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794B1 -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794B1
KR102601794B1 KR1020230089680A KR20230089680A KR102601794B1 KR 102601794 B1 KR102601794 B1 KR 102601794B1 KR 1020230089680 A KR1020230089680 A KR 1020230089680A KR 20230089680 A KR20230089680 A KR 20230089680A KR 102601794 B1 KR102601794 B1 KR 102601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ire
base block
gap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동백
Original Assignee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9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앵커볼트(20)를 설치한 내벽(10)의 표면에 밀착하는 베이스블럭(30); 내벽(10)의 표면에서 돌출한 슬리브(21)의 외주면과 간격을 이루도록 베이스블럭(30)에 형성하는 슬리브구멍(31); 베이스블럭(30)의 경사면(32) 가장자리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하고, 아래쪽에서 상측으로 향할수록 내벽(10)의 표면에서 멀어지는 평행한 한 쌍의 경사홈(33); 경사홈(33)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한 쌍의 삼각슬라이더(41); 삼각슬라이더(41)의 단부를 가로지르고, 내벽(10)의 표면과 평행한 간격조절판(40); 슬리브구멍(31)과 중첩하도록 간격조절판(40)에 형성하고, 앵커볼트(20)가 통과하는 수직장공(42); 간격조절판(40)의 상단에서 내벽(10)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하는 상판(43); 상판(43)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버링너트(44); 버링너트(44)에 결합하여 상판(43)과 베이스블럭(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간격조절판(40)과 내벽(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4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Anchor Spacer}
본 발명은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벽의 표면으로 돌출한 앵커볼트의 슬리브에 간섭하는 것 없이 마감보드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마감보드를 내벽에 설치하기 위해 내벽에 앵커볼트를 설치하고, 앵커볼트에 연결되는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석재보드를 내벽에 설치하고 있다.
앵커볼트를 내벽에 설치하기 전에 내벽에 적절한 깊이의 구멍을 천공한 다음 천공된 구멍에 앵커볼트를 박아서 설치하는데, 이때 천공된 구멍의 깊이가 적정 깊이보다 짧게 천공된 경우 앵커볼트의 슬리브가 내벽의 표면으로 돌출한다.
이와 같이 앵커볼트의 슬리브가 내벽의 표면으로 돌출하면 연결철물을 구성하는 앵글을 내벽에 밀착시킬 수 없으므로, 경사진 쐐기를 앵글과 내벽 사이에 박아서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계절간 온도변화에 의해 쐐기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면 이탈하여 연결철물이 지지력을 상실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304511호(공고 2013.09.05.) 국내 등록특허 제10-2255364호(공고 2021.05.24.) 국내 등록특허 제10-1023407호(공고 2011.03.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내벽의 표면으로 돌출한 앵커볼트의 슬리브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간격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는, 앵커볼트를 설치한 내벽의 표면에 밀착하는 베이스블럭; 내벽의 표면에서 돌출한 슬리브의 외주면과 간격을 이루도록 베이스블럭에 형성하는 슬리브구멍; 베이스블럭의 경사면 가장자리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하고, 아래쪽에서 상측으로 향할수록 내벽의 표면에서 멀어지는 평행한 한 쌍의 경사홈; 경사홈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한 쌍의 삼각슬라이더; 삼각슬라이더의 단부를 가로지르고, 내벽의 표면과 평행한 간격조절판; 슬리브구멍과 중첩하도록 간격조절판에 형성하고, 앵커볼트가 통과하는 수직장공; 간격조절판의 상단에서 내벽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하는 상판; 상판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버링너트; 버링너트에 결합하여 상판과 베이스블럭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간격조절판과 내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블럭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형성하는 한 쌍의 와이어 걸림홈; 삼각슬라이더의 하단에서 상측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형성하는 노치; 삼각슬라이더의 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와이어 걸림구멍; 삼각슬라이더의 내측을 가로질러서 노치에 걸리는 크로스 와이어; 크로스 와이어의 양단에서 베이스블럭의 양측면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하부연장부; 하부연장부의 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ㄷ자 모양으로 각각 형성하고, 와이어 걸림홈에 걸리는 한 쌍의 이탈방지 와이어; 이탈방지 와이어의 상단에서 내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상부연장부; 상부연장부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와이어 걸림구멍에 걸리는 한 쌍의 탈거와이어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내벽(10)에 지지된 베이스블럭(30)과 간격조절판(40)에 의해 내벽(10)와 앵글(11) 사이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내벽(10)의 표면으로 돌출한 슬리브(21)가 위치되는 슬리브구멍(31)이 베이스블럭(3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리브(21)에 간섭없이 앵글(11)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 걸림구멍(47)에 삽입된 탈거와이어(64), 와이어 걸림홈(34)에 걸린 이탈방지 와이어(62) 및 노치(46)에 걸린 크로스 와이어(60)에 의해 베이스블럭(30)과 간격조절판(4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블럭(30)에 형성한 경사홈(33)에 의해 삼각슬라이더(41)를 상하 직선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탈거와이어(64)를 와이어 걸림구멍(47)에서 분리한 후 하강시키면 크로스 와이어(60)를 노치(46)에서 분리할 수 있고, 이탈방지 와이어(62)도 와이어 걸림홈(34)에서 분리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간격조절판(40)을 미세하게 상승시키는 경우 탈거와이어(64)와 이탈방지 와이어(62)의 사이가 탄성변형에 의해 벌어지고, 크로스 와이어(60)와 이탈방지 와이어(62)의 사이도 탄성변형에 의해 벌어지므로, 탈거와이어(64), 크로스 와이어(60) 및 이탈방지 와이어(62)를 분리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탈거와이어(64), 크로스 와이어(60) 및 이탈방지 와이어(62)를 삼각슬라이더(41)와 베이스블럭(30)에서 분리하면 간격조절판(40)의 간격조절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을 반대편 아래쪽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내벽과 앵글 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를 반대편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홈과 삼각슬라이더를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앵커볼트(20)를 설치한 내벽(10)의 표면에 밀착하는 베이스블럭(30); 내벽(10)의 표면에서 돌출한 슬리브(21)의 외주면과 간격을 이루도록 베이스블럭(30)에 형성하는 슬리브구멍(31); 베이스블럭(30)의 경사면(32) 가장자리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하고, 아래쪽에서 상측으로 향할수록 내벽(10)의 표면에서 멀어지는 평행한 한 쌍의 경사홈(33)을 포함한다.
베이스블럭(3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성형할 수 있다. 베이스블럭(30)의 성형시 수축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의 살두께를 갖도록 성형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블럭(30)의 배면에 형성한 공간에 일정한 두께의 수직보강립(35)과 수평보강립(36)을 형성하여 내부를 보강할 수 있다.
슬리브구멍(31)은 내벽(10)의 표면으로 돌출한 슬리브(21)가 베이스블럭(30)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슬리브(21)의 외경보다 큰 폭을 갖는 장공 형태로 슬리브구멍(31)을 형성할 수 있다. 슬리브구멍(31)은 베이스블럭(30)의 전후방향으로 관통한다.
경사면(32)은 베이스블럭(30)의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표면이 내벽(10)에 더 가까워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홈(33)의 폭과 기울기는 하기의 삼각슬라이더(41)의 폭과 기울기에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은 경사홈(33)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한 쌍의 삼각슬라이더(41); 삼각슬라이더(41)의 단부를 가로지르고, 내벽(10)의 표면과 평행한 간격조절판(40); 슬리브구멍(31)과 중첩하도록 간격조절판(40)에 형성하고, 앵커볼트(20)가 통과하는 수직장공(42)을 포함한다.
삼각슬라이더(41)와 간격조절판(40) 및 하기의 상판(43)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소재로 하여 커팅과 절곡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수직장공(42)의 중심은 슬리브구멍(31)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형성한다.
삼각슬라이더(41)가 경사홈(33)을 따라 미끄러질 때 간격조절판(40)과 내벽(10) 사이의 간격이 변한다. 수직장공(42)의 폭은 앵커볼트(20)의 직경보다 큰 폭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은 간격조절판(40)의 상단에서 내벽(10)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하는 상판(43); 상판(43)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버링너트(44); 버링너트(44)에 결합하여 상판(43)과 베이스블럭(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간격조절판(40)과 내벽(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45)를 포함한다.
상판(43)에 설치하는 버링너트(44)의 중심에는 나사구멍(부호생략)을 형성한다. 간격조절볼트(45)는 버링너트(44)에 형성한 나사구멍에 나사결합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블럭(30)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형성하는 한 쌍의 와이어 걸림홈(34); 삼각슬라이더(41)의 하단에서 상측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형성하는 노치(46); 삼각슬라이더(41)의 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와이어 걸림구멍(47)을 포함한다.
와이어 걸림홈(34)은 베이스블럭(30)의 양측면에 일정한 폭과 깊이로 형성한다. 한 쌍의 와이어 걸림홈(34)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한다. 와이어 걸림홈(34)의 폭은 이탈방지 와이어(62)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한다. 간격조절판(40)을 움직일 때 이탈방지 와이어(62)가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와이어 걸림홈(34)의 폭을 이탈방지 와이어(62)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노치(46)는 삼각슬라이더(41)의 하단에서 상측을 향해 일정한 폭과 깊이로 형성한다. 와이어 걸림구멍(47)은 삼각슬라이더(41)의 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천공한다.
본 발명은 삼각슬라이더(41)의 내측을 가로질러서 노치(46)에 걸리는 크로스 와이어(60); 크로스 와이어(60)의 양단에서 베이스블럭(30)의 양측면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하부연장부(61); 하부연장부(61)의 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ㄷ자 모양으로 각각 형성하고, 와이어 걸림홈(34)에 걸리는 한 쌍의 이탈방지 와이어(62)를 포함한다.
크로스 와이어(60)는 노치(46)를 관통하여 양단이 삼각슬라이더(41)의 측면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한다. 하부연장부(61)는 삼각슬라이더(41)와 일정한 거리로 이격하도록 설치한다. 이탈방지 와이어(62)는 와이어 걸림홈(34)에 끼워서 설치한다.
본 발명은 이탈방지 와이어(62)의 상단에서 내벽(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상부연장부(63); 상부연장부(63)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와이어 걸림구멍(47)에 걸리는 한 쌍의 탈거와이어(64)를 포함한다.
상부연장부(63)는 삼각슬라이더(41)와 일정한 거리로 이격하도록 설치한다. 탈거와이어(64)는 와이어 걸림구멍(47)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탈거와이어(64)를 와이어 걸림구멍(47)에 삽입할 때 상부연장부(63)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서 탈거와이어(64)의 사이를 벌린다.
이때 탈거와이어(64)의 단부를 와이어 걸림구멍(47)에 일치시키고 잡고 있던 손을 떼면, 변형된 이탈방지 와이어(62)가 지니고 있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탈거와이어(64)가 와이어 걸림구멍(47)으로 자동 삽입된다. 탈거와이어(64)를 와이어 걸림구멍(47)에서 분리할 때는 결합의 역순으로 한다.
크로스 와이어(60), 하부연장부(61), 이탈방지 와이어(62), 상부연장부(63) 및 탈거와이어(64)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스프링 강선을 소재로 하여 절곡가공에 의해 모두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와이어 걸림구멍(47)에 삽입된 탈거와이어(64)와 노치(46)에 걸린 크로스 와이어(60)에 의해 간격조절판(40)과 삼각슬라이더(41)가 베이스블럭(30)에서 이탈할 수 없다.
베이스블럭(30)의 양측면에 형성한 와이어 걸림홈(34)에 걸려 있는 이탈방지 와이어(62)에 의해 베이스블럭(30)이 간격조절판(40)에서 이탈할 수 없다.
크로스 와이어(60), 하부연장부(61), 이탈방지 와이어(62), 상부연장부(63) 및 탈거와이어(64)는 베이스블럭(30)과 간격조절판(40)을 내벽(10)과 앵글(11) 사이에 설치한 후 분리할 수 있다.
내벽(10)에 설치한 앵커볼트(20)와 마감보드(14)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철물은, 앵커볼트(20)에 결합하는 앵커너트(16), 마감보드(14)를 지지하는 보드받침판(19), 마감보드(14)에 걸리는 걸림핀(13), 앵글(11)과 보드받침판(19)을 고정하는 근각볼트(12), 근각볼트(12)에 결합하는 플랜지너트(15)로 구성할 수 있다.
앵글(11)과 앵커너트(16)의 사이에는 앵커볼트(20)에 끼우는 스프링 와셔(17)와 평와셔(18)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10)에 설치한 앵커볼트(20)의 슬리브(21) 단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면, 앵글(11)을 내벽(10)에 밀착시킬 수 없는데, 이 경우 내벽(10)과 앵글(11)의 사이에 본 발명을 설치하면 앵글(11)을 지지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10)에 설치된 앵커볼트(20)를 베이스블럭(30)에 형성한 슬리브구멍(31)과 간격조절판(40)에 형성한 수직장공(42)으로 통과시키고, 베이스블럭(30)을 내벽(10)의 표면에 밀착시킨다. 이때 내벽(10)의 표면으로 돌출한 슬리브(21)는 베이스블럭(30)에 형성한 슬리브구멍(31)에 위치하므로, 베이스블럭(30)과 슬리브(21)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이후 앵글(11)을 간격조절판(40)에 밀착시키고, 앵커볼트(20)를 앵글(11)에 형성한 장공으로 통과시킨 다음 앵커볼트(20)에 평와셔(18)와 스프링 와셔(17)를 끼우고 앵커너트(16)를 앵커볼트(20)에 결합하여 조이면 앵글(11)이 간격조절판(40)에 밀착한다.
내벽(10)과 앵글(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경우 앵커너트(16)를 약간 풀어서 간격조절판(40)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베이스블럭(30)를 내벽(10)를 향해 강하게 압박하여 고정한 다음 간격조절볼트(45)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간격조절볼트(45)를 회전하면, 간격조절볼트(45)의 하단이 베이스블럭(30)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반력에 의해 간격조절볼트(45)와 상판(43)이 상승하고, 간격조절판(40)과 삼각슬라이더(41)도 함께 상승한다.
이때 삼각슬라이더(41)가 경사홈(33)을 따라 상승하는데, 이때 삼각슬라이더(41)가 상승할수록 삼각슬라이더(41)와 경사홈(33)의 기울기에 의해 간격조절판(40)이 내벽(10)에서 멀어진다.
탈거와이어(64)는 삼각슬라이더(41)를 따라 상승하므로, 이탈방지 와이어(62)는 와이어 걸림홈(34)을 따라 미끄러진다. 이때 내벽(10)에서 멀어지는 간격조절판(40)에 의해 탈거와이어(64)와 이탈방지 와이어(62)의 사이가 벌어지고, 크로스 와이어(60)와 이탈방지 와이어(62)의 사이도 벌어진다.
내벽(10)과 간격조절판(40) 사이의 간격조절 범위가 미세한 경우에는 이탈방지 와이어(62)를 분리하지 않아도 움직임에 무리가 없지만 간격조절 범위가 큰 경우에는 탈거와이어(64), 하부연장부(61), 상부연장부(63), 이탈방지 와이어(62) 및 크로스 와이어(60)를 분리한다.
탈거 과정은 플라이어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상부연장부(63)를 잡고 삼각슬라이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탈거와이어(64)가 와이어 걸림구멍(47)에서 분리된다. 이때 강제로 벌진 탈거와이어(64)를 잡고 하강시키면 크로스 와이어(60)가 노치(46)에서 분리되고, 이탈방지 와이어(62)는 와이어 걸림홈(34)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탈거와이어(64), 하부연장부(61), 상부연장부(63), 이탈방지 와이어(62) 및 크로스 와이어(60)를 분리한 상태에서 간격조절볼트(45)를 더 돌려서 간격조절판(40)을 상승시키면 내벽(10)과 앵글(11) 사이의 간격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내벽(10)와 앵글(11) 사이의 간격을 적절한 간격으로 조절한 다음 풀어져 있던 앵커너트(16)를 타이트하게 조이면 앵글(11)이 간격조절판(40)에 밀착되고, 베이스블럭(30)도 내벽(10)에 밀착하여 고정된다.
10 : 내벽 20 : 앵커볼트
21 : 슬리브 30 : 베이스블럭
31 : 슬리브구멍 32 : 경사면
33 : 경사홈 34 : 와이어 걸림홈
40 : 간격조절판 41 : 삼각슬라이더
42 : 수직장공 43 : 상판
44 : 버링너트 45 : 간격조절볼트
46 : 노치 47 : 와이어 걸림구멍
60 : 크로스 와이어 61 : 하부연장부
62 : 이탈방지 와이어 63 : 상부연장부
64 : 탈거와이어

Claims (2)

  1. 앵커볼트(20)를 설치한 내벽(10)의 표면에 밀착하는 베이스블럭(30);
    상기 내벽(10)의 표면에서 돌출한 슬리브(21)의 외주면과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베이스블럭(30)에 형성하는 슬리브구멍(31);
    상기 베이스블럭(30)의 경사면(32) 가장자리에 일정한 폭으로 형성하고, 아래쪽에서 상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내벽(10)의 표면에서 멀어지는 평행한 한 쌍의 경사홈(33);
    상기 경사홈(33)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한 쌍의 삼각슬라이더(41);
    상기 삼각슬라이더(41)의 단부를 가로지르고, 상기 내벽(10)의 표면과 평행한 간격조절판(40);
    상기 슬리브구멍(31)과 중첩하도록 상기 간격조절판(40)에 형성하고, 상기 앵커볼트(20)가 통과하는 수직장공(42);
    상기 간격조절판(40)의 상단에서 상기 내벽(10)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하는 상판(43);
    상기 상판(43)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버링너트(44);
    상기 버링너트(44)에 결합하여 상기 상판(43)과 상기 베이스블럭(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간격조절판(40)과 상기 내벽(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볼트(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럭(30)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형성하는 한 쌍의 와이어 걸림홈(34);
    상기 삼각슬라이더(41)의 하단에서 상측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형성하는 노치(46);
    상기 삼각슬라이더(41)의 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와이어 걸림구멍(47);
    상기 삼각슬라이더(41)의 내측을 가로질러서 상기 노치(46)에 걸리는 크로스 와이어(60);
    상기 크로스 와이어(60)의 양단에서 상기 베이스블럭(30)의 양측면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하부연장부(61);
    상기 하부연장부(61)의 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ㄷ자 모양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 걸림홈(34)에 걸리는 한 쌍의 이탈방지 와이어(62);
    상기 이탈방지 와이어(62)의 상단에서 상기 내벽(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상부연장부(63);
    상기 상부연장부(63)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와이어 걸림구멍(47)에 걸리는 한 쌍의 탈거와이어(6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
KR1020230089680A 2023-07-11 2023-07-11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 KR102601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680A KR102601794B1 (ko) 2023-07-11 2023-07-11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680A KR102601794B1 (ko) 2023-07-11 2023-07-11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794B1 true KR102601794B1 (ko) 2023-11-14

Family

ID=8874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680A KR102601794B1 (ko) 2023-07-11 2023-07-11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7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344A (ja) * 1989-03-31 1991-01-25 Showa Denko Kenzai Kk 板材のとめ付け工法
WO1993001418A1 (de) * 1991-07-11 1993-01-21 ISOVOLTA Österreichische Isolierstoff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verdeckten aufhängung von platten an trägerkonstruktionen
KR101023407B1 (ko) 2008-06-30 2011-03-24 김형성 토건 구조물의 내장벽 설치를 위한 스페이서
KR101304511B1 (ko) 2012-07-05 2013-09-05 주식회사 아스코 스페이서가 마련된 스트롱 앵커 볼트
KR101751892B1 (ko) * 2017-03-10 2017-06-28 김환성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2255364B1 (ko) 2020-12-24 2021-05-24 정진용 건축 내장재 설치용 앵커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344A (ja) * 1989-03-31 1991-01-25 Showa Denko Kenzai Kk 板材のとめ付け工法
WO1993001418A1 (de) * 1991-07-11 1993-01-21 ISOVOLTA Österreichische Isolierstoff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verdeckten aufhängung von platten an trägerkonstruktionen
KR101023407B1 (ko) 2008-06-30 2011-03-24 김형성 토건 구조물의 내장벽 설치를 위한 스페이서
KR101304511B1 (ko) 2012-07-05 2013-09-05 주식회사 아스코 스페이서가 마련된 스트롱 앵커 볼트
KR101751892B1 (ko) * 2017-03-10 2017-06-28 김환성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2255364B1 (ko) 2020-12-24 2021-05-24 정진용 건축 내장재 설치용 앵커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CN108396931B (zh) 建筑物墙面砖干挂装置
KR100989996B1 (ko) 데크재(deck材)의 고정 장치
KR102336055B1 (ko) 시공성과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킨 천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05770B1 (ko) 공동주택용 커튼월 고정장치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US10010171B2 (en) Cantilever system and bracket for a cantilever system
KR101666118B1 (ko) 천장 마감 몰딩
KR100841565B1 (ko)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KR102601794B1 (ko) 건축용 앵커 스페이서
KR102113328B1 (ko)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KR102106515B1 (ko) 역류해소와 소음저감이 가능한 맨홀뚜껑과 그 작동방법
KR102007382B1 (ko) 형틀 체결 장치
KR102639934B1 (ko) 스프링쿨러 설치용 프레임의 결합장치
KR200214426Y1 (ko) 석재 벽판 지지용 앵글
KR102049470B1 (ko)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KR20090072408A (ko) 창호 시공 시 옹벽에 창틀을 시공하기 위한 앵글부재의연결구조
US20070069104A1 (en) Concrete forming structure frame locking device
CN210343103U (zh) 一种用于玻璃吊趟门的玻璃夹
KR102421187B1 (ko) 패널의 탈부착이 용이한 안전 펜스
KR20070097682A (ko) 경량철골 마감재 설치용 구조
JP2003090100A (ja) 天井吊ボルト連結金具
KR200444968Y1 (ko) 피시빔 가장자리 안전망 설치구
JP2006299794A (ja) グレーチング設置構造体、前記グレーチング設置構造体を備えたグレーチング付き側溝、並びに、前記グレーチング設置構造体を備えたグレーチング。
JP6289213B2 (ja) 圧縮材係止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