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892B1 -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892B1
KR101751892B1 KR1020170030434A KR20170030434A KR101751892B1 KR 101751892 B1 KR101751892 B1 KR 101751892B1 KR 1020170030434 A KR1020170030434 A KR 1020170030434A KR 20170030434 A KR20170030434 A KR 20170030434A KR 101751892 B1 KR101751892 B1 KR 10175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s
stone
triangular side
inclined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성
Original Assignee
김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환성 filed Critical 김환성
Priority to KR1020170030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형의 톱니 및 누름나사와 당김나사를 이용해서 석재판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앵커볼트(21)에 의해 내벽(20)에 설치되는 벽면고정판(30); 벽면고정판(30)의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전방측 단부에 계단형태의 상향경사톱니(32c)(34c)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정방향 삼각측판(32)(34); 상향경사톱니(32c)(34c)에 각각 맞물리는 하향경사톱니(42c)(44c)가 후방측 단부에 계단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역방향 삼각측판(42)(44); 역방향 삼각측판(42)(44)의 전방측 단부를 연결하고, 사이에 전후방측으로 통하는 개방구(46)를 갖는 상부연결판(45)과 하부연결판(47); 상부연결판(45)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역기역자 모양의 벤딩부(48); 벤딩부(48)를 통해 역방향 삼각측판(42)(44)의 사이를 지나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정방향 삼각측판(32)(34)의 사이로 삽입되어 좌우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높낮이조정판(40); 높낮이조정판(4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개되어 앵커볼트(21)가 삽입되는 수직슬롯(40s)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Stone Fastening Device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마감재로 사용되는 석재판을 콘크리트 내벽에 고정하고 높이를 조정하는데 이용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단형의 톱니 및 누름나사와 당김나사를 이용해서 석재판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감재인 석재판을 콘크리트 내벽에 설치하는 공법에는 습식법과 건식법이 있으며, 습식공법은 모르타르나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해서 내벽에 석재판을 부착하는 것으로 모르타르나 에폭시 접착제의 경화에 시간이 필요하고 하중분산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소규모 마감에 적용되고 있다.
건식공법은 석재판을 볼트, 너트 및 앵글과 같은 체결물에 의해 내벽에 설치하는 것으로 경화에 필요한 시간이 필요치 않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로방지에 효과적인 공법이다.
이중 건식공법에 의한 종래 석재 고정장치의 일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트앵커(10a)와 앵커너트(10b)에 의해 앵글(10)을 콘크리트로 된 내벽(11)에 설치한 다음 석재판(12)의 상면(12a) 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조정판(13)을 근각볼트(13a)와 플랜지너트(13b)를 이용해서 앵글(10)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 앵글(10)에 형성된 수직장공(10c)을 통해 앵글(10)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석재판(12)의 높낮이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조정판(13)과 앵글(10)에 각각 형성된 제 1수평장공(13h)과 제 2수평장공(10h)에 의해 조정판(13)을 내벽(1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플랜지너트(13b)를 타이트하게 조여서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앵글(10)의 상하위치와 조정판(13)의 전후위치 조정을 마치고 나면, 석재고정핀(14)을 조정판(13)에 형성된 핀구멍(13p)으로 삽입한 다음 석재판(12)의 상면(12a)에 형성된 홈에 석재고정핀(14)을 끼워서 석재판(12)이 조정판(13)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었다.
또, 석재판(12)을 조정판(13) 위에 올려서 지지한 후 석재판(12) 사이를 실리콘과 같은 연성의 줄눈재(12e)로 메우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석재 고정장치는 석재판(12)의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해 석재판(12)을 조정판(13) 위에 임시로 올린 다음 석재판(12)의 줄눈 높이를 측정한 후 맞지 않으면 다시 석재판(12)을 조정판(13)으로부터 내리고, 앵커너트(10b)를 느슨하게 푼 다음 앵글(10)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여서 높낮이를 맞추고 다시 석재판(12)을 조정판(13) 위에 올려서 줄눈 높이를 재측정하는 작업을 반복해서 석재판(12)의 높낮이를 맞추고 있었다.
그러나, 앵커너트(10b)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앵글(10)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앵글(10)이 좌우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손 떨림이 있으면 미세한 조정이 어렵기 때문에 정밀시공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석재판(12)을 반복해서 내리고 올리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석재판(12)을 조정판(13) 위에 얹은 상태에서는 높낮이를 조정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석재판(12)과 내벽(11) 사이의 비좁은 공간으로 체결공구를 넣고 앵커너트(10b)를 풀고 조여야 하고, 동시에 앵글(10)도 깊고 좁은 공간에서 손으로 잡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0389114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05619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석재판의 높낮이 조정작업을 편리하고 정밀하게 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는, 앵커볼트에 의해 내벽에 설치되는 벽면고정판; 벽면고정판의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전방측 단부에 계단형태의 상향경사톱니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정방향 삼각측판; 상향경사톱니에 각각 맞물리는 하향경사톱니가 후방측 단부에 계단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역방향 삼각측판; 역방향 삼각측판의 전방측 단부를 연결하고, 사이에 전후방측으로 통하는 개방구를 갖는 상부연결판과 하부연결판; 상부연결판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역기역자 모양의 벤딩부; 벤딩부를 통해 역방향 삼각측판의 사이를 지나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정방향 삼각측판의 사이로 삽입되어 좌우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높낮이조정판; 높낮이조정판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개되어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수직슬롯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역방향 삼각측판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핀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핀지지판; 핀구멍에 양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피봇핀; 피봇핀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시소 움직임을 갖고, 후방측에 작용부가 형성되며 석재지지판이 설치되는 미세조정판; 피봇핀을 삽입하기 위해 미세조정판으로부터 반원형으로 부분 절개되어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핀삽입부; 미세조정판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을 향해 절곡되어 석재지지판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턱; 작용부의 후단부 중앙에 형성되어 앵커볼트의 간섭을 회피하는 노치; 벤딩부에 형성되는 탭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작용부를 누르는 누름나사; 벤딩부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에 삽입되고, 작용부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결합되어 작용부를 상측으로 당기는 당김나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벽면고정판(30)을 내벽(20)에 고정한 상태에서 정방향 삼각측판(32)(34)과 역방향 삼각측판(42)(44)에 각각 형성된 상향경사톱니(32c)(34c)와 하향경사톱니(42c)(44c)를 이용해서 높낮이를 단계적으로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높낮이를 조정할 때 높낮이조정판(40)의 하단부가 정방향 삼각측판(32)(34)의 사이로 삽입되기 때문에 정방향 삼각측판(32)(34)과 역방향 삼각측판(42)(44)을 서로 맞물릴 때 정방향 삼각측판(32)(34)과 역방향 삼각측판(42)(44)이 좌우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위치결정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당김나사(72)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누름나사(70)에 의해 작용부(59)를 가압해서 미세조정판(50)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석재판(22)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맞춘 상태에서 당김나사(72)를 타이트하게 조이면 미세조정판(50)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당김나사(72)와 누름나사(70)의 볼트머리가 상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석재판(22)과 내벽(20)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비교적 긴 알렌-렌치와 같은 체결공구를 집어넣고 당김나사(72)와 누름나사(70)의 볼트머리에 결합해서 돌리는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석재판(22)을 석재지지판(23)에 올린 상태에서 높낮이 조정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앵커볼트(21)에 결합되는 고정너트(26)(27)를 이용해서 높낮이조정판(40)의 전후면을 압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높낮이조정판(40)의 고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높낮이조정판(40)에 형성된 수직슬롯(40s)에 의해 높낮이조정판(40)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앵커볼트(21)와 높낮이조정판(40)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작용부(59)에 형성된 노치(56)에 의해 미세조정판(50)이 피봇핀(51)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작용부(59)가 앵커볼트(2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미세조정판(50)에 형성된 걸림턱(54)(55)에 의해 플랜지너트(25a)를 조이거나 풀 때 석재지지판(23)이 플랜지너트(25a)와 함께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석재판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석재판 고정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석재판 고정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측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저면측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앵커볼트(21)에 의해 내벽(20)에 설치되는 벽면고정판(30); 벽면고정판(30)의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전방측 단부에 계단형태의 상향경사톱니(32c)(34c)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정방향 삼각측판(32)(34)을 포함한다.
벽면고정판(30)과 정방향 삼각측판(32)(34)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을 ㄷ자 모양으로 절곡해서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벽면고정판(30)의 중앙에는 앵커볼트(21)가 삽입되는 수직장공(30s)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향경사톱니(32c)(34c)에 각각 맞물리는 하향경사톱니(42c)(44c)가 후방측 단부에 계단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역방향 삼각측판(42)(44); 역방향 삼각측판(42)(44)의 전방측 단부를 연결하고, 사이에 전후방측으로 통하는 개방구(46)를 갖는 상부연결판(45)과 하부연결판(47)을 포함한다.
역방향 삼각측판(42)(44)과 상부연결판(45) 및 하부연결판(47)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을 ㄷ자 모양으로 절곡해서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역방향 삼각측판(42)(44)은 정방향 삼각측판(32)(34)을 상하로 반전시킨 형태로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부연결판(45)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역기역자 모양의 벤딩부(48); 벤딩부(48)를 통해 역방향 삼각측판(42)(44)의 사이를 지나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정방향 삼각측판(32)(34)의 사이로 삽입되어 좌우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높낮이조정판(40); 높낮이조정판(4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개되어 앵커볼트(21)가 삽입되는 수직슬롯(40s)을 포함한다.
벤딩부(48)와 높낮이조정판(40)은 상기 상부연결판(45)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을 절곡해서 상부연결판(45)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높낮이조정판(40)의 높낮이를 조정한 다음 앵커볼트(21)에 결합되는 와셔(26a)(27a)와 고정너트(26)(27)에 의해 높낮이조정판(40)의 전후면을 가압해서 높낮이조정판(40)을 앵커볼트(21)에 고정한다.
특히 역방향 삼각측판(42)(44)에 형성된 하향경사톱니(42c)(44c)를 정방향 삼각측판(32)(34)에 형성된 상향경사톱니(32c)(34c)에 맞물릴 때 높낮이조정판(40)의 하단부가 정방향 삼각측판(32)(34)의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해서 하향경사톱니(42c)(44c)와 상향경사톱니(32c)(34c)가 좌우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역방향 삼각측판(42)(44)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핀구멍(57h)(58h)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핀지지판(57)(58); 핀구멍(57h)(58h)에 양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피봇핀(51); 피봇핀(5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시소 움직임을 갖고, 후방측에 작용부(59)가 형성되며 석재지지판(23)이 설치되는 미세조정판(50)을 포함한다.
핀지지판(57)(58)은, 예를 들면 상부연결판(45)과 하부연결판(47)의 사이에 형성된 개방구(46)를 형성할 때, 개방구(46)에 위치되어 있던 강판의 일부를 바깥쪽으로 절곡함으로써 핀지지판(57)(58)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피봇핀(51)의 한쪽 단부에는 피봇핀(51) 보다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51a)를 형성하고, 피봇핀(51)을 핀구멍(57h)(58h)과 핀삽입부(52a)(52b)(53)로 삽입한 다음 반대편으로 돌출된 끝 부분을 가압하거나 타격해서 리벳머리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피봇핀(5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미세조정판(50)에는 석재지지판(23)에 형성된 수평장공(23s)과 중심이 일치되는 또 다른 수평장공(50s)을 형성해서 플랜지너트(25a)와 근각볼트(25b)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석재지지판(23)을 전후방향으로 움직여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피봇핀(51)을 삽입하기 위해 미세조정판(50)으로부터 반원형으로 부분 절개되어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핀삽입부(52a)(52b)(53); 미세조정판(50)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을 향해 절곡되어 석재지지판(23)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턱(54)(55)을 포함한다.
핀삽입부(52a)(52b)(53)는, 예를 들면 중앙 한 개는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성형하고, 가장자리에 위치된 나머지 두 개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성형하며, 핀삽입부(52a)(52b)(53)가 측면에서 볼 때 중심이 일치되도록 한다.
걸림턱(54)(55)은 석재지지판(23)을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때 석재지지판(23)을 직선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플랜지너트(25a)를 조이거나 풀 때 석재지지판(23)이 플랜지너트(25a)와 함께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작용부(59)의 후단부 중앙에 형성되어 앵커볼트(21)의 간섭을 회피하는 노치(56); 벤딩부(48)에 형성되는 탭구멍(48t)에 나사 결합되어 작용부(59)를 누르는 누름나사(70); 벤딩부(48)에 형성되는 관통구멍(48h)에 삽입되고, 작용부(59)에 형성된 나사구멍(50t)에 결합되어 작용부(59)를 상측으로 당기는 당김나사(72)를 포함한다.
당김나사(72)를 느슨하게 풀어서 상승시킨 상태에서 누름나사(7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게 되면, 미세조정판(50)이 누름나사(70)에 의해 피봇핀(5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승강된다.
이때 미세조정판(50)에 석재판(22)을 올린 경우 석재판(22)의 중력 때문에 작용부(59)가 누름나사(70)의 하단부에 항상 밀착된 상태에서 미세조정판(50)이 누름나사(70)를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된다.
이후 석재판(22)이 적절한 높이에 도달되면 누름나사(70)의 회전을 멈춘 상태에서 풀어져 있던 당김나사(72)를 다시 타이트 하게 조이면, 미세조정판(50)이 흔들림 없이 고정된다.
도면 중 부호 22는 석재지지판(23) 위에 올려지는 석재판을 나타낸 것이고, 23h는 석재지지판(23)에 형성된 삽입구멍을 나타낸 것이며, 24는 삽입구멍(23h)에 삽입되어 석재판(22)에 걸리는 걸림핀을 나타낸 것이고, 28b와 28a는 앵커볼트(21)에 끼워지는 평와셔와 스프링와셔를 나타낸 것이며, 28은 앵커볼트(21)에 결합되어 벽면고정판(30)을 내벽(20)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너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20)에 천공된 구멍(도시생략)에 앵커볼트(21)를 삽입해서 고정한 다음 벽면고정판(30)에 형성된 수직장공(30s)으로 앵커볼트(21)를 삽입하고 벽면고정판(30)을 내벽(20)에 밀착시킨 후 앵커볼트(21)에 평와셔(28b)와 스프링와셔(28a)를 순차적으로 끼운 다음 앵커볼트(21)에 앵커너트(28)를 결합해서 타이트하게 조이면 벽면고정판(30)이 내벽(20)에 고정된다.
이때 상향경사톱니(32c)(34c)가 상측을 향하도록 벽면고정판(30)을 설치해야 하며, 앵커너트(28)를 조이기 전에 바이알 수평기(도시생략)와 같이 수평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이용해서 벽면고정판(30)의 수평을 맞춘 다음 앵커너트(28)를 타이트하게 조인다.
그 다음 높낮이조정판(40)의 하단부를 정방향 삼각측판(32)(34)의 사이로 삽입한 상태에서 높낮이조정판(40)의 높이를 적절한 높이로 맞추고, 역방향 삼각측판(42)(44)에 형성된 하향경사톱니(42c)(44c)를 상향경사톱니(32c)(34c)에 맞물린 다음 앵커볼트(21)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너트(26)(27)를 이용해서 높낮이조정판(40)의 전후면을 가압하면 높낮이조정판(40)에 의해 1차 높낮이 조정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고정너트(26)(27)를 타이트 하게 조일 때 역방향 삼각측판(42)(44)의 하부 개방공간을 통해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집어넣어서 조이면 체결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상향경사톱니(32c)(34c)와 하향경사톱니(42c)(44c)의 맞물림에 의해 높낮이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높낮이조정판(40)에 형성된 수직슬롯(40s)은 높낮이조정판(40)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앵커볼트(21)가 높낮이조정판(4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후 근각볼트(25b)와 플랜지너트(25a)에 의해 석재지지판(23)을 미세조정판(50)의 상면에 설치한 다음 플랜지너트(25a)를 느슨하게 풀고, 석재지지판(23)을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석재지지판(23)이 걸림턱(54)(55)의 안내를 받으면서 전후 직선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석재지지판(23)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플랜지너트(25a)를 타이트 하게 조이게 되면, 석재지지판(23)이 미세조정판(5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플랜지너트(25a)를 돌릴 때 석재지지판(23)이 걸림턱(54)(55)에 걸려 있기 때문에 석재지지판(23)이 플랜지너트(25a)를 따라 함께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석재지지판(23) 위에 석재판(22)을 올려놓고 석재판(22)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 당김나사(72)를 느슨하게 풀어서 상승시킨 상태에서 누름나사(7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게 되면, 미세조정판(50)이 누름나사(70)에 의해 피봇핀(5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승강된다.
이때 석재판(22)의 중력 때문에 작용부(59)가 누름나사(70)의 하단부에 항상 밀착되기 때문에 미세조정판(50)이 누름나사(70)를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되며, 석재판(22)이 적절한 높이에 도달되면 누름나사(70)의 회전을 멈추고 풀어져 있던 당김나사(72)를 타이트 하게 조이면 미세조정판(50)이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2차 높낮이 조정작업이 완료된다.
20 : 내벽 21 : 앵커볼트
22 : 석재판 23 : 석재지지판
23h : 삽입구멍 24 : 걸림핀
25a : 플랜지너트 25b : 근각볼트
26,27 : 고정너트 26a,27a : 와셔
28 : 앵커너트 28a : 스프링와셔
28b : 평와셔 30 : 벽면고정판
30s : 수직장공 32,34 : 정방향 삼각측판
32c,34c : 상향경사톱니 40 : 높낮이조정판
40s : 수직슬롯 42,44 : 역방향 삼각측판
42c,44c : 하향경사톱니 45 : 상부연결판
46 : 개방구 47 : 하부연결판
48 : 벤딩부 48h : 관통구멍
48t : 탭구멍 49a,49b : 핀지지판
49c,49d : 핀구멍 50 : 미세조정판
50s,23s : 수평장공 50t : 나사구멍
51 : 피봇핀 51a : 헤드부
52a,52b,53 : 핀삽입부 54,55 : 걸림턱
56 : 노치 57,58 : 핀지지판
57h,58h : 핀구멍 59 : 작용부
70 : 누름나사 72 : 당김나사

Claims (2)

  1. 앵커볼트(21)에 의해 내벽(20)에 설치되는 벽면고정판(30);
    상기 벽면고정판(30)의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전방측 단부에 계단형태의 상향경사톱니(32c)(34c)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정방향 삼각측판(32)(34);
    상기 상향경사톱니(32c)(34c)에 각각 맞물리는 하향경사톱니(42c)(44c)가 후방측 단부에 계단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역방향 삼각측판(42)(44);
    상기 역방향 삼각측판(42)(44)의 전방측 단부를 연결하고, 사이에 전후방측으로 통하는 개방구(46)를 갖는 상부연결판(45)과 하부연결판(47);
    상기 상부연결판(45)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역기역자 모양의 벤딩부(48);
    상기 벤딩부(48)를 통해 상기 역방향 삼각측판(42)(44)의 사이를 지나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정방향 삼각측판(32)(34)의 사이로 삽입되어 좌우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높낮이조정판(40);
    상기 높낮이조정판(4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개되어 상기 앵커볼트(21)가 삽입되는 수직슬롯(40s);
    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삼각측판(42)(44)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핀구멍(57h)(58h)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핀지지판(57)(58);
    상기 핀구멍(57h)(58h)에 양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피봇핀(51);
    상기 피봇핀(5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시소 움직임을 갖고, 후방측에 작용부(59)가 형성되며 석재지지판(23)이 설치되는 미세조정판(50);
    상기 피봇핀(51)을 삽입하기 위해 상기 미세조정판(50)으로부터 반원형으로 부분 절개되어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핀삽입부(52a)(52b)(53);
    상기 미세조정판(50)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석재지지판(23)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턱(54)(55);
    상기 작용부(59)의 후단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앵커볼트(21)의 간섭을 회피하는 노치(56);
    상기 벤딩부(48)에 형성되는 탭구멍(48t)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작용부(59)를 누르는 누름나사(70);
    상기 벤딩부(48)에 형성되는 관통구멍(48h)에 삽입되고, 상기 작용부(59)에 형성된 나사구멍(50t)에 결합되어 상기 작용부(59)를 상측으로 당기는 당김나사(72);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20170030434A 2017-03-10 2017-03-10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175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34A KR101751892B1 (ko) 2017-03-10 2017-03-10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434A KR101751892B1 (ko) 2017-03-10 2017-03-10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892B1 true KR101751892B1 (ko) 2017-06-28

Family

ID=5928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434A KR101751892B1 (ko) 2017-03-10 2017-03-10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8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144B1 (ko) 2017-07-26 2017-12-12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1861083B1 (ko) 2018-01-08 2018-07-02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20190021836A (ko) * 2017-08-24 2019-03-06 세진산업(주) 내진지지장치
KR102224180B1 (ko) * 2021-01-22 2021-03-08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전기 분전함
KR102389022B1 (ko) * 2021-06-15 2022-04-20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통신단자함 고정구
KR102601794B1 (ko) * 2023-07-11 2023-11-14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71B1 (ko) 2007-03-19 2008-10-09 김종성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028425B1 (ko) 2008-06-30 2011-04-14 (주)해주석재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1324726B1 (ko) 2012-07-30 2013-11-05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71B1 (ko) 2007-03-19 2008-10-09 김종성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028425B1 (ko) 2008-06-30 2011-04-14 (주)해주석재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1324726B1 (ko) 2012-07-30 2013-11-05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144B1 (ko) 2017-07-26 2017-12-12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20190021836A (ko) * 2017-08-24 2019-03-06 세진산업(주) 내진지지장치
KR101959968B1 (ko) 2017-08-24 2019-03-20 세진산업(주) 내진지지장치
KR101861083B1 (ko) 2018-01-08 2018-07-02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102224180B1 (ko) * 2021-01-22 2021-03-08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전기 분전함
KR102389022B1 (ko) * 2021-06-15 2022-04-20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통신단자함 고정구
KR102601794B1 (ko) * 2023-07-11 2023-11-14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892B1 (ko)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EP0177959A1 (en) Nailing anchor and method of use
GB2149439A (en) Support shoe for posts
KR101808144B1 (ko)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1592903B1 (ko)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US4690359A (en) Take-up bracket for flooring adjustment
KR101638598B1 (ko) 공동주택용 석재마감벽 고정장치
US10590663B1 (en) Clamps for installing siding
KR101869695B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WO2013163667A1 (en) Rail clamp
KR200397233Y1 (ko)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
US4474222A (en) Stud starter guide plate
JP3761464B2 (ja) パッキング材及び床下換気構造の構築方法
JP2002294975A (ja) パネル取付構造
JP2583049B2 (ja) 床パネルの取付け装置
KR200389431Y1 (ko) 바닥 콘크리트층의 수평레벨링장치
JPS6029564Y2 (ja) 根太支持金具
JPH0540428U (ja) 壁パネルへの天井部材の取付金具
JP6927795B2 (ja) 軒樋支持具及び軒樋の支持方法
JPS609291Y2 (ja) 瓦の浮上り防止クリツプ
JPH0728303Y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レベル調整具
KR200269396Y1 (ko) 천정판 부착용 지지간의 체결장치
JPS5811995Y2 (ja) 据付台
JP3080728U (ja) 鉄骨材の上下位置調整器
JPH036942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