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328B1 -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328B1
KR102113328B1 KR1020190121835A KR20190121835A KR102113328B1 KR 102113328 B1 KR102113328 B1 KR 102113328B1 KR 1020190121835 A KR1020190121835 A KR 1020190121835A KR 20190121835 A KR20190121835 A KR 20190121835A KR 102113328 B1 KR102113328 B1 KR 102113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clip bar
horizontal
vertical
vertical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비엠
Priority to KR102019012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6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e members lying in different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감패널을 파지 및 고정하는 클립바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은 메인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메인프레임에 대해 자유로운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고, 마감패널을 파지 및 고정하기 위한 클립바를 기울인 상태로 끼워 넣어 클립바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클립바를 기울인 상태로 빼냄으로써 클립바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Clip bar mounting bracket}
본 발명은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감패널을 파지 및 고정하는 클립바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및 일반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실내 천정에는 전기 배선이나 각종 배관 등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려주고, 외관을 미려하게 시공하기 위하여 내장재로서 마감패널을 설치하고 있다.
최근 마감패널은 석고보드나 합판 등의 소재로 시공되고,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 기초콘크리트층의 저면부에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마감패널의 설치 및 시공구조는 최근까지 여러 방식의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마감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8602호에는 천장마감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의 천장마감장치는 천정에 고정되고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지지훅을 구비하는 시스템바와, 시스템바의 지지훅에 결합되는 결합훅을 구비하는 루바와, 루바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마감패널과, 루바에 일 단이 지지되고 타 단은 마감패널에 간섭되어 마감패널을 루바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구비한다.
종래의 천장마감장치는 루바 대신 상부에 시스템바의 지지훅들 사이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마감패널의 스커트부를 파지하는 파지부가 마련된 클립바를 이용하여 마감패널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훅이 마련된 시스템바에 루바나 클립바를 설치하는 경우, 루바나 클립바를 시스템바 하부에서 직접 끼워 넣을 수 없어 시스템바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훅 사이의 틈으로 루바나 클립바를 끼워야 하며, 이로 인해 루바나 클립바의 조립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시스템바에 루바나 클립바를 설치한 뒤에도 루바나 클립바를 시스템바에서 하방으로 바로 분리하기가 불가능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바에 루바나 클립바를 조립하는 과정과 반대 과정으로 빼내 분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5014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819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감패널을 파지 및 고정하기 위한 클립바를 기울인 상태로 끼워 넣어 클립바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클립바를 기울인 상태로 빼내어 클립바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은 행거에 의해 천장에 현수 및 지지되는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접하도록 형성된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폭 방향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하단 측에는 마감패널을 파지하기 위한 클립바를 일 측으로 기울인 상태로 상기 클립바의 폭 방향 양측 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방으로 인입 형성된 탈착결합홈부가 마련된 측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결합홈부는 상기 측판부의 좌우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호를 향해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상방으로 일정 길이 절개된 제1수직절개부 및 제2수직절개부와, 상기 제1수직절개부와 상기 제2수직절개부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된 제1수평절개부 및 제2수평절개부와, 상기 제1수평절개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절개된 제3수직절개부와, 상기 제2수평절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3수직절개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절개된 제4수직절개부와, 상기 제3수직절개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4수직절개부 측을 향해 일정 길이 절개된 제3수평절개부와, 상기 제3수평절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4수직절개부의 상단 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경사절개부와, 상기 경사절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4수직절개부의 상단까지 절개된 제4수평절개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평절개부와 인접하는 상기 제4수평절개부의 하단 측에는 상기 클립바의 폭 방향 일 측 단부가 진입될 수 있는 진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수직절개부 측을 향해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클립바가 상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리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은 메인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메인프레임에 대해 자유로운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고, 마감패널을 파지 및 고정하기 위한 클립바를 기울인 상태로 끼워 넣어 클립바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클립바를 기울인 상태로 빼냄으로써 클립바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및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에 클립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및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에 클립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에 클립바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100)은 행거(10)에 의해 천장에 현수 및 지지되는 메인프레임(20)에 장착 및 설치되어 메인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하부에는 마감패널(40)을 파지 및 고정하기 위한 클립바(3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판부(110)와, 측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100)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20)은 하부가 상부 및 양 측면에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사각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천장 슬래브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100)에 설치되는 클립바(30)는 메인프레임(20)의 하방에 메인프레임(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브라켓(100)의 탈착결합홈부(160)에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판부(31)와, 결합판부(31)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마감패널(40)의 스커트부(43)를 양측에서 파지하는 파지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클립바(30)에 의해 파지 및 지지되는 마감패널(40)은 평판부(41)와, 평판부(41)의 가장자리로부터 평판부(4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스커트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100)의 상판부(110)는 메인프레임(20)의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메인프레임(20)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측판부(150)는 메인프레임(20)의 폭 방향에 대응되는 상판부(11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메인프레임(20)의 양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다.
각 측판부(150)의 상측에는 고정피스를 이용하여 브라켓(100)을 메인프레임(2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피스구멍(151)이 형성되고, 피스구멍(151)의 하방에는 브라켓(100)이 메인프레임(20)으로부터 상방으로 들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훅(152)이 형성된다.
걸림훅(152)은 메인프레임(20)의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측판부(150) 일부를 절개한 뒤, 절개된 부분을 측판부(150)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측판부(150)의 하부에는 클립바(30)를 브라켓(100)의 하방에서 끼워 조립하거나 조립된 상태의 클립바(30)를 브라켓(100)의 하방으로 빼내어 분리할 수 있도록 걸림훅(152)의 하방 측에 탈착결합홈부(160)가 마련된다.
탈착결합홈부(160)는 클립바(30)의 길이방향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클립바(30)를 일 측으로 기울인 상태로 클립바(30)의 폭 방향 양측 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측판부(150)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입 형성된다.
탈착결합홈부(160)는 측판부(150)의 하단으로부터 다단으로 인입된 구조를 가지며, 제1수직절개부(161) 및 제2수직절개부(162), 제1수평절개부(163) 및 제2수평절개부(164), 제3수직절개부(165) 및 제4수직절개부(166), 제3수평절개부(167), 경사절개부(168), 제4수평절개부(169)에 의해 형성된다.
제1수직절개부(161) 및 제2수직절개부(162)는 측판부(150)의 좌우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상호 대향되는 방향을 향해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상방으로 일정 길이 절개된다. 제1수직절개부(161)와 제2수직절개부(162) 사이의 간격은 클립바(30)의 결합판부(31)의 폭보다 더 좁게 형성된다.
제1수평절개부(163) 및 제2수평절개부(164)는 제1수직절개부(161)와 제2수직절개부(162)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측판부(150)의 좌우 양측 단부측을 향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된다.
제1수직절개부(161) 및 제1수평절개부(163)에 의해 측판부(150)의 좌측 하단에는 클립바(30)의 결합판부(31) 좌측 단부가 걸리도록 지지되는 제1지지훅(1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수직절개부(162) 및 제2수평절개부(164)에 의해 측판부(150)의 우측 하단에는 클립바(30)의 결합판부(31) 우측 단부가 걸리도록 지지되는 제2지지훅(172)이 형성된다.
제3수직절개부(165)는 제1수평절개부(163)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절개되며, 제3수직절개부(165)의 길이는 클립바(30)의 결합판부(31) 두께보다 약간 더 길게 형성된다.
제4수직절개부(166)는 제2수평절개부(164)의 단부로부터 제3수직절개부(165)와 나란하고 제3수직절개부(165)의 상단보다는 높고 걸림훅(152)보다는 낮은 위치까지 절개된다.
제3수평절개부(167)는 제3수직절개부(165)의 상단으로부터 제4수직절개부(166) 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된다. 제3수평절개부(167)는 측판부(150)의 좌우 폭 방향 중앙 부분까지 연장된다.
경사절개부(168)는 측판부(150)의 중앙 부분의 제3수평절개부(167)의 단부로부터 제4수직절개부(166)의 상단 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개된다. 경사절개부(168)와 제3수평절개부(167) 사이의 경계에는 꺾인 형태의 턱부(173)가 형성된다.
제4수평절개부(169)는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절개부(168)의 상측 단부로부터 제4수직절개부(166)의 상측 단부까지 절개된다.
경사절개부(168)와, 제4수평절개부(169)와, 제4수직절개부(166)에 의해 클립바(30)를 일정 각도로 기울인 상태로 클립바(30)의 결합판부(31)의 폭 방향 일 측을 측판부(150) 내측으로 일정 깊이 진입 또는 인입시킨 뒤 클립바(30)의 결합판부(31)가 수평을 이루도록 다시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수평절개부(164)와 인접하는 제4수평절개부(169)의 하단 측에는 클립바(30)의 결합판부(31)의 폭 방향 일 측 단부(31A)가 진입될 수 있는 진입홈(176)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수직절개부(162) 측을 향해 일정 길이 돌출되어 진입홈(176)의 내측으로 진입된 클립바(30)의 결합판부(31)의 폭 방향 일 측 단부(31A)가 상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리브(175)가 더 구비된다.
유동방지리브(175)는 클립바(30)의 결합판부(31)의 폭방향 양측 단부가 각각 제1수직절개부(161) 및 제1수평절개부(163)에 의해 형성된 제1지지훅(171)과, 제2수직절개부(162) 및 제2수평절개부(164)에 의해 형성된 제2지지훅(172)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지지훅(172) 상에 안착된 결합판부(31)의 일 측 단부(31A)에 간섭되어 결합판부(31)의 일 측 단부(31A)가 진입홈(176)의 상방으로 들려 유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100)에 클립바(30)를 설치 및 분리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 상에 브라켓(100)이 안착 및 설치된 상태에서 클립바(30)를 클립바(30)의 길이방향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일정 각도 기울인 뒤 클립바(30)의 결합판부(31)의 폭 방향 일 측 단부(31A)를 측판부(150)의 개방된 탈착결합홈부(160)의 내측으로 진입시킨다.
결합판부(31)를 탈착결합홈부(160)의 내측으로 진입시키면, 클립바(30)의 파지부(35) 측면이 제2지지훅(172)의 단부에 걸리게 되면서 결합판부(31)가 탈착결합홈부(160)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이때 결합판부(31)의 상면은 경사절개부(168)에 밀착된다.
이후, 경사절개부(168)와 제4수평절개부(169) 그리고 제4수직절개부(166) 사이에는 클립바(30)가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수평절개부(167)와 경사절개부(168) 사이에 형성된 턱부(173)를 기준으로 클립바(30)의 일 측 단부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결합판부(31)의 일 측 단부(31A)가 유동방지리브(175)의 상부에 걸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결합판부(31)의 타 측 단부(31B)는 제1수평절개부(163)의 높이와 대응되거나 약간 더 높은 높이로 상승된다.
이 상태에서 클립바(30)를 제3수직절개부(165) 측으로 밀어 결합판부(31)의 타 측 단부(31B)가 제1수평절개부(163)와 제3수직절개부(165) 및 제3수평절개부(167)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시키면 결합판부(31)의 타 측 단부(31B)는 제1지지훅(171)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클립바(30)를 제3수직절개부(165) 측으로 미는 과정에서 유동방지리브(175)의 상단에 안착되어 있던 결합판부(31)의 일 측 단부(31A)가 유동방지리브(175)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결합판부(31)의 타 측 단부(31B)가 제3수직절개부(165)에 접촉되면 결합판부(31)의 일 측 단부(31A)가 제2수평절개부(164)상에 안착된다.
이후, 클립바(30)의 일 측 단부를 단부를 유동방지리브(175)와 제2수평절개부(164) 사이의 진입홈(176)으로 진입되게 하면 결합판부(31)의 일 측 단부(31A)는 유동방지리브(175)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되고 결합판부(31)의 타 측 단부(31B)는 제1수평절개부(163), 제3수직절개부(165), 제3수평절개부(167) 사이의 틈에 낀 상태로 상방으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측판부(150)의 탈착결합홈부(16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 및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00)에 설치된 클립바(3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설치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먼저, 결합판부(31)의 일 측 단부(31A)가 진입홈(176)에서 빠지도록 클립바(30)를 좌측으로 민 상태에서 결합판부(31)의 일 측 단부(31A)를 상방으로 들어올린 후, 클립바(30)의 길이중심을 기준으로 클립바(30)를 일정 각도 기울인 상태로 결합홈부에서 인출함으로써 클립바(30)를 브라켓(100)으로부터 쉽고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행거
20 : 메인프레임
30 : 클립바
40 : 마감패널
100 : 브라켓
110 : 상판부
150 : 측판부
160 : 탈착결합홈부
161 : 제1수직절개부
162 : 제2수직절개부
163 : 제1수평절개부
164 : 제2수평절개부
165 : 제3수직절개부
166 : 제4수직절개부
167 : 제3수평절개부
168 : 경사절개부
169 : 제4수평절개부
171 : 제1지지훅
172 : 제2지지훅
173 : 턱부
175 : 유동방지돌기
176 : 진입홈

Claims (3)

  1. 행거에 의해 천장에 현수 및 지지되는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접하도록 형성된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폭 방향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하단 측에는 마감패널을 파지하기 위한 클립바의 폭 방향 양측 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입 형성된 탈착결합홈부가 마련된 측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탈착결합홈부는 상기 클립바를 일 측으로 기울인 상태로 내측으로 일정 깊이 진입시킨 뒤, 상기 클립바를 수평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결합홈부는 상기 측판부의 좌우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호를 향해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상방으로 일정 길이 절개된 제1수직절개부 및 제2수직절개부와, 상기 제1수직절개부와 상기 제2수직절개부의 상단으로부터 각각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된 제1수평절개부 및 제2수평절개부와, 상기 제1수평절개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절개된 제3수직절개부와, 상기 제2수평절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3수직절개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절개된 제4수직절개부와, 상기 제3수직절개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4수직절개부 측을 향해 일정 길이 절개된 제3수평절개부와, 상기 제3수평절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4수직절개부의 상단 측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경사절개부와, 상기 경사절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4수직절개부의 상단까지 절개된 제4수평절개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절개부와 인접하는 상기 제4수평절개부의 하단 측에는 상기 클립바의 폭 방향 일 측 단부가 진입될 수 있는 진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수직절개부 측을 향해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클립바가 상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리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KR1020190121835A 2019-10-01 2019-10-01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KR102113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835A KR102113328B1 (ko) 2019-10-01 2019-10-01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835A KR102113328B1 (ko) 2019-10-01 2019-10-01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328B1 true KR102113328B1 (ko) 2020-05-20

Family

ID=7091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835A KR102113328B1 (ko) 2019-10-01 2019-10-01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3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6936A (zh) * 2020-12-29 2021-04-30 北京市金龙腾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吊顶结构
KR20230164515A (ko) 2022-05-25 2023-12-04 이승원 내진 및 내풍압 강화 클립바 브라켓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830A (ja) * 1999-05-31 2000-12-05 Kinden Corp 天井パネルの落下防止ハンガー
KR20030057503A (ko) * 2003-06-14 2003-07-04 병 철 오 경량철골 천정판 설치용 구조
KR101458198B1 (ko) 2012-06-11 2014-11-04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천정마감장치
KR101650144B1 (ko) 2014-12-12 2016-08-22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구
KR20190095738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한성케이 경량 천창틀용 연결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830A (ja) * 1999-05-31 2000-12-05 Kinden Corp 天井パネルの落下防止ハンガー
KR20030057503A (ko) * 2003-06-14 2003-07-04 병 철 오 경량철골 천정판 설치용 구조
KR101458198B1 (ko) 2012-06-11 2014-11-04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천정마감장치
KR101650144B1 (ko) 2014-12-12 2016-08-22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구
KR20190095738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한성케이 경량 천창틀용 연결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6936A (zh) * 2020-12-29 2021-04-30 北京市金龙腾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吊顶结构
CN112726936B (zh) * 2020-12-29 2022-02-18 北京市金龙腾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吊顶结构
KR20230164515A (ko) 2022-05-25 2023-12-04 이승원 내진 및 내풍압 강화 클립바 브라켓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328B1 (ko)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US7752814B2 (en) Water deflection apparatus for use with a wall mounting bracket
RU2543015C2 (ru) Сейсмоустойчивый зажим
US7735794B1 (en) Adjustable fixture mounting bracket for suspended ceiling
KR101305098B1 (ko) 패널 부착 클립
EP1209296A1 (en) Hinged ceiling panel
KR101576230B1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KR102000228B1 (ko) 천장마감패널 어셈블리
US20120079652A1 (en) Reversible low profile shower base
WO2006022889A2 (en) Curved ceiling panel
KR101565601B1 (ko) 천정 마감용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천정 마감장치
WO2012112082A1 (ru) Багет для монтажа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US20230250637A1 (en) Ceiling grid system
KR101984612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천정 지지용 행거
KR20130116786A (ko) 천장패널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5627505B2 (ja) 簡易建物
KR102052642B1 (ko) 풍하중 저항형 마감장치
JP6159272B2 (ja) 建物の内装下地の取付構造
JP6575846B2 (ja) 配電盤の取替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ガイドレール
KR102007385B1 (ko) 블라인드 고정 브라켓
KR101613300B1 (ko) 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JP4288271B2 (ja) 自在間仕切り構造
KR101738450B1 (ko) 공동주택용 케이블 안내판 체결장치
JP5319426B2 (ja) 天井裏足場支持用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天井裏足場支持構造
KR101207992B1 (ko) 천정패널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