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523363B1 (ko)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101810602B1 (ko) 건축물 외벽 마감재 고정용 앵커플레이트
KR101638598B1 (ko) 공동주택용 석재마감벽 고정장치
KR20090037721A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KR101828368B1 (ko) 천장 몰딩장치
KR101713659B1 (ko) 공동주택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2516970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1869695B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1825662B1 (ko) 건축물의 마감패널 고정장치
KR20100010115A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KR20110000265A (ko) 그레이팅 패널 고정구
KR102195951B1 (ko) 타일의 건식 시공방법 및 설치구조
KR101548979B1 (ko) 석재판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재판 시공방법
KR20200095776A (ko) 파이프 행거용 클램프
KR101662780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200303756Y1 (ko) 거푸집용 각목고정구
KR101691580B1 (ko) 외장패널의 사선방향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 고정장치
JPS613563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